KR20130015525A -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525A
KR20130015525A KR1020110077558A KR20110077558A KR20130015525A KR 20130015525 A KR20130015525 A KR 20130015525A KR 1020110077558 A KR1020110077558 A KR 1020110077558A KR 20110077558 A KR20110077558 A KR 20110077558A KR 20130015525 A KR20130015525 A KR 20130015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and
fastening
holder
band assembly
furnit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태
Original Assignee
김장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태 filed Critical 김장태
Priority to KR1020110077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5525A/ko
Publication of KR20130015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 A47C7/32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with tensioned cords, e.g. of elastic type, in a flat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질환이 있거나 피부 질환의 발생이 우려되는 환자가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적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고정 사용하는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 밴드의 변질에 의한 탄성력 상실을 보강하여 줌으로써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탄성 밴드의 아래로 간격을 두고 하방에 고정되며, 프레임의 폭에서 22% 내지 42% 감소된 길이로 된 보강 로프의 양단이 홀더 양단의 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땀 등 이물질로 인하여 탄성 밴드의 탄성이 열화된 경우에도 그 하방을 받쳐 주고 있는 보강로프가 탄성 밴드의 저하된 탄력을 보강하여 주는 것이어서 사람에 의한 체중을 탄탄하게 받쳐 주게 되므로 신체에 감기는 느낌을 주지 않고 쾌적한 통풍 상태가 유지 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Elastic Band Assembly for Furniture Frame Binding }
본 발명은 침대나 의자의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로 피부 질환이 있거나 피부 질환의 발생이 우려되는 환자가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에 적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고정 사용하는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침대나 의자 등의 가구는 적정한 정도의 쿠션이 필요하며, 특히 장시간 인체의 피부와 접하게 되는 침대나 의자의 경우 통풍이 필요하므로 가구 프레임에 탄성 밴드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탄성 밴드 사이의 공간으로 통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피부 질환이 있거나 피부 질환의 발생이 우려되는 환자가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를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81388호(고안의 명칭: 통풍 의자;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의하여 살펴볼 수 있으며, 이는 다리(1)와 팔걸이(2) 및 머리받침(3)이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중앙이 개방된 좌석틀(10)과 등받이틀(20); 상기 좌석틀(10)과 등받이틀(20)의 양측에 적정간격을 두고 나사(30)체결로 각각 고정되는 다수개의 연결구(40)와 ; 상기 양측 연결구(40)에 그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엉덩이와 등을 받쳐주는 다수개의 탄성밴드(50)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용발명은 의자 좌석 및 의자 등받이를 구성하는 좌석틀(10)과 등받이틀(20)에 탄성밴드(50)가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어 구조적으로 통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즉 착석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탄성밴드(50) 사이로 통풍이 이루어지므로 착석자의 엉덩이와 등부위에 땀이 차지 않게 되고 또한 옷이 젖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인용발명은 땀으로 인한 습진 등의 각종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동시에 위생적으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에 사용되는 탄성밴드는 사용자의 땀 등에 함유된 염분에 포한된 염소기로 인하여 고무사가 급격히 노화되어 탄력을 상실하 며, 이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탄성 밴드의 조직이 쉽게 변질 되고, 얼마간 사용하다 보면 조직의 피로가 심화되고 탄성이 저하되어 늘어짐이 발생 되므로 침대나 의자에 앉은 사람이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더 이상 사용하기 어렵게 되어 폐기되는 사례가 빈번하여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81388호(고안의 명칭: 통풍 의자)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탄성 밴드의 변질에 의한 탄성력 상실을 보강하여 줌으로써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탄성 밴드의 아래로 간격을 두고 하방에 고정되며, 프레임의 폭에서 22% 내지 42% 감소된 길이로 된 보강 로프의 양단이 홀더 양단의 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여서 된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땀 등 이물질이 탄성 밴드 조직에 침투하여 조직이 노화되고, 반복적인 사용으로 피로도가 심화된 경우에 탄성 밴드 하방을 받쳐 주고 있는 보강로프가 늘어진 탄성 밴드의 저하된 탄력을 보강하여 줌으로써 침대나 의자에 앉은 사람에 의한 체중을 탄탄하게 받쳐 주게 되므로 신체에 감기는 느낌을 주지 않고 쾌적한 통풍 상태가 유지 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통풍 의자를 보인 사시도.
도2는 종래의 통풍 의자 좌석틀에 탄성 밴드를 체결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 밴드 조립체의 장착 전 저면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 밴드 조립체의 탄성 밴드 및 보강 로프 결속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 밴드 조립체의 장착 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 밴드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하여 신장 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하여 프레임에 장착된 탄성 밴드 조립체를 보인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에 장착된 탄성 밴드 조립체를 보인 종단면도.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탄성밴드 및 복수의 보강로프가 양측에 하나씩 배치된 홀더에 고정된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저면 사시도를 도 3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성 밴드(10) 양측이 제1통공(21)을 통하여 고정된 양측의 홀더(20) 및 양측의 홀더(20) 단부에 형성된 고정공(30)으로 구성된 탄성 밴드 조립체에 있어서, 탄성 밴드(10) 저면에 위치하며, 프레임(40)의 폭에서 22% 내지 42% 감소된 길이로 된 보강 로프(50)의 양단이 홀더(20)의 양단에 제2통공(22)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3로 보인 바와 같이 장착되기 전의 탄성 밴드(10)가 장착시의 길이보다 약 70% 정도 짧게 수축되어 있는 반면 보강 로프(50)는 체결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약 22% 내지 42% 짧게 수축된 길이로 제작된 것이므로, 보강로프(50)가 탄성 밴드(10)의 길이보다 월등히 길게 되어 융기되어 있는 상태로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탄성 밴드(10)와 보강 로프(50)는 각각 도4으로 보인 바와 같이 그 양단이 별도로 고정되어 있으며, 홀더(20)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도8의 단면도로 보인 바와 같이 홀더(20)의 제1통공(21)과 제2통공(22)으로 각각 진입하여 단부를 접은 후 펴지지 않도록 체결밴드(60)로 각각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체결밴드(60)가 해체되지 않는 한 탄성 밴드(10)와 보강 로프(50)의 양단은 홀더(20)에서 이탈될 수 없는 견고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며, 이러한 체결밴드(60)는 강도 높은 금속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탄성 밴드 조립체는 도5로 보인 바와 같이 상방으로는 탄성 밴드(10)가 배치되고, 그 양단은 제1통공(21)을 거쳐 홀더(20) 내부로 진입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양 단부가 체결밴드(60)에 의하여 접혀진 상태로 체결되어 있으며, 보강 로프(50)는 제2통공(22)을 거쳐 홀더(20) 내부로 진입하고, 이 역시 그 양 단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체결밴드(60)로 체결되어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로 조립된 탄성 밴드 조립체는 도6으로 보인 바와 같이 기계 또는 사람의 힘에 의하여 양측으로 강제 신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장되면서 도7로 보인 바와 같이 그 양단이 프레임(40)에 고정되는 것이며, 이러한 장착을 위하여 프레임(40)에 고정공(31)이 형성되고, 고정볼트(70)가 홀더(20) 양단의 고정공(30)을 경유하여 프레임(40)에 체결됨으로써, 탄성 밴드(10) 양단의 홀더(20)가 프레임(40)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8로 보인 바와 같이 프레임(40)의 고정공(31)에 고정볼트(70)에 의하여 고정된 홀더(20) 사이를 탄성 밴드(10)에 의한 탄력과 고정 로프(50)에 의한 탄성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며, 탄성 밴드(10)와 고정 로프(50)가 홀더(2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의자에 적용하여 사람이 앉거나 침대에 적용하여 사람이 누웠을 시 작용하는 체중을 탄성 밴드(10)와 고정 로프(50)가 연합하여 탄탄하게 받쳐 주게 되므로 쳐짐에 의한 감기는 느낌이 전혀 없는 상태로 편안하게 받쳐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의 체중을 받쳐 줌에 있어서, 1차적으로는 탄성 밴드(10)가 감당하도록 하기 위하여 홀더(20) 상방의 제1통공(21)으로 탄성 밴드(10)를 배치, 고정하고, 이러한 탄성 밴드(10)가 초과 신장되어 쳐지는 경우에만 보강 로프(50)에 의한 탄성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제1통공(21)과 간격(80)을 두어 하방에 형성된 제2통공(22)에 보강 로프(50)를 배치, 고정함으로써 탄성 밴드(10)에 의한 탄력이 부족한 부분만큼을 보강 로프(50)가 채워 주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을 적용한 의자나 침대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땀의 염분이 탄성 밴드(10)의 고무사에 침투하여 노화시키므로 탄력이 감소하여 쳐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간격(80)에도 불구하고 사람 체중의 많은 부분이 직접 보강 로프(50)에 인가되므로 보강 로프(50)가 주도하여 제공하는 탄성으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강 로프(50)는 탄성 밴드 조립체 장착 시 이미 당겨진 상태로 장착된 것이므로, 거의 늘어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사람의 체중을 탄탄하게 받쳐 줌과 아울러, 탄성 밴드(10)가 더 이상 과도한 변형을 하지 않도록 받쳐 주어 탄성 밴드(10)의 수명 단축이 가속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성 밴드(10)는 두 종류의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그 하나는 고무사로 커버링 한 실을 사용하여 밴드 형태로 직조한 것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스판덱스사(spandex絲)로 만든 커버링사를 사용하여 밴드 형태로 직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고무사로 만든 탄성 밴드(10)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땀의 염분에 포함된 염소기에 의하여 노화되어 탄력을 쉽게 상실한다.
그러나 상기 스판덱스사로 만든 탄성밴드는 상대적으로 고가이지만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된 탄성 섬유로 된 것으로 신도나 염색성, 탄성회복력 면에서 우수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강 로프(50)는 외피와 코어(속끈)로 구분되는 이중구조인 더블 블레이드이며,
외피는 흡수성이 적고 내후성, 늘어남이 적은 소재인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도 사용된다. 코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일반적인 소재와 스펙트라, 테크미론, 다이니마, 케블라 등의 소위 스파섬유로 통칭되며 강도, 신도 등이 탁월한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1개의 홀더(20)에 다수의 탄성 밴드(10) 및 보강 로프(50)가 체결되어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도9로 보였으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지그 등 적절한 기구를 사용하여 양측 홀더(20)를 잡고 신장시켜 고정볼트(70)로 프레임(40)에 고정시킴으로써 다수의 탄성 밴드(10)를 일시에 장착시켜 작업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탄성 밴드(10) 및 점선으로 보인 3개의 보강 로프(50) 양단이 1개의 홀더(20)에 연결된 실시예를 보였으며, 필요에 따라 탄성 밴드(10) 및 보강 로프(50)의 수를 증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면 전반에서 보인 바와 같이 탄성 밴드(10) 및 보강 로프(50) 양단의 체결밴드(60)에 의하여 체결된 체결부위가 당겨지면서 밀려들어 가는 바깥 부분은 높이가 높고 밀려들어 가는 안쪽 부분은 높이가 낮아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밀려들어 가면서 탄성 밴드(10)와 보강 로프(50)의 양단이 단단하게 밀착되어 신축 기능이 수행되더라도 탄성 밴드(10)와 보강 로프(50)의 양단은 밀려나오는 등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공지된 여러 요소들을 결합시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탄성 밴드 20:홀더 21:제1통공 22:제2통공
30,31:고정공 40:프레임 50:보강 로프 60:체결밴드
70:고정볼트 80:간격

Claims (8)

  1. 탄성 밴드 양단이 양측의 홀더에 형성된 제1통공을 경유하여 홀더 내부에서 고정되고, 양측의 홀더 단부에 형성된 고정공으로 고정볼트를 끼워 양측의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 밴드 조립체에 있어서,
    탄성 밴드 저면에 위치하며, 상기 양측의 프레임 고정공 간의 간격보다 22% 내지 42% 감소된 길이로 된 보강 로프의 양단이 상기 홀더 양단에 형성된 제2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와 보강 로프는 각각 상기 홀더의 제1통공과 제2통공으로 각각 진입하여 단부를 접은 후 펴지지 않도록 체결밴드로 각각 고정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홀더 상방의 제1통공으로 양단이 진입하여 고정된 탄성 밴드와 간격을 두어 하방에 형성된 제2통공에 보강 로프 양단을 진입시켜 배치,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는 고무사로 커버링 한 실을 사용하여 밴드 형태로 직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는 폴리우레탄으로 된 탄성 섬유인 스판덱스사로 만든 커버링사로 직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로프는 외피와 코어로 구성된 더블 블레이드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로프의 코어는 스펙트라, 테크미론, 다이니마, 케블라 중 어느 하나인 스파섬유로 직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 및 보강 로프 양단의 체결밴드에 의하여 체결된 체결부위가 당겨지면서 밀려들어 가는 바깥 부분은 높이가 높고 밀려들어 가는 안쪽 부분은 높이가 낮아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KR1020110077558A 2011-08-04 2011-08-04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KR20130015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558A KR20130015525A (ko) 2011-08-04 2011-08-04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558A KR20130015525A (ko) 2011-08-04 2011-08-04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525A true KR20130015525A (ko) 2013-02-14

Family

ID=4789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558A KR20130015525A (ko) 2011-08-04 2011-08-04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552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505A (ko) * 2015-04-08 2016-10-18 조상희 쇼파 밴딩용 작업선반
KR101694498B1 (ko) 2016-10-07 2017-01-10 조상희 소파 밴드 고정장치
JP2020099663A (ja) * 2018-12-20 2020-07-02 佳及雅實業有限公司 椅子用弾性支持構造
KR102399566B1 (ko) * 2021-10-27 2022-05-19 박한미 조립식 소파 및 IoT 장비가 결합된 포함하는 스마트 가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505A (ko) * 2015-04-08 2016-10-18 조상희 쇼파 밴딩용 작업선반
KR101694498B1 (ko) 2016-10-07 2017-01-10 조상희 소파 밴드 고정장치
JP2020099663A (ja) * 2018-12-20 2020-07-02 佳及雅實業有限公司 椅子用弾性支持構造
KR102399566B1 (ko) * 2021-10-27 2022-05-19 박한미 조립식 소파 및 IoT 장비가 결합된 포함하는 스마트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62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기능성 방석
US2057551A (en) Cover for dental chairs
CN106998920A (zh) 模块化荚床垫
KR20130015525A (ko) 가구 프레임 체결용 탄성 밴드 조립체
JP4450374B2 (ja) 椅子
KR20110125455A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AU2006227585A1 (en) Seating furniture, which can be converted into in a bed, and cover for the lying surface of an item of furniture of this type
JP2004033542A (ja) 椅子
KR20090009526U (ko) 방석
ITMI20070618A1 (it) Struttura ergonomica
KR20110111678A (ko) 의자 등받이
KR20190000047A (ko) 의료용 다리받침대
KR200484534Y1 (ko) 조립식 베개
EP2191746A1 (de) Vorrichtung zur Abstützung eines Körperteiles einer Person und Sitzgelegenhei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R102153753B1 (ko) 2중 매트리스 기능을 가진 침대 프레임
CN204838779U (zh) 充气沙发椅
CN204812971U (zh) 靠背床垫
KR102574855B1 (ko) 좌대
KR200405669Y1 (ko) 쿠션체를 갖는 장의자
ITTO960253A1 (it) Sedile di autoveicolo con materassino ausiliario rimuovibile in modo rapido.
KR102211019B1 (ko) 의자용 좌판
CN115886492A (zh) 弓结构床骨架用垫子
CN205432912U (zh) 椅子
CN107997445B (zh) 一种具有竹凉席面料的坐具
RU46635U1 (ru) Опорная подушка для мягкой мебел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