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399Y1 - 세발용 용기 - Google Patents

세발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399Y1
KR200452399Y1 KR2020080015676U KR20080015676U KR200452399Y1 KR 200452399 Y1 KR200452399 Y1 KR 200452399Y1 KR 2020080015676 U KR2020080015676 U KR 2020080015676U KR 20080015676 U KR20080015676 U KR 20080015676U KR 200452399 Y1 KR200452399 Y1 KR 2004523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cycle
patient
wall
container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670U (ko
Inventor
박재규
Original Assignee
박재규
주식회사 뉴텍티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규, 주식회사 뉴텍티앤엠 filed Critical 박재규
Priority to KR2020080015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39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6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6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3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3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4Portable wash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8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이 불편한 환자가 침상 내에서 도움을 받아 세발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세발용 용기에 세발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세정액 및 세발도구를 수용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하여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의 행동반경 내에 이들을 모두 위치시킴으로써, 환자의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가 세발에 필요한 도구를 편리하게 사용하여 환자를 용이하게 세발 시킬 수 있도록 한 세발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침대에 눕힌 상태에서 세발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측에 외벽으로 둘러싸여 환자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바닥면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의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인접한 일측에 단턱이 형성된 물받이와, 세발에 사용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물받이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외벽과 연장된 차단벽이 형성된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오수가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로의 단부에 하향경사각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차단벽과 연장된 측벽이 마련된 경사로와, 환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융기부에 부착되며, 상면에 반호형상의 돌출부가 마련된 머리받침쿠션 및 환자의 목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기 단턱에 부착되며, 상부에 홈부가 마련된 목받침쿠션으로 이루어진 세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인접한 일측에는 환자의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가 자리이동 없이 편리하게 세정액 및 세정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들을 수용보관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된다.
세발, 용기, 침대, 물받이, 배수로

Description

세발용 용기{Washing bowl}
본 고안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이 불편한 환자가 침상 내에서 도움을 받아 세발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세발용 용기에 세발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세정액 및 세발도구를 수용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하여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의 행동반경 내에 이들을 모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가 세발에 필요한 도구를 편리하게 사용하여 환자를 용이하게 세발 시킬 수 있도록 한 세발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를 감는 세발 행위는 머리를 손질하는 미용업소를 비롯하여 가정에서도 매우 빈번하게 행하여지는바, 이러한 세발 행위는 먼저 핸드 샤워기 등을 통해 모발에 물을 적신 후 샴푸와 같은 세정액을 모발에 바르고 손을 이용하여 거품을 내어 머리 마사지를 한 뒤 다시 물을 뿌려 모발의 거품을 씻어내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발 행위에는 물이 외부로 튀어 주변을 적시는 일을 방지하기 위한 세발용기가 사용되며, 이와 같은 세발용기는 그 용도에 따라 일반인 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목적으로 모발관리가 이루어지는 미용실 및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한 용도로 구분된다.
여기서, 환자들을 위한 세발용기는 전신마비나 병환으로 장시간 병상에 누워 있는 중환자 혹은 중풍환자와 같이 스스로 일어나 앉거나 걸어다닐 수 없을 정도로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용이하게 세발할 수 있도록 고안한 기구이다.
도 1은 종래 세발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세발용기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100)의 수납부(110) 내부에 머리받침대(130)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받침대(130)가 형성된 함체(100)의 벽면(120)에는 상부에 목을 지지하는 지지부(140)가 하부로 내삽지게 형성되며, 상기 벽면(120)의 하부에는 수납부(110)에 담수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121)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배수구(121)에는 일측단부가 수거함(20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파이프(400)의 타측단부가연결된다.
또한, 상기 벽면(120)에는 패킹부재(300)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320)의 일측단부가 결합되는 고정부재(310)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세발용기는 실사용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체력이 많이 소진된 상태이기 때문에 머리를 감기기 위해 눕힐경우 목과 머리를 지지부와 머리받침대에 아무런 저항없이 기대게 된다.
그러나, 도 1의 종래 세발용기는 환자의 신체가 접촉을 우리는 부위에 어떠한 완충부재도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환자에게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 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0780046호가 공지된바 있다.
도 2는 다른 종래 세발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세발용기(10)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고, 일측에는 환자의 머리가 안착되는 머리 안착부(11)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바닥부(12); 상기 바닥부(12)와 연결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전방면(13) 중앙에는 환자의 머리가 들어가는 인입부(14)와 목안착부(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머리 안착부(11)의 상면은 환자의 머리 형상에 대응되게 중심이 함몰되어 있으며, 가로 방향으로는 물이 자연배수되는 배수홈(1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세발용기(10)는 그 일측면에 세발에 사용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고무호스(17)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세발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 세발용기는 사용에 많은 불편한 점들이 있었다.
즉, 종래 세발용기는 사용할 때마다 세발용기 내부에 물을 주입시키고 배수시키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만 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세발용기들은 위생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세발용기는 그 배수방법이 호스 또는 관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세발용기를 일정기간 사용시 호스 또는 배수홈 내벽에 물때가 적층되어 이로 인해 병원균이 번식하게 되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저항력이 없는 환자들이 병원균에 노 출되어 2차 감염의 우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세발용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은 물론이고 일부는 이미 시중에 이용되고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본원 고안인에 의해 제안되어 출원된 기술을 일 예(실용신안출원 제20-2008-0002847호)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또 다른 종래 세발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종래 세발용기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침대에 눕힌 상태에서 세발 동작중 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내측에 머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되어 외벽(111)으로 둘러싸인 수용공간(113)이 구비되고, 바닥면(115)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융기부(117)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131)의 일측에 바닥면(115)보다 높은 위치에서 수용공간(113)과 연통을 이루는 개구부(118)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118)의 인접한 일측에 단턱(119)이 형성된 물받이(110)와,
세발에 사용한 오수를 물받이(110)에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물받이(110)의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113)과 연통되게 연장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물받이(110)에서 배수된 오수가 새나가지 않도록 상기 외벽(111)과 연장된 차단벽(121)이 형성되어 상방으로 개구된 배수로(120)와,
상기 배수로(120)를 따라 흐르는 오수가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로(120)의 단부에 하향경사각을 갖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침대에 안착시 모서리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며, 양측에 상기 차단벽(121)과 연장된 측벽(131)이 마련된 상방으로 개구된 경사로(130)와,
환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융기부(117)의 상면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며, 상면에 반호형상의 돌출부(141)가 마련된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머리받침쿠션(140) 및
환자의 목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기 단턱(119)의 상면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며, 상부에 목선과 동일한 홈부(151)가 마련된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목받침쿠션(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원 고안인의 선행기술은 종래 세발용기의 문제점을 대부분 해소하기는 하였으나, 초기에 제시된 기술이라 할 수 있으므로 다듬어야 할 부분이 많았다.
즉, 환자에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구조를 변형함과 동시에 사용 후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고는 하나, 몇몇 환자를 통해 실험해본 결과 편의성 면에서 아쉬운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살펴보면, 세발을 하기 위해서는 세발용기 뿐만 아니라 샴푸 및 비누와 같은 세정액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종래 세발용기는 이들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침대에 그냥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바닥에 내려놓고 사용해야 했다.
그러나, 침대에 그냥 올려놓고 사용할 경우 세정액이 수용된 용기 표면에 묻어 있는 세정액 잔여물이나 이물질이 그대로 침대시트에 묻어 침대를 오염시켰으며, 바닥에 내려놓고 사용할 경우 환자를 세발 해주는 사용자가 세정액을 사용시 침대를 오르내리는 행동을 반복수행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세발용 용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몸이 불편한 환자가 침상 내에서 도움을 받아 세발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세발용 용기에 세발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세정액 및 세발도구를 수용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하여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의 행동반경 내에 이들을 모두 위치시킴으로써, 환자의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가 세발에 필요한 도구를 편리하게 사용하여 환자를 용이하게 세발 시킬 수 있도록 한 세발용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침대에 눕힌 상태에서 세발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측에 외벽으로 둘러싸여 환자의 머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바닥면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융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의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인접한 일측에 단턱이 형성된 물받이와, 세발에 사용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물받이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외벽과 연장된 차단벽이 형성된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오수가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로의 단부에 하향경사각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차단벽과 연장된 측벽이 마련된 경사로와, 환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융기부에 부착되며, 상면에 반호형상의 돌출부가 마련된 머리받침쿠션 및 환자의 목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기 단턱에 부착되며, 상부에 홈부가 마련된 목받침 쿠션으로 이루어진 세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인접한 일측에는 환자의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가 자리이동 없이 편리하게 세정액 및 세정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들을 수용보관하기 위한 수납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는 상기 한 쌍의 차단벽 중 일측 차단벽은 상기 배수로의 내측으로 만곡지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차단벽의 외측면에 양단이 차단벽과 맞닿아 차단벽과 일체가 되며 중간부가 상기 배수로의 외측방향으로 만곡지게 돌출된 연장벽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과 연장벽의 하부 사이 공간에는 세발 도중 유입된 물이 침대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판이 형성되어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의 행동반경 내에 세발에 필요한 세정액 및 세발도구를 위치시킴으로써, 환자의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가 세발에 필요한 도구를 편리하게 사용하여 환자를 용이하게 세발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발용 용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함에 앞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종래 세발용 용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세발용 용기는 물받이(110)와, 배수로(120)와, 경사로(130)와, 머리받침쿠션(140) 및 목받침쿠션(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받이(110)는 환자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되어 외벽(111)로 둘러싸여 있는 수용공간(113)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113)의 바닥면(115)에는 융기부(117)가 형성되고, 상기 외벽(111)의 일측에는 개구부(118)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118)의 인접한 일측에 단턱(119)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수로(120)는 상기 물받이(110)의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113)과 연통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로(120)는 그 양측에 차단벽(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로(130)는 상기 배수로(120)의 단부에 하향경사각을 갖도록 연장형성된다.이때, 상기 경사로(130)는 그 양측에 측벽(131)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머리받침쿠션(140)은 환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반호형상의 돌출부(141)가 마련되어 상기 융기부(117)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목받침쿠션(150)은 환자의 목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기 단턱(119)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목받침쿠션(150)은 그 상부에 목선과 동일한 홈부(151)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세발용 용기는 세발에 필요한 도구(세정액이 수용된 용기, 빗)를 수용할 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세발과정에서 사용되는 도구들을 침대에 그냥 두고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침대를 오염시키며, 침대 밖의 주변에 놓고 사용할 경우 세발 도중 사용자가 도구를 가져오기 위해 몸을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발용 용기를 나타내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세발용 용기는 상기 배수로(120)의 인접한 일측에 환자의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가 세발 과정에서 세정액 및 도구사용을 위한 자리이동 없이 편리하게 세정액 및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들을 수용보관하기 위한 수납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로(120)의 차단벽(121a,121b) 중 수납부(210)와 접하는 측의 차단벽(121b)은 상기 배수로(120)의 내측으로 만곡지게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부(210)는 상기 차단벽(121b)의 외측면에 양단이 차단벽(121b)과 맞닿아 차단벽(121b)과 일체가 되며 중간부가 상기 배수로(120)의 외측방향으로 만곡지게 돌출된 연장벽(220)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121b)과 연장벽(220)의 하부 사이 공간에는 세발 도중 유입된 물이 침대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판(230)이 형성되어 수납부(210)의 하부가 마감된다.
또한, 상기 차단벽(121)에는 수납부(210)로 유입된 오수가 수납부(210)에 고이지 않고 배수로(120) 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차단벽(121)과 수납부(210)를 연결하는 배수홀(2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홀(240)은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그 내면을 청결하게 청소,관리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발과정에서 수납부(210)로 유입된 물은 그 내부에 고이지 않고 상기 배수홀(240)을 통해 배수로(120)로 배수됨으로써, 상기 수납부(210) 내부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세발용 용기는 세발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세정액 및 빗과 같은 각종 도구를 세발이 이루어지는 행동반경 내에 모두 수용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부를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가 세발에 필요한 도구를 편리하게 사용하여 환자를 용이하게 세발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사용방법 및 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발용 용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세발용 용기(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세발용 용기를 침대(B)의 모서리부에 안착시킨 후, 상기 수납부(210)에 세정액이 수용된 용기 및 세발에 필요한 도구를 먼저 안착시켜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의 행동반경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환자의 머리를 탄성력을 갖는 머리받침쿠션(140)에 기대도록 하고, 환자의 목은 목받침쿠션(150)에 기대도록 한다.
이후, 환자의 머리에 물을 뿌리며 세발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세발 도중 세정액 또는 세발에 필요한 도구를 필요로 할 경우, 세 발을 도와주는 도우미는 수납부(210)에 수용보관된 세정액 및 도구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는 세발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세정액 및 도구를 그의 행동반경 내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세발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발 도중 발생한 오수는 상기 배수로(120)와 경사로(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세발 도중 오수가 수납부(210)로 유입되면, 유입된 오수는 배수홀(240)을 경유하여 배수로(120)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세발작업중 수납부(210)에 물이 고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수납부(210)가 유입된 오수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세발용 용기는 세발 도중 필요로 하는 세정액 및 도구를 세발용 용기에 형성된 수납부에 수용 보관하여 환자의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의 행동반경 내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가 편리하게 세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세발용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 세발용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 세발용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발용 용기를 나타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단면도 및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발용 용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물받이 113 : 수용공간
117 : 융기부 120 : 배수로
121 : 차단벽 130 : 경사로
131 : 측벽 140 : 머리받침쿠션
150 : 목받침쿠션 160 : 합류방지턱
B : 침대 210 : 수납부
220 : 연장벽 230 : 바닥판
240 : 배수홀

Claims (3)

  1.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침대에 눕힌 상태에서 세발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측에 외벽(111)로 둘러싸여 환자의 머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3)이 구비되고, 바닥면(115)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융기부(117)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111)의 일측에 개구부(118)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118)의 인접한 일측에 단턱(119)이 형성된 물받이(110)와, 세발에 사용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물받이(110)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며, 양측에 상기 외벽(111)에서 연장된 차단벽(121)이 형성된 배수로(120)와, 상기 배수로(120)를 따라 흐르는 오수가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로(120)의 단부에 하향경사각을 갖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차단벽(121)과 연장된 측벽(131)이 마련된 경사로(130)와, 환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기 융기부(117)에 부착되며, 상면에 반호형상의 돌출부(141)가 마련된 머리받침쿠션(140) 및 환자의 목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상기 단턱(119)에 부착되며, 상부에 홈부(151)가 마련된 목받침쿠션(150)으로 이루어진 세발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120)의 인접한 일측에는 환자의 세발을 도와주는 도우미가 자리이동 없이 편리하게 세정액 및 세정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들을 수용보관하는 수납부(21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210)는 상기 한 쌍의 차단벽(121a,121b) 중 일측 차단벽(121b)은 상기 배수로(120)의 내측으로 만곡지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차단벽(121b)의 외측면에 양단이 차단벽(121b)과 맞닿아 차단벽(121b)과 일체가 되며 중간부가 상기 배수로(120)의 외측방향으로 만곡지게 돌출된 연장벽(220)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121b)과 연장벽(220)의 하부 사이 공간에는 세발 도중 유입된 물이 침대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판(230)이 형성되어 마감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용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121b)에는 수납부(210)로 유입된 오수가 수납부(210)에 고이지 않고 배수로(120) 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차단벽(120b)과 수납부(210)를 연결하는 배수홀(24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용 용기.
KR2020080015676U 2008-11-26 2008-11-26 세발용 용기 KR2004523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676U KR200452399Y1 (ko) 2008-11-26 2008-11-26 세발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676U KR200452399Y1 (ko) 2008-11-26 2008-11-26 세발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670U KR20100005670U (ko) 2010-06-04
KR200452399Y1 true KR200452399Y1 (ko) 2011-02-25

Family

ID=4424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676U KR200452399Y1 (ko) 2008-11-26 2008-11-26 세발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39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9399U (ko) * 1975-11-18 1977-05-23
US4216551A (en) * 1979-02-05 1980-08-12 Pasquarello Edward J Shampoo apparatus
US5263206A (en) * 1992-06-01 1993-11-23 Rupp Nancy L Portable shampoo basin
KR20020062781A (ko) * 2000-05-08 2002-07-31 가부시키가이샤 오히로 세이사쿠쇼 세발용 스탠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9399U (ko) * 1975-11-18 1977-05-23
US4216551A (en) * 1979-02-05 1980-08-12 Pasquarello Edward J Shampoo apparatus
US5263206A (en) * 1992-06-01 1993-11-23 Rupp Nancy L Portable shampoo basin
KR20020062781A (ko) * 2000-05-08 2002-07-31 가부시키가이샤 오히로 세이사쿠쇼 세발용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670U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9938C (en) Hair washing unit
US20120227177A1 (en) Ergonomic Hair Washing Basin
CA2813312C (en) Pedicure basin with overflow protection
KR200452399Y1 (ko) 세발용 용기
US20140283293A1 (en) Portable hygiene station
US20180310777A1 (en) Baby bath system
KR20110008684U (ko) 위생용기를 구비하는 이동식좌변기
JP2008154997A (ja) 浴室ユニット
KR100780046B1 (ko) 의료용 세발기
KR20060134528A (ko) 욕실용 이동식 세면대
KR20090008990U (ko) 세발용 용기
JP3149181U (ja) 洗髪器
CA2203059C (en) Portable hair washing apparatus
JP2008138453A (ja) 棚付き水栓
US20040254511A1 (en) Ped. scrubber, exfoliator foot shower
JP5417635B2 (ja) シャンプーボール装置
KR200390319Y1 (ko) 좌욕기
KR100576055B1 (ko) 이미용실용 모발 세척대
KR20190046485A (ko) 유아용 샤워기
JP4187048B2 (ja) 浴室ユニット
JP3624217B1 (ja) 携帯用簡易洗髪台
JP2003054608A (ja) 清浄器具
JP2007061599A (ja) 携帯用洗浄器
JP2000288058A (ja) シャワーシステム
KR200395187Y1 (ko) 욕실용 이동식 세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