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351Y1 - 친환경 옷걸이 - Google Patents

친환경 옷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351Y1
KR200452351Y1 KR2020080015466U KR20080015466U KR200452351Y1 KR 200452351 Y1 KR200452351 Y1 KR 200452351Y1 KR 2020080015466 U KR2020080015466 U KR 2020080015466U KR 20080015466 U KR20080015466 U KR 20080015466U KR 200452351 Y1 KR200452351 Y1 KR 200452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ground
bent
portions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508U (ko
Inventor
박상용
Original Assignee
박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용 filed Critical 박상용
Priority to KR2020080015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35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5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3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6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e.g. paper, board, plastics, g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0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with devices for preserving the shape of the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판지로 제작됨으로써 환경을 보호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하며, 의류에 구김이나 자국이 남지 않게 하면서 견고성을 갖춘 친환경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친환경 옷걸이는, 일측에 접지(摺紙)부가 형성되면서 상측에 걸쇠 형상의 곡형부와 하측에 상기 곡형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목부를 이루되, 상기 곡형부의 내측에는 보강판이 내재되며, 상기 목부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된 걸이부와, 상기 목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좌, 우로 연장 형성되는 어깨부 및 상기 어깨부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부, 어깨부 및 연결부는 골판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옷걸이, 걸이부, 어깨부, 보강부, 구김방지

Description

친환경 옷걸이 {Environment-friendly clothes rack}
본 고안은 옷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판지로 제작됨으로써 환경을 보호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하며, 의류에 구김이나 자국이 남지 않게 하면서 견고성을 갖춘 친환경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이 옷걸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와, 옷을 걸었을 때 옷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경사철선부(13)로 이루어지며, 몸체는 철사의 외피를 감싸며 꼬인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철사형 간이 옷걸이는 생산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철사의 제작과정이나 철사가 자연분해 되지 않는 점에서 발생되는 환경 파괴 문제, 그리고 재활용시 외피를 감싸는 비닐재질을 벗긴 후 고철로 수거해야 하는 처리과정에서의 문제가 있다.
또한, 철선으로 제작되는 점에서 그 크기의 제한성(크게 할 경우 생산비 증가 및 어깨선 하강)으로 인해 의류의 어깨영역이 구겨지거나 자국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흔히 경사철선부(13)에 어깨받이(20)를 장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어깨받이(20)가 철사형 간이 옷걸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사철선부(13)는 받침날개(21)의 저면에 단순 접촉하기 때문에 철사형 간이 옷걸이의 걸고리(12)가 고리공(22)으로부터 이탈하거나 철사형 간이 옷걸이의 걸고리(12)를 중심으로 한 쌍의 받침날개(21)가 회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철사형 간이 옷걸이에 대한 초기 장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깨받이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 그리고 어깨받이의 빈번한 분실, 파손에 의해 계속해서 추가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철사형 옷걸이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출원번호 제10-1996-014609(무변형 합판지 옷걸이) 등의 종이 소재 옷걸이가 개시되고 있지만, 이 출원발명을 포함한 종래 대부분의 종이 소재 옷걸이는 폐지의 재활용 측면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옷걸이의 내구성이나 강도 측면, 걸려진 옷에 자국이 남는 문제 등에서 소비자들로부터 많은 불만이 제기되는 실정이다.
실제 본 출원인이 보강판이 포함되지 않거나 별도의 보강구조, 자국방지 구조를 갖추지 않은 종래 종이 소재 옷걸이를 실험해 본 결과, 쉽게 찢어지거나 튀틀리는 등의, 그리고 옷에 구김자국이 분명하게 남는 등의 많은 결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종래 종이 소재 옷걸이를 개선코자 실용신안등록출원(출원 번호 제20-2008-5551호)된 고안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이 출원고안은 걸이부와 베이스판에 보강판을 더 포함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상당부분 해소하고 있다.
다만, 이 출원고안에 의해 소비자가 충분히 만족하는 옷걸이가 제공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소 아쉬운 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고안은 종래 옷걸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이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환경보호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옷걸이의 생산원가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종이 소재로 제작하되 옷걸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도 및 내구성이 향상된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옷을 장시간 걸어두더라도 옷의 접힘에 의한 주름이나 옷의 하중에 의해 옷에 남게 되는 옷걸이의 자국 등이 생기지 않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친환경 옷걸이는, 일측에 접지(摺紙)부가 형성되면서 상측에 걸쇠 형상의 곡형부와 하측에 상기 곡형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목부를 이루되, 상기 곡형부의 내측에는 보강판이 내재되며, 상기 목부의 일측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된 걸이부와, 상기 목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좌, 우로 연장 형성되는 어깨부와, 상기 어깨부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부, 어깨부 및 연결부는 골판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어깨부는 각 일단부가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목부의 하단부에서 좌, 우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좌측 어깨부 및 우측 어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측 어깨부 및 우측 어깨부는 각 하측에 접지부가 형성되고, 각 상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깨부의 중앙부위가 상기 목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 우측 어깨부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 또는 둘 모두의 일단부에서 하나를 이루거나 한 쌍을 이루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노출되고 있는 상기 좌, 우측 어깨부의 절곡부 틈으로 끼워져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하측에 접지부가 형성되며, 상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 우측 어깨부의 각 끝단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수용되어 부착되도록 연장되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깨부 및 연결부의 다른 예로서, 상기 어깨부가 하측에 접지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목부의 하단부에서 좌, 우로 수평하게 구비되며, 상기 어깨부의 중앙부위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목부의 하단부가 삽입 부착되는 예가 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어깨부의 양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각 일단부가 결합하되 일측에 접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내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 가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연결부와, 상기 수직 연결부의 각 타단부에 양 단부가 결합하되, 하측에 접지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내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된 수평 연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부의 양 끝단에는 수용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직 연결부의 각 일단부가 수용되면서 부착되고, 상기 수평 연결부의 양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노출되고 있는 상기 수직 연결부의 절곡부 틈으로 끼워져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친환경 옷걸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환경 친화적인 종이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철사형 옷걸이와 비교하여 환경보호에 크게 기여하는 점, 그리고 폐지를 재활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폐기물 감소에 따른 환경보호의 이점을 갖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생산원가가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걸이부, 어깨부 및 연결부 각각은 별개로 절개된 골판지의 다중 부착 구조가 아니라 접지되어 합지(合紙)되는 일체형을 이루는 점에서 강도 및 내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친환경 옷걸이가 제공될 수 있다.
셋째, 걸이부, 어깨부 및 연결부 각각에는 접지부와 절곡부가 형성됨으로써 강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소정의 부피를 형성하게 되므로 걸려지는 옷에 걸림자국이나 접힘 자국이 남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 동일한 형상적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있으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옷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전개도로서 (a)는 걸이부의, (b)는 어깨부의, 그리고 (c)는 연결부의 전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걸이부(100)와 어깨부(200)와 연결부(300)가 포함된 친환경 옷걸이(1)가 제시된다.
이 걸이부(100), 어깨부(200) 및 연결부(300)는 골판지로 제작되는데, 골판지는 물결 모양으로 골을 만든 골심지(중심지라고도 한다)에 라이너지(紙)라고 하는 면이 반듯하고 빳빳한 판지를 한 면 또는 양 면에 접착제로 붙여서 완충도와 내구력을 높인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골판지는 주로 물품을 담는 상자를 만드는 데 쓰이며 물품의 범위가 식품·전기제품·기계부품·잡화·청과물·육어류 등 매우 광범위하여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골판지가 상자의 용도를 다한 후에는 주로 폐지로 수거되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폐지용 골판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생산비용 절감 및 폐기물 감소에 따른 환경보호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친환경 옷걸이(1)에 젖은 빨래를 걸어 말리는 경우에는 젖은 빨래가 마르는 과정에서 흡습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가 문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문제는 비교적 수분에 강한 외부용 골판지(코팅된 골판지)를 사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걸이부(100)는 일측이 접지(摺紙)되어 이루어지되, 이 접지에 의해 형성되는 걸이부(100) 일측의 접지부(10)는 걸이부(100)의 소재가 되는 골판지가 단순히 한번만 접히면서, 즉 하나의 접지선(摺紙線)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접지선(L)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걸이부(100)의 일측이 이처럼 두 개의 접지선(L)을 형성함으로써 접지부(10)는 소정의 면적을 갖게 되며, 이 면적에 의해 단순히 한번만 접혀 형성된 경우보다 걸이부(100)의 전, 후 방향 또는 좌, 우 방향으로의 비틀림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접지 과정에서 한번만 접혀지는 경우보다 골판지가 벌어지려는 힘이 줄어들어 접지가 수월하며 골판지가 합지(合紙)된 상태에서도 마찬가지로 벌어지려는 힘이 줄게 되어 견고한 합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걸이부(100)는 일측에 접지부(10)가 형성되면서 상측에 곡형부(110)와 하측에 목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곡형부(110)는 걸쇠 형상으로 되어 걸이봉(도시 생략)이나 벽걸이(도시 생략) 등에 걸려질 수 있다. 곡형부(110)가 걸이봉 등에 걸려지게 되면, 이 곡형부(110)에 친환경 옷걸이(1)에 걸려진 옷의 하중이 집중되어 곡형부(110)의 휨 변형이나 찢어짐이 발생되기 쉽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자 본 실시예에서는 곡형부(110)가 합지(合紙)되어 이루어질 때 내측에 보강판(111)이 내재되어 합지된다.
보강판(111)은 소정 두께의 절개된 골판지 한 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장의 골판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두 장의 보강판(111)은 곡형부(110)와 형합되어 양 내측면에 각각 부착되고 또한 두 장의 보강판(111)이 서로 부착됨으로써 합지된 곡형부(11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접지부(10)가 소정의 폭을 갖는 관계로 보강판(111)을 곡형부(110) 내측에 내재하여 부착하는 것이 수월하다.
목부(120)는 곡형부(110)의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목부(120)의 하단부는 후술할 어깨부(200)와 결합된다.
목부(120)의 일측, 구체적으로 접지부(10)가 형성된 측의 반대 측에는 한 쌍의 절곡부(20)가 형성된다.
절곡부(20) 또한 접지부(10)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접지선(L)이 형성되면서 절곡된다. 그리고 절곡부(20)는 목부(120)의 일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내측으로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20)로 이루어져, 마주보는 절곡부(20)의 각 일측면이 서로 부착됨으로써 합지된 목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접지부(10)와 절곡부(20)의 형성에 의해 걸이부(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게 되며, 이로써 걸이부(100)의 강도 및 내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후술할 어깨부(200) 및 연결부(300)에서도 전술한 접지부(10) 및 절곡부(20)와 다르지 않은 기능을 하도록 동일한 접지 방식에 의한 접지부 및 절곡부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절곡부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이 상호 부착되는 것도 동일하다. 따라서 후술할 어깨부(200) 및 연결부(3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접지부와 절곡부의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되, 필요한 설명에 대해서는, 그리고 도면상으로는 동일한 참조 부호 10 및 20을 각각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목부(120)에서만 해당하는 것으로, 목부(120)에 형성된 절곡부(20)는 목부(120) 내측면에 면접하는 일측의 상단부에 상향 경사지는 돌출부(21)가 형성되면서 돌출부(21)의 끝단이 보강판(111)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걸이부(100)에 작용하는 전, 후 방향으로의 비틀림에 대하여 더 견고하게 대처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걸이부(100)에서만 해당하는 것으로, 걸이부(100)에 형성되는 접지부(10)는 접지선(L)의 간격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벌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걸이부(100)의 상측보다 하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더 두꺼워지는 형상을 갖게 되어 걸이부(100)에 작용하는 비틀림이나 인장에 대하여 보다 견고하게 대처 할 수 있게 된다.
목부(120)의 하단부에는 어깨부(200)가 결합되어 좌, 우로 연장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깨부(200)의 일 예로서, 좌측 어깨부(210)와 우측 어깨부(220)로 이루어진 어깨부(200)가 제시된다.
좌측 어깨부(210)와 우측 어깨부(220)는 각 일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그 결합부위, 즉 어깨부(200)의 중앙부위가 목부(120)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용홈(121)에 수용되면서 부착되며 이때 좌측 어깨부(210) 및 우측 어깨부(220)가 목부(120)의 하단부에서 좌, 우로 하향 경사지게 결합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친환경 옷걸이(1)가 상의(上衣)의 거치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좌측 어깨부(210) 및 우측 어깨부(220)의 각 하측에는 접지부(10)가 형성되며, 각 상측에는 한 쌍의 절곡부(20)가 형성된다. 이처럼 접지부(10) 및 절곡부(20)가 형성됨으로써 좌, 우측 어깨부(210, 220)는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게 되고 그 결과 어깨부(200)에 상의가 거치되었을 때 의류에 구김자국이 생기지 않게 되며, 어깨부(200)에 작용하는 비틀림에 대해서도 견고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좌측 어깨부(210)와 우측 어깨부(220)의 각 일단부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의 일 예로서, 좌, 우측 어깨부(210, 220)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 또는 둘 모두의 일단부에서 하나를 이루거나 한 쌍을 이루는 끼움부(201)가 돌출 형성되고, 이 끼움부(201)는 끼움부(201)에 대향되는 위치, 즉 끼움부(201)가 바라보는 위치에 놓여지게 되는 좌, 우측 어깨부(210, 220)의 절곡부(20) 틈으로 끼워져 부착되 는 구조가 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좌, 우측 어깨부(210, 220)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 또는 둘 모두의 일단부에서 끼움부(201)가 하나를 이루거나 한 쌍을 이룬다는 의미는 좌, 우측 어깨부(210, 220) 모두의 일단부에서 형성되는 끼움부(201) 수의 합이 두 개를 넘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다.
즉, 좌, 우측 어깨부(210, 220)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서 하나 또는 한 쌍의 끼움부(201)가 형성되어 나머지 하나의 일단부에서 노출되는 절곡부(20) 틈으로 끼워져 부착되거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서 하나의 끼움부(201)가 형성되고, 이 끼움부(201)와 교차되게 나머지 하나의 일단부에서 하나의 끼움부(201)가 형성되어 각 끼움부(201)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노출되는 절곡부(20) 틈으로 끼워져 부착되는 것이다.
전술한 어깨부(200)의 양 끝단에는 연결부(300)가 수평하게 배치되면서 그 양 단부가 결합된다.
연결부(300)는 어깨부(200)의 양 끝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하의(下衣)를 거치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연결부(300)가 견고한 강도를 갖도록, 그리고 하의의 거치시 구김자국이 남지 않도록 전술한 접지부(10) 및 절곡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00)의 하측에 접지부(10)가, 그리고 상측에 한 쌍의 절곡부(20)가 형성된다.
한편, 연결부(300)와 어깨부(200)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의 일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0)의 양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301)가 각각 형성되고, 좌, 우측 어깨부(210, 220)의 양 끝단에는 수용부(211, 221)가 각각 연장형성되어 결합부(301)가 수용부(211, 221)의 내측에 수용되면서 부착되는 구조가 제시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친환경 옷걸이(1)가 도시되고 있으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옷걸이(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옷걸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옷걸이의 전개도로서 (a)는 걸이부의, (b)는 어깨부의, (c)는 수직 연결부의, 그리고 (d)는 수평 연결부의 전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친환경 옷걸이(1)는 걸이부(100)와, 어깨부(200)와,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이부(10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걸이부(10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어깨부(200)는 목부(120)의 하단부에 결합하면서 좌, 우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하측에 접지부(10)와 상측에 한 쌍의 절곡부(20)가 형성된다.
목부(120)의 하단부와 어깨부(200)가 서로 결합하는 구조의 일 예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부(200)의 상측 중앙부위에 삽입홈(202)이 형성되 고, 목부(120)의 하단부가 이 삽입홈(202)에 삽입되어 부착됨으로써 결합되는 구조가 제시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수직 연결부(310)와 수평 연결부(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연결부(3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 일단부가 어깨부(200)의 좌, 우측 양 끝단에서 결합하되 수직방향으로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이 수직 연결부(310)의 각 타단부에 수평 연결부(320)의 양 단부가 결합된다.
어깨부(200)와 수평 연결부(320)가 이처럼 수평하게 배치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친환경 옷걸이(1)는 주로 하의(下衣)의 거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수직 연결부(310) 및 수평 연결부(320) 모두 견고한 강도를 갖도록 접지부(10)와 절곡부(2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직 연결부(310)의 경우 외측이 되는 일측에 접지부(10)가, 그리고 내측이 되는 타측에 한 쌍의 절곡부(20)가 형성되며, 수평 연결부(320)의 경우 하측에 접지부(10)가, 그리고 상측에 한 쌍의 절곡부(20)가 형성된다.
한편, 어깨부(200)에 수직 연결부(310)가 결합되는 구조의 일 예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부(200)의 양 끝단에 수용부(203)가 각각 형성되어 수직 연결부(310)의 각 일단부가 이 수용부(203)에 수용되면서 부착되는 구조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연결부(310)와 수평 연결부(320)의 결합 구조의 일 예로는 수 평 연결부(320)의 양 끝단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321)가 하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면서 각각 형성되어 결합부(321)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노출되어 있는 수직 연결부(310) 타단부의 절곡부(20) 틈으로 끼워져 부착되는 구조의 예가 제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철사형 간이 옷걸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옷걸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전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옷걸이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옷걸이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옷걸이의 전개도이다.
*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분 부호설명 *
1; 친환경 옷걸이 10; 접지부
20; 절곡부 100; 걸이부
110; 곡형부 111; 보강판
120; 목부 121; 수용홈
200; 어깨부 201; 끼움부
202; 삽입홈 203; 수용부
210; 좌측 어깨부 211; 수용부
220; 우측 어깨부 221; 수용부
300; 연결부 301; 결합부
310; 수직 연결부 320; 수평 연결부
321; 결합부

Claims (8)

  1. 옆쪽 부위에 접지(摺紙)부가 형성되면서 상측에 걸쇠 형상의 곡형부와 하측에 상기 곡형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목부를 이루는 걸이부;
    상기 목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좌, 우로 연장 형성되는 어깨부; 및
    상기 어깨부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부, 어깨부 및 연결부는 골판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지부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절곡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곡형부의 내측에는 보강판이 내재되며,
    상기 목부의 일측에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상기 목부의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마주보는 각 일측면이 서로 부착되는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깨부는 각 일단부가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목부의 하단부에서 좌, 우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좌측 어깨부 및 우측 어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측 어깨부 및 우측 어깨부는 각 하측에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접지부가 형성되고, 각 상측에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상기 어깨부의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마주보는 각 일측면이 서로 부착되는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깨부의 중앙부위가 상기 목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어 부착되며,
    상기 연결부는 하측에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접지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상기 연결부의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마주보는 각 일측면이 서로 부착되는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옷걸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어깨부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 또는 둘 모두의 일단부에서 하나를 이루거나 한 쌍을 이루는 끼움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의 대향되는 위치에서 노출되고 있는 상기 좌, 우측 어깨부의 절곡부 틈으로 끼워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옷걸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 우측 어깨부의 각 끝단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수용되어 부착되도록 연장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옷걸이.
  4. 옆쪽 부위에 접지(摺紙)부가 형성되면서 상측에 걸쇠 형상의 곡형부와 하측에 상기 곡형부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목부를 이루는 걸이부;
    상기 목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좌, 우로 연장 형성되는 어깨부; 및
    상기 어깨부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부, 어깨부 및 연결부는 골판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지부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절곡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곡형부의 내측에는 보강판이 내재되며,
    상기 목부의 일측에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상기 목부의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마주보는 각 일측면이 서로 부착되는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깨부는 상기 목부의 하단부에서 좌, 우로 수평하게 구비되면서 하측에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접지부가 형성되며, 상측에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상기 어깨부의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마주보는 각 일측면이 서로 부착되는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깨부의 중앙부위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목부의 하단부가 삽입 부착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어깨부의 양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각 일단부가 결합하되, 일측에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절곡되면서 이루어지는 접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마주보는 각 일측면이 서로 부착되는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연결부와,
    상기 수직 연결부의 각 타단부에 양단부가 결합하되, 하측에 두 개의 접지선 형성 부위가 절곡되면서 이루어지는 접지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마주보는 각 일측면이 서로 부착되는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수평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옷걸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의 양 끝단에 수용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직 연결부의 각 일단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면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옷걸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결부의 양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노출되고 있는 상기 수직 연결부의 절곡부 틈으로 끼워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옷걸이.
  7. 삭제
  8. 삭제
KR2020080015466U 2008-11-20 2008-11-20 친환경 옷걸이 KR200452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466U KR200452351Y1 (ko) 2008-11-20 2008-11-20 친환경 옷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466U KR200452351Y1 (ko) 2008-11-20 2008-11-20 친환경 옷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08U KR20100005508U (ko) 2010-05-28
KR200452351Y1 true KR200452351Y1 (ko) 2011-02-25

Family

ID=44244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466U KR200452351Y1 (ko) 2008-11-20 2008-11-20 친환경 옷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3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3421A1 (zh) * 2011-07-25 2013-01-31 Zhong Runhua 组装式纸板衣架
IT202100008906A1 (it) * 2021-04-09 2022-10-09 Mainetti Spa Elemento tubolare di cellulosa o di materiale cartaceo in genere per la realizzazione di appendini,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ed appendini che utilizzano detto elemento tubola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378U (ja) * 1991-11-06 1993-05-28 ココモ株式会社 ハンガー
JPH07194474A (ja) * 1994-01-10 1995-08-01 Ryutaro Yoshida ハンガー
JPH08243004A (ja) * 1995-03-13 1996-09-24 Utsui:Kk 簡易ハンガー、及び簡易ハンガーの服掛け部
JP2000000152A (ja) * 1998-04-15 2000-01-07 Brand Service:Kk 紙製ハン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378U (ja) * 1991-11-06 1993-05-28 ココモ株式会社 ハンガー
JPH07194474A (ja) * 1994-01-10 1995-08-01 Ryutaro Yoshida ハンガー
JPH08243004A (ja) * 1995-03-13 1996-09-24 Utsui:Kk 簡易ハンガー、及び簡易ハンガーの服掛け部
JP2000000152A (ja) * 1998-04-15 2000-01-07 Brand Service:Kk 紙製ハン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3421A1 (zh) * 2011-07-25 2013-01-31 Zhong Runhua 组装式纸板衣架
IT202100008906A1 (it) * 2021-04-09 2022-10-09 Mainetti Spa Elemento tubolare di cellulosa o di materiale cartaceo in genere per la realizzazione di appendini,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ed appendini che utilizzano detto elemento tubolare
WO2022214405A1 (en) 2021-04-09 2022-10-13 Mainetti S.P.A. Tubular element of cellulose or paper material for making hangers, process for making the same and hangers using said tubular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08U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9015C (en) Corner post for use with an article having a contoured vertical edge
US7748581B2 (en) Three-dimensional collar shape retaining hanger
US7311230B2 (en) Paper-made cloth hanger
CN205770612U (zh) 一种环保防盗纸箱
KR200452351Y1 (ko) 친환경 옷걸이
CN108190179A (zh) 一种具有防水效果的高强度纸箱
KR101126673B1 (ko) 행거형 포장박스
CN204916432U (zh) 一种多功能包装盒
CN109956159A (zh) 一种用于吊装的包装箱
KR200456014Y1 (ko) 접이식 종이 옷걸이
US9856073B2 (en) Hanger support
KR200450461Y1 (ko) 재활용 옷걸이
CN204297373U (zh) 带有服装支架的包装盒
KR20090011092U (ko) 재활용 옷걸이
CN201022547Y (zh) 悬挂货品的展示型板
CN214777945U (zh) 一种便携式耳套包装盒
CN215399888U (zh) 一种西装包装盒
CN218490128U (zh) 带有自缓冲结构的包装盒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KR200490298Y1 (ko) 지관형 옷걸이
CN213139687U (zh) 一种高强度抗压薯条纸箱
KR200479067Y1 (ko) 포장용 상자
CN213800622U (zh) 一种可重复利用的环保纸箱
CN203970005U (zh) 一种衣架
CN217598028U (zh) 一种具备防水防虫效果的周转箱中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