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281Y1 -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281Y1
KR200452281Y1 KR2020100012070U KR20100012070U KR200452281Y1 KR 200452281 Y1 KR200452281 Y1 KR 200452281Y1 KR 2020100012070 U KR2020100012070 U KR 2020100012070U KR 20100012070 U KR20100012070 U KR 20100012070U KR 200452281 Y1 KR200452281 Y1 KR 200452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bicycle
vertical member
horizontal plate
rotat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우
Original Assignee
최인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우 filed Critical 최인우
Priority to KR2020100012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2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62K27/12Coupling parts for attaching cars or the like to cycle;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2Bolt or shackle-type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02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전거(1)의 뒷좌석(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판(110); 상기 수평판(110)의 상부에서 상기 수평판(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부재(120); 상기 수직부재(120)의 측면에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수직부재(12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재(130); 상기 연장부재(1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트레일러(5)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40); 상기 수평판(110)과 상기 수직부재(1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수평회동축(200); 상기 수직부재(120)와 상기 연장부재(13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좌우회동축(300); 및 상기 연장부재(130)와 상기 연결프레임(14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회동축(400);을 포함하는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의하면, 자전거에 견고하게 탈부착되면서도 트레일러의 자유로운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일러 탑승자 및 수화물을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A trailer connector for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뒷부분에 장착되는 트레일러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자전거에 대해 트레일러를 원활히 결합할 수 있는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이륜차로서, 앞바퀴와 뒷바퀴, 이들 바퀴들을 연결 지지하는 프레임과, 방향을 조절하는 핸들과, 사람이 앉는 안장과, 바퀴를 구동하는 페달 등으로 구성된다.
자전거는 사람이 두 발로 페달을 밟아 생긴 힘으로 바퀴가 회전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근거리 이송수단이나 운동기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자전거는 운전자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나 짐 등을 함께 실어 나를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안장 뒤에 뒷좌석을 구비한다.
그러나, 뒷좌석에는 수송되는 사람, 짐 등을 매우 한정적으로 실을 수 있으므로 많은 인원의 사람이나 짐을 수송하기 위해서 자전거에는 별도로 트레일러(trailer)가 장착되기도 한다.
그런데, 트레일러는 자전거의 뒷바퀴의 프레임에 줄, 끈 등을 이용하여 연결되거나 트레일러에서 연장되는 일정 길이의 연결봉을 자전거에 직접 부착하는 형태로 자전거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므로, 트레일러가 연결된 자전거는 다량의 짐 등을 실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자전거와 트레일러가 끈, 줄을 이용한 약한 결합이기 때문에 트레일러 하중과 방향전환에 의한 하중집중에 의해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자전거에 연결된 트레일러가 장애물이나 바닥의 둔턱, 구덩이, 경사면 등을 만났을 경우 트레일러가 급회전, 충격, 비틀림 등을 받게 되어 트레일러에 탑승된 사람이나 짐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전거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일러의 자유로운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일러 탑승자 및 수화물을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자전거(1)의 뒷좌석(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판(110); 상기 수평판(110)의 상부에서 상기 수평판(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부재(120); 상기 수직부재(120)의 측면에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수직부재(12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재(130); 상기 연장부재(1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트레일러(5)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40); 상기 수평판(110)과 상기 수직부재(1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수평회동축(200); 상기 수직부재(120)와 상기 연장부재(13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좌우회동축(300); 및 상기 연장부재(130)와 상기 연결프레임(14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회동축(400);을 포함하는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평회동축(200)은 상기 수평판(110)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수직부재(120)는 상기 수평회동축(200)에 저면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좌우회동축(300)은 상기 수직부재(120)의 측면부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연장부재(130)는 상기 좌우회동축(300)에 측면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40)은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트레일러(5)가 장착되도록 만곡된 결합부(150)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회동축(400)은 상기 연장부재(130)와 상기 연결프레임(140)의 타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의하면, 자전거에 견고하게 탈부착되면서도 트레일러의 자유로운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일러 탑승자 및 수화물을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와 트레일러를 연결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연결장치가 자전거 뒷좌석에 착탈 결합되는 상태와 연결프레임의 회동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연결장치가 뒷좌석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부재의 회동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연결장치가 뒷좌석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프레임의 회동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형태의 결합부를 갖는 연결프레임과 트레일러와의 결합을 보여주는 부분 분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자전거와 트레일러를 연결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결장치가 자전거 뒷좌석에 착탈 결합되는 상태와 연결프레임의 회동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연결장치가 뒷좌석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부재의 회동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연결장치가 뒷좌석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프레임의 회동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다른 형태의 결합부를 갖는 연결프레임과 트레일러와의 결합을 보여주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100)는 자전거(1)와 트레일러(5)를 상호 연결하도록 자전거(1)의 뒷좌석(1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에는 짐이나 사람을 실을 수 있도록 적정한 크기를 갖는 뒷좌석(10)이 마련된다. 자전거(1)의 뒷좌석(10)은 통상적으로 금속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자전거(1)의 뒷바퀴의 상부와 안장 후미에 장착된다.
그리고, 연결대상의 트레일러(5)는 사람이나 짐을 실은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달려 있으며, 짐수레용, 유모차형, 캠핑카형 등 다양한 크기,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100)는 상술한 트레일러(5)가 자전거(1)의 뒷좌석(10) 부분을 통해 설치되도록 한다.
이처럼 연결장치(100)가 자전거(1)의 뒷좌석(10) 부분에 장착되면, 보다 견고하게 연결장치(100)를 자전거(1)에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높이로 위치한 뒷좌석(10)에 연결장치(100)가 장착됨으로써 트레일러(5)가 자유자재로 운동할 수 있도록 설계시 연결장치(100)에 자유도를 부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보다 상세하게, 연결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좌석(10)에 탈부착되는 수평판(110)과, 수평판(1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직부재(120)와, 수직부재(1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연장부재(130)와, 연장부재(1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트레일러(5)가 장착되는 연결프레임(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평판(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좌석(10)의 폭과 대응될 수 있는 적정한 크기의 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면서 뒷좌석(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수평판(110)은 볼트(111)를 통해 뒷좌석(10)에 착탈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평판(110)에는 볼트(111)가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판(110)과 뒷좌석(10)을 관통한 볼트(111)에는 너트(112)가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판(110)의 네 모서리 영역에는 4개의 볼트(111)가 삽입되며, 볼트(111)가 삽입된 수평판(110)과 뒷좌석(10)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뒷좌석(10)의 저면부에는 별도의 고정판(113)이 더 부착된다.
고정판(1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판(110)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볼트(111)에 삽입된 너트(112)가 밀착될 수 있는 다소 작은 크기로 4개가 마련되어 수평판(110)의 모서리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수평판(110)은 볼트(111), 너트(112) 이외에 뒷좌석(1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클램프 형상의 체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거나 철사, 끈 등 다른 결속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후크나 핀 등의 부재를 부가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물론, 수평판(110)은 필요에 따라 뒷좌석(10)에 용접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연결부재가 자전거(1)에 더욱 견고하게 장착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평판(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부재(120)는 상기 수평판(110)에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수직부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삼각형상의 정면부, 후면부(미도시)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저면부, 사각형상의 측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부재(120)는 수평판(110) 및 연장부재(130)와 상호 연결될 수 있다면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각형상의 직육면체, 파이프 형상의 원기둥체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수직부재(120)와 전술한 수평판(110)의 사이에는 수평판(110)에 대해 수직부재(120)가 회동하도록 하는 수평회동축(200)이 마련된다.
수평회동축(200)은 수평판(110)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핀(pin)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수직부재(120)는 이러한 수평회동축(200)에 저면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수직부재(120)는 수평판(110)에 대해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20)는 가상선으로 표시된 화살표처럼 수평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게 되므로 수직부재(120)에 연결된 연장부재(130) 및 연결프레임(140)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직부재(120)의 회동 동작은 자전거(1)가 움직일 경우에 연결장치(100)가 장착된 트레일러(5)가 보다 유연하게 이동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자유도를 부여한다(제1 자유도).
한편, 수직부재(120)에는 수직부재(120)의 측면부에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면서 수직부재(120)의 측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부재(13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연장부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120)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원형상의 측면판과, 측면판의 양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한 쌍의 바(b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연장부재(130) 역시 상술한 수직부재(120)처럼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각형상의 직육면체, 파이프 형상의 원기둥체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재(130)와 전술한 수직부재(120)의 사이에는 연장부재(130)를 수직부재(1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하는 좌우회동축(300)이 마련된다.
좌우회동축(300)은 수직부재(120)의 측면부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연장부재(130)는 상기 좌우회동축(300)에는 측면부에 위치한 측면판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130)는 가상선으로 표시된 화살표처럼 좌우 방향을 따라 회동하게 되므로 연장부재(130)에 연결된 연결프레임(140)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장부재(130)의 회동 동작은 자전거(1)가 움직일 경우에 연결장치(100)가 장착된 트레일러(5)가 보다 유연하게 이동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자유도를 부여한다(제2 자유도). 좌우방향은 자전거(1)의 진행방향에서 보았을 때 연결프레임(140)이 포물선을 따라 유동하게 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처럼 2개의 자유도를 갖으며 회동할 수 있는 연장부재(130)에는 트레일러(5)가 장착되도록 하는 연결프레임(140)이 연결된다.
연결프레임(140)은 연장부재(13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동가능할 수 있도록 연장부재(130)와 연결프레임(140)은 수직회동축(400)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수직회동축(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재(130)와 상기 연결프레임(140)을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연결프레임(140)이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을 따라 회동하도록 자유도를 제공한다(제3 자유도).
따라서, 연결프레임(140)은 앞선 수평판(110), 수직부재(120) 및 연장부재(130)와의 상호 결합관계를 통해 3개의 자유도를 갖게 된다.
이러한 연결프레임(140)은 일단이 연장부재(130)에 장착되고 타단이 트레일러(5)에 결합되도록 하면서, 트레일러(5)가 3개의 자유도를 가지면서 자전거(1)에 견인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프레임(140)은 연결대상의 트레일러(5)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140)은 연장부재(130)와 결합되는 일단이 만곡되도록 하나로 이루어지며 타단은 양측으로 갈라진 한 쌍의 결합부(150)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한 쌍의 결합부(1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5)의 하부 영역이 거치되거나 용접될 수 있도록 트레일러(5)를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합부(150)는 연결프레임(140)보다 굵기가 작은 긴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트레일러(5)의 전면부에 마련된 삽입관(15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관(153)은 결합부(150)가 삽입될 수 있는 지름을 갖도록 관통된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삽입관(153)에 결합부(150)가 삽입되면 결합부(150)의 상부 영역은 지름이 더 큰 연결프레임(140)에 의해 단턱이 형성되므로 삽입관(153)의 상부는 연결프레임(140)과 결합부(150)가 이루는 단턱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결합부(150)의 하단부 영역에는 나사산(151)이 형성되는데, 삽입관(153)에 삽입된 후에는 하단부가 노출된다.
따라서, 삽입관(153)의 하부에 노출된 결합부(150)의 나사산(153)에는 스크류캡(155)이 나사결합되어 연결프레임(140)은 트레일러(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캡(155)은 단부가 절곡된 형상을 가지면서, 체결 후에는 트레일러(5)의 하부에 절곡된 부위가 오도록 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5)의 본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100)는 자전거(1)의 뒷좌석(10)에 수평판(11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100)는 수평판(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수직부재(120)가 회동가능(제1 자유도)하고, 수직부재(120)에 대해 연장부재(130)가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제2 자유도)하고, 연장부재(130)에 대해 연결프레임(140)이 수직방향으로 회동가능(제3 자유도)한 3개의 자유도를 갖는다.
따라서, 자전거(1)에 연결된 트레일러(5)가 장애물이나 바닥의 둔턱, 구덩이, 경사면 등을 만났을 경우, 연결장치(100)는 3개의 방향으로 트레일러(5)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트레일러(5)에 탑승된 사람이나 짐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자전거(1)를 진행방향에 대해 핸들을 좌우로 회전시키게 되면 수직부재(120)가 수평판(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트레일러(5)는 급회전하지 않고 부드럽게 유동하면서 자전거(1)에 견인될 수 있다.
그리고, 자전거(1)가 좌우가 비탈진 경사면을 이동할 경우에는 연장부재(130)가 수직부재(12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트레일러(5)는 경사면에서 균형을 유지하면서 부드럽게 견인될 수 있다.
또한, 자전거(1)가 장애물이나 둔턱, 구덩이 등을 만났을 경우에는 연결프레임(140)이 연장부재(13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트레일러(5)는 요동치거나 전복되지 않도록 완충된 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에 의하면,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트레일러의 자유로운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일러 탑승자 및 수화물을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자전거 5 : 트레일러
10 : 뒷좌석 100 : 연결장치
110 : 수평판 111 : 볼트
113 : 고정판 120 : 수직부재
130 : 연장부재 140 : 연결프레임
150 : 결합부 200 : 수평회동축
300 : 좌우회동축 400 : 수직회동축

Claims (5)

  1. 자전거(1)의 뒷좌석(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판(110);
    상기 수평판(110)의 상부에서 상기 수평판(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부재(120);
    상기 수직부재(120)의 측면에 나란하게 위치하며 상기 수직부재(120)의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재(130);
    상기 연장부재(1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트레일러(5)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40);
    상기 수평판(110)과 상기 수직부재(1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수평회동축(200);
    상기 수직부재(120)와 상기 연장부재(13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좌우회동축(300); 및
    상기 연장부재(130)와 상기 연결프레임(14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수직회동축(400);을 포함하는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동축(200)은 상기 수평판(110)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수직부재(120)는 상기 수평회동축(200)에 저면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회동축(300)은 상기 수직부재(120)의 측면부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연장부재(130)는 상기 좌우회동축(300)에 측면부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140)은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트레일러(5)가 장착되도록 만곡된 결합부(150)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회동축(400)은 상기 연장부재(130)와 상기 연결프레임(140)의 타단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KR2020100012070U 2010-11-23 2010-11-23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KR200452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070U KR200452281Y1 (ko) 2010-11-23 2010-11-23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070U KR200452281Y1 (ko) 2010-11-23 2010-11-23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281Y1 true KR200452281Y1 (ko) 2011-02-16

Family

ID=44244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070U KR200452281Y1 (ko) 2010-11-23 2010-11-23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2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56B1 (ko) 2013-04-02 2015-04-27 동서하이텍 주식회사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유닛
KR20200061844A (ko) 2018-11-26 2020-06-03 박길환 자전거 트레일러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9042A (en) 1973-12-21 1975-09-30 Clyde A Miller Movable carrying structure
US4261592A (en) 1978-08-30 1981-04-14 Jacques Busseuil Device for coupling two bicycles as a tandem
US20040077646A1 (en) * 2001-12-04 2004-04-22 Bamberg Joe Timothy Indole nitri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9042A (en) 1973-12-21 1975-09-30 Clyde A Miller Movable carrying structure
US4261592A (en) 1978-08-30 1981-04-14 Jacques Busseuil Device for coupling two bicycles as a tandem
US20040077646A1 (en) * 2001-12-04 2004-04-22 Bamberg Joe Timothy Indole nitri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356B1 (ko) 2013-04-02 2015-04-27 동서하이텍 주식회사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유닛
KR20200061844A (ko) 2018-11-26 2020-06-03 박길환 자전거 트레일러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2370B2 (en) Frame for an electric cargo bicycle
US8534405B2 (en) Cargo scooter with the ability to lean
US8075011B1 (en) Adjustable motorcycle wheelie device
US20130193668A1 (en) Adult tricycle
US7744111B2 (en) Leanable tracking trailer for a motorcycle
KR200452281Y1 (ko) 자전거용 트레일러 연결장치
CN101531218A (zh) 自行车车把锁定装置
US6921099B2 (en) Apparatus for releasably coupling a trailer or other vehicle accesory to a vehicle
JP4657077B2 (ja) 小型車両
JP4297384B1 (ja) 走行安定二輪車
JP2009040377A (ja) 搬送車
US20160121959A1 (en) Urban quadracycle
US6688622B2 (en) Bicycle transporter
JP3173651U (ja) 折り畳み自転車
BE1019483A3 (nl) Verbindingselement.
FR2940629A1 (fr) Attelage a deux points d'ancrage et remorque comportant deux mecanismes de fixation prolonges chacun d'un timon, partie raidisseur du chassis de la remorque laquelle est dotee d'une roue jockey.
JP2007111380A (ja) 小型車両
CN209814153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铝制拖车
CN206494037U (zh) 一种电动滑板车
WO2003064214A1 (en) A bike rack
US20240166296A1 (en) Vehicle Towing Hitch
JP2014019281A (ja) 三輪自転車
EP1195318B1 (en) Cycle with integrated load platform
KR20120021956A (ko) 애완견 운동용 자전거 부속품
JP3183383U (ja) 転倒防止機能を備えた自転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