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225Y1 -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 - Google Patents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225Y1
KR200452225Y1 KR2020080007560U KR20080007560U KR200452225Y1 KR 200452225 Y1 KR200452225 Y1 KR 200452225Y1 KR 2020080007560 U KR2020080007560 U KR 2020080007560U KR 20080007560 U KR20080007560 U KR 20080007560U KR 200452225 Y1 KR200452225 Y1 KR 200452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ribs
assembly panel
rib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626U (ko
Inventor
김명석
Original Assignee
(주)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공사 filed Critical (주)시공사
Priority to KR2020080007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225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2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1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solid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wood or with an outer layer of 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립패널(10)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12, 14, 16, 18)를 서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시켜 접합하여 구성하며;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12, 14, 16, 18)는, 나무를 파쇄 하여 만든 목분을 압착하여 제조한 적어도 하나의 목분 리브(12, 16)와 자투리 목재를 핑거 조인트 또는 라미네이트 결합시켜 제조한 적어도 하나의 여척재 리브(14, 18)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패널(10)의 단면은, 상기 목분 리브와 상기 여척재 리브가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장식 및 음향 조절 기능을 가지는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을 자투리 목재와 목분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버려지는 목재를 재활용할 수 있고, 또한 나무 자체의 질감을 이용하여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장식, 재활용, 목재, 내장재, 음향, 반사, 흡수, 조립

Description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Wallboard Panel For Interior With Discarded Wood}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투리 목재와 목분을 이용하여 흡음 및 음향 반사 기능을 가지는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을 구성함으로써 버려지는 목재를 재활용할 수 있고, 또한 나무 자체의 질감을 이용하여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의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로 된 건축 내장재 중 종래의 장식 및 음향조절 효과를 위한 건축용 내장재로서 코펜하겐 리브(copenhagen rib)가 널리 알려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이, 코펜하겐 리브(1)는 두꺼운 목재판의 일 표면을 M자 형상으로 곡면가공한 것이다. 코펜하겐 리브는 예컨대, 교회, 강당, 체육관, 공연장 등의 내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음의 공명흡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음의 조절효과가 좋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런데, 코펜하겐 리브를 원목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흡음효과와 동시에 원목의 질감에 의한 자연스러운 장식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가격이 매우 비싸 다는 단점과 함께 음의 반사 내지는 흡음효과의 조화, 즉, 고음과 저음의 선택 흡수 및 반사에 의한 음의 조절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원목의 특성상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뒤틀리고 변형이 생겨 당초의 모양 및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저렴하면서도 장식 및 음향 조절 기능을 가지며, 또 오랜 기간이 경과해도 변형이 없는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을 개발하는 것이 당해 분야의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을 자투리 목재와 목분을 이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버려지는 목재를 재활용할 수 있어 저렴한 조립 패널의 공급이 가능하고, 특히 음향 조절 기능을 가지며, 또한 나무 자체의 질감을 이용하여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오랜 기간에도 변형이 없는 새로운 소재의 재활용 목재를 이용함으로써 사회적 및 경제적 효과가 큰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새로운 구성의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에 의해 성취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은, 새로운 소재로 된 재활용목재 조립패널로서, 상기 조립패널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를 서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시켜 접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는, 나무를 파쇄하여 만든 목분을 압착하여 제조한 적어도 하나의 목분 리브와 자투리 목재를 핑거 조인트 또는 라미네이트 결합시켜 제조한 적어도 하나의 여척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패널의 단면은, 상기 목분 리브와 여척재 리브가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 각각의 상부면은 음향의 반사 또는 흡수를 위하여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요철 형상을 가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패널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 중 최외각에 놓이는 두 개의 구성 리브의 외측에는 그 길이를 따라 상응하는 형상의 조립홈과 조립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패널의 하부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분 리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척재 리브가 접합된 선을 따라 형성되는 리브간 결합부 홈이 더 포함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르면, 목분 리브와 여척재 리브가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 구성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요철 형상으로 된 상부면의 형상과 함께 음향의 반사 또는 흡수를 도와서 음향 조절 기능을 상승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을 자투리 목재와 목분을 이용하여 구성함으 로써 버려지는 목재를 재활용할 수 있어 큰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자투리 목재의 핑거 조인트 및 라미네이트 결합에 의해 제조된 패널은 원목으로 된 패널과는 달리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있어 장기간 사용해도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일이 없고, 또 별도의 장식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나무 자체의 질감을 이용하여 자연스런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밑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은, 장식 및 음향 조절 기능을 가지는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이다. 특히 본 고안의 조립패널은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를 서로 접합시켜 제조하는 바, 이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가 자투리 목재와 목분을 이용하여 제조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버려지는 목재를 재활용할 수 있어 큰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패널을 구성하는 리브는 독특한 목재의 질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플라스틱 재질의 장식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나무 자체의 질감을 이용하여 자연스런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건축 내장용 재활용목재 조립패널(10)은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12, 14, 16, 18)로 이루어지는 바,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구성 리브로 되어 있다. 물론 본 고안이 도시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성 리브의 수는 더 적거나 더 많을 수도 있다.
목재 구성 리브(12, 14, 16, 18)는 각각 일정한 폭을 가진다. 예컨대 모든 구성 리브들이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조립패널(10)은 이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12, 14, 16, 18)를 서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예컨대 목재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켜 접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특징적으로, 구성 리브(12, 14, 16, 18)는, 목분 리브 및 여척재 리브의 두 종류로 이루어진다. 목분 리브(12, 16)는 나무를 파쇄하여 만든 목분을 압착하여 제조한 것이다. 여척재 리브(14, 18)는 여척재 즉 자투리 목재를 핑거 조인트 또는 라미네이트 결합시켜 제조한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 2개씩의 목분 리브 및 여척재 리브가 교대로 결합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도시된 것과는 다른 수의 목분 리브 및 여척재 리브가 결합된 구성도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패널은 나무를 파쇄한 목분 및 자투리 목재이기 때문에 버려지는 나무를 재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값비싼 통 원목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면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통 원목과는 달리 변형에 대해 저항력을 갖는다. 또한 나무 재질의 흡음성과 통기성 및 질감 등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환경적,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면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패널(10)의 단면은, 목분 리브와 여척재 리브가 하나씩 교호하는 즉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교호하는 배치에 따르면, 목분 리브(12, 16)와 여척재 리브(14, 18)가 서로 다른 질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향의 반사 내지는 흡음효과가 상이하여 음의 조절을 유도할 수가 있고, 조립패널(10) 자체가 독특한 무늬를 형성하도록 하며, 이러한 독특한 무늬는 건축 내장재로서 별도의 장식재 없이도 자연스러운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패널(10)의 상부면은 다양한 형태의 홈과 돌출부를 포함하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요철 형상은 특히 음향의 반사 또는 흡수 효과를 위한 것이며, 부가적으로 장식적 효과도 얻을 수 있게 한다. 즉, 조립패널(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12, 14, 16, 18) 각각의 상부면은 음향의 반사 또는 흡수를 위하여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몰딩 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 형상은, 상기 복수의 리브를 서로 접합시킨 상태의 조립패널을, 예컨대 몰다(MOULDER)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4면 몰다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립패널(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패널(10)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12, 16, 14, 18) 중 최외각에 놓이는 두 개의 목재 구성 리브(12,18)의 외측에 그 길이를 따라 상응하는 형상의 조립홈(11)과 조립돌기(19)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패널(10)의 하부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목분 리브(12, 16)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여척재 리브(14, 18)가 접합된 선을 따라 형성되는 리브간 결합부 홈(13, 15, 17)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간 결합부 홈(13, 15, 17)은 조립패널(10)이 휘어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은, 장식 및 음향 조절 기능을 가지는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로서, 자투리 목재와 목분을 이용하여 제조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버려지는 목재를 재활용할 수 있어 큰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플라스틱 재질의 장식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나무 자체의 질감을 이용하여 자연스런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가 설명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즉 당업자라면 개시된 내용을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응용하여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축용 내장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바, 일반적인 건물 내 외에도, 교회, 강당, 체육관, 공연장 등과 같이 장식 효과와 음향조절효과를 동시에 요구하는 건물 내에서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식 및 음향조절 효과를 위한 건축용 내장재로 쓰이는 코펜하겐 리브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위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밑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코펜하겐 리브
10 : 조립 패널
11 : 조립홈
12,16 : 목분 리브
13,15,17 : 리브간 결합부 홈
14,18 : 여척재 리브
19 : 조립돌기

Claims (4)

  1. 건축 내장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일정한 폭을 가지는 목분 리브(12, 16)와 여척재 리브(14, 18)를 교대로 접착시켜 접합한 목재 구성 리브(12, 14, 16, 18);
    상기 목분 리브(12, 16)는 나무를 파쇄 하여 만든 목분을 압착하여 제조한 리브이고, 여척재 리브(14, 18)는 자투리 목재를 핑거 조인트 또는 라미네이트 결합시켜 제조한 리브이며;
    상기 목재 구성 리브(12, 14, 16, 18) 각각의 상부면은 음향의 반사 또는 흡수를 위하여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요철 형상을 갖도록 몰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10).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 패널(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목재 구성 리브(12, 16, 14, 18) 중 최외각에 놓이는 두 개의 구성 리브(12,18)의 외측에는 그 길이를 따라 상응하는 형상의 조립홈(11)과 조립돌기(19)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 패널(10)의 하부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목분 리브(12, 16)와 적어도 하나의 여척재 리브(14, 18)가 접합된 선을 따라 형성되는 리브간 결합부 홈(13, 15, 17)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 패널(10)
KR2020080007560U 2008-06-05 2008-06-05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 KR200452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560U KR200452225Y1 (ko) 2008-06-05 2008-06-05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560U KR200452225Y1 (ko) 2008-06-05 2008-06-05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26U KR20090012626U (ko) 2009-12-09
KR200452225Y1 true KR200452225Y1 (ko) 2011-02-14

Family

ID=4424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560U KR200452225Y1 (ko) 2008-06-05 2008-06-05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22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4371A (ja) * 1995-04-12 1996-10-29 Asahi Utsudo Tec Kk 溝付化粧板
KR20010013572A (ko) * 1997-06-10 2001-02-26 오그덴 브리안 씨. 복합 목재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목재 스트립을 생산하는방법
KR20030064618A (ko) * 2000-04-14 2003-08-02 미드바 테크 엘티디. 서브-코드 채널들을 이용한 컴팩트 디스크-음성 침해 방지
KR200364618Y1 (ko) * 2004-07-06 2004-10-08 안동순 마루판
KR20060005725A (ko) * 2004-07-14 2006-01-18 박종성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방음,방진 완충재료의 제조방법및 그 완충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4371A (ja) * 1995-04-12 1996-10-29 Asahi Utsudo Tec Kk 溝付化粧板
KR20010013572A (ko) * 1997-06-10 2001-02-26 오그덴 브리안 씨. 복합 목재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목재 스트립을 생산하는방법
KR20030064618A (ko) * 2000-04-14 2003-08-02 미드바 테크 엘티디. 서브-코드 채널들을 이용한 컴팩트 디스크-음성 침해 방지
KR200364618Y1 (ko) * 2004-07-06 2004-10-08 안동순 마루판
KR20060005725A (ko) * 2004-07-14 2006-01-18 박종성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방음,방진 완충재료의 제조방법및 그 완충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26U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56884A (en) Sound-absorbing surface covering material
KR20110076911A (ko) 플라스틱 바닥 매트
KR102228902B1 (ko)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를 이용한 흡음판 및 그 흡음판 제조방법
KR200452225Y1 (ko) 재활용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장용 조립패널
CN201843301U (zh) 一种塑木复合拼装地板
CN101970773A (zh) 用于构造组件的复合建筑构件及其制造方法
TWM624944U (zh) 塑合面板組設之結構改良
JP2017105096A (ja) 化粧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386601Y1 (ko) 가구용 패널
KR100405655B1 (ko) 프라스틱 중공패널에 흡음재 와 치장용 간살부재가 결합된복합소재 방음패널.
JP2008144356A (ja) 壁構造
JPH10339016A (ja) パネル
JP3204383U (ja) 凹凸意匠付き木製集成材
TWI775696B (zh) 塑合面板組設方法
KR102549511B1 (ko) 인테리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213683046U (zh) 一种方形多层复合隔音拼花地板
KR200302571Y1 (ko) 종이패널
JP2793065B2 (ja) 建築用床材
KR200384811Y1 (ko) 화장실용 칸막이 패널
JP3147166U (ja) 端部水平面に嵌め合い接合部を備えたパネル板
KR20090105476A (ko) 도어용 에이비에스 스프링식 하니콤 및 그 제조방법
KR200364393Y1 (ko) 건축자재용 패널 부재
JPH0623643Y2 (ja) 遮音性木質系床材
JP2007138576A (ja) 引き戸、並びに、引き戸の製造方法
KR200343369Y1 (ko) 대나무로 된 가구용 문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