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070Y1 -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 - Google Patents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070Y1
KR200452070Y1 KR2020090016601U KR20090016601U KR200452070Y1 KR 200452070 Y1 KR200452070 Y1 KR 200452070Y1 KR 2020090016601 U KR2020090016601 U KR 2020090016601U KR 20090016601 U KR20090016601 U KR 20090016601U KR 200452070 Y1 KR200452070 Y1 KR 200452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metal
blanking
housing
side wall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930U (ko
Inventor
허수영
김종완
고성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2020090016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070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9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0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electrically-heated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블랭킹 바이메탈의 작동부를 하우징의 측벽에 배치시켜 틈새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이들 사이에 전도성 이물질이 끼여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켓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상기 전도성 이물질에 의해 쇼트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소켓에 문제가 발생할 때에는 블랭킹 바이메탈의 작동부가 하우징의 측벽에 접촉하여 쇼트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블랭킹 바이메탈의 기능을 오동작 없이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발열체를 갖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원통 단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 볼트에 의해 원통 단부의 안팎에 순차적으로 고정되는 바이메탈 부재, 블랭킹 바이메탈, 세라믹 부재, 마이너스 단자, 합성수지재의 절연체, 플러스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바이메탈은, 상기 고정 볼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끝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과 틈새를 유지하도록 배치된 작동부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Description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Cigar Lighter Socket for Cars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Blanking Bimetal}
본 고안은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에서 쇼트(short)가 발생하거나 소켓에 끼워진 플러그의 발열체가 일정 온도까지 가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등, 문제 발생시 소켓에 전류를 공급하는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를 강제적으로 쇼트시켜 퓨즈가 단선되도록 하는 블랭킹 바이메탈이, 소켓의 정상적인 상태에서 오동작하여 쇼트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시가 라이터는 운전자나 동승자가 담배를 피울 수 있도록 차량의 전면 패널이나 좌석 열 사이에 설치된다.
차량용 시가 라이터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차체에 내장된 소켓과 사용자가 손에 쥐고 담배에 불을 붙이는 플러그로 이루어진다. 소켓은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이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단자를 가 지며, 플러그는 배터리의 전류에 의해 담배에 불을 붙일 수 있도록 발열체를 갖는다. 차량용 시가 라이터는 바이메탈과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발열체가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플러그가 삽입상태로부터 해제됨과 동시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가 라이터의 소켓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되지 않은 발열체를 내부에 갖는 플러그(10)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14)과, 이 하우징(14)의 원통 단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 볼트(17)에 의해 원통 단부의 안팎에 순차적으로 고정되는 바이메탈 부재(18)와, 블랭킹 바이메탈(39), 세라믹 부재(40), 마이너스 단자(19), 절연체(21) 및 플러스 단자(20)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이메탈 부재(18)와 블랭킹 바이메탈(39) 및 세라믹 부재(40)는 하우징(14)의 원통 단부 내측에 그리고 마이너스 단자(19), 절연체(21) 및 플러스 단자(20)는 하우징(14)의 원통 단부 외측에 각각 설치된다.
플러그(10)는 플러스 단자(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심원 상으로 적층 배열된 형태의 발열체가 내부에 구비되고, 그 일측 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1)가 형성되며, 외주에는 하우징(14)의 입구 둘레와 맞닿아 마이너스 단자(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측 링(12)이 형성되어 있다.
바이메탈 부재(18)는 서로 다른 열 팽창률을 가지는 두 개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일정 폭의 바이메탈재 평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그 양단이 플러그(10)의 외주에 형성된 요홈(10a)에 탄력적으로 걸려 플러그(10)를 잡아주게 되며, 플러그(10) 내부의 발열체가 소정 온도로 가열되었을 때, 도 2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열 변형되어 벌어지면서 플러그(10)를 취출시키게 된다.
또한 블랭킹 바이메탈(39)은 바이메탈 부재(18)와 세라믹 부재(4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 볼트(1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고정부(29)와, 이 고정부(29) 일측에 아래를 향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어 미리 설정된 고온에서 열 변형하여 상하로 변형되는 판 형상의 작동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블랭킹 바이메탈(39)은 과전류가 공급되어 플러그(10) 내의 발열체를 포함하는 내부 구성들이 규정치 이상의 온도로 과열되거나 소켓에 끼워진 플러그(10) 내의 발열체가 규정치의 온도까지 가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탈되지 않았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가 미리 설정된 고온에서 열 변형하여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다가 하우징(14)의 내부 표면에 접촉되어 바이메탈 부재(18) 즉, 플러스 단자(20)와 쇼트 되게 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차량 메인 퓨즈 박스의 시거라이터 전용퓨즈가 녹아 단락되어 소켓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블랭킹 바이메탈(39)의 작동부(30)가 고정부(29)의 일측에만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랭킹 바이메탈(39)과 하우징(14)을 쇼트시키면서도 고가의 바이메탈 소재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구성의 차량용 시거 라이터 소켓은, 쇼트가 발생하거나 소켓에 삽입된 플러그(10)가 이탈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발열체(13)를 포함하는 플러그(10)에 규정치 이상의 열이 발생하면 도 3에서와 같이 블랭킹 바이메탈(39)이 열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그 결과 블랭킹 바이메탈(39)이 지속적으로 휘어져 작 동부(30)가 하우징(14)의 내부 표면에 접촉하게 되면 플러스 단자(20)가 하우징(14)과 맞닿아 있는 마이너스 단자(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쇼트(단락)가 발생하게 되므로 차량의 메인 퓨즈 박스 내에 구비된 전용 퓨즈가 녹아 내려 전기회로를 차단시키는 안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안전기능을 수행하는 블랭킹 바이메탈(39)은, 바이메탈 부재(18)와 세라믹 부재(4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부(29)가 고정 볼트(17)에 의해 고정되고, 작동부(30)의 끝단은 도 1에서와 같이 하우징(14)과 0.3mm의 작은 틈새(a)로 이격시켜 설치되기 때문에, 소켓 내에 블랭킹 바이메탈(39)을 조립할 때 발생하는 조립 오차에 의해 상기 틈새(a)로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세라믹 부재(40)의 경우, 재질 특성상 항상 일정한 치수로 제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치수 오차 정도가 심하여 상기 틈새(a)가 너무 좁게 설치되는 불량률이 높으며, 틈새(a)가 너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소켓 내에서 발생하는 전도성 이물질, 예를 들면 작은 쇳가루가 틈새(a)에 끼이게 되는 경우, 소켓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블랭킹 바이메탈의 작동부가 하우징에 접촉하여 쇼트를 유발하게 된다. 이로 인해 차량의 메인 퓨즈 박스 내에 구비된 전용 퓨즈가 녹아내려 전기회로를 차단 시키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퓨즈를 낭비하고, 퓨즈를 교체해야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소켓에서 쇼트(short)가 발생하거나 소켓에 끼워진 플러그의 발열체가 일정 온도까지 가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켓으로부터 플러그가 이탈되지 않는 등의 문제 발생시,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를 강제적으로 쇼트시켜 퓨즈가 단선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된 블랭킹 바이메탈이, 소켓의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 전도성 이물질에 의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동작에 따른 퓨즈의 손실을 방지하고 퓨즈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의 증가 없이 기능을 향상시킨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발열체를 갖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원통 단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 볼트에 의해 원통 단부의 안팎에 순차적으로 고정되는 바이메탈 부재, 블랭킹 바이메탈, 세라믹 부재, 마이너스 단자, 합성수지재의 절연체, 플러스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바이메탈은, 상기 고정 볼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끝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과 틈새를 유지하도록 배치된 작동부로 이루어진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블랭킹 바이메탈의 작동부와 하우징의 측벽 사이의 틈새가, 블랭킹 바이메탈의 고정부와 작동부의 절곡지점에 의해 설정되는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블랭킹 바이메탈의 작동부가 하우징의 측벽과 틈새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바이메탈의 고정부와 작동부의 절곡지점에 의해 간단하게 상기 틈새가 설정된다. 이로 인해 구성부품의 조립 오차 또는 세라믹 부재의 제작시 치수 오차 등에 의해 틈새가 더욱 좁혀지는 조립시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소켓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에는 블랭킹 바이메탈의 작동부와 하우징의 측벽 사이의 틈새가 충분히 유지되어 이들 사이에 전도성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밑으로 흘러내려 가게 되므로, 전도성 이물질에 의해 블랭킹 바이메탈이 비정상으로 쇼트되는 것이 방지되어 불필요하게 퓨즈가 끊어져 손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퓨즈를 자주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발열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 플러그(110)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120)과, 이 하우징(120)의 원통 단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볼트(121)에 의해 원통 단부의 안팎에 순차적으로 고정되는 바이메탈 부재(122)와, 블랭킹 바이메탈(123), 세라믹 부재(124), 마이너스 단자(125), 합성수지재의 절연체(126) 및 플러스 단자(127)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이메탈 부재(122)와 블랭킹 바이메탈(123) 및 세라믹 부재(124)는 하우징(120)의 원통 단부 내측에 그리고 마이너스 단자(125), 절연체(126) 및 플러스 단자(127)는 하우징(120)의 원통 단부 외측에 각각 설치된다.
플러그(110)는 플러스 단자(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심원 상으로 적층 배열된 형태의 발열체(도시하지 않음)가 내부에 구비되고, 그 일측 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11)가 형성되며, 외주에는 하우징(120)의 입구 둘레와 맞닿아 마이너스 단자(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측 링(112)이 형성되어 있다.
바이메탈 부재(122)는 서로 다른 열 팽창률을 가지는 두 개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일정 폭의 바이메탈재 평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그 양단이 플러그(110)의 외주에 형성된 요홈(113)에 탄력적으로 걸려 플러그(110)를 잡아주게 되며, 플러그(110) 내부의 발열체가 소정 온도로 가열되었을 때, 열 변형되어 벌어지면서 플러그(110)를 취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블랭킹 바이메탈(123)은 바이메탈 부재(122)와 세라믹 부재(124)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 볼트(12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판 형상의 고정부(123a)와, 상기 고정부(123a)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120)의 측벽(120a)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도 5 참조) 그 끝단은 상기 하우징(120)의 측벽(120a)과 틈새(a)를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미리 설정한 고온에서 도 5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열변형되는 판형상의 작동부(123b)로 구성되며, 상기 블랭킹 바이메탈(123)의 작동부(123b)와 하우징(120)의 측벽(120a)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a)의 정도는 블랭킹 바이메탈(123)의 고정부(123a)과 작동부(123b)의 절곡지점에 의해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플러그(110)를 하우징(120)의 입구를 통해 삽입하면 바이메탈 부재(122)의 양단에 의해 파지되어 그 단부가 고정 볼트(121)와 맞닿게 되고, 플러그(110)의 외측링(112)은 하우징(120)의 입구측에 맞닿게 되어 폐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즉, 전류가 플러스 단자(127) 및 고정 볼트(121)를 통해 플러그(110) 내의 발열체로 흐르고, 마이너스 단자(125)와 하우징(120)을 통해 플러그(110)의 외측링(112)으로 흘러 플러그(110) 내의 발열체를 가열시킨다.
이와 같은 폐회로의 구성에 의해 플러그(110) 내의 발열체가 소정 온도로 가열되면, 바이메탈 부재(122)에 열 변형이 발생하여 벌어짐으로써 플러그(110)가 외 부로 취출된다.
이때, 소켓에 쇼트가 발생하거나 소켓에 삽입된 플러그(110)가 이탈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발열체를 포함하는 플러그(110)에 규정치 이상의 열이 발생하면, 블랭킹 바이메탈(123)의 온도가 점점 상승하게 되고, 약 250℃의 고온에 도달하게 되면, 도 5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킹 바이메탈(123)의 작동부(123b)가 열 변형하여 하우징(120)의 측벽(120a)에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플러스 단자(127)가 하우징(120)과 맞닿아 있는 마이너스 단자(12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쇼트(단락)가 발생하게 되므로 차량의 메인 퓨즈 박스 내에 구비된 전용 퓨즈가 녹아내려 전기회로를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블랭킹 바이메탈(123)은, 작동부(123b)와 하우징(120)의 측벽(120a)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a)가 블랭킹 바이메탈(123)의 고정부(123a)과 작동부(123b)의 절곡지점에 의해 간단하게 설정되므로, 블랭킹 바이메탈(123)을 조립할 때의 오차 또는 세라믹 부재(124)의 제작시 치수 오차가 발생하는 것과는 관계 없이 상기 틈새(a)를 설정된 치수로 유지할 수 있고, 소켓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블랭킹 바이메탈(123)이 휨 변형하는 온도, 약 250℃의 고온에 도달하지 않을 때에는 블랭킹 바이메탈(123)의 작동부(123b)와 하우징(120) 사이의 틈새(a)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블랭킹 바이메탈(123)이 비정상으로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랭킹 바이메탈(123)의 작동부(123b)가 하우징(120)의 측벽(120a)과 틈새(a)를 유지함에 따라, 이들 사이에 전도성 이물질이 쌓이지 않고 밑으로 흘러 내려가게 되므로, 전도성 이물질에 의해 블랭킹 바이메탈(123)이 비정상으로 쇼트되어 오동작을 일으킴으로써 불필요하게 퓨즈가 끊어져 손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하우징(120)의 측벽(120a)에 블랭킹 바이메탈(123)의 작동부(123b)와 하우징(120)의 측벽(120a) 사이의 틈새(a)를 측정하기 위한 틈새측정용 관통구멍(120b)을 더욱 구비한 구성이고,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관통구멍(120b)은 원형으로 형성하여 블랭킹 바이메탈(123)의 작동부(123b)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관통구멍(120b)을 통해서 하우징(120)의 측벽(120a)과 블랭킹 바이메탈(123)의 작동부(123b) 사이의 틈새를 간극측정게이지(도시하지 않음)로 측정할 수 있게 되므로 소켓 조립 후의 틈새(a)가 정확하게 유지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 블랭킹 바이메탈(123)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블랭킹 바이메탈(123)의 원가절감을 위해 작동부(123b)가 한쪽 방향으로만 연장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서와 같이 블랭킹 바이메탈(223)의 작동부(223b)를 고정부(223a)에 대하여 양쪽으로 형성하여도 동일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블랭킹 바이메탈(323)의 고정부(323a)를 하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하고, 이 경사진 고정부(323a)로부터 절곡하여 작동부(323b)를 연장 형성하는 경우,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23a)와 작동부(323b)가 함께 변형하게 되므로, 작동부(323b)의 길이를 전술한 실시예의 작동부(123b)에 비 하여 짧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써 블랭킹 바이메탈(323)의 제조시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고가인 블랭킹 바이메탈(323)의 재료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도 10에서와 같이 블랭킹 바이메탈(323)의 작동부(323b)를 고정부(323a)에 대하여 양쪽으로 형성하여도 동일한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의 분해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플러그 120 : 하우징
120a : 측벽 120b : 관통구멍
121 : 고정볼트 122 : 바이메탈 부재
123,223,323 : 블랭킹 바이메탈 123a,223a,323a : 고정부
123b,223b,323b : 작동부 124 : 세라믹 부재
125 : 마이너스 단자 126 : 절연체
127 : 플러스 단자

Claims (6)

  1. 삭제
  2. 발열체를 갖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원통 단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 볼트에 의해 원통 단부의 안팎에 순차적으로 고정되는 바이메탈 부재, 블랭킹 바이메탈, 세라믹 부재, 마이너스 단자, 합성수지재의 절연체, 플러스 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바이메탈은, 상기 고정 볼트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끝단은 상기 하우징의 측벽과 틈새를 유지하도록 배치된 작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랭킹 바이메탈의 작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측벽 사이의 틈새를 측정하기 위한 틈새측정용 관통구멍이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블랭킹 바이메탈의 작동부와 하우징의 측벽 사이의 틈새는 블랭킹 바이메탈의 고정부와 작동부의 절곡지점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바이메탈의 작동부를 고정부에 대하여 양쪽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바이메탈의 고정부를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이 경사진 고정부로부터 절곡하여 작동부를 연장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
  5. 삭제
  6. 삭제
KR2020090016601U 2009-12-21 2009-12-21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 KR200452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601U KR200452070Y1 (ko) 2009-12-21 2009-12-21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601U KR200452070Y1 (ko) 2009-12-21 2009-12-21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104 Division 2009-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30U KR20100012930U (ko) 2010-12-29
KR200452070Y1 true KR200452070Y1 (ko) 2011-02-07

Family

ID=4424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601U KR200452070Y1 (ko) 2009-12-21 2009-12-21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0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759B1 (ko) * 2020-06-01 2021-12-06 주식회사 유니크 파워 아웃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934B1 (ko) * 2007-04-30 2008-04-28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서 블랭킹 바이메탈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934B1 (ko) * 2007-04-30 2008-04-28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서 블랭킹 바이메탈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30U (ko)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6925B2 (ja) 電気装置
JP5610648B2 (ja) ヒューズ付きコネクタ組立体
US6619983B2 (en) Socket for automotive vehicles
JP2016537637A (ja) 電流測定素子及び電流測定素子アセンブリ
JP3797590B2 (ja) 電源遮断器
JP2021511039A (ja) プリント回路基板を備えるヒーター組立品
KR20130103536A (ko) 소형 안전 스위치
JP3735118B2 (ja) 後部に結合されたアセンブラ及びコネクタプラグを有する電気タバコライター
KR20140005595U (ko) 보호 장치
KR200452070Y1 (ko) 블랭킹 바이메탈의 오동작 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
US10424447B2 (en) Switching system
KR100977284B1 (ko) 블랭킹 바이메탈의 쇼트제한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
KR100825934B1 (ko) 차량용 시가 라이터 소켓에서 블랭킹 바이메탈 구조
KR100980999B1 (ko) 차량용 시거라이터조립체
KR20090041082A (ko) 바이메탈 기능이 내장된 용융형 온도퓨즈
CN106961054B (zh) 用于汽车点烟器和电源插座的紧凑型保护装置
JP2008021622A (ja) 差込プラグ及び差込プラグ付き電源コード
US20020020694A1 (en) Cigar lighter with thermal safety device
CN210692432U (zh) 一种汽车点烟器
JP5196563B2 (ja) 照明装置のバルブソケット構造
EP2942836A1 (en) Terminal block
JP2002279877A (ja) プロテクタ
CN212785898U (zh) 陶瓷纤维加热器
JP2013224801A (ja) シガーライタプラグ
JP4117032B2 (ja) 安全ブレード端子を備える自動車用のシガーライ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