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038Y1 -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038Y1
KR200452038Y1 KR2020080008051U KR20080008051U KR200452038Y1 KR 200452038 Y1 KR200452038 Y1 KR 200452038Y1 KR 2020080008051 U KR2020080008051 U KR 2020080008051U KR 20080008051 U KR20080008051 U KR 20080008051U KR 200452038 Y1 KR200452038 Y1 KR 200452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ispenser
closing
fitted
p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010U (ko
Inventor
기근서
Original Assignee
(주)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진 filed Critical (주)민진
Priority to KR2020080008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038Y1/ko
Publication of KR200900130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0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0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valve being formed by a tubular flexible sleeve surrounding a rod-like element provided with at least one radial passageway which is normally closed by the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Abstract

본 고안은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로서, 용기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 중앙에 가이드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 둘레에 유입홀이 형성된 제 1 캡부; 이 가이드에 끼워맞춤되어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 1 개폐부; 제 1 캡부의 내주부에 끼워맞춤되며 상부에 유출홀이 형성된 펌핑부; 이 펌핑부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제 1 캡부에 끼워맞춤된 제 2 캡부; 가이드의 중앙홀에 끼워맞춤되어 유출홀을 개폐하는 제 2 개폐부; 및 이 제 2 개폐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2 캡부에 끼워맞춤되고, 유출홀과 연통된 토출홀이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디스펜서의 구성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결합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디스펜서, 펌프구조, 개폐부, 펌핑부

Description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Dispenser having pump structure}
본 고안은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펜서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부 내에 수납된 액상 화장품 등의 각종 내용물을 펌핑부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의 화장품이나 기타 내용물을 공기의 압력에 의해 일정량씩 배출시켜 사용하는 용기로서, 크게 팁튜브에 의해 내용물을 흡입하여 배출하고 용기 내에는 그 만큼의 공기가 유입되는 딥튜브방식과, 용기 내부가 진공으로 됨에 따라 피스톤이 상승하여 내용물을 밀어올리는 에어리스타입으로 구분된다.
펌프 디스펜서에서 사용된 스프링이 내용물이 수용되는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관계로 내용물의 화학적 성분(염화 나트륨)과 접촉되어 금속재질의 탄발 스프링이 쉽게 부식되어 녹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용물의 이동을 제어하는 하우징과 금속의 볼로 구성되므로, 내용물이 고점도 인 경우에 펌핑시 볼의 표면을 감싸고 있는 내용물의 점성에 의해 볼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게 되어 개폐가 신속하지 못할 뿐 더러 내용물의 유통공을 정확 하게 막아줄 수 없게 되어 압력의 손실로 인한 내용물의 토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5) 내부와 내용물 안내관(132)을 상호 차단시켜 주기 위한 환형의 실링홈으로 구성되는 제 1 밸브와 원판형의 밸브체(163)를 링형의 지지체에서 돌출되게 구성한 제 2 밸브(16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펜서 구조는 밸브의 형상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용되며, 스프링을 사용하여 금속에 의한 오염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디스펜서의 구성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결합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판막형태의 개폐부재를 사용하여 미량의 압압력에 의해서도 개폐가 가능하며, 밀폐성이 향상되어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고, 펌핑부로서 연한 재질의 고무나 수지류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금속류에 의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재생이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로서, 용기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 중앙에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둘레에 유입홀이 형성된 제 1 캡부; 상기 가이드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 1 개폐부; 상기 제 1 캡부의 내주부에 끼워맞춤되며 상부에 유출홀이 형성된 펌핑부; 상기 펌핑부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캡부에 끼워맞춤된 제 2 캡부; 상기 가이드의 중앙홀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유출홀을 개폐하는 제 2 개폐부; 및 상기 제 2 개폐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2 캡부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유출홀과 연통된 토출홀이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1 개폐부는, 링형상의 외주링과, 상기 외주링의 내주에 절곡된 지지대를 개재해서 설치되어 유입홀을 개폐하는 개폐링과, 상기 개폐링의 내주에 연결부를 개재해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에 끼워맞춤되는 센터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펌핑부는, 내주의 하부 둘레에 외향으로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되고, 내주의 상부 둘레에 리브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 2 개폐부는, 링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주에 절곡된 지지대를 개재해서 설치되며 상기 펌핑부의 유출홀을 개폐하는 밸브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디스펜서의 구성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결합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판막형태의 개폐부재를 사용하여 미량의 압압력에 의해서도 개폐가 가능하며, 밀폐성이 향상되어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펌핑부로서 연한 재질의 고무나 수지류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금속류에 의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재생이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를 나타내 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의 가압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의 가압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의 제 1 캡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의 제 1 개폐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의 제 2 개폐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는, 제 1 캡부(20), 제 1 개폐부(30), 펌핑부(40), 제 2 캡부(50), 제 2 개폐부(60) 및 헤드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용기부(10)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이다.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캡부(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화장품 등의 액상의 내용물이 충전된 용기부(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 중앙에 가이드(23)가 돌출형성되고, 가이드(23) 둘레에 유입홀(25)이 형성되고 가이드(23)의 중앙에는 중앙홀(24)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입홀(25)은 가이드(23)의 둘레를 따라서 만곡형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유입홀(25)의 둘레에는 오목한 링형상의 걸림홈(26)이 형성되어 제 1 개폐부(30)가 걸림홈(26)에 끼워맞춤된다.
또한, 제 1 캡부(20)의 하부에는 용기부(10)의 상부와 끼워맞춤하기 위한 걸 림부(21), 끼움부(28) 및 결합부(29)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1)의 상부에는 제 2 캡부(50)를 결합하기 위한 오목형상의 홈(27)이 내주부에 형성된 고정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개폐부(30)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링형상의 판막형 개폐부재로서, 센터링(31), 개폐링(32) 및 외주링(33)으로 이루어진다. 외주링(33)은 외곽에 형성된 링형상의 부재이고, 개폐링(32)은 외주링(33)의 내주에 절곡된 지지대(35)를 개재해서 설치되어 유입홀(25)을 개폐하며, 센터링(31)은 개폐링(32)의 내주에 연결부(34)를 개재해서 설치되며 가이드(23)에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제 1 개폐부(30)의 센터링(31)이 가이드(23)의 외주에 끼워맞춤되며, 개폐링(32)이 유입홀(25)을 개폐하게 된다. 특히 개폐링(32)은 센터링(31)과 외주링(33) 사이에 연질소재의 지지대(35)와 연결부(34)를 개재해서 상하이동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펌핑부(40)의 펌핑시 상하로 이동하여 유입홀(25)을 개폐하게 된다.
펌핑부(40)는 받침부(41), 탄성부(42), 몸체부(43)로 이루어져 제 1 캡부(20)의 내주부에 끼워맞춤되며 상부에 유출홀(46)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41)는 펌핑부(40)의 하부에 형성되어 하면을 지지하며, 탄성부(42)는 받침부(41)의 상부에 형성되어, 펌핑부(40)의 펌핑시 수축 및 이완을 반복하여 펌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탄성부(42)의 내주 둘레에 외향으로 만곡된 만곡부(48)가 형성되어 펌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몸체부(43)는 탄성부(42)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주 둘레에는 외향으로 돌출된 걸림턱(44)이 형성되어 있고, 내주 둘레에는 날개형상의 리브(47)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
펌핑부(40)의 소재로는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펌핑이 용이하도록 고무, 유연한 수지 등의 탄성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스티렌-에틸렌-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컴파운드(Styrene-Ethylene-Butylene(Ethylene)-Styrene Copolymer Compound)로서, 일명 크라톤(Kraton)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캡부(5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턱부(51), 외주부(52) 및 내주부(54)로 이루어져 펌핑부(40)의 외주부에 설치되며, 제 1 캡부(20)의 내주부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외주부(52)는 제 1 캡부(50)의 외곽을 형성하며 외주 둘레에 걸림턱(53)이 형성되어 제 1 캡부(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형상 홈(27)에 끼워맞춤되고, 외주부(52)의 하단부는 내주부(54)의 내부에 끼워맞춤된 펌핑부(40)의 받침부(41)의 상부를 압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턱부(51)는 외주부(52)의 상단에서 내향으로 만곡형성되어 헤드부(70)의 걸림돌기(74)가 끼워맞춤되어, 제 2 캡부(50)와 헤드부(70)를 결합하게 된다.
도 3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개폐부(60)는 판막형태의 개폐부재로서, 밸브부(61)와 고정부(62) 및 지지부(65)로 이루어져 가이드(23)의 중앙홀(24)에 끼워맞춤되어 펌핑부(40)의 유출홀(46)을 개폐하게 된다.
고정부(62)는 제 2 개폐부(60)의 상부 외곽을 구성하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펌핑부(40)의 상면부(45)와 헤드부(70) 사이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된다. 밸브부(61)는 고정부(62)의 내주에 절곡된 지지대(63)를 개재해서 설치되며 펌핑부(40)의 유출홀(46)을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63)는 양단부가 절곡형성되어 밸브부(61)와 고정부(62) 사이에 형성되어 미력에 의해서도 변형이 가능하므로, 펌핑시 밸브부(61)의 상하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밸브부(61)의 중앙에는 오목홀(64)이 형성되어 제 2 개폐부(60)의 상하 이송이 하중이 저감되므로 펌핑시 상하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지지부(65)는 밸브부(61)의 하부에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가이드(23)의 중앙홀(24)에 밀폐되도록 끼워맞춤되어 있어 제 2 개폐부(60)의 상하이송을 안내하게 된다.
헤드부(70)는 원통캡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통부(71), 압압부(72), 토출홀(73)로 이루어져, 제 2 개폐부(6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2 캡부(50)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외통부(7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헤드부(70)의 외주부를 형성하며 외주 하단부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제 2 캡부(50)의 턱부(51)에 걸어맞춤되고, 내주 하단부 둘레에 오목홈이 형성되어 펌핑부(40)의 걸림턱(44)이 끼워맞춤되어, 제 2 개폐부(60) 및 제 2 캡부(50)와 결합된다.
압압부(72)는 외통부(71)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헤드부(70)를 용이하게 압압하게 된다. 토출홀(73)은 압압부(72)의 일방에는 펌핑부(40)의 유 출홀(46)과 연통되어 용기부(10)에 충전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70)의 압압부(72)를 사용자가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펌핑부(40)의 만곡부(48)가 외향으로 만곡되어 펌핑부(40)의 내부공간이 압축되어 제 1 개폐부(3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유입홀(25)을 개폐링(32)이 폐쇄하여 밀폐하게 된다.
동시에 펌핑부(40)의 내부공간이 압축되어 제 2 개폐부(60)를 상방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유출홀(46)을 밸브부(61)가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펌핑부(40)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내용물이 유출홀(46)과 연통된 토출홀(73)을 개재해서 외부로 토출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70)의 압압부(72)를 사용자가 상방으로 가압해제하게 되면, 외향으로 만곡된 펌핑부(40)의 만곡부(48)가 탄성에 의해 내향으로 만곡되어 펌핑부(40)의 내부공간이 팽창되고, 제 2 개폐부(6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유출홀(46)을 밸브부(61)가 폐쇄하게 밀폐하게 된다.
동시에 펌핑부(40)의 내부공간이 팽창되어 제 1 개폐부(30)를 상방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유입홀(25)을 개폐링(32)이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부(10) 내에 충전된 내용물이 유입홀(25)를 개재해서 펌핑부(4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부(70)의 가압 및 가압해제를 반복하여 용기부(10) 내에 충전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는 구성부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구성은 간단하게 하여 결합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의 가압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의 가압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의 제 1 캡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의 제 1 개폐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의 제 2 개폐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부 20: 제 1 캡부
30: 제 1 개폐부 40: 펌핑부
50: 제 2 캡부 60: 제 2 개폐부
70: 헤드부

Claims (4)

  1. 용기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로서,
    용기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 중앙에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둘레에 유입홀이 형성된 제 1 캡부;
    상기 가이드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 1 개폐부;
    상기 제 1 캡부의 내주부에 끼워맞춤되며 상부에 유출홀이 형성된 펌핑부;
    상기 펌핑부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캡부에 끼워맞춤된 제 2 캡부;
    상기 가이드의 중앙홀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유출홀을 개폐하는 제 2 개폐부; 및
    상기 제 2 개폐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 2 캡부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유출홀과 연통된 토출홀이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폐부는, 링형상의 외주링과, 상기 외주링의 내주에 절곡된 지지대를 개재해서 설치되어 유입홀을 개폐하는 개폐링과, 상기 개폐링의 내주에 연결부를 개재해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에 끼워맞춤되는 센터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내주의 하부 둘레에 외향으로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되고, 내주의 상부 둘레에 리브가 등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폐부는, 링형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주에 절곡된 지지대를 개재해서 설치되며 상기 펌핑부의 유출홀을 개폐하는 밸브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KR2020080008051U 2008-06-17 2008-06-17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KR200452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51U KR200452038Y1 (ko) 2008-06-17 2008-06-17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051U KR200452038Y1 (ko) 2008-06-17 2008-06-17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10U KR20090013010U (ko) 2009-12-28
KR200452038Y1 true KR200452038Y1 (ko) 2011-01-26

Family

ID=4424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051U KR200452038Y1 (ko) 2008-06-17 2008-06-17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0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915B1 (ko) * 2020-11-02 2022-04-14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논메탈 타입 미스트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919B1 (ko) * 2020-01-16 2020-03-16 양형택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2113970B1 (ko) * 2020-03-06 2020-05-21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논메탈 타입 화장품 용기의 펌프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878A (ko) * 1990-12-21 1992-07-25 원본미기재 저점도의 액체상 또는 페이스트상 물질을 방출하기 위한 배량분무 펌프용 흡입 및 방출 밸브
JP2001253458A (ja) 2000-02-09 2001-09-18 L'oreal Sa ポンプと該ポンプを備えた収容装置
JP2004051201A (ja) 2002-07-24 2004-02-19 Katsutoshi Masuda 流体吐出ポンプ
KR100545007B1 (ko) 2004-05-31 2006-01-24 윤석관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878A (ko) * 1990-12-21 1992-07-25 원본미기재 저점도의 액체상 또는 페이스트상 물질을 방출하기 위한 배량분무 펌프용 흡입 및 방출 밸브
JP2001253458A (ja) 2000-02-09 2001-09-18 L'oreal Sa ポンプと該ポンプを備えた収容装置
JP2004051201A (ja) 2002-07-24 2004-02-19 Katsutoshi Masuda 流体吐出ポンプ
KR100545007B1 (ko) 2004-05-31 2006-01-24 윤석관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915B1 (ko) * 2020-11-02 2022-04-14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논메탈 타입 미스트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10U (ko) 200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417B2 (en) Airless type cosmetic container with quantified contents discharging, contents leakage preventing and contents deterioration preventing functions
US5401148A (en) Manually operated reciprocating liquid pump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US11833533B2 (en) Pump container
US10485321B2 (en)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EP1938903A2 (en) Pump Dispenser
CN113148420A (zh) 泵容器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KR200452038Y1 (ko)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WO2024067399A1 (zh) 一种按压泵结构
CN211811088U (zh) 囊式输送泵
KR200477737Y1 (ko) 내용물 누출 방지 노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7032783B1 (en) Pump dispenser for liquid products
JP5469980B2 (ja) 吐出ポンプ
KR200449883Y1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
US10850293B2 (en) Device for spraying liquid cosmetic mist
KR20160109277A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0780902B1 (ko) 에어리스 펌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KR20028152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CN205819914U (zh) 活塞式硬顶压泵
JP3765293B2 (ja) ディスペンサーポンプ
US20150060484A1 (en) Discharge pump making sound when pumping
CN217779575U (zh) 一种全塑喷雾头
CN112849726A (zh) 囊式输送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