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692Y1 - Dry case used in food waste handling machine - Google Patents

Dry case used in food waste handl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692Y1
KR200451692Y1 KR2020080011378U KR20080011378U KR200451692Y1 KR 200451692 Y1 KR200451692 Y1 KR 200451692Y1 KR 2020080011378 U KR2020080011378 U KR 2020080011378U KR 20080011378 U KR20080011378 U KR 20080011378U KR 200451692 Y1 KR200451692 Y1 KR 200451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rying
unit
water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37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2387U (en
Inventor
김항종
이동연
김창진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2020080011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692Y1/en
Publication of KR201000023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38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69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열풍으로 건조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담고 있는 건조부와 건조부에 담겨 있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담고 있는 수분 저장부를 착탈 가능하게 이중으로 구성하여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된 수분을 건조된 음식물과 분리하여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rack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dry the food waste with hot air, a drying unit containing the food waste and a moisture storage unit containing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y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stand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configured to be dual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ood wast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ried food.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는 밑면에 다수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담는 건조부와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저장하는 수분 저장부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이중으로 제작함으로써,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와 남은 수분을 모두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는 건조부의 배출구와 접촉하여 상기 배출구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를 구비함으로써, 건조부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건조부의 배출구에 남겨진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수분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rying rack for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utlets on the bottom and by detachably double production of a drying unit for holding food waste and a wate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oisture of the food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In addition, both dried food waste and remaining water can be conveniently disposed of. In addition, the drying table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ater removing unit for removing moisture remaining in the outlet by contacting the outlet of the drying unit, left in the outlet of the drying unit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ying unit The moisture can be completely removed to prevent it from falling on the floor.

음식물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건조, 건조대, 수분 Food Waste, Food Waste Disposal, Drying, Drying Rack, Moisture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Dry case used in food waste handling machine}Drying stand for food waste handling equipment {Dry case used in food waste handling machine}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열풍으로 건조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담고 있는 건조부와 건조부에 담겨 있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담고 있는 수분 저장부를 착탈 가능하게 이중으로 구성하여 음식물 쓰레기에서 배출된 수분을 건조된 음식물과 분리하여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rack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dry the food waste with hot air, a drying unit containing the food waste and a moisture storage unit containing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y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stand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configured to be dual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ood wast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ried food.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는 주로 매립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으며, 나아가 부패하면서 심한 악취를 동반하고 있어 주변환경은 물론, 생활환경 전반에 걸쳐 여러 환경오염문제를 발생하는 주범으로 작용하고 있다.In general, food wastes generated at home are mainly disposed of in landfills, causing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Furthermore, decay and severe odor are accompanied by va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not only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ut also throughout the living environment. It is acting as the main culprit.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자원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정책으로서, 폐기물관리 규정에 따라 2005년01월01일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땅에 매립하여서는 안되며 소각, 퇴비화, 사료화, 소멸화 처리 후 발생되는 잔재물만 매립하여야 한 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하는 경우 대기 오염의 문제가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에 남아 있는 염분으로 인해 토양에 피해를 주게 된다. As a policy to reduce waste of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food waste, food waste should not be directly buried on the ground from 01 January 2005 according to waste management regulations. Only residues generated after incineration, composting, feed, and extinction are treated. Landfills must be made. However, incineration of food waste has a problem of air pollution, and when composting food waste, the salt remaining in the food waste causes damage to the soil.

최근에는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 주택과 일반 주택가에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전용 수거함을 배치하여 공동 주택의 입주 가구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공동으로 수거하여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거나 공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에서 소각한다. 그러나 각 가정의 사용자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정에 그대로 모아두었다가 무거운 음식물 쓰레기를 전용 수거함까지 가지고 와서 버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 중에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한 수분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로 인하여 사용자나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준다.In recent years, special collection boxes for collecting food wastes have been placed in common houses such as apartments, and general residential areas, so that food wastes generated from the occupancy of the apartments can be collected together and used as livestock feed or incinerated at public food waste disposal plants. . However, users of each household have the inconvenience of collecting food waste in their homes and bringing heavy food waste to the dedicated collection box and throwing it away, and during the movement of food waste, moisture generated from the food waste falls to the floor, or as a bad smell of food waste. Due to the discomfort to the user or people aroun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가정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음식물의 처리 방식에 따라 크게 건조 방식, 분쇄 건조 방식, 미생물 발효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설치 방식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때 발생되는 냄새나 물을 호스를 통해 배수구로 배출하는 방식과 별도의 호스가 필요없는 프리스탠딩 방식, 싱크대 내장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devices for treating food waste generated in each household have been developed and spread.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an be divided into a drying method, a pulverization drying method, and a microbial fermentation method according to a food treatment method.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method can be divided into the method of discharging the smell or water generated when processing food waste to the drain through the hose, the freestanding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hose, built-in sink.

건조 방식, 건조 분쇄 방식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장치는 내부에 열선이나 히터로 이루어진 가열기를 장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한다. 바람직하게, 내부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가열기로부터 가열된 온풍을 음식물 쓰레기에 반복 하여 순환시키거나, 음식물 쓰레기를 가루 형태로 잘게 분쇄한 다음 온풍으로 건조 처리하여 빠르게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다. 한편, 미생물 발효 방식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장치는 번식력이 강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발효시킨다.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drying method and the dry grinding method is equipped with a heater made of a heating wire or a heater to dry the food waste. Preferably, a blower is installed inside to repeatedly circulate the warm air heated from the heater to the food waste, or the food waste is pulverized finely into powder and then dried by warm air to quickly dry the food waste. On the other hand,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microbial fermentation method ferment the food using a strong microorganism fertility.

미생물 발효 방식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편의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미생물의 유지, 관리에 다소 어려움이 있고, 미생물에만 전적으로 의지하고 있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속도가 늦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건조 방식 또는 건조 분쇄 방식을 취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microbial fermentation method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ce of food waste disposal,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manage microorganisms, and rely solely on microorganisms, so that the rate of food waste processing is slow. . Therefore, in recent years, a lot of food waste drying apparatuses taking a drying method or a dry grinding method have been widely used.

도 1은 종래 건조 방식을 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a conventional drying method.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1)는 본체(10), 본체(10)의 개방 도어(11)를 통해 본체(10) 내부에 배치되며 건조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담고 있는 건조대(20) 및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 필터부(30)로 구성되어 있다. 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1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main body 10, the open door 11 of the main body 10 and contains the food waste to be dried And a odor filter unit 30 for removing odor generated in the drying process of the drying table 20 and the food waste.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본체(10)의 개방 도어(11)를 열어 본체(10)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건조대(20)를 본체(10) 외부로 꺼낸다. 건조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대(20)에 담아 다시 본체(10) 내부로 넣은 후, 개방 도어(11)를 닫고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1)를 작동시킨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의 본체는 온풍을 발생하고 발생한 온풍을 건조대(20)로 순환 송풍하여 건조대(20)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다.Looking at the process of processing food waste using the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1, the user opens the opening door 11 of the main body 10 to the drying rack 2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main body 10 Take it out. After putting the food waste to be dried in the drying rack 20 and into the main body 10 again, the open door 11 is closed and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1 is operated. The main body of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generates warm air and circulates the generated warm air to the drying table 20 to dry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ying table 20.

도 2를 참고로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1)용 건조대(2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조대(20)는 건조대 본체(110)와 건조대 본체(110)의 밑면 윗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건조대 본체(110)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자중에 의해 건조대 본체(110)의 밑바닥으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수분 배출부(120)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자중에 의해 건조대 본체(110)의 밑바닥으로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구(121)를 구비하고 있다. Looking at the drying rack 20 for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1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e drying rack 2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rack main body 110 and the drying rack main body 110, and the drying rack main body. It is composed of a water discharge unit 120 for discharging the moisture of food waste contained in 110 to the bottom of the drying unit body 110 by its own weight. The water discharge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121 for discharging water from food waste to the bottom of the drying unit main body 110 by its own weight.

수분 배출부(120)의 양면에는 돌기(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123)는 수분 배출부(120)가 건조대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건조대 본체(110)의 돌기 수용구(111)에 장착된다. 별도의 돌기(123)와 돌기 수용구(111) 없이 수분 배출부(120)가 건조대 본체(110)의 밑면 위부분에 장착되기도 한다. 수분 배출부(120)의 밑면에는 수분 배출부(120)와 건조대 본체(110)의 밑바닥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분 배출부의 지지 수단(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Protrusions 12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discharge unit 120, and the protrusions 123 may include protrusion protrusions 111 of the drying unit body 110 such that the water discharge unit 120 can be rotated to the drying unit body 110. ) Is mounted. Without a separate protrusion 123 and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 111, the water discharge unit 120 may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unit body 110. Supporting means (not shown) of the water discharge unit for maintain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water discharge unit 120 and the bottom of the drying unit main body 11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unit 120.

수분 배출부(120)는 건조대 본체(110)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자중에 의해 건조대 본체(110)의 밑바닥으로 배출하며, 건조대 본체(110)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와 건조대 본체(110)의 밑바닥으로 배출된 수분을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시킴으로써, 건조대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를 더욱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 unit 120 discharges the moisture of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ying unit body 110 to the bottom of the drying unit body 110 by its own weight, and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ying unit body 110 and the bottom of the drying unit body 110. By keeping the moisture discharged from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ying rack can be dried more quickly.

도 3은 건조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cessing the drying food waste.

도 3을 참고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1)의 개방 도어(11)를 열어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건조대(20)를 본체(10)의 외부로 꺼낸다. 수분 배출부(120)가 돌기(123)에 의해 건조대 본체(110)에 장착되는 경우, 건조대 본체(110)를 거꾸로 돌려 건조대 본체(110)에 담겨진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와 건조대 본체(110)의 밑바닥에 남아 있는 수분을 쓰레기 봉투나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버린다. 수분 배출부(120)가 별도의 돌기(123) 없이 건조대 본체(1100)에 배치되는 경우, 수분 배출부(120)를 건조대 본체(110)에서 꺼내어 수분 배출부(120) 위에 놓여진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쓰레기 봉투나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버리고 다시 건조대 본체(30)에 남아 있는 수분을 쓰레기 봉투나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버린다.Looking at the processing of the dried food waste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3, the user opens the open door 11 of the food waste drying apparatus 1 to open the drying table 20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10 Take it out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water discharging unit 120 is mounted to the drying unit body 110 by the protrusion 123, the dried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ying unit body 110 and the bottom of the drying unit body 110 are turned by turning the drying unit body 110 upside down. Throw away any excess water in your garbage bag or food waste container. When the water discharging unit 120 is disposed on the drying unit body 1100 without a separate protrusion 123, the dried food waste placed on the water discharging unit 120 by removing the water discharging unit 120 from the drying unit body 110. To the garbage bag or the food waste container, and discards the water remaining in the drying unit main body 30 again in the garbage bag or the food waste container.

위에서 설명한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의 경우, 수분 배출부가 건조대 본체의 밑면 윗부분에 돌기에 의해 장착되거나 돌기 없이 장착된다. 따라서 돌기에 의해 수분 배출부가 건조대 본체에 장착된 건조대의 경우, 건조대 밑바닥에 남겨진 수분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떨어져 사용자는 남겨진 수분을 처리하기 곤란하다. 또한 돌기 없이 수분 배출부가 건조대 본체에 장착된 경우, 수분 배출부를 건조대 본체에서 분리하여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 다시 건조대 본체의 밑바닥에 남겨진 수분을 별도로 처리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수분 배출부를 건조대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에 냄새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묻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drying tray for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the water discharge unit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unit main body by a protrusion or without a protrusion.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drying rack equipped with the moisture discharging unit by the projection, the moisture left at the bottom of the drying rack falls along with the dried food waste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process the remaining water. In addition, when the moisture discharge unit is mounted to the drying unit without protrusions,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the moisture discharge unit from the drying unit body and discard the dried food waste and to separately process the water left at the bottom of the drying unit bod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isture of the smelly food waste on the user's hand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본 고안은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가 가지는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사용자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와 건조대에 남겨진 수분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inconvenience of the conventional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drying rack,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handle the dried food waste and the moisture left in the drying rack It is to provide a drying rack.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때 건조대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ing stand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the moisture of the food waste from falling off when the dried food waste is discarded.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는 음식물 쓰레기를 담고 있으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아래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건조부와 건조부 하단에 건조부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저장하기 위한 수분 저장부와, 수분 저장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건조부의 배출구와 접촉하여 배출구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Drying rack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food waste, and a drying unit hav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down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down and is detachably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drying unit and discharge outlet It comprises a moistur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oisture discharged from, and a moisture removal unit detachably mounted to the moisture storage unit and removes the water remaining in the outlet in contact with the outlet of the drying unit.

본 고안은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effects as follows, compared to the drying rack for a conventional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는 밑면에 다수의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는 건조부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저장하는 수분 저장부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이중으로 제작함으로써,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와 수분을 모두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First, the drying table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ed by making the dry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on the bottom and a moistur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water of the food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s detachably from each other, The food waste and moisture can be disposed of conveniently.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는 건조부의 배출구와 접촉하여 상기 배출구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를 구비함으로써, 건조부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the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drying r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water removing unit for removing moisture remaining in the outlet by contacting the outlet of the drying unit, the moisture of the food waste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ying unit You can prevent it from falling on the floo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drying rack for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의 분 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ing rack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200)는 크게 건조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담고 있는 건조부(210)와 건조부에 담겨진 음식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저장하는 수분 저장부(220)로 구성되어 있다.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4, the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drying rack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scharged from the drying unit 210 and the food contained in the drying unit containing the food to be dried It is composed of a moisture storage unit 220 for storing the moisture.

건조부(210)의 밑면에는 밑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구(215)가 형성되어 있으며, 건조부(210)와 수분 저장부(220)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손잡이(211, 221)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수분 저장부(220)와 수분 저장부(220) 위에 배치되어 있는 건조부(210)를 서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drying unit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outlets 215 penetrating the bottom, and the drying unit 210 and the water storage unit 220, respectively, handles 211 and 221 are formed separately. The water storage unit 220 and the drying unit 210 disposed on the water storage unit 2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ying rack for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로 살펴보면, 건조대(210)에는 건조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250)가 담겨져 있으며, 건조부(210)의 밑면(213)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의 배출구(215)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250)에 저장되어 있던 수분이 음식물 쓰레기(250)의 자중에 의해 수분 저장부(220)로 배출된다.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250)의 수분(260)은 건조부(210)와 수분 저장부(220)의 결합시 형성되는 수분 저장부(220)의 내부 공간에 채워진다.Referring to FIG. 5, the drying rack 210 contains the food waste 250 to be dried, and the food waste (215) through a plurality of outlets 215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213 of the drying unit 210. Water stored in the 250 is discharged to the water storage unit 220 by the weight of the food waste 250. The water 260 of the discharged food waste 250 is fi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water storage unit 220 formed when the drying unit 210 and the water storage unit 220 are combined.

건조부(210)와 수분 저장부(220)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건조부(210)는 수분 저장부(220)의 상단에 배치된다. 원안에 도시되어 있는 건조부(210)와 수분 저장부(220)의 착탈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조부(210)의 하단은 폭이 줄어들게 형성되어 있으며 건조부(210)의 걸림턱(217)이 수분 저장부(220)의 걸림대(227)에 걸쳐져 건조대(210)의 밑면이 수분 저장부(220)의 밑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수분 저장부(220)에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건조부(210)에 삽입 배치되어 있는 수분 저장부(220)를 분리하여 건조부(210)에 담겨진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만을 버리거나 수분 저장부(220)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만을 버릴 수 있다.The drying unit 210 and the moisture storage unit 220 are separately manufactured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and the drying unit 210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moisture storage unit 220. Looking at the detachment state of the drying unit 210 and the moisture storage unit 220 shown in the circle in more detail, the lower end of the drying unit 210 is formed to reduce the width and the locking step 217 of the drying unit 210 ) Across the hanger 227 of the moisture storage unit 220 is inserted into the moisture storage unit 220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rack 210 maintain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isture storage unit 220. Therefore, the user may separate the moisture storage unit 220 inserted into the drying unit 210 and discard only the dried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ying unit 210 or discard only the water of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moisture storage unit 220. have.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는 크게 건조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한 내부 공간과 음식물 쓰레기에 저장된 수분을 음식물 쓰레기의 자중에 의해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건조부(210), 건조부(210)에 담겨진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수분을 저장하는 수분 저장부(220) 및 건조부(210)와 수분 저장부(220) 사이에 위치하며 수분 저장부(220)의 상단에 배치되는 다수의 수분 제거부(230, 240)로 구성되어 있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ing rack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yer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y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for discharging the water stored in the food waste and the internal space for containing the food waste to be largely dried (210), the water storage unit 220 for storing the moistur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from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ying unit 210 and the drying unit 210 and the water storage unit 220 is located between the water storage unit (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ater removal unit 230, 240 disposed on the top of the 220.

도 6(a)를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수분 제거부의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분 저장부(220)의 상단에는 수분 제거부(23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228)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bar) 타입의 수분 제거부(230)는 수분 저장부(220)의 상단 내부에 장착홀(228)을 통해 장착된다.Looking at an example of the water remov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6 (a) in more detail, the mounting hole 228 for mounting the water removal unit 23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water storage unit 220 The bar type water removing unit 230 is mounted through the mounting hole 228 inside the upp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220.

바 타입의 수분 제거부(2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 7(a)를 참고로 살펴보면, 바 타입의 수분 제거부(230)는 몸통부(231), 탄성 접촉부(235) 및 수분 제거부(230)를 수분 저장부(220)의 장착홀(228)에 삽입 장착하기 위한 장착 돌기(233)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235)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탄성 접촉부(235)의 폭은 탄성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단으로 갈수록 줄어들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탄성 접촉부(235)는 몸통부(231)와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탄성 접촉부(235)의 수명을 다하는 경우 교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which illustrates the bar type water removing unit 230 in more detail, the bar type water removing unit 230 may include a body 231, an elastic contact unit 235, and a water cleaning agent. The rejection 230 is formed of a mounting protrusion 233 for inserting and mounting the mounting hole 228 of the water storage unit 220.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35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and the width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35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decrease toward the top to improve the elastic force. Preferably,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35 is mount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ody portion 231 can be replaced when the life of the elastic contact portion 235 runs out.

도 6(b)를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수분 제거부의 다른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분 저장부(220)의 상단에는 수분 제거부(24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228)이 형성되어 있으며, 롤러(roller) 타입의 수분 제거부(240)는 수분 저장부(220)의 상단 내부에 장착홀(228)을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Looking at another example of the water remova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6 (b) in more detail, the mounting hole 228 for mounting the water removal unit 24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water storage unit 220 The roller-type water removing unit 240 is rotatably mounted in the upper end of the water storage unit 220 through the mounting hole 228.

롤러 타입의 수분 제거부(24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 7(b)를 참고로 살펴보면, 롤러 타입의 수분 제거부(240)는 몸통부(241) 및 수분 제거부(240)를 수분 저장부(220)의 장착홀(228)에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 장착하기 위한 장착 돌기(243)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몸통부(241)의 외부 표면에는 수분 흡입력이 높거나 또는 표면 장력이 높은 재질의 접촉부(245)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7 (b), which illustrates the roller type water removing unit 240 in more detail, the roller type water removing unit 24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water content to the body 241 and the water removing unit 240. A mounting protrusion 243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28 of the storage unit 220 so as to be rotatable.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4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act portion 245 of a material having a high water suction force or high surface tension.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8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drying stand for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를 참고로 바 타입의 수분 제거부(230)를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의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건조부(210)와 수분 저장부(220)를 분리하여 건조부(210)에 담겨 있는 건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쓰레기 봉투 또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버리기 전, 건조부(210)를 앞으로 잡아당겨 건조부(21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중 수분 저장부(220)로 배출되지 않고 배출구에 남아 있는 수분(290)을 바 타입의 수분 제거부(230)로 제거한다.Referring to the method of using a drying machine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bar type water removing unit 230 with reference to FIG. 8 (a), the user separates the drying unit 210 and the water storage unit 220 to dry them. Before throwing the dried processed food waste contained in the unit 210 into a garbage bag or a food waste container, pull the drying unit 210 forward to store moisture in the water of the food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drying unit 210. The water 290 remaining in the outlet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part 220 is removed by the bar type water removal part 230.

도 8(b)를 참고로 롤러 타입의 수분 제거부(240)를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의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건조부(210)와 수분 저장부(220)를 분리하여 건조부(210)에 담겨 있는 건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쓰레기 봉투 또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버리기 전, 건조부(210)를 앞으로 잡아당겨 건조부(21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 중 수분 저장부(220)로 배출되지 않고 배출구에 남아 있는 수분(290)을 롤러 타입의 수분 제거부(230)로 제거한다.Referring to the method of using a drying machine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roller-type water removing unit 240 with reference to FIG. 8 (b), the user separates the drying unit 210 and the water storage unit 220 to dry Before throwing the dried processed food waste contained in the unit 210 into a garbage bag or a food waste container, pull the drying unit 210 forward to store moisture in the water of the food wast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drying unit 210. The water 290 remaining in the outlet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part 220 is removed by the roller type water removal part 230.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예를 들어, 본 고안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배출구의 수와 모양을 다르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를 통해 건조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저장하는 수분 저장부의 깊이를 다르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수분 저장부에 장착되는 수분 제거부의 모양과 수를 다르게 제작할 수 있으며, 수분 제거부를 수분 저장부에 삽입 장착하는 대신 수분 저장부에 걸치도록 장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number and shape of the discharge port can be manufact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moistur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oisture of food waste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waste to be dried through the drying rack for the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Different depths can be produc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hape and number of the water removing unit mounted on the water storage unit may be manufactured differently, and the water removing unit may be mounted so as to span the water storage unit instead of being inserted into the water storage unit. .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 건조 방식을 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a conventional drying method.

도 2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용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ing rack for a food waste drying apparatus.

도 3은 건조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cessing the drying food waste.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ing rack for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ying rack for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ing rack for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분 제거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remo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8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drying stand for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200: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200: drying rack for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210: 건조부 220: 수분 저장부210: drying unit 220: moisture storage unit

230: 바 타입 수분 제거부 240: 롤러 타입의 수분 제거부230: bar type water removal unit 240: roller type water removal unit

Claims (4)

음식물 쓰레기에 온풍을 가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에 있어서,In the drying rack for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which adds warm air to food waste and drys food waste,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담고 있으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건조부;A drying unit containing the food waste and hav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상기 건조부 하단에 상기 건조부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을 저장하기 위한 수분 저장부; 및A moisture storage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rying unit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drying unit and storing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상기 수분 저장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건조부의 배출구와 접촉하여 상기 배출구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부를 포함하며,Removably mounted to the moisture storage unit and includes a water removal unit for removing the water remaining in the outlet in contact with the outlet of the drying unit, 상기 수분 제거부에서 상기 배출부와 접촉하는 부분은 탄성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The portion of the water removing unit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portion is a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제거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removing unit 상기 수분 저장부에 회동 가능하게 착탈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용 건조대.Drying rack for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ter storage.
KR2020080011378U 2008-08-26 2008-08-26 Dry case used in food waste handling machine KR20045169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378U KR200451692Y1 (en) 2008-08-26 2008-08-26 Dry case used in food waste handl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378U KR200451692Y1 (en) 2008-08-26 2008-08-26 Dry case used in food waste handl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387U KR20100002387U (en) 2010-03-08
KR200451692Y1 true KR200451692Y1 (en) 2011-01-05

Family

ID=4419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378U KR200451692Y1 (en) 2008-08-26 2008-08-26 Dry case used in food waste handl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692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135U (en) * 1998-02-14 1999-09-15 오해일 Food waste moisture removal device
KR20070119889A (en) * 2006-06-16 2007-12-21 임재숙 Drying apparatus for food tras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135U (en) * 1998-02-14 1999-09-15 오해일 Food waste moisture removal device
KR20070119889A (en) * 2006-06-16 2007-12-21 임재숙 Drying apparatus for food tra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387U (en) 201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554B1 (en) A treatment apparatus of a food refuse for a sink
KR20170124324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food waste
KR200451692Y1 (en) Dry case used in food waste handling machine
KR100880786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garbage
CN212557723U (en) Separable kitchen multifunctional garbage can
KR100958817B1 (en) Disposal system of food wastes
CN108213047A (en) A kind of intelligent garbage collects processing stocking system
KR100716499B1 (en)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KR100797642B1 (en) A food waste disposer
CN211140403U (en) Refuse treatment device for afforestation
KR101203799B1 (en) Apparatus for treating garbage
KR101646956B1 (en) Multipurpose storage tray
US20110146719A1 (en) Bio hazard spill cleanup system for home and institutional use
CN218074763U (en) Ecological environmental protection lavatory of anhydrous type
KR200388684Y1 (en)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KR100781109B1 (en) Apparatus for drying foodwaste
KR200255753Y1 (en) a food wastes cutting dryer
KR200397920Y1 (en) A food waste disposer
CN216639227U (en) Automatic change solid useless processing apparatus of mud
KR200440555Y1 (en) Tool for collecting food waste
CN212173363U (en) Remove garbage bin of peculiar smell family life
KR101345231B1 (en) Food waste disposer in collection
CN109677815A (en) A kind of dustbin
KR20130001358A (en) Food-garbage processing apparatus
KR200216991Y1 (en) Multi-purpose kitchen s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