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642B1 - A food waste disposer - Google Patents
A food waste dispo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7642B1 KR100797642B1 KR1020050064394A KR20050064394A KR100797642B1 KR 100797642 B1 KR100797642 B1 KR 100797642B1 KR 1020050064394 A KR1020050064394 A KR 1020050064394A KR 20050064394 A KR20050064394 A KR 20050064394A KR 100797642 B1 KR100797642 B1 KR 1007976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drying
- unit
- crushing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2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helical pat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하우징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이를 저장한 후 건조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양만큼 이송스크류에 의해 순차적으로 나누어 이송하는 저장이송부(10); 상기 저장이송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은 물론 한쌍의 파쇄기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부수면서 아래로 이송시키는 건조파쇄부(20); 및 상기 건조파쇄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원통단열부재의 내부에 구비된 건조날개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건조부(5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ood waste is put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for this purpose, the storage transport unit 10 for storing the food waste and then sequentially divided by the transfer screw as much as possible to maximize the drying efficiency; A dry crushing unit 2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transfer unit to dry the food waste, as well as transporting the food waste down while crushing the food waste by a pair of crushing gears; And a drying unit 50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dry crushing unit and completely removing moisture of food waste by a drying wing provided inside the cylindrical heat insulating memb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 및 절단 그리고 건조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수질오염의 주범인 생활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와 습기도 제거하고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1/40까지 감량 배출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서 부피가 작아 싱크대 밑에 간단히 설치 가능하고, 특히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생산성 향상과 아울러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events contamination of living sewage, which is the main culprit of water pollution, during food dehydration, cutting and drying, as well as removing odors and moisture from food waste and removing food waste 1/40. It can be reduced and discharged, and furthermore, it can be easily installed under the sink due to its small volume, and in particular, its structure is simple, which can increase durability, as well as improve workability and work efficiency, and further improve productivity and manufacturing cost. It is to make a drastic reduction, and this is to greatly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저장이송부, 건조파쇄부, 건조부, 음식물 쓰레기. Storage transfer unit, dry crushing unit, drying unit, food waste.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체 구성도 및 사용상태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use state of the food waste treatment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를 보인 구성도. Diagram showing the.
도 2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저장이송부의 분해 사시도이고,Figure 2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transfer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저장이송부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ate of the storage transfer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저장이송부의 평면도이고, (c) is a plan view of the storage transfer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저장이송부의 정면도이며, (d) is a front view of the storage transfer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e)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저장이송부의 측면도이다. (E) is a side view of the storage transfer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건조파쇄부의 분해 사시도이고,Figure 3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 crushing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건조파쇄부의 요부 사시도이며, (b)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dry crushing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건조파쇄부의 요부 평면도이고, (c) is a plan view of main parts of the dry fracture par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건조파쇄부의 하단 요부 구성도이다. (c) is a bottom part of the dry crushing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악취제거부의 사시도이고,Figure 4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dor removing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악취제거부의 평면도이며, (b) is a plan view of the odor removing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악취제거부의 측면도이다. (c) is a side view of the odor removing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건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Figure 5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ying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건조부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drying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건조부의 결합상태 평면도이고, (c) is a plan view of the bonded state of the drying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건조부의 결합상태 정단면도이며, (d) is a sectional front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drying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e)는 본 발명에 적용된 건조부의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다. (e)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nded state of the drying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저장이송부 15: 이송스크류10: transfer storage unit 15: transfer screw
20: 건조파쇄부 23: 파쇄기어 20: dry crushing unit 23: crushing gear
30: 악취제거부 40: 마이크로발생부30: odor removal unit 40: micro generation unit
50: 건조부 51: 원통단열부재50: drying unit 51: cylindrical insulation member
54: 건조날개 56: 개폐판54: drying wing 56: opening and closing plate
본 발명은 주부들이 음식물 쓰레기를 손으로 만지거나 건져낼 필요 없이 싱크대에서 자동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 및 절단 그리고 건조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수질오염의 주범인 생활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와 습기도 제거하고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1/40까지 감량 배출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서 부피가 작아 싱크대 밑에 간단히 설치 가능하고, 특히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생산성 향상과 아울러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er that enables housewives to automatically dispose of food waste in the sink without having to touch or pick up the food waste. More specifically, the food waste is dehydrated, cut and dried. In addition to preventing contamination of domestic sewage, which is the main cause of water pollution, it can remove odors and moisture from food waste, and also reduce and discharge food waste up to 1/40. In particular,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it can not only increase durability, but also improve workability and work efficiency, and further improve productivity and drastically reduce manufacturing costs,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product quality and reliability. I would have to.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다수 출원한 것 중 가장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생산성 향상과 아울러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implest structure among the applicants for which the applicant has applied for a large number of " sink stand attachable food waste disposers " to increase durability, and can improve workability and work efficiency, and further improve productivity. In addition, it is to be noted that it is designed to significantly reduce manufacturing costs.
주지하다시피 무더운 여름에 주부라면 누구나 한번쯤 겪어 보았을 주방에서의 고민거리가 바로 음식물 쓰레기이다. 이와 같이 더운 여름철에는 거의 매일 갖다 버려야 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냄새도 심하고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바로 버려야 되니까 짜증도 나고, 또한 기온이 올라가고 장마철이 다가오면 음식물 쓰레기 악취는 주방에서 최대의 스트레스이다. 더구나 올해부터 음식물 쓰레기 매립이 전면 금지되면서 음식물 처리는 국가적인 관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As you may have noticed, food waste is a problem in the kitchen that any housewife would have experienced once in a hot summer. Like this, in the hot summer, the food waste that is to be taken almost every day has a bad smell. Especially, the food waste has to be thrown away right away. Moreover, since food waste landfilling has been banned since this year, food waste has become a national concern.
또한 우리나라는 전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의 70% 정도가 가정에서 배출되고 있지만,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는 그리 많지 않았다. 그 중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절단→건조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함과 아울러 배출량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Korea, about 70% of the total food waste is emitted from homes, but there are not many devices that dispose of food waste at home. Among them, the "applicable food sink treatment device attached to the sink stand" is to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dehydration → cutting → drying.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는 기술적으로 매우 우수하 나, 많은 부품으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이로 인해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atent appl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nt is very excellent in technology, but the problem is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due to many parts, and this causes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workability and work efficiency.
또한 이와 아울러 구조가 복잡함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In addi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productivity is lowered, resulting in a problem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더하여 종래의 기술은 송풍구가 음식물 찌꺼기에 의해 막히는 문제점과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빠르고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건조부의 열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 열효율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that the tuyeres are clogged by food wast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isture of the food waste can not be removed quickly and completely, and also the problem that the heat of the drying part easily escapes to the outside can not maximize the effect of thermal efficiency. Occur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순차적으로 나누어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저장이송부와, 마이크로파에 의한 수분제거 및 파쇄기어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는 건조파쇄부와, 적은 에너지로 최대의 열효율을 얻어 음식물 쓰레기를 빠른 시간내에 완벽하게 건조시 킬 수 있도록 한 건조부를 구비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 및 절단 그리고 건조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수질오염의 주범인 생활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악취제거부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와 습기도 제거하고. 또한 제4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1/40까지 감량 배출시킬 수 있고, 제5목적은 부피가 작아 싱크대 밑에 간단히 설치 가능하고, 특히 제6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생산성 향상과 아울러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storage transfer unit to sequentially transfer the food waste, and to remove the water by microwaves and cutting food waste by shredding gear The first purpose is to have a dry crushing part and a drying part which can get the maximum thermal efficiency with little energy to dry the food waste completely in a short time, and the second object is the food waste by the above configuration.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of domestic sewage, the main culprit of water pollution during the process of dehydration, cutting and drying, the third purpose is to remove odor and moisture of food waste by odor removal unit. In addition, the fourth purpose can reduce and discharge food waste up to 1/40, and the fifth purpose is small and can be easily installed under the sink. Especially, the sixth purpose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increase durability. In order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further improve productivity and significantly reduce manufacturing costs, the seventh objective is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duct.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절단→건조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함과 아울러 배출량도 대폭 감소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이를 저장한 후 건조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양만큼 이송스크류에 의해 순차적으로 나누어 이송하는 저장이송부; 상기 저장이송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은 물론 한쌍의 파쇄기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부수면서 아래로 이송시키는 건조파쇄부; 및 상기 건조파쇄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원통단열부재의 내부에 구비된 건조날개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건조부(5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that removes moisture from food waste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dehydration, cutting, and drying,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amount of food waste. Storage transfer unit to store and then sequentially divided by the transfer screw as much as possible to maximize the drying efficiency; A dry crush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transfer unit to dry the food waste as well as to transport the food waste down while crushing the food waste by a pair of crushing gears; And a
이때 상기 저장이송부는, 상부로만 개방되게 공간부가 형성됨은 물론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 바닥 모서리에 설치되는 하부지지구;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며, 배출구가 형성된 플레이트와 이의 일측에 지지관이 형성된 상부지지구; 및 상기 하부지지구와 상부지지구의 사이에 일정 경사각도로 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torage transfer unit, as well as the space portion is formed to be opened only to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formed with an opening; A lower supporter installed at one inner bottom edge of the housing; An upper supporter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having a discharge port and a support tub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transfer screw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between the lower support and the upper support.
또한 상기 건조파쇄부는, 상부분쇄함과 하부분쇄함으로 구비되되, 상부분쇄함의 상단에는 살균력이 강하며 식물이나 물에 잘 흡수되어 열을 발생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마이크로파발생부가 구비되고, 하부분쇄함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간격유지구와 파쇄기어날기어가 상호 조립 구비된 한쌍의 파쇄기어;가 상호 맞물려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ry crushing unit is provided with the upper crusher and the lower crusher, the upper end of the upper crusher is strong sterilizing power and is well absorbed by plants or water to generate heat to remove the moisture of food waste is provided with a lower, In the grinding box, a pair of crushing gears,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ing retainers and crushing gear blades, are assembled at regular intervals.
더하여 상기 건조부는, 하단의 일부가 구멍이 형성된 원통단열부재; 상기 원통단열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건조통; 상기 원통단열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 상기 건조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누르며 이송시키게 누름이송구와 밀착이송구가 형성된 건조날개; 상기 건조날개와 개폐판 그리고 이의 하단에 바닥단열부재이 상호 조립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rying unit, a cylindrical heat insulating member having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hole; A cylindrical drying cylinder provided inside the cylindrical insulating member;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ylindrical insulation memb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 hole; A drying blade installed inside the drying container and having a pressing feed port and a close transfer port for pressing and transporting food waste; It provides a food waste proc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ing wing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the bottom insulation member is installed to each other at the bottom thereof.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The food waste processo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1 to 5.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following terms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and their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먼저, 본 발명은 크게 음식물 쓰레기를 순차적으로 나누어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저장이송부(10)와, 마이크로파에 의한 수분제거 및 파쇄기어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는 건조파쇄부(20)와, 적은 에너지로 최대의 열효율을 얻어 음식물 쓰레기를 빠른 시간내에 완벽하게 건조시 킬 수 있도록 한 건조부(50)를 구비한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a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설거지함(1)의 투입구(2) 하단에는 하우징(11)이 연결되되, 이때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이를 저장한 후 건조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양만큼 이송스크류(15)에 의해 순차적으로 나누어 이송하는 저장이송부(1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저장이송부(10)는, 상부로만 개방되게 공간부(13)가 형성됨은 물론 일측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 바닥 모서리에 설치되는 하부지지구(16)와,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며, 배출구가 형성된 플레이트와 이의 일측에 지지관이 형성된 상부지지구(14) 및 상기 하부지지구와 상부지지구의 사이에 일정 경사각도로 이송스크류(15)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이송스크류(15)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투입구(17a)와 경사지게 배출구(17b)가 형성된 스크류커버(17)가 설치됨은 물론 이 스크류커버의 상단에는 투입호퍼(18)가 설치되어 구성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스크류커버(17)의 투입구(17a)와 배출구(17b)의 외주면에 미세하게 다수의 제1, 2미세공(17c)(17d)이 더 형성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제 2 미세공(17d)은 배출구(17b)의 중심 상부 쪽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and
또한 상기 저장이송부(10)의 일측에는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은 물론 한쌍의 파쇄기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부수면서 아래로 이송시키는 건조파쇄부(2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3, one side of the
상기 건조파쇄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분쇄함(21)과 하부분쇄함(22)으로 구비되되, 상부분쇄함(21)의 상단에는 살균력이 강하며 식물이나 물에 잘 흡수되어 열을 발생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마이크로파발생부(40)가 구비되고, 하부분쇄함(22)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간격유지구(24)와 파쇄기어날기어가 상호 조립 구비된 한쌍의 파쇄기어(23)가 상호 맞물려 구비된다.When explaining the dry crushing in more detail, the
본 발명은 또한 도 1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파쇄부(20)의 하단에 구비되며, 원통단열부재(51)의 내부에 구비된 건조날개(54)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건조부(50)가 구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ry crushing
이때 상기 건조부(50)는, 하단의 일부가 구멍(51a)이 형성된 원통단열부재(51)와, 상기 원통단열부재(51)의 내부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건조통(53)과, 상기 원통단열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56)과, 상기 건조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누르며 이송시키게 누름이송구(54b)와 밀착이송구(54c)가 형성된 건조날개(54)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건조날개(54)와 개폐판(56) 그리고 이의 하단에 바닥단열부재(55)이 상호 조립 설치되어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drying
그리고 이때 상기 누름이송구(54b)는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의 높이로 설치됨은 물론 음식물 쓰레기를 누르면서 이송시키게 일정 간격으로 경사지 게 구비되고, 또한 상기 밀착이송구(54c)는 바닥면과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게 직각인 'ㄴ'자 형상으로 구비된다.And at this time, the pressing port (54b) is installed at a height of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s well a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transported while pressing the food waste, and the close contact port (54c) and the bottom surface It is provided in a 'b' shape at right angles to transport food wast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더하여 본 발명 상기 원통단열부재(51)와 바닥단열부재(55)는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보온재로 구비됨은 물론 내부 바닥면과 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히팅코일(52)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파쇄부(20)의 상단에는 건조부(50)와 건조파쇄부(20)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악취와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제거부(30)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악취제거부(30)는, 상부분쇄함(21)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마개부(31)와, 이 마개부의 일측 상단으로 돌출된 경사면(32)과, 이 경사면의 상단에 연결되어 내부 악취를 흡수하는 송풍기(34) 및 상기 경사면의 상단 일측에는 배기관(6)과 상호 연통되게 배기관연결구(33)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4 at the top of the dry crushing
도면상 미 설명부호 3은 투입구의 일단에 연결되는 오버플로우관이고, 4는 하우징의 하단에 구비되어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이고, 5는 상기 배수관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 유트랩관이며, 7은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담기는 배출함이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3 is an overflow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inlet, 4 is a drain pip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to discharge water, 5 is a utrap pip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 pipe, and 7 is dry. It is a discharge bin containing the food waste.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take various forms in applying the above configura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abov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설명의 편의상 싱크대에 설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독립해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하우징(11)의 내부 공간부(13)에 직접 음식물 쓰레기를 넣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First, although the food waste processo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the sink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can be used independently. That is, food waste can be directly put into the
한편, 상기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에 설치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주부들이 싱크대설거지함(1)에서 설거지를 하다가 남은 물과 음식물 쓰레기는 투입구(2)와 투입호퍼(18) 그리고 스크류커버(17)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이때 물은 바로 배수관(4)으로 배출되고,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스크류(15)의 작동에 의해 건조파쇄부(20)로 유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food waste dispos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sink as shown in Figure 1, housewives wash dishes in the sink (1), the remaining water and food waste is the inlet (2) and the
상기 스크류커버(17)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1차로 저장된 상태로 있다가 이송스크류(15)가 구동하여 건조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양만큼 순차적으로 나누어 배출구(14b)를 통해 건조파쇄부(20)로 유입시킨다.When the food waste is put into the
이때 본 발명 이송스크류(15)의 양단에 구비된 상,하부지지구(14)(16)는 이송스크류(15)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이송스크류(15)가 경사지게 설치된 이유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물기가 하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support (14, 16)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본 발명은 특히 상기 투입구(17a)와 배출구(17b)의 외주면에 다수의 제1,2미세공(17c)(17d)이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투입된 물이 상기 제1,2미세공(17c)(17d)을 통해 직접 배수관(4)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며, 특히 상기 제2미세공(17d)은 배출구(17b)의 상부에만 형성된 것으로, 이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의 내주면 하부를 통해 용이하게 건조파쇄부(20)로 이송되도록 함은 물론 이때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물은 배출구(17b)의 상단에 형성된 제2미세공(17d)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and
상기한 작동에 의해 건조파쇄부(20)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마이크로파발생부(40)의 작동에 의해 1차 건조과정을 거치게 된다.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dry crushing
즉, 상기 마이크로파발생부(40)는 살균력이 강하며 식물이나 물에 잘 흡수되어 열을 발생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는 결과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내부의 수분이 밖으로 빠져나오게 하여 건조시 시간이 오래 걸리게 하는 주원인인 내부의 수분 제거를 빨리 처리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거의 제거하게 되면 이하에서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가 자연스럽게 파쇄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When the food waste is almost removed, the food waste can be naturally broken as shown below.
즉, 상기 상,하부분쇄함(21)(22)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파쇄기어(23)에 의해 절단되는 것으로, 이때 파쇄기어(23)는 간격유지구(24)에 의해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한 쌍이 상호 맞물린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이 한쌍의 파쇄기어(23)의 사이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배출되면 분쇄된 상태로 배출되게 된다.That is, the food wast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artial box (21, 22) is cut by the crushing
상기와 같이 건조파쇄부(20)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건조부(50)로 유입된 후 최종 바싹 말린 상태로 배출함(7)으로 배출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dry crushing
즉, 건조통(53)의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원통단열부재(51)의 내부에 구비된 히팅코일(52)과 바닥단열부재(55)의 내부에 구비된 히팅코일(52)의 발산 열에 의해 말려지게 되는 것으로, 이때 건조날개(54)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는 회전 이동하면서 전체가 골고루 말려지게 된다.That is, the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drying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건조날개(54)의 일측에 구비된 누름이송구(54b)는 바닥에서 일정 거리 떨어져 공중에 구비됨은 물론 사선으로 기울어져 아래 방향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누르면서 이송시키는 역활을 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그리고 건조날개(54)의 타측에 구비된 밀착이송구(54c)는 상기 누름이송구(54b)가 앞에서 바닥면에 밀착시켜 지나간 뒤를 따라 이동하면서 히팅코일(52)(52)에 의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바닥에 눌러 붇지 않도록 따라 돌게 된다. 이렇게 바닥과 벽면의 히팅코일(52)(52)에 의해 뜨거워진 열판에 음식물 쓰레기를 눌러 붙였다 때었다 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1차 내부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외부 수분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And the close-up feed port (54c)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상기와 같은 본원발명의 건조부(50)는 바닥과 벽면에 설치된 히팅코일(52)(52)에 의해 통가열 방식(입체 가열)으로 건조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원통단열부재(51)와 바닥단열부재(55)는 보온재로 구비되어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drying
이후 상기한 작동에 의해 음식물 쓰레가가 바싹 말려지게 되면 원통단열부재 (51)의 일측 하단 구멍(51a)을 막고 있던 개폐판(56)이 솔레노이드(도면상 미 도시함)의 구동에 의해 일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그 구멍(51a)을 통해 바싹 말려진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되어 최종 배출함(7)에 저장된다.Then, when the food waste is completely dried by the above operation, 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와 같이 배출함(7)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는 그 양에 따라 다르지만 4인 가족일 경우 한달에 1~2번만 비워주면 된다.Food waste stored in the discharge box (7) as described above depends on the amount, but if you are a family of four people only need to empty once or twice a month.
한편,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작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악취와 습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odor and moistu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food waste processor.
즉, 건조부(50)와 건조파쇄부(20)에서 발생된 악취 및 수증기에 포함된 습기는 송풍기(34)의 구동에 의해 배기관(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이때 마개부(31)의 일측 상단에 돌출된 경사면(32)은 사다리꼴로 형성되게 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붙어 막히지 않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odor and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drying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순차적으로 나누어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저장이송부와, 마이크로파에 의한 수분제거 및 파쇄기어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는 건조파쇄부와, 적은 에너지로 최대의 열효율을 얻어 음식물 쓰레기를 빠른 시간내에 완벽하게 건조시 킬 수 있도록 한 건조부를 구비한 것으로, 특히 상기한 구성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 및 절단 그리고 건조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수질오염의 주범인 생활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악취제거부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와 습기도 제거하고.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1/40까지 감량 배출시킬 수 있고, 부피가 작아 싱크대 밑에 간단히 설치 가능하다.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생산성 향상과 아울러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transfer unit for sequentially dividing and transporting food waste, a dry crushing unit for cutting water waste by microwaves, and cutting food waste by crushing gears, and maximum energy with little energy. It is equipped with a drying unit which can dry food waste completely in a short time by gaining thermal efficiency. Especially,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ood waste is dehydrated, cut and dried in the process of living sewage, which is the main culprit of water pollution. It is designed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also removes odors and moisture from food waste by the odor removal unit. In addition, the food waste can be reduced to 1/40, and the volume is small, so it can be easily installed under the sink.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durability can be increased, workability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furthermor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thereby greatly improving product quality and reliability.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4394A KR100797642B1 (en) | 2005-07-15 | 2005-07-15 | A food waste dispos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4394A KR100797642B1 (en) | 2005-07-15 | 2005-07-15 | A food waste dispos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0878U Division KR200397920Y1 (en) | 2005-07-18 | 2005-07-18 | A food waste dispos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9264A KR20070009264A (en) | 2007-01-18 |
KR100797642B1 true KR100797642B1 (en) | 2008-01-29 |
Family
ID=3801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4394A KR100797642B1 (en) | 2005-07-15 | 2005-07-15 | A food waste dispos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764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5269B1 (en) * | 2009-05-19 | 2010-04-30 | 한국기계연구원 | Sludge dryer with high efficiency using micro wave |
KR101086105B1 (en) * | 2009-06-30 | 2011-11-25 | (주)한국워터테크놀로지 | Slud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sludge transfer uni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8605B1 (en) * | 2008-09-30 | 2014-07-14 | 코웨이 주식회사 | A Drier of Food Treatment System having the Mix Screw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7512A (en) * | 1999-09-14 | 2001-04-06 | 노현수 | crusher of refuse |
KR20050018727A (en) * | 2003-12-23 | 2005-02-28 | 주식회사 소프트바이오텍 | food-trash processing unit for kitchen |
-
2005
- 2005-07-15 KR KR1020050064394A patent/KR10079764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7512A (en) * | 1999-09-14 | 2001-04-06 | 노현수 | crusher of refuse |
KR20050018727A (en) * | 2003-12-23 | 2005-02-28 | 주식회사 소프트바이오텍 | food-trash processing unit for kitch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5269B1 (en) * | 2009-05-19 | 2010-04-30 | 한국기계연구원 | Sludge dryer with high efficiency using micro wave |
KR101086105B1 (en) * | 2009-06-30 | 2011-11-25 | (주)한국워터테크놀로지 | Slud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sludge transfer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9264A (en) | 2007-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4523128U (en) | A kind of kitchen waste processing equipment | |
JP5325425B2 (en) | Garbage disposal equipment | |
KR101792000B1 (en) | Food-waste disposal apparatus | |
KR101517289B1 (en)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
KR100732941B1 (en) | A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 |
KR100624005B1 (en) | A treatment appratus for waste foods | |
KR20110118315A (en) |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 |
KR100797642B1 (en) | A food waste disposer | |
KR100753808B1 (en) | Drying removal apparatus of a food waste | |
KR200379869Y1 (en) | Processing apparatus of the foodstuffs garbage in a sink | |
KR200397920Y1 (en) | A food waste disposer | |
KR100865831B1 (en) | Food garbage disposer | |
KR101432666B1 (en) | The household food waste disposal method and thereof device | |
KR200410006Y1 (en) | A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 |
KR100716499B1 (en) |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 |
KR101207207B1 (en) | Apparatus having food garbage disposal and kitchen drier | |
KR100825678B1 (en) | Disposal apparatus for food waste | |
KR101345231B1 (en) | Food waste disposer in collection | |
KR200388684Y1 (en) | 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 |
KR200366030Y1 (en) | A food garbage drier whice adheres to the sink | |
KR200345711Y1 (en) | A Dry Apparatus For Foodstuffs Trash | |
KR200216991Y1 (en) | Multi-purpose kitchen sink | |
KR200322837Y1 (en) | Garbage dehydrate dry apparatus | |
KR100624006B1 (en) | A treatment appratus for waste foods | |
KR101400857B1 (en) | Food waste disposal unit and the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