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378Y1 -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 - Google Patents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378Y1
KR200451378Y1 KR2020080014818U KR20080014818U KR200451378Y1 KR 200451378 Y1 KR200451378 Y1 KR 200451378Y1 KR 2020080014818 U KR2020080014818 U KR 2020080014818U KR 20080014818 U KR20080014818 U KR 20080014818U KR 200451378 Y1 KR200451378 Y1 KR 200451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seat
main bod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011U (ko
Inventor
박옥근
Original Assignee
박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옥근 filed Critical 박옥근
Priority to KR2020080014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37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3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2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of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는 화장실에 설치되는 변기의 변기본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변기의 변기본체에 형성된 힌지축에 의해서 변기덮개와 함께 개폐되는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는 타원형의 절반이 잘린 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힌지부가 형성되며, 완충작용을 하도록 부착하여 구성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의 하단부에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트프레임과,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시트프레임을 일체로 감싸도록 형성하는 마감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타원형의 변기본체의 상부의 힌지축에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부가 고정되어 사이 변기본체의 절반을 덮도록 구성되어 힌지축을 축으로 변기덮개와 함께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변기 사용시에 맞닿는 부분을 엉덩이 부분으로 최소화하여 허벅지가 변기시트에 맞닿아 장시간 사용시 발저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편안한 상태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쾌적한 상태에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
변기, 시트, 커버, 변기커버, 변기시트,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

Description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toilet bowl seat for prevention benumbed feet}
본 고안은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변기 사용시에 맞닿는 부분을 엉덩이 부분으로 최소화하여 허벅지가 변기시트에 맞닿아 장시간 사용시 발저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편안한 상태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쾌적한 상태에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거환경이 개선되면서 화장실이 주거공간 내부에 배치되고, 위생관념이 점차 향상됨에 따라 변기(便器) 또한 재래식 형태에서 수세식(水洗式)의 양변기로 대체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라 통칭되는 변기는 설치면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된 변기몸체와, 상기 변기몸체의 상면 뒷부분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앞부분이 상하로 회동되면서 상기 변기몸체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어주는 변기시트와, 상기 변기시트와 함께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면서 상기 변기시트 및 변기몸체상의 공간부를 덮어주는 변기덮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변기덮개를 윗쪽으로 회전시켜 개방시킨 다음, 변기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변기는 변기시트가 변기본체의 상부를 완전히 덮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때, 변기시트에 사용자의 엉덩이와 함께 허벅지가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눌리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에 사용자의 허벅지에서 다리까지 발저림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변기 사용시에 맞닿는 부분을 엉덩이 부분으로 최소화하여 허벅지가 변기시트에 맞닿아 장시간 사용시 발저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편안한 상태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쾌적한 상태에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화장실에 설치되는 변기의 변기본체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변기의 변기본체에 형성된 힌지축에 의해서 변기덮개와 함께 개폐되는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에 있어서, 상기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300)는 타원형의 절반이 잘린 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부(350)가 형성되고, 타측에 힌지부(360)가 형성되며, 완충작용을 하도록 부착하여 구성되는 완충부재(320);와, 상기 완충부재(320)의 하단부에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트프레임(330)과, 상기 완충부재(320)와 상기 시트프레임(330)을 일체로 감싸도록 형성하는 마감부재(340)로 구성되어 상기 타원형의 변기본체(100)의 상부의 힌지축(120)에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부(360)가 고정되어 상기 변기본체(100)의 절반을 덮도록 구성되어 힌지축(120)을 축으로 변기덮개(400)와 함께 개폐되는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320)는 단부에 수직상방으로 반구형의 완충돌기(322)가 형성되는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완충돌기(322)는 해면상의 다공질물질인 스펀지가 형성된 스펀지층으로 형성되는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는 사용자가 변기 사용시에 맞닿는 부분을 엉덩이 부분으로 최소화하여 허벅지가 변기시트에 맞닿아 장시간 사용시 발저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편안한 상태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쾌적한 상태에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 설치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가 적용된 변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가 적용된 변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300)는 화장실에 설치되는 변기(10)의 변기본체(100)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변기(10)의 변기본체(100)에 형성된 힌지 축(120)에 의해서 변기덮개(400)와 함께 개폐되는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300)에 있어서, 상기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300)는 타원형의 절반이 잘린 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부(350)가 형성되고, 타측에 힌지부(360)가 형성되며, 완충작용을 하도록 부착하여 구성되는 완충부재(320);와, 상기 완충부재(320)의 하단부에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트프레임(330)과, 상기 완충부재(320)와 상기 시트프레임(330)을 일체로 감싸도록 형성하는 마감부재(340)로 구성되어 상기 타원형의 변기본체(100)의 상부의 힌지축(120)에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부(360)가 고정되어 상기 변기본체(100)의 절반을 덮도록 구성되어 힌지축(120)을 축으로 변기덮개(400)와 함께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변기(10)는 설치면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110)가 마련되고, 일측 상단에 힌지축(120)가 구성된 변기본체(100)와, 상기 변기본체(100)의 일측 상부에 구성되는 물탱크(200)와, 상기 변기본체(100)의 힌지축(120)에 결합되어 회전하여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300)와 상기 변기본체(100)의 힌지축(120)에 결합되어 회전하여 유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변기시트(130)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변기덮개(400)로 구성된다.
상기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300)는 타원형의 절반이 잘린 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부(350)가 형성되고, 타측에 힌지부(360)가 형성된다.
상기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3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본체(100)의 상부 즉 공간부(110)가 구성된 변기본체의 상부에 구성되는데, 이 때, 변기본체(100) 상부의 절반만을 덮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앉았을 경우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만이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300)에 걸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발저림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완충부재(320)는 완충작용을 하도록 부착하여 구성된다. 상기 완충부재는 사용자가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300)위에 앉았을 경우 쿠션감을 주어 장시간 사용시에도 편안한 느낌을 준다. 상기 완충부재(320)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PVC 등 다양한 재료등을 성형하여 원하는 형태로 제작하여 구성한다.
상기 시트프레임(330)은 상기 완충부재(320)의 하단부에 단단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트프레임(330)은 변기시트의 형상을 유지시켜주며, 사용자가 앉았을 경우 시트프레임(330)이 없으면 주저앉거나 모양이 변형되기 때문에 구성된다.
상기 마감부재(340)는 상기 완충부재(320)와 상기 시트프레임(330)을 일체로 감싸도록 형성하는 마감부재(340)로 구성되어, 완충부재(320)와 시트프레임(330)을 일체로 감싸도록 형성한다.
상기 마감부재(340)는 완충부재(320)와 시트프레임(330)이 보이지 않도록 외측 둘레를 고주파접착 또는 핫멜트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완성한다. 상기의 마감부재(340)는 합성수지, 부직포 등의 천,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타원형의 변기본체(100)의 상부의 힌지축(120)에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부(360)가 고정되어 상기 변기본체(100)의 절반을 덮도록 구성되어 힌지축(120)을 축으로 변기덮개(400)와 함께 개폐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320)는 단부에 수직상방으로 반구형의 완충돌기(3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돌기(3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I)가 변기에 앉았을 경우 사용자의 엉덩이만 상기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300)에 닿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허벅지가 쳐져서 상기 변기본체(100)에 닿아 불쾌한 느낌을 주지 않도록 사용자의 허벅지를 한번 더 올려주어 장시간 사용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완충돌기(322)는 해면상의 다공질물질인 스펀지가 형성된 스펀지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펀지층으로 형성된 완충돌기(322)를 구성하여, 상기 완충부재(320)의 탄성과 스펀지층의 탄성이 다르기 때문에 더욱 세밀하게 사용자가 앉았을 경우 쿠션감을 배가하여 편안함을 증가시켜준다.
부가적으로 스펀지(sponge)는 탄성이 있는 해면상의 다공질물질도 스펀지라고 한다. 이런 것에는 천연고무의 원액을 발포(發泡)시켜 만든 라버형, 합성수지로 만든 우레탄형이 있다. 라버형은 햇볕을 쬐면 노화현상을 일으키고, 또 비누에 약하므로 현재로는 합성수지 제품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쿠션성(性)을 이용하여 침구(요나 방석)나 여러 가지 바킹의 재료, 청소용구 등 여러 방면에 쓰이며, 해면의 대용으로 목욕용·화장용·의료용·세척용 등 다양하게 쓰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가 적용된 변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가 적용된 변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변기 100 : 변기본체
110 : 공간부 120 : 힌지축
200 : 물탱크 300 : 변기시트
320 : 완충부재 322 : 완충돌기
330 : 시트프레임 340 : 마감부재
350 : 개구부 360 : 힌지부
400 : 변기덮개

Claims (3)

  1. 화장실에 설치되는 변기(10)의 변기본체(100)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변기(10)의 변기본체(100)에 형성된 힌지축(120)에 의해서 변기덮개(400)와 함께 개폐되는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300)에 있어서,
    상기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300)는 타원형의 절반이 잘린 형상으로 일측이 개구부(350)가 형성되고, 타측에 힌지부(360)가 형성되며, 완충작용을 하도록 부착하여 구성되는 완충부재(320);와, 상기 완충부재(320)의 하단부에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트프레임(330)과, 상기 완충부재(320)와 상기 시트프레임(330)을 일체로 감싸도록 형성하는 마감부재(340)로 구성되어 상기 타원형의 변기본체(100)의 상부의 힌지축(120)에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부(360)가 고정되어 상기 변기본체(100)의 절반을 덮도록 구성되어 힌지축(120)을 축으로 변기덮개(400)와 함께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20)는 단부에 수직상방으로 반구형의 완충돌기(3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돌기(322)는 해면상의 다공질물질인 스펀지가 형성된 스펀지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트.
KR2020080014818U 2008-11-06 2008-11-06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 KR200451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818U KR200451378Y1 (ko) 2008-11-06 2008-11-06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818U KR200451378Y1 (ko) 2008-11-06 2008-11-06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11U KR20100005011U (ko) 2010-05-14
KR200451378Y1 true KR200451378Y1 (ko) 2010-12-14

Family

ID=4445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818U KR200451378Y1 (ko) 2008-11-06 2008-11-06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37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930Y1 (ko) 2006-04-26 2006-08-02 윤문식 휴대용 좌변기 좌대 시트
KR100821913B1 (ko) 2007-02-12 2008-04-16 김건문 다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좌대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930Y1 (ko) 2006-04-26 2006-08-02 윤문식 휴대용 좌변기 좌대 시트
KR100821913B1 (ko) 2007-02-12 2008-04-16 김건문 다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좌대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11U (ko) 201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3454B2 (ja) 開閉式頭支えが設けられたビーンバッグソファ
US2771612A (en) Cushioned toilet seat
US20070094777A1 (en) Reduced strain toilet seat
KR20150003485U (ko) 양변기용 변기시트
KR200451378Y1 (ko) 발저림 방지용 변기시트
US9756995B2 (en) Reduced strain toilet seat
US20080222789A1 (en) Back Stress Reducing Kneeling Device
US20230146446A1 (en) Portable support cushion
KR200409363Y1 (ko) 변기시트
JP4894434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2016174739A (ja) 着座シート
WO2014124650A1 (en) Seat
KR20160021008A (ko) 변기용 위생 시트 및 변기용 커버
CA2674832A1 (en) Cushioning device for use in a water container
KR200444743Y1 (ko) 좌변기 좌대용 커버
JP2005102843A (ja) 便座装置
KR200450255Y1 (ko) 등받이 겸용 커버가 구비된 양변기
KR200432050Y1 (ko) 가죽소파
KR200462900Y1 (ko) 양변기 커버
JP2005102809A (ja) 便座装置
KR20090008189U (ko) 좌대 및 차가운 변좌 냉기차단 커버
KR200306812Y1 (ko) 좌변기용 좌판커버
JP3210353U (ja) 風呂椅子
JP2008212530A (ja) 半身浴用椅子
JP4461469B2 (ja) カウ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