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323Y1 - 용기수납 배식대 - Google Patents

용기수납 배식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323Y1
KR200451323Y1 KR2020080003265U KR20080003265U KR200451323Y1 KR 200451323 Y1 KR200451323 Y1 KR 200451323Y1 KR 2020080003265 U KR2020080003265 U KR 2020080003265U KR 20080003265 U KR20080003265 U KR 20080003265U KR 200451323 Y1 KR200451323 Y1 KR 200451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se
soup
containers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295U (ko
Inventor
임병로
Original Assignee
임병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로 filed Critical 임병로
Priority to KR2020080003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32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2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2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3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4Contain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 A47J41/006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the elements being detachable or the food holding vessel being re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2031/003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drawers, trays or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체급식을 위한 용기수납 배식대에 관한 것으로서, 밥·국·반찬밥·국·반찬 등이 담긴 용기들을 하나의 케이스에 모두 담아 배식장소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고 배식 후에는 쌓아 보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밥·국·반찬을 담을 수 있는 다수의 용기와; 상기 용기들을 모두 담아 손잡이를 이용한 이동과 받침다리를 이용한 적층이 편리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치원, 어린이 집, 가정 보육시설 등에서 밥·국·반찬용기들이 수납된 하나의 용기수납 배식대를 통해 편리하게 배식할 수 있고, 배식장소로의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용기, 케이스, 급식, 배식

Description

용기수납 배식대 {RECEPTACLE FOR DISTRIBUTING MEAL}
본 고안은 용기수납 배식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밥·국·반찬 등이 담긴 용기들을 하나의 케이스에 모두 담아 급식 장소로 이동할 수 있고, 급식 후에는 쌓아 보관할 수 있는 등 사용이 편리한 용기수납 배식대에 관한 것이다.
유치원, 어린이 집, 가정 보육시설 등에서 이루어지는 배식은, 준비한 밥·국·반찬을 주방에서 나누어 담은 용기들을 배식이 이루어지는 장소의 테이블 위에 배열하여 놓고, 원생들이 줄을 서서 배식을 받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유치원, 어린이 집, 가정 보육시설 등에서는, 나이 또는 학습진도 등을 감안하여 반별로 배식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밥·국·반찬 등을 나누어 담은 여러개의 배식용기를 수회에 걸쳐 운반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이 있다.
또한, 배식이 끝난 후에는 밥·국·반찬 등을 담았던 용기들을 쌓을 수 없어 아무렇게나 주방 주변에 놓게 된다. 따라서, 주방주변의 외관이 지저분하게 되어 교육상 좋지 않고, 세척 및 청소가 어려워 위생상태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식테이블에 밥·국·반찬 등이 담긴 다수의 용기를 배열하다 보면 배식준비 및 배식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 방지에 많은 신경을 많이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들은 교실의 한쪽에 진열해 놓고 배식을 하는 형식이 됨에 따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주변정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밥·국·반찬 등이 담긴 용기들을 하나의 용기수납 배식대에 모두 담아 배식장소로 간단히 이동할 수 있는 등 편리한 이동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식 후 용기수납 배식대 하나에 용기들을 모두 담은 후 세척장소 주위에 쌓아 둘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관리에 대한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용기수납 배식대는, 밥·국·반찬을 담을 수 있는 다수의 용기와; 상기 용기들을 모두 담아 손잡이를 이용한 이동과 받침다리를 이용한 적층이 편리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는 박스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이동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양측면에 수지재로 설치되는 손잡이와, 상기 본체의 바닥 모서리부에 적층할 수 있게 설치되는 받침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손잡이 및 받침다리는, 열이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고, 적층시 소음이 방지되도록 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용기수납 배식대는, 청소가 용이하고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용기수납 배식대의 받침다리를 이용하여 쌓아 둘 수 있어 보관과 정리 정돈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스틸재로 제작된 용기수납 배식대의 세척과 건조가 편리하여 위생 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밥·국·반찬을 담은 용기를 하나의 용기수납 배식대에 모두 넣은 상태에서 배식 장소로 이동할 수 있어 운반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수납 배식대에 밥·국·반찬 등을 모두 담아 배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별로 배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한 만큼 용기수납 배식대에 담아 놓을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보존이 향상되고 시설별 특성에 맞춰 밥·국· 반찬을 구성할 수 있어 배식 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수납 배식대(2)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용기(4)와, 상기 용기(4)가 수납될 수 있는 박스형 케이스(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4)는, 밥·국·반찬을 담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게 덮을 수 있는 뚜껑(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용기(4)는, 밥·국·반찬을 특성에 따라 나누어 담을 수 있도록 일정 크기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있다.
즉, 밥·국 용기(4-1)는, 크게 형성되는 용기를 2개 구비하고, 반찬 용기(4-2)는 반찬을 종류별로 담을 수 있게 크기가 작은 것 3개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한 5개의 용기(4)는, 하나의 세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량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용기(4)는, 수량이 변경되더라도 케이스(6)에 모두 수납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용기(4)는, 세척 및 영구 사용이 가능하도록 스테인레스 스틸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는, 도 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는 박스형태로 본체(7)가 제작된다. 상기 케이스(6)는, 용기(4)들이 걸쳐 질 수 있도록 지지대(10)를 중심 상부에 가로지르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6)는 용기(4)의 수납시 흔들리지 않도록 개방부분의 둘레에 지지턱(1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지지대(10) 및 지지턱(12)에 용기(4)의 테두리가 걸쳐지게 됨으로써 용기(4)는 케이스(6)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상기한 지지대(10) 및 지지턱(12)의 가장자리 둘레는, 안쪽으로 라운드가 형성되도록 구부려 형성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6)가 금속재로 제작된 상태에서도 가장자리가 안전하게 형성됨에 따라 세척시 손이 베이는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지대(10) 및 지지턱(12)의 가장자리 단을 구부려 놓음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된다. 상기 지지대(10) 및 지지턱(12)의 내구성이 향상됨에 따라, 이 부분에 하중이 작용할 때 견고하게 버틸 수 가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는, 양측 면에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4)를 구비한다. 상기한 손잡이(14)는, 스테인레스 스틸재질인 케이스(6)를 통해 열이 손에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6)의 바닥 모서리부에는 받침다리(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다리(16)는, 케이스(6)의 외측 모서리벽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케이스(6)의 적층을 쉽게 한다. 상기 받침다리(16)는, 적층시 케이스(6)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지재 및 기타 완충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유치원, 어린이 집, 가정 보육시설 등의 주방에서 밥·국·반찬을 준비된 각 용기(4)에 담는다. 상기 용기(4)들은 반별로 준비된 케이스(6)에 담는다.
이때, 상기 케이스(6)의 지지대(10)와 지지턱(12)에 용기(4)들이 걸쳐지도록 놓아 수납상태가 안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용기(4)에 뚜껑(8)들을 덮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식을 할 수 있게 준비된 용기수납 배식대(2)들을 케이스(6)의 받침다리(16)를 이용하여 주방 한쪽에 쌓아 놓는다. 용기수납 배식대(2)들을 쌓아 놓음으로써 주변이 정돈되고 혼잡을 피할 수 있다.
배식시간 전에 주방에서 배식준비가 완료되면 케이스(6)의 손잡이(14)를 잡 고 각 반별로 용기수납 배식대(2)를 운반하면 된다.
각 반별로 운반한 용기수납 배식대(2)를 배식용 테이블위에 내려놓고, 용기(4)의 뚜껑(8)을 열어 원생들에게 배식을 하면 된다.
이때 종전처럼 밥·국·반찬을 담은 용기(4)들이 배식 테이블에 노출되지 않고 모두 용기수납 배식대(2)내에 있기 때문에,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수납 배식대(4)에 의하여 용기(4)들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배식이 깔끔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식이 끝난 후에는, 용기수납 배식대(2)에 수납되어 있는 각 용기(4)의 뚜껑을 덮는 상태에서 용기수납 배식대(2)를 주방에 운반시켜 두면 되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정리 정돈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방에 운반된 용기수납 배식대(2)는 쌓아 둘 수 있으므로 종전처럼 많은 용기(4)들로 인한 주방의 혼잡이 해소된다. 그리고 각 용기(4)들이 용기수납 배식대(2)내부에 들어 있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깔끔하게 유지된다. 또한, 용기수납 배식대(2)들을 세척 전까지 쌓아 둘 수 있어 주방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배식 후에 주변의 정리정돈에 쏟는 시간을 줄일 수 가 있다.
그리고 용기수납 배식대(2) 및 용기(4)들이 세척과 건조면에서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위생관리가 편리하다. 또한 용기수납 배식대(2)는 지지대(10) 및 지지턱(12)의 끝이 구부려져 있어 피부가 닿더라도 상처를 입히지 않고 안전하게 세척을 마칠 수 있다.
용기수납 배식대(2) 및 용기(4)들의 세척과 건조가 완료되면 용기들만 모아 보관할 수 있고, 용기수납 배식대(2)는 한쪽에 쌓아 놓으면 되기 때문에, 주방의 위생 유지 관리가 편리하다.
또한, 배식시 용기수납 배식대(2)만 반별로 운반하면 되기 때문에 배식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본 고안은 밥·국·반찬을 담는 용기들을 하나의 용기수납 배식대에 담아 보관하고 쉽게 운반할 수 있어서 위생관리가 향상되고 배식준비를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배식용기 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수납 배식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용기수납 배식대의 적층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용기수납 배식대
4:용기
6:케이스(Case)
8:뚜껑
14:손잡이
16:받침다리
17:테두리

Claims (3)

  1. 밥·국·반찬을 담을 수 있는 다수의 용기(4)와; 상부가 개방되는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이동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양측면에 수지재로 설치되는 손잡이(14) 및 본체(7)의 바닥 모서리부에 적층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받침다리(16)를 포함하는 케이스(6);로 이루어진 용기수납 배식대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6)의 상면 중앙에는 용기(4)의 테두리(17)가 걸쳐지기 위한 지지대(10)가 가로질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6)의 개방부분의 둘레에는 용기(4)의 테두리(17)가 걸쳐지기 위한 지지턱(12)이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0) 및 지지턱(12)의 가장자리 둘레는 안쪽으로 라운드가 형성되도록 구부려지고,
    상기 용기(4)의 수납시 용기(4)의 테두리(17)가 상기 지지대(10) 및 지지턱(12)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수납 배식대.
  2. 삭제
  3. 삭제
KR2020080003265U 2008-03-12 2008-03-12 용기수납 배식대 KR200451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265U KR200451323Y1 (ko) 2008-03-12 2008-03-12 용기수납 배식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265U KR200451323Y1 (ko) 2008-03-12 2008-03-12 용기수납 배식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95U KR20090009295U (ko) 2009-09-16
KR200451323Y1 true KR200451323Y1 (ko) 2010-12-09

Family

ID=4153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265U KR200451323Y1 (ko) 2008-03-12 2008-03-12 용기수납 배식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3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685B1 (ko) * 2013-11-14 2015-06-09 김영훈 모듈화 수납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230A (ja) 1996-10-24 1998-07-07 Kasen Sangyo Kk 配食用食器
KR200347594Y1 (ko) 2004-01-16 2004-04-14 김영호 떡시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230A (ja) 1996-10-24 1998-07-07 Kasen Sangyo Kk 配食用食器
KR200347594Y1 (ko) 2004-01-16 2004-04-14 김영호 떡시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95U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6886B2 (en) Over sink kitchen work station
US20110253649A1 (en) Combination bussing and washing tray and method therefor
US20140246445A1 (en) Angled collapsible container
JP2002112943A (ja) 皿水切り器と盆のセット
US3721349A (en) Portable tray cart
KR200451323Y1 (ko) 용기수납 배식대
US4972955A (en) Device in connection with a box for cutlery
KR100767396B1 (ko) 어린이 급식용 도시락용기
JP2000201879A (ja) 食器類収容具
WO2005020766A2 (en) Combination meal serving tray
US20190343308A1 (en) Tableware Organizer for Large Group Gatherings
US696790A (en) Dinner-pail.
KR20170137499A (ko) 계란 포장 용구
US8196771B1 (en) Portable food organizer
KR101668223B1 (ko) 일회용 식판
JP3242907U (ja) キッチンツール収納装置
KR200467639Y1 (ko) 주방용 다목적 테이블
KR20200030814A (ko) 도마
KR20120010879A (ko) 레저용 조리기구 수납대
JP6282431B2 (ja) 食器篭の取り扱い方法
JP7399634B2 (ja) 食品提供方法及び容器体
KR200426716Y1 (ko) 어린이 급식용 도시락용기
US20190059687A1 (en) Glassware and silverware steamer
TWM539294U (zh) 餐具模組
KR200431708Y1 (ko) 요식업소용 반찬 보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