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203Y1 - 레벨 게이지 - Google Patents

레벨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203Y1
KR200451203Y1 KR2020100008313U KR20100008313U KR200451203Y1 KR 200451203 Y1 KR200451203 Y1 KR 200451203Y1 KR 2020100008313 U KR2020100008313 U KR 2020100008313U KR 20100008313 U KR20100008313 U KR 20100008313U KR 200451203 Y1 KR200451203 Y1 KR 200451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gauge
tube
valve
gaug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신화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화기업(주) filed Critical 신화기업(주)
Priority to KR2020100008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2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2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벨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하단은 개방되고, 측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노출부가 구비된 게이지 몸체와; 상기 게이지 몸체 내부에 삽입 고정되되, 상하단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유체 이동통로가 관통 형성된 관 커플러; 및 상기 관 커플러의 하단에 연결된 하부 투명관과 상기 관 커플러의 상단에 연결된 상부 투명관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지 몸체의 노출부를 통해 노출되는 투명관 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관 커플러는, 상기 게이지 몸체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한 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에는 유체 이동통로가 상하단을 가로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체 이동통로의 내주면 중앙부에는 리브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유체 이동통로의 리브 상하측에 각각 삽입 장착되는 고무링과;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유체 이동통로에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상하측 고무링을 각각 가압하는 누름캡과;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누름캡을 상하측에서 각각 가압하는 누름판과; 상기 각 누름판을 메인바디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투명관의 하단이 상기 저장탱크 내부와 연결됨에 있어 밸브와 게이지 몸체가 별도로 분리되어 연결되어 있고, 저장된 유체가 상기 하부 투명관과, 관 커플러 및 상부 투명관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레벨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벨 게이지{Level gauge}
본 고안은 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레벨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투명관을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레벨 게이지에 있어서, 강도가 약한 상기 투명관들이 견고한 재질의 게이지 몸체 내부에 조립 및 설치되어 충격이나 변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벨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레벨 게이지(level gauge)는 물이나, 유류 또는 윤활유 등의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의 외부에 수직 가설되어, 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정압에 의해 레벨 게이지 내부로 입상되는 유체의 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체의 유량(즉, 레벨)을 체크할 수 있게 하는 계측기구의 일종이다.
이에,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T)의 하부에 하부 게이지 몸체(11)를 구비하고, 탱크(T)의 상부에 상부 게이지 몸체(12)를 구비하며, 이들 게이지 몸체(11,12)를 게이지 커플러(13)에 의해 서로 연결함으로써 레벨 게이지(10)가 탱크(T)에 수직 가설되도록 하였다.
또한, 하부 게이지 몸체(11)와 상부 게이지 몸체(12)의 내부에 각각 유리관(14)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이들 유리관(14)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하고, 상하 이격된 유리관(14)들의 사이에서는 게이지 커플러(13)에 의해 유체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이들을 통해 유체가 입상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수직 가설된 레벨 게이지(10)를 지지하기 위해서, 게이지 커플러(13)와 상부 마감부재(16)는 브라켓(B)을 이용하여 탱크(T) 외부에 고정시키고, 아울러 유리관(14)은 원형의 고정용 관통부를 구비한 관 브라켓(17)을 설치후 볼트(17a)로 체결하였다. 관 브라켓(17)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F)를 통해 탱크(T)의 내부와 연결된 밸브(V)를 통해 유체가 공급되면, 공급된 유체가 하부 유리관(14)과, 게이지 커플러(13) 및 상부 유리관(14)을 따라 입상되며, 이때 상기 유체는 탱크(T)에 저장된 유량의 크기에 따라 입상 높이가 다르므로, 유리관(14)에 나타난 유체의 입상 높이 및 눈금자(15)를 이용하여 탱크(T)에 저장된 유체의 레벨을 계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브라켓(B)을 이용하여 탱크(T) 몸체에 레벨 게이지(10)를 설치하는 도중에, 브라켓(B)의 용접시 발생하는 각종 접합 오류나 혹은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하부 게이지 몸체(11)와, 게이지 커플러(13) 및 상부 게이지 몸체(12)가 평행을 유지하지 못하여 서로 뒤틀리게 되고, 그에 따라 평행하게 삽입 설치된 유리관(14)이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벨 게이지(10)가 설치된 이후라도 당해 탱크(T)가 설치된 선박의 운항 중이나 그 외 운송수단의 운행 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서도 이상과 같이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고, 혹은 비틀림은 발생하지 않는다 하여도 운행중 발생된 변형이 유리관(14)의 유리의 힘으로만 잡아주다보니 유리관(14)이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리관(14)을 고정시켜 주는 수단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 브라켓(17)이 유일한데, 관 브라켓(17)에 형성된 원형의 고정용 관통부(O)와 유리관(14) 사이의 유격이 커서 해당 유리관(14)을 충분히 고정해 주지 못하였으므로, 충격전달을 비롯한 각종 이유로 유리관(14)이 흔들리고 파손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게이지 몸체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내부에 유리관을 내장하여 연결함으로써 유리관의 파손 위험을 경감시킬 수 있는 레벨 게이지를 실용신안등록출원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8861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위 본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에 따르면, 강도가 약한 투명관이 견고한 재질의 일체형의 게이지 몸체 내부에 조립 및 설치되고, 게이지 몸체가 충격이나 변형에 대응하기 용이한 설치 브라켓을 통해 지지됨으로써, 충격이나 변형에 의한 투명관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위 등록실용신안에서는 기존 밸브 사용으로 인해 밸브 속으로 유리관을 삽입하기 때문에 밸브와 유리관이 90'를 유지해야만 하므로 여전히 탱크의 변형이 발생 시 밸브와 유리관 사이에서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기타, 유지보수 관리상의 불편이 존재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레벨 게이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강도가 약한 투명관들이 견고한 재질의 게이지 몸체 내부에 조립 및 설치되어 충격이나 변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관 연결부 및 밸브 연결부, 그리고 상부 마감부재 부분에서의 액체 누출을 방지하고, 유리관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개선된 레벨 게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단은 개방되고, 측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노출부가 구비된 게이지 몸체와; 상기 게이지 몸체 내부에 삽입 고정되되, 상하단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유체 이동통로가 관통 형성된 관 커플러; 및 상기 관 커플러의 하단에 연결된 하부 투명관과 상기 관 커플러의 상단에 연결된 상부 투명관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지 몸체의 노출부를 통해 노출되는 투명관 세트를 포함하되, 상기 관 커플러는, 상기 게이지 몸체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한 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에는 유체 이동통로가 상하단을 가로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체 이동통로의 내주면 중앙부에는 리브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유체 이동통로의 리브 상하측에 각각 삽입 장착되는 고무링과;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유체 이동통로에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상하측 고무링을 각각 가압하는 누름캡과;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누름캡을 상하측에서 각각 가압하는 누름판과; 상기 각 누름판을 메인바디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투명관의 하단이 상기 저장탱크 내부와 연결되어, 저장된 유체가 상기 하부 투명관과, 관 커플러 및 상부 투명관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레벨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 커플러는 상기 게이지 몸체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됨으로써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상하 인접한 2개의 관 커플러 사이에는 연결 투명관이 삽입 연결되어 있고, 최하부의 관 커플러 하단에는 상기 하부 투명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최상부의 관 커플러 상단에는 상기 상부 투명관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게이지 몸체는 상부 투명관과 하부 투명관의 길이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는 일체형 사각 관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게이지 몸체는 상부 투명관과 하부 투명관의 길이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는 'ㄷ'자로 절곡 형성된 좌우 한쌍의 절곡바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바는 상기 관 커플러의 좌우 양측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투명관은, 상기 게이지 몸체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 고정되되 상단과 하단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유체 이동통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밸브커플러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에 결합된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밸브커플러의 하부는 밸브 상단에 구비된 밸브 연결구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밸브의 밸브연결구는 사각 블럭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측 일부가 게이지 몸체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밸브커플러와 접촉되고, 밸브연결구의 내주면에는 고무링이 끼워져 밸브커플러와의 접촉면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 연결구와 밸브커플러는 하방으로부터 관통되는 볼트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게이지 몸체 내부에는 상기 상부 투명관 또는 하부 투명관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리관지지대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유리관지지대는 납작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심측에는 상부 투명관 또는 하부 투명관이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내주면에는 고무링이 끼워져 상부 투명관 또는 하부 투명관의 외주면을 잡아줌에 따라 진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게이지 몸체는 설치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에 고정되되, 상기 설치 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게이지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결합편과; 일단이 상기 탱크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되고 후방측 말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탱크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탱크결합편과; 상기 몸체결합편과 탱크결합편 사이에 구비되어 몸체결합편과 탱크결합편을 상호 이격시켜 절연하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몸체결합편과 탱크결합편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탱크결합편에는 상기 볼트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홈이 형성되어 게이지 몸체와 탱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레벨 게이지에 의하면, 강도가 약한 투명관들이 견고한 재질의 게이지 몸체 내부에 조립 및 설치됨은 물론, 상기 게이지 몸체가 충격이나 변형에 대응하기 용이한 설치 브라켓을 통해 지지됨으로써, 충격이나 변형에 의한 유리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커플러와 밸브커플러 및 마감부재 내부에 실링수단을 게재하여 액체의 누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유리관지지대를 별도로 구비하여 유리관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레벨 게이지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분리형 레벨 게이지의 관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레벨 게이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레벨 게이지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레벨 게이지의 전체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벨 게이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될 투명관은 유체의 상승 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유리관이나 아크릴관을 비롯한 그 외 다양한 투명관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유리관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상부 유리관'은 상부 투명관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고, '하부 유리관'은 하부 투명관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며, '유리관 세트'는 투명관 세트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레벨 게이지(20)는 게이지 몸체(21)와, 게이지 몸체(21)의 내부 중심측에 삽입 고정되는 관 커플러(22)와, 관 커플러(22)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 유리관(23)과, 관 커플러(22)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 유리관(24)과, 하부 유리관(23)과 밸브(V)를 서로 연결하는 밸브커플러(25)와, 게이지 몸체(21)의 상단부를 막는 마감부재(26)와, 게이지 몸체(21)의 측부에 구비된 눈금자(27) 및 게이지 몸체(21)를 저장탱크(이하, '탱크'라 함)에 고정시키는 설치 브라켓(28)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지 몸체(21)는 상부 유리관(24)과 하부 유리관(23)의 길이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유리관(24) 및 하부 유리관(23)을 내부에 수용하되, 일 예로서 단면이 사각인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단과 하단은 각각 개방되고, 측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노출부(S)가 구비되어 있다.
노출부(S)는 게이지 몸체(21)를 소정 폭으로 절개하되 게이지 몸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 가공하거나, 혹은 판을 절곡하여 게이지 몸체(21)를 제작하되 일부(즉, 노출부)만 개방되도록 하는 방식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노출부(S)는 게이지 몸체(21)의 내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게이지 몸체(21) 내부에 삽입 설치될 유리관(23, 24)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게이지 몸체(21)는 금속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을 비롯한 그 외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최소한 당해 레벨 게이지(20)의 설치나 그외 다양한 경우에 전달된 충격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게이지 몸체(21)는 일체형 사각 관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설치의 편의성을 위하여,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ㄷ'자로 절곡 형성된 한쌍의 절곡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좌우 양측의 절곡바(21a,21b)가 후술하는 관커플러(22), 밸브커플러(25) 및 마감부재(26)의 좌우 양측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각각 결합됨에 따라, 내측에는 유리관(23,24)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양측 절곡바(21a,21b)의 이격 배치에 따라 노출부(S)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일체형 사각 관체의 경우와 같이 노출부(S) 형성을 위해 관체를 별도 절개 또는 절곡하는 등의 가공이 필요가 없으며, 분해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관 커플러(22)는, 상기 게이지 몸체(21)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한 사각 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에는 유체 이동통로가 상단과 하단을 가로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체 이동통로의 내주면 중앙부에는 리브(22b)가 형성된 메인바디(22a)와, 상기 메인바디(22a)의 유체 이동통로의 리브(22b) 상하측에 각각 삽입 장착되는 고무링(22c)과,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22a)의 유체 이동통로에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각각 삽입되어 상하측 고무링(22c)을 각각 가압하는 누름캡(22d)과,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누름캡(22d)을 상하측에서 각각 가압하는 누름판(22e)과, 상기 각 누름판(22e)을 메인바디(22a)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볼트(22f)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22a) 전면 좌우 양측에는 게이지 몸체(21), 보다 구체적으로, 좌우 양측의 절곡바(21a,21b)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22g)가 전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2a) 중앙부의 유체 이동통로에는 상측 및 하측으로부터 각각 상부 유리관(24)과 하부 유리관(23)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캡(22d)은 하부가 메인바디(22a)의 유체 이동통로에 삽입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부는 유체 이동통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부가 유체 이동통로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누름판(22e)의 중앙 관통공 외측 표면에 맞대어져 가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게이지 몸체(21)의 절곡바(21a,21b)는 메인바디(22a)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바(21a,21b)를 관통하여 결합공(22g)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메인바디(22a)와 고정 결합되고, 각 절곡바(21a,21b)는 유리관(23,24)의 너비 만큼 이격 고정되어 중앙부에 노출부(S)가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바디(22a)의 유체 이동통로에 상하측으로부터 삽입된 고무링(22c)은 하방 및 상방으로부터 각각 리브(22b)에 지지되고,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누름캡(22d)에 의해 가압되어 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됨에 따라 유체 이동통로에 삽입되는 유리관(23,24)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유리관(23,24)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실링함과 동시에 유리관(23,24)이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캡(22d)은 누름판(22e) 및 볼트(22f)에 의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므로 고무링(22c)의 실링 및 유리관 지지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게이지 몸체(21)가 상하 유리관(23,24)의 길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게이지 몸체(21) 내부에 관 커플러(22)가 삽입 고정되며, 게이지 몸체(21) 내부에 고정된 관 커플러(22)에 의해 상부 유리관(24)과 하부 유리관(23)이 서로 연결되되, 유리관(23,24)과 게이지 몸체(21)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하부 게이지 몸체(도 1의 11)와, 게이지 커플러(도 1의 13) 및 상부 게이지 몸체(도 1의 12)가 뒤틀림에 따라 내부에 평행하게 삽입된 유리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부 유리관(24) 및 하부 유리관(23)은 각각 관 커플러(22)의 상하단에 연결되어 유체의 입상을 안내하며, 이들 상부 유리관(24) 및 하부 유리관(23)이 하나의 유리관 세트(set)를 이룬다.
상부 유리관(24)과 하부 유리관(23)이 각각 관 커플러(22)의 상하측에 연결되면, 상부 유리관(24)과 하부 유리관(23)이 일직선상에 나란히 배치되며, 이와 같이 배치된 유리관 세트는 게이지 몸체(21)의 노출부(S)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유리관(23)으로부터 상부 유리관(24)을 따라 상승(즉, 입상)된 유체의 수준(level)을 체크함으로써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단, 이상에서는 1개의 관 커플러(22)와, 1개의 상부 유리관(24) 및 1개의 하부 유리관(23)을 포함하는 구성을 일 예로 들었다. 그러나, 탱크의 높이가 더욱 높은 경우에는 관 커플러(22)를 복수개 사용하여 여러 개의 유리관을 서로 연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탱크의 높이와 대등한 게이지 몸체(21) 내부에 복수개의 관 커플러(22)를 일정 간격마다 배치하고, 상하 인접한 2개의 관 커플러(22) 사이에는 연결 유리관(미도시)을 삽입 연결하고, 최하부의 관 커플러(22) 하단에는 하부 유리관(23)을 연결하며, 최상부의 관 커플러(22) 상단에는 상부 유리관(24)을 연결하면 될 것이다. 연결 유리관은 관 커플러(22)들 사이에 삽입 연결되므로, 연결 유리관이라 하나, 실제 상부 유리관(24)이나 하부 유리관(23)과 그 기능이나 재질 및 형상 등에서 다를 바 없다.
밸브커플러(25)는 하부 유리관(23)을 밸브(V)의 상단에 구비된 밸브 연결구(V')에 연결 시키기 위한 것으로, 게이지 몸체(21)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한 사각 블럭으로 이루어지되, 중심측에는 유체 이동통로가 상단과 하단을 가로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체 이동통로의 내주면 하부에는 리브(25b)가 형성된 메인바디(25a)와, 상기 메인바디(25a)의 유체 이동통로의 리브(25b) 상측에 삽입 장착되는 고무링(25c)과,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25a)의 유체 이동통로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고무링(25c)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하는 누름캡(25d)과,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캡(25d)을 상측에서 가압하는 누름판(25e)과, 상기 누름판(25e)을 메인바디(25a)의 상측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볼트(25f)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25a) 전면 좌우 양측에는 게이지 몸체(21), 보다 구체적으로, 좌우 양측의 절곡바(21a,21b)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25g)이 전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5a) 중앙부의 유체 이동통로에는 상측으로부터 하부 유리관(23)이 삽입된다.
상기 밸브커플러(25)의 하부는 밸브(V) 상단에 구비된 밸브 연결구(V')에 밀착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V)의 밸브연결구(V')는 대체로 사각 블럭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측 일부가 게이지 몸체(12)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밸브커플러(25)와 접촉되되, 내주면에는 고무링(R)이 끼워져 밸브커플러와의 접촉면에서 실링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밸브 연결구(V')와 밸브커플러(25)는 하방으로부터 관통되는 볼트(25h)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하부 유리관(23)과 밸브커플러(25), 그리고 밸브(V)가 기밀하게 연결되어 외부의 변형이나 충격이 직접 유리관에 닿는 부분이 없어지고 변형이나 충격은 밸브와 게이지 하부 밸브커플러(25) 부분에서 잡히게 되어, 진동없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V)와 게이지 몸체(21) 그리고 밸브커플러(25)가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므로 레벨게이지의 수리 및 유리관과 고무링 등의 교체 등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특히, 게이지의 노후로 인한 유리관에서의 누수시, 고무링의 압착력을 간단하게 재조정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게이지 몸체(21)의 상단부를 막는 마감부재(26)는 하부 유리관(23) 및 상부 유리관(24)을 따라 상승한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게이지 몸체(21)의 상부 개구, 즉, 좌우 양측의 절곡바(21a,21b) 사이에 삽입된 후 볼트에 의해 절곡바(21a,21b)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마감부재(26)는 밸브커플러(25)의 형상 및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즉, 상기 마감부재(26)는 게이지 몸체(21)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한 사각 블럭으로 이루어지되, 중심측에는 유체 이동통로가 상단과 하단을 가로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체 이동통로의 내주면 상부에는 리브(26b)가 형성된 메인바디(26a)와, 상기 메인바디(26a)의 유체 이동통로의 리브(26b) 하측에 삽입 장착되는 고무링(26c)과,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26a)의 유체 이동통로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고무링(26c)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하는 누름캡(26d)과,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캡(26d)을 하측에서 가압하는 누름판(26e)과, 상기 누름판(26e)을 메인바디(26a)의 하측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볼트(26f)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26a) 전면 좌우 양측에는 게이지 몸체(21), 보다 구체적으로, 좌우 양측의 절곡바(21a,21b)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26g)이 전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6a) 중앙부의 유체 이동통로에는 하측으로부터 상부 유리관(24)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감부재(26)는 밸브커플러(25)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되, 상하가 반전된 형태로 배치된다. 위에서는 상기 마감부재(26)의 메인바디(26a)의 중심측이 관통되어 상부면이 개구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마감부재(26)의 상부면은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폐쇄될 수도 있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구되어 에어밴트밸브(미도시) 또는 밸브 등이 삽입 또는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게이지 몸체(21) 내부에는 상기 유리관(23,24)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리관지지대(29)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관지지대(29)는 납작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되 중심측에는 유리관(23,24)이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내주면에는 고무링(29a)이 끼워져 유리관(23,24)의 외주면을 잡아줌에 따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눈금자(27)는 길이 방향을 따라 눈금이 형성되어 있어서 하부 유리관(23) 및 상부 유리관(24)을 따라 상승한 유체의 높이를 수치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눈금자(27)는 게이지 몸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노출부(S)에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된다.
따라서, 게이지 몸체(21)의 노출부(S)를 통해 노출된 하부 유리관(23) 및 상부 유리관(24)의 수준과 눈금자(27)의 눈금을 비교하여 수준을 수치적으로 체크할 수 있게 한다. 다만, 도 3에서는 게이지 몸체(21)에 별도의 눈금자(27)가 부착된 것을 일 예로 들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게이지 몸체(21) 자체에 눈금(미도시)을 표시하거나, 혹은 하부 유리관(23)과 상부 유리관(24) 자체에 눈금(미도시)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설치 브라켓(28)은 당해 레벨 게이지(20)를 탱크에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구성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게이지 몸체(21)를 탱크 표면 또는 탱크 표면에 결합된 브라켓에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나, 절연, 높이 조절 등이 가능하도록 몸체결합편(28a), 탱크결합편(28b) 및 절연체(28d)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결합편(28a)은 일단이 상기 게이지 몸체(21)의 일측에 결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판부재로서, 게이지 몸체(21), 구체적으로, 절곡바(21a,21b)의 측면에 용접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 결합되며, 전방측 말단은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절곡바(21a,21b)의 전면을 커버하여 게이지 몸체(21)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탱크결합편(28b)은 일단이 상기 탱크의 표면 또는 탱크 표면의 브라켓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되는 판부재로서, 후방측 말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탱크 표면 또는 브라켓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 결합된다.
절연체(28d)는 상기 몸체결합편(28a)과 탱크결합편(28b) 사이에 구비되어 몸체결합편(28a)과 탱크결합편(28b)을 상호 이격시켜 절연하기 위한 것으로, 열전도성이 낮은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절연체(28d)에 의하여, 탱크결합편(28d)의 용접시 발생되는 열이 게이지 몸체(21)에 전달되지 않아 게이지 몸체(2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탱크에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절연체(28d)가 완충 역할을 하여 레벨게이지의 손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28d)는 볼트(28e) 및 너트(28f)에 의해 몸체결합편(28a)과 탱크결합편(28b)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탱크결합편(28b)에는 상기 블트(28e)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홈(28c)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볼트(28c)로부터 너트(28f)를 분리한 상태에서 볼트(28c)를 장홈(28c)을 따라 이동시킨 후 너트(28f)를 재결합하여 게이지 몸체(21)와 탱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 플랜지(flange, F)는 탱크와의 연결에 사용되고, 밸브(vlave, V)는 플랜지(F)를 통해 탱크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조립되며 하부에는 배출구가 구비되되 평시에는 폐쇄되어 있다가 전면을 누름에 따라 개방되어 수준 측정에 사용된 유체를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에 의해 정압이 발생하면, 플랜지(f) 및 밸브(V)를 통해 이동된 유체가 하부 유리관(23) 및 상부 유리관(24)을 따라 입상되어 수준이 표시되고, 검사자는 그를 통해 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레벨 게이지(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밸브를 통해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1: 게이지 몸체 22: 관 커플러
23: 하부 유리관 24: 상부 유리관
25: 밸브커플러 26: 마감부재
27: 눈금자 28: 설치 브라켓
V: 밸브 V': 밸브 연결구

Claims (7)

  1. 저장탱크의 외부에 부착되어 상기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유체의 레벨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 게이지(level gauge)에 있어서,
    상단과 하단은 개방되어 있고, 측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 폭으로 개방된 노출부가 구비된 게이지 몸체와;
    상기 게이지 몸체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되, 상단과 하단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유체 이동통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관 커플러; 및
    상기 관 커플러의 하단에 연결된 하부 투명관과 상기 관 커플러의 상단에 연결된 상부 투명관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지 몸체의 노출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투명관 세트(set);를 포함하되,
    상기 관 커플러는,
    상기 게이지 몸체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한 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측에는 유체 이동통로가 상단과 하단을 가로지도록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체 이동통로의 내주면 중앙부에는 리브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유체 이동통로의 리브 상하측에 각각 삽입 장착되는 고무링과;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의 유체 이동통로에 상방 및 하방으로부터 각각 삽입되어 상하측 고무링을 각각 가압하는 누름캡과;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각 누름캡을 상하측에서 각각 가압하는 누름판과; 상기 각 누름판을 메인바디의 상하측에 각각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게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 커플러는 상기 게이지 몸체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치됨으로써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상하 인접한 2개의 관 커플러 사이에는 연결 투명관이 삽입 연결되어 있고, 최하부의 관 커플러 하단에는 상기 하부 투명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최상부의 관 커플러 상단에는 상기 상부 투명관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게이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몸체는 상부 투명관과 하부 투명관의 길이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는 일체형 사각 관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게이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몸체는 상부 투명관과 하부 투명관의 길이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는 'ㄷ'자로 절곡 형성된 좌우 한쌍의 절곡바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바는 상기 관 커플러의 좌우 양측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게이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투명관은, 상기 게이지 몸체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 고정되되 상단과 하단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유체 이동통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밸브커플러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에 결합된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밸브커플러의 하부는 밸브 상단에 구비된 밸브 연결구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밸브의 밸브연결구는 사각 블럭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측 일부가 게이지 몸체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상단부가 밸브커플러와 접촉되고, 밸브연결구의 내주면에는 고무링이 끼워져 밸브커플러와의 접촉면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 연결구와 밸브커플러는 하방으로부터 관통되는 볼트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게이지.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 몸체는 설치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에 고정되되,
    상기 설치 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게이지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결합편과;
    일단이 상기 탱크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되고 후방측 말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탱크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탱크결합편과;
    상기 몸체결합편과 탱크결합편 사이에 구비되어 몸체결합편과 탱크결합편을 상호 이격시켜 절연하는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몸체결합편과 탱크결합편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탱크결합편에는 상기 볼트가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홈이 형성되어 게이지 몸체와 탱크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 게이지.
KR2020100008313U 2010-08-10 2010-08-10 레벨 게이지 KR200451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313U KR200451203Y1 (ko) 2010-08-10 2010-08-10 레벨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313U KR200451203Y1 (ko) 2010-08-10 2010-08-10 레벨 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203Y1 true KR200451203Y1 (ko) 2010-12-02

Family

ID=4447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313U KR200451203Y1 (ko) 2010-08-10 2010-08-10 레벨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2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372B1 (ko) 2015-05-22 2015-09-01 최종옥 표시눈금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저장탱크용 유량 측정기
KR102016317B1 (ko) * 2018-08-27 2019-08-30 주식회사다원시스템 물탱크의 수위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8510A (en) 1964-11-18 1967-12-19 Oil Rite Corp Liquid level gauge and method of making a gauge enclosure
JPS52126856U (ko) 1976-03-23 1977-09-27
JPS5491260U (ko) 1977-12-10 1979-06-28
KR200448861Y1 (ko) 2009-11-24 2010-05-27 신화기업(주) 레벨 게이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8510A (en) 1964-11-18 1967-12-19 Oil Rite Corp Liquid level gauge and method of making a gauge enclosure
JPS52126856U (ko) 1976-03-23 1977-09-27
JPS5491260U (ko) 1977-12-10 1979-06-28
KR200448861Y1 (ko) 2009-11-24 2010-05-27 신화기업(주) 레벨 게이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372B1 (ko) 2015-05-22 2015-09-01 최종옥 표시눈금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저장탱크용 유량 측정기
KR102016317B1 (ko) * 2018-08-27 2019-08-30 주식회사다원시스템 물탱크의 수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837B1 (ko) 배관 이음부 누수 방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US8863974B2 (en) Floating roof support legs with vapor seals
KR200451203Y1 (ko) 레벨 게이지
KR101842478B1 (ko) 신축 연결관 조립체
CN108007654A (zh) 一种管道密封性快速检测装置
US9322487B2 (en) Nuclear grade air accumulation, indication and venting device
KR101422783B1 (ko) 라이닝 판넬을 갖는 저장탱크
KR200448861Y1 (ko) 레벨 게이지
CN202008390U (zh) 磁性翻板液位计
KR100842206B1 (ko) 교량 상부 캔틸레버 구간의 철재빔 처짐진단장치
CN103591274A (zh) 机车齿轮箱油位表
KR200494817Y1 (ko) 온도센서 보호관용 누출 시험장치
CN212252115U (zh) 一种油气泄漏探测装置
CN205855050U (zh) 一种组装式储罐
CN202372266U (zh) 高压容器内温度传感器固定装置
US20080083761A1 (en) Reservoir For Running Material
CN207425557U (zh) 变压器油位监测装置
CN208721344U (zh) 一种蝶阀双面测压装置
KR101707553B1 (ko) 탱크 수위 측정용 센서를 위한 센서 브라켓
KR20140106202A (ko) 와이어 탄성체를 이용한 안전 밸브
CN216524215U (zh) 检测装置及变压器设备
CN213067808U (zh) 一种检测油罐里油位高低的测量装置
CN211197354U (zh) 一种能测温度的防腐罐
CN203703476U (zh) 脱硫塔烟道用膨胀节
CN212513477U (zh) 一种密封性测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