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959Y1 - 캐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 Google Patents

캐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959Y1
KR200450959Y1 KR2020100005192U KR20100005192U KR200450959Y1 KR 200450959 Y1 KR200450959 Y1 KR 200450959Y1 KR 2020100005192 U KR2020100005192 U KR 2020100005192U KR 20100005192 U KR20100005192 U KR 20100005192U KR 200450959 Y1 KR200450959 Y1 KR 200450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rrier
support part
bar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필
류영선
Original Assignee
류영선
유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영선, 유정필 filed Critical 류영선
Priority to KR2020100005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9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8Carrying-frames; Frames combined with sa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0Pack-frames carried on the body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는, 일면에 멜빵이 장착되어 있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타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받침부,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받침부와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2 받침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의 제1 받침부와 제2 받침부 에 낚시에 필요한 모든 물품을 한 번에 적치하여 짊어지고 이동할 수 있어 체력과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받침부 위에도 낚시 용품을 적치할 수 있어 많은 물품을 운반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는 자동차 트렁크내에 적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윗면이 평평한 형태로 되어 있어 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야외에서는 간단한 테이블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carrier and bag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캐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물건을 넣어 들고 다니기에 간편하도록 만든 것으로, 가죽, 천, 비닐, 인조피혁, 알루미늄, 철제 따위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가방에는 책가방, 여행가방, 낚시가방 따위가 있으며, 그 중 낚시가방은 직사각형 형태가 많으며 내부에는 낚싯대, 릴, 찌, 바늘, 추, 따위의 낚시 용품이 보관된다.
낚시가방을 낚시터에 놓을 때에는 길이가 긴 일면이 지면에 닿도록 하여 놓는다. 이때 지면에 있는 물, 흙, 따위의 오염 물질이 낚시가방에 묻게 되면서 낚시가방이 더럽혀지게 되었다. 또한, 낚시가방을 지면에 놓아 보관하면 오염물질이 낚시가방 내부로 침투하는 문제가 있고, 더욱이 침투한 오염물에 의해 낚시 용품이 오염되어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오염 물질이 없는 장소를 찾아 낚시가방을 놓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가방을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놓을 수 있는 캐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는, 일면에 멜빵이 장착되어 있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타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받침부,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받침부와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2 받침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받침부는,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받침부는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받침부와 마주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받침부와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부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는,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제1 받이바 및 제2 받이바 및 상기 제1 받이바와 상기 제2 받이바를 연결하는 복수의 받이 세장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받침부는, 상기 제1 받이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과 마주하며, 상기 제2 받이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회전축,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분리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 결합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연결축, 상기 제1 회전축과 마주하며, 상기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연결축, 그리고 상기 제1 연결축과 상기 제2 연결축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고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으로 제1 연결축에 위치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바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바에는 간격을 두고 위치 조절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바는 상기 제1 연결축과 상기 제2 연결축에 장착되어 상기 위치 조절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되어 있는 캐리어, 그리고 상기 캐리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며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 몸체를 포함 한다.
상기 등받이부, 상기 제1 받침부, 그리고 상기 제2 받침부는 상기 수납몸체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 상기 제1 받침부는 상기 수납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받침부는 상기 수납몸체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의 제1 받침부와 제2 받침부 에 낚시에 필요한 모든 물품을 한 번에 적치하여 짊어지고 이동할 수 있어 체력과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받침부 위에도 낚시 용품을 적치할 수 있어 많은 물품을 운반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에 의하여 낚시 용품을 평지는 물론 비탈진 곳이나 갯바위 등 어떤 지형에서도 견고하고 안정되게 놓아 둘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받침부가 등받이부의 일면에 위치시면 제1 받침부에 적치된 낚시 용품이 지면의 오염물 즉, 물기나 습기, 흙먼지로 인한 장비의 오염이나 훼손을 막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받침부와 제2 받침부가 마주보도록 하고, 등받이 부분이 하늘을 향하도록 뒤집으면 탁자로도 이용할 수 있어 이용성이 향상된다. 이때 제1, 제2 받침 완충 부재에 의하여 캐리어는 경사면에 놓여 있어도 미끄러 지지 않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등 수납 공간이 부족한 공간에서는 캐리어 위에 물품을 안정적으로 적치하여 효율적으로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낚시뿐만 아니라 기타 야외활동을 할 때에도 물품의 운반 도구 또는 물품의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2 받침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3는 도 2에 도시한 Ⅲ-Ⅲ 선을 따라 제2 받침부의 일부를 자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Ⅳ-Ⅳ 선을 따라 제2 받침부의 일부를 자른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제2 받침부의 동작 상태도.
도 9은 도 1에 도시한 캐리어에 가방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캐리어가 수납 몸체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가방이 설치된 캐리어가 지면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1)는 등받이부(110), 제1 및 제2 받침부(120, 130)를 포함한다.
등받이부(110)는 제1 및 제2 받이바(111, 112), 등받이 연장부(113), 그리고 받이 세장바(11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등받이부(110)는 비교적 가벼운 알루미늄 따위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 따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등받이부(110)를 알루미늄, 합성수지 따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받이바(111, 112)는 나란하게 위치하여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받이 세장바(114)로 연결되어 있다. 받이 세장바(114)는 제1 받이바(111)와 제2 받이바(112)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받이바(111, 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등받이부(110)의 일면에는 캐리어(1)을 멜 수 있도록 멜빵(116)이 배치되어 있다. 등받이부(110)의 타면에는 낚시 용품 따위가 적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공간은 제1 받침부(120)와 제2 받침부(120, 130) 사이 공간이다. 멜빵(116)은 받이 세장바(114)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멜빵(116)은 제1 및 제2 받이바(111, 112)에 고정될 수 있다. 멜빵(116)의 장착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멜빵(116)은 띠 형태로 형성되어 가죽, 직조물 따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멜빵(116)이 위치한 등받이부(110)의 일면에는 판재(도시하지 않음) 따위가 설치될 수 있다. 판재는 푹신하게 재질로 만들어져 쿠션 기능을 한다. 푹신한 판재에 의하여 이용자는 캐리어(1)를 편하게 메고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등받이부(110)는 적치된 낚시 용품의 크기에 따라 제1 및 제2 받이바(111, 112)의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도록 등받이 연장부(113)를 더 포함한다.
등받이 연장부(113)는 제1 및 제2 받이바(111, 112)의 양쪽 끝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등받이 연장바(1131), 그리고 등받이 연장 고정부(1132)를 포함한다.
등받이 연장바(1131)는 받이바(111, 112)의 양쪽(상부, 하부)에 각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등받이 연장바(1131)는 제1 및 제2 받이바(111, 112)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러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등받이 연장 고정부(1332)는 등받이 연장바(1331)에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스프링(도시하지 않음) 따위로 탄력 지지되어 있다. 아울러, 받이바(111, 112)에는 등받이 연장 고정부(1332)가 끼워지는 위치 조절 구멍 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등받이 연장바(1131)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등받이 연장 고정부(1132)가 위치 조절 구멍에 단계적으로 걸리게 되면서 등받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등받이 연장부(113)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등받이부(110)는 외부 충력으로부터 캐리어(1), 낚시 용품 따위를 보호 할 수 있는 등받이 완충 부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 완충 부재(115)는 등받이 연장바(1131) 끝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받이바(111, 112)의 양쪽 끝에 각기 장착될 수 있다.
등받이 완충 부재(115)는 캐리어(1)를 메고 이동 중 캐리어(1)가 외부 물체에 부딪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 시켜 캐리어(1)어 보호와 적치된 낚시 용품을 충격으로부터 보호 한다. 등받이 완충 부재(115)는 캐리어(1)을 지면에 내려 놓을 때 지면에 닿아 등받이부(110)가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등받이 완충 부재(115)는 구 형상으로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등받이 완충 부재(115)는 생략 될 수 있다.
제1 받침부(120)는 등받이부(110)의 타면 일측(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받침부(120)는 제1, 제2 받침바(121, 122), 그리고 받침 세장바(124)를 포함한다.
제1 받침바(121)는 제1 받이바(111)에 수직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제2 받침바(122)는 제2 받이바(112)에 수직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받침바(121)가 제1 받이바(111)에 장착된 부분과, 제2 받침바(122)가 제2 받이바(112)에 장착된 부분에는 각각 보강 리브(125)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리브(125)는 제1 받침부(120) 위에 적치된 낚시 용품의 무게에 의해 제1 받침바(120)가 역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받침 세장바(124)는 제1 받침바(121)와 제2 받침바(12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받침바(121, 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받침 세장바(124)는 제1 및 제2 받침바(121, 122)를 연결하고, 적치된 낚시 용품을 지지한다. 한편, 제1 받침부(120)는 적치된 낚시 용품의 크기에 따라 제1 및 제2 받침바(121, 122)의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도록 제1 받침 연장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받침 연장부(123)는 받침바(121, 1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1 받침 연장바(1231), 제1 받침 연장바(1231)를 고정하는 제1 받침 연장 고정부(1232)를 포함한다. 제1 받침 연장부(123)는 등받이 연장부(113)와 동일하다. 제1 받침부(120)에 적치되는 낚시 용품의 크기에 따라 제1 받침 연장바(1231)를 단계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제1 받침 연장부(123)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1 받침부(12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캐리어(1), 낚시 용품 따위를 보호 할 수 있는 제1 받침 완충 부재(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받침 완충 부재(126)는 제1 받침 연장바(1231)의 끝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받침 완충 부재(126)는 제1 및 제2 받침바(121, 122)의 끝에 각기 장착될 수 있다. 제1 받침 완충 부재(126)는 등받이 완충 부재(115)와 동일하다. 그러나 제1 받침 완충 부재(126)는 생략될 수 있다.
제2 받침부(130)는 등받이부(1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받침부(120)와 소정 간격 떨어져 있다. 제1 받침부(120)와 제2 받침부(130) 사이에 낚시 용품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받침부(130) 위에도 낚시 용품이 적치 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받침부(120, 130) 사이에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 용품이 수납되는 낚시 가방이 적치되고, 제2 받침부(130)위에는 도시 한지 않았지만 뜰채, 살림망, 보조가방, 아이스박스 따위가 적치될 수 있다. 제2 받침부(130)가 위치하는 등받이부(110) 부분에는 제2 받침부(130)에 적치된 낚시 용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134)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끈(134)은 생략될 수 있다. 제2 받침부(130)에 적치되는 낚시 용품의 크기, 수량에 따라 등받이부(110)의 상부에 위치한 등받이 연장바(1131)를 단계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등받이부(110)의 상부 부분을 가변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제2 받침부(13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2 받침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3는 도 2에 도시한 Ⅲ-Ⅲ 선을 따라 제2 받침부의 일부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Ⅳ-Ⅳ 선을 따라 제2 받침부의 일부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2 받침부(130)는 제1 및 제2 회전축(131, 132), 그리고 분리 결합부(13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2 받침부(130)을 평면에서 본 모양은 'H'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2 받침부(130) 모양을'H'자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 받이바(111)의 기설정된 위치에 제1 회전축(131)이 봉 형태의 회전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일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2 받이바(112)의 기설정된 위치는 제2 회전축(132)이 봉 형태의 회전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일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회전축(131)과 제2 회전축(132)은 회전체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다. 예컨대, 회전축(131, 132)과 회전체가 이루는 각이 직각에 가까운 예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70 내지 85ㅀ 정도 기울어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131, 132)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마주하게 되고, 낚시 용품이 적치될 수 있으며, 회전축(131, 132)이 기울어져 있어 낚시 용품을 안정적으로 적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회전축(131)과 제2 회전축(132)은 직각일 수 있다.
한편, 제2 받침부(130)에 적치 되는 낚시 용품에 따라 회전축(131, 132)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제2 받침부(130)는 제2 받침 연장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받침 연장부(135)는 제2 받침 연장바(1351), 제2 받침 연장 고정부(1352)를 포함한다. 제2 받침 연장부(135)는 등받이 연장부(113)와 동일하다. 제2 받침 연장부(135)는 낚시 용품의 크기에 따라 제1 받침 연장바(1351)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제1 및 제2 회전축(131, 132)의 길이를 가변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받침 연장부(135)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2 받침부(13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캐리어(1), 낚시 용품 따위를 보호 할 수 있는 제2 받침 완충 부재(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받침 완충 부재(136)는 회전축(131, 132)의 끝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제2 받침 연장바(1351)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받침 완충 부재(136)는 등받이 완충 부재(115)와 동일하다. 그러나 제2 받침 완충 부재(136)는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분리 결합부(13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분리 결합부(133)는 제1 회전축(131)과 제2 회전축(13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회전축(131)과 제2 회전축(132)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분리 결합부(133)는 제1 연결축(1331), 제2 연결축(1332) 그리고 슬라이드 바(1333)를 포함한다.
제1 연결축(1331)은 제1 회전축(131)에 봉 형태의 회전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연결축(1332)은 제2 회전축(132)에 봉 형태의 회전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연결축(1331)과 제2 연결축(1332)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한다. 제1 연결축(1331)의 길이는 제2 연결축(133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1 연결축(1331)과 제2 연결축(1332)을 2:1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연결축(1331)과 제2 연결축(1332)의 길이는 같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연결축(1331)과 제2 연결축(1332)의 길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슬라이드 바(1333)는 제1 연결축(1331)과 제2 연결축(1332)의 적어도 일부분을 동시에 감싸고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바(1333)는 제1 연결축(1331)과 길이가 같은 수 있다. 그러나 작을 수도 있다.
슬라이드 바(1333)가 제1 연결축(1331)과 제2 연결축(1332)을 동시에 감싸는 경우 제1 연결축(1331)과 제2 연결축(1332)은 회전축(131, 132)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그러나, 슬라이드 바(1333)가 제1 연결축(1331) 위치로 이동하여 제2 연결축(1332)에서 완전하게 벗어나게 되면 제1 연결축(1331)과 제2 연결축(1332)은 각기 회전축(131, 13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축(131)과 제2 회전축(132)이 지지바(111, 112)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바(1333)는 고정부(1335)에 의하여 단계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드 바(1333)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위치 조절 구멍(13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축(1331, 1332)의 내부에는 각각 간격을 두고 결속핀(1336)아 장착되어 있다. 결속핀(1336)의 일측은 연결축(1331, 1332)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은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 조절 구멍(1334)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축(1331, 1332) 내부에는 결속핀(1336)을 탄력 지지하는 압축 스프링(1337)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바(1333)의 위치 조절 구멍(1334)에 결속핀(1336)에 걸리게 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바(1333)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1335)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제2 받침부(130)의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제1 및 제2 연결축이 슬라이드 바에 의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고, 도 6은 제1 및 제2 연결축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며, 도 7은 타측으로 회전된 제1 및 제2 연결축이 마주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고, 도 8은 타측에 위치한 제1 및 제2 지지 연결축이 슬라이드 바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이다.
제2 받침부(130)는 등받이부(110)의 타면에 위치하여 제1 받침부(120)와 마주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2 받침부(130)와 제1 받침부(120)에 낚시 용품이 적치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받침부(130)와 제1 받침부(120)에 낚시 용품이 적치된 상태에서, 등받이부(110)의 타면에 위치한 제2 받침부(130)를 등받이부(110)의 일면에 위치 시킬 수 있다. 또는, 일면에 위치한 제2 받침부(130)를 등받이부(110)의 타면에 위치 시킬 수도 있다.
제2 받침부(130)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 연결축(1331, 1332)를 연결하고 있는 슬라이드 바(1333)를 'A1'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 바(1333)의 일측은 제2 연결축(1332)에서 벗어나 제1 연결축(1331)에 위치한다. 슬라이드 바(1333)가 제1 연결축(1331)으로 이동하면 제1 및 제2 연결축(1331, 1332)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고 슬라이드 바(1333)는 제1 연결축(1331)에 위치한 결속핀(1336)이 슬라이드 바(1333)의 위치 조절 구멍(1334)에 끼워지면서 제1 연결축(1331)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면, 분리된 제1 연결축(1331)을 제1 회전축(131)을 기준으로 'B1' 방향으로 회전 시킨다. 제2 연결축(1332)은 제2 회전축(132)을 기준으로 'B2'방향으로 회전 시킨다. 회전된 제1 및 제2 연결축(1331, 1332)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제1 및 제2 연결축(1331, 1332)은 회전체에 의하여 쉽게 회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면, 제1 및 제2 연결축(1331, 1332)이 분리되어 있어 제1 및 제2 회전축(131, 132)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축(131)을 제1 받이바(111)를 기준으로 'C1'방향으로 회전시켜, 멜방(160)이 위치한 등받이부(110) 일면에 위치시킨다. 제2 회전축(132)을 제2 받이바(112)를 기준으로 'C2'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회전축(131)과 같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제1 및 제2 회전축(131, 132)이 등받이부(110)의 일면에 위치하게 되며 제1 및 제2 연결축(1331, 1332)은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면, 제1 및 제2 회전축(131, 132)의 회전으로 제1 및 제2 연결축(1331, 1332)이 서로 마주하면, 제1 연결축(1331)에 위치하던 슬라이드 바(1333)를'A2'방향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드 바(1333)의 일측이 제2 연결축(1332)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동한 슬라이드 바(1333)는 제1 및 제2 연결축(1331, 1332)을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바(1333)는 제2 연결축(1332)에 위치한 결속핀(1336)이 슬라이드 바(1333)의 위치 조절 구멍(1334)에 끼워지면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이렇게, 제2 받침부(130)가 등받이부(110)의 일면에 위치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1)를 지면에 기대어 놓을 수 있다. 이때, 등받이부(110)의 하부에 있는 등받이 완충 부재(115), 제2 받침 완충 부재(137)가 지면에 닿게 된다.
이렇게 하면 제1 받침부(120)에 적치된 낚시 용품 들이 지면에 닿지 않아 지면에 있는 오염 물질이 낚시 용품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1)가 비스듬하게 지면에 놓여져 있어 캐리어(1)에서 낚시 용품을 쉽게 꺼낼 수 있다.
한편, 캐리어(1)를 메고 이동할 때에는 등받이부(110)의 일면에 위치한 제2 받침부(130)를 등받이부(110)의 타면에 위치 시킬 때 에는 역순으로 동작시켜 위치시킨다.
아울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받침부(120), 제2 받침부(130)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가 되면 등받이부(110)의 일면이 하늘을 보도록 뒤집어 캐리어(1)를 탁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받침 완충 부재(126), 제2 받침 완충 부재(137)가 지면에 닿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에 대하여 도 9 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은 도 1에 도시한 캐리어에 가방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에 따른 가방(2)은 캐리어(1), 그리고 수납 몸체(2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다른 캐리어(1)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즉 캐리어(1)는 사용자가 멜 수 있도록 멜빵(116)이 장착된 등받이부(110), 등받이부(110)의 타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받침부(120), 제1 받침부(120)와 소정 간격 떨어져 등받이부(110)에 장착되어 있으며, 등받이부(11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2 받침부(130)를 포함한다.
수납 몸체(210)는 제1 받침부(120)와 제2 받침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캐리어(1)에 적치된다. 수납 몸체(210)는 대략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가죽, 합성수지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 몸체(210)의 일측에는 수납 몸체(210)의 내부를 여닫기 위한 지퍼, 스냅단추, 매직 테이프 따위의 개폐 수단이 장착되어 있다. 수납 몸체(210)의 내부에는 낚시 찌, 낚시 바늘, 낚싯대 따위의 각종 낚시 용품을 보관할 수 있다. 수납 몸체(210)의 내부에 보관된 용품을 낚시 용품으로 한정 하지 않는다. 즉, 각종 생활용품, 의류 따위가 보관 될 수도 있다.
아울러, 캐리어(1)의 제1 받이바(111), 제2 받이바(112), 제1 받침바(121), 제2 받침바(122)와 마주하는 수납 몸체(210)의 외부면에는 수납 몸체(210)를 캐리어(1)에 분리 결합하는 고정 부재(220)들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220)는 접힘 가능한 제1 부재(221) 및 제2 부재(222)를 포함하며, 제1 부재(221)와 제2 부재(222)는 캐리어(1)를 감싸면서 서로 중첩된다. 제1 부재(221) 및 제2 부재(222)가 중첩된 부분에는 결속 부재(223)가 장착되어 있다. 결속 부재(223)는 제1 부재(221) 및 제2 부재(222)가 캐리어(1)를 감싸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이다. 결속 부재(223)는 매직 테이프, 스냅단추, 지퍼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가방(1)을 캐리어(1)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고정 부재(220)에 의하여 가방(1)은 캐리어(1)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부재(2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받침부(120)와 등받이부(11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몸체(2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받침부(130)는 수납 몸체(210) 외부로 노출된다. 노출된 제2 받침부(130)에는 낚시 용품이 적치될 수 있다. 캐리어(1)와 수납 몸체(2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 몸체(210) 내부에 낚시 용품뿐만 아니라 기타 야외활동을 할 때에도 물품의 운반 도구 또는 물품의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등 수납 공간이 부족한 공간에서는 캐리어 위에 물품을 안정적으로 적치하여 효율적으로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캐리어 110: 등받이부
111: 제1 받이바 112: 제2 받이바
113: 등받이 연장부 1131: 등받이 연장바
1132: 등받이 연장 고정부 114: 받이 세장바
115: 등받이 완충 부재 116: 멜빵
120: 제1 받침부 121: 제1 받침바
122: 제2 받침바 123: 제1 받침 연장부
1231: 제1 받침 연장바 1232: 제2 받침 연장 고정부
124: 받침 세장바 125: 보강리브
126: 제1 받침 완충 부재 130: 제2 받침부
131: 제1 회전축 132: 제2 회전축
133: 분리 결합부 1331: 제1 연결축
1332: 제2 연결축 1333: 슬라이드 바
1334: 위치 조절 구멍 1335: 고정부
1336: 결속핀 1337: 압축 스프링
134: 고정끈 135: 제2 받침 연장부
1351: 제2 받침 연장바 1352: 제2 받침 연장 고정부
136: 제2 받침 완충 부재
2: 가방 210: 수납 몸체
220: 고정부재 221: 제1 부재
222: 제2 부재 223: 결속 부재

Claims (9)

  1. 일면에 멜빵이 장착되어 있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타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받침부,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받침부와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제2 받침부
    를 포함하는 캐리어.
  2. 제1항에서,
    상기 제2 받침부는, 상기 등받이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받침부와 마주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받침부와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부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캐리어.
  3. 제1항에서,
    상기 등받이부는,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제1 받이바 및 제2 받이바 및
    상기 제1 받이바와 상기 제2 받이바를 연결하는 복수의 받이 세장바
    를 포함하는
    캐리어.
  4. 제3항에서,
    상기 제2 받침부는
    상기 제1 받이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과 마주하며, 상기 제2 받이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회전축,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분리 결합부
    를 포함하는
    캐리어.
  5. 제4항에서,
    상기 분리 결합부는,
    상기 제1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연결축,
    상기 제1 회전축과 마주하며, 상기 제2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연결축, 그리고
    상기 제1 연결축과 상기 제2 연결축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고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으로 제1 연결축에 위치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바
    를 포함하는
    캐리어.
  6. 제5항에서,
    상기 슬라이드 바에는 간격을 두고 위치 조절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바는 상기 제1 연결축과 상기 제2 연결축에 장착되어 상기 위치 조절 구멍에 삽입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되어 있는 캐리어, 그리고
    상기 캐리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일측이 개폐 가능하며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 몸체
    를 포함하는 가방.
  8. 제7항에서,
    상기 등받이부, 상기 제1 받침부, 그리고 상기 제2 받침부는 상기 수납 몸체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는 가방.
  9. 제7항에서,
    상기 등받이부, 상기 제1 받침부는 상기 수납몸체 내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받침부는 상기 수납 몸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가방.
KR2020100005192U 2010-05-18 2010-05-18 캐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KR200450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92U KR200450959Y1 (ko) 2010-05-18 2010-05-18 캐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92U KR200450959Y1 (ko) 2010-05-18 2010-05-18 캐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959Y1 true KR200450959Y1 (ko) 2010-11-12

Family

ID=4447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192U KR200450959Y1 (ko) 2010-05-18 2010-05-18 캐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9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026B1 (ko) * 2018-06-20 2019-01-28 정종섭 갯바위 또는 테트라포드 낚시용 저장통 받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936A (ja) 1997-09-04 1999-03-23 Kosuke Iwasaki 折り畳み式多目的野外用具のフレーム構造
US20070090143A1 (en) 2005-10-22 2007-04-26 Cedar Mesa Design Company Llc. System for carrying articles at the front torso of a human being
US20090084821A1 (en) 2007-09-27 2009-04-02 Marco Antonio Lenzi Convertible backpack fr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936A (ja) 1997-09-04 1999-03-23 Kosuke Iwasaki 折り畳み式多目的野外用具のフレーム構造
US20070090143A1 (en) 2005-10-22 2007-04-26 Cedar Mesa Design Company Llc. System for carrying articles at the front torso of a human being
US20090084821A1 (en) 2007-09-27 2009-04-02 Marco Antonio Lenzi Convertible backpack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026B1 (ko) * 2018-06-20 2019-01-28 정종섭 갯바위 또는 테트라포드 낚시용 저장통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1981B2 (en) Retrieval device for use with a compartment or pocket
US20150021871A1 (en) Fishing Rod Storage Container
US20080197756A1 (en) Tool Bag with Attached Compartment
CN104391543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壳体
WO2001049145A1 (en) Storage device
US20100059322A1 (en) Luggage assembly
KR101760809B1 (ko) 다양한 휴대성을 갖는 가방
US20090250460A1 (en) Multi-Purpose Storage Basket
KR200450959Y1 (ko) 캐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방
US5560665A (en) Compact lightweight foldable ski equipment carrier
US20060075677A1 (en) Fishing rod and tackle carrier
WO2008100890A2 (en) Tool container
KR200482104Y1 (ko) 다기능 가방
KR100923136B1 (ko) 낚시용 가방
KR101575745B1 (ko) 휴대용 가방
KR200449755Y1 (ko) 낚시 용품 캐리어
US20070235491A1 (en) Storage device
JP3082428U (ja) 旅行用ケース
JP4849803B2 (ja) ロッドケース
JP2010075210A (ja) 釣用バッグ及び釣用タックルケース
JP3245317U (ja) 測量機用バックパック
KR101437730B1 (ko) 휴대와 사용이 용이한 시장바구니
KR101467911B1 (ko) 쇼핑 카트용 바스켓
JP2019107363A (ja) 物品収納ケース
KR200463635Y1 (ko) 보조 수납 공간이 마련된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