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759Y1 -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 Google Patents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759Y1
KR200450759Y1 KR2020100005379U KR20100005379U KR200450759Y1 KR 200450759 Y1 KR200450759 Y1 KR 200450759Y1 KR 2020100005379 U KR2020100005379 U KR 2020100005379U KR 20100005379 U KR20100005379 U KR 20100005379U KR 200450759 Y1 KR200450759 Y1 KR 200450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foam
oil storage
storage tank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승호
Original Assignee
중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5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7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62C3/065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for containers filled with inflammable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1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for delivering foam or atomised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폼챔버의 점검 시 에어폼의 공급 상태를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점검 후 파손된 실글라스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에어폼을 분출시키는 분출관(A)의 상부에 연결되는 본체(10),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류저장탱크(B)에 연결되는 배출관(11), 배출관(11)의 입구에 밀봉되는 실글라스(12), 본체(10)의 상부에 가스킷(13)으로 밀봉되는 덮개(14)로 구성된 에어폼챔버(C)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의 입구에 설치되어 실글라스(12)가 끼워지는 밀봉홈(15a)과 다수의 고정볼트(15b)를 구비하는 지지링(15); 상기 고정볼트(15b)와 마주하는 볼트공(16a)을 구비하여 지지링(15)에 나비너트(16b)로 체결되는 링커버(16);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설치되어 밀봉홈(17a)과 다수의 고정볼트(17b)가 형성된 플랜지(17c)를 구비하는 테스트관(17); 상기 밀봉홈(17a)에 끼워지는 실플레이트(18); 상기 고정볼트(17b)와 마주하는 볼트공(19a)을 구비하여 플랜지(17c)에 캡너트(19b)로 체결되는 차단판(19)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에어폼챔버(C)의 점검 시 실글라스(12),링커버(16)와 실플레이트(18),차단판(19)의 조립위치를 서로 바꿔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Air form chamber for suppressing fire of oil storage tank}
본 고안은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에어폼챔버의 점검 시 에어폼의 공급 상태를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점검 후 파손된 실글라스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저장탱크는 유류와 같은 가연성 액체 등을 저장하며 그 저장용량이 큰 대형탱크로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유류저장탱크는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가연성 액체를 저장하고, 이러한 가연성 액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내부에서 폭발이 일어나 주변 건물이나 시설로 불이 번지고 인명피해를 발생하는 대형 화재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화재 발생 시 유류저장탱크의 내부로 소화액을 분사하는 특별한 방식의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가 각 유류저장탱크의 측면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는 통상 포수용액을 화재가 발생된 유류저장탱크 내부로 분출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류저장탱크에 설치되는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액체 연료가 대량으로 저장되는 유류저장탱크(1)와, 유류저장탱크(1)의 상부 외측에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에어폼챔버(2)와, 에어폼챔버(2)의 하부에 내부와 연통하도록 수직으로 연결되는 분출관(3)과, 일단은 분출관(3)과 연결되고 타단은 바닥면에 고정되어 에어폼을 공급받는 공급관(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에어폼챔버(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2a)와, 본체(2a)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류저장탱크(1)의 내부와 본체(2a)의 내부를 연결시키는 배출관(2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2a)의 내부와 연통되는 배출관(2b)의 입구측에 실글라스(2c)가 밀봉 설치된다. 이 실글라스(seal glass)(2c)는 유류저장탱크(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화 가스가 본체(2a)측으로 역류되지 못하도록 하며, 유류저장탱크(1)내의 화재 발생 시에는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폼에 의하여 파손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에어폼쳄버(2)는 유류저장탱크(1)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가, 연료의 특성상 휘발성의 액체 연료는 기화가 쉽게 발생되므로 경우에 따라 기화된 가스가 발화되어 유류저장탱크(1)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공급관(4)을 통하여 고압의 에어폼이 공급되고, 이 에어폼은 분출관(3)을 따라 에어폼챔버(2)의 본체(2a)내부에서 실글라스(2c)를 깨고, 배출관(2b)을 통하여 유류저장탱크(1)의 내부로 투입되어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에어폼챔버(2)는 소방법상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며, 이에 종래에는 분출관(3)의 일부를 분리하여 에어폼의 공급 상태만을 점검하였고, 다른 실시예로 에어폼챔버(2)를 직접 유류저장탱크(1)로부터 분리하여 공급되는 에어폼의 배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분출관(3)을 분리하여 점검하는 경우에는 에어폼챔버(2)의 실글라스(2c) 등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과 분출관(3)을 분리하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에어폼챔버(2)를 직접 분리하여 점검하는 경우에는 본체(2a)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는 하지만 이 또한 분리가 힘들뿐만 아니라 테스트로 인해 파손된 실글라스(2c)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에어폼챔버(2)에 있어서는 구조적으로 점검 후 본체(2a)의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폼을 외부로 배수시킬 수 없기 때문에, 동절기 본체(2a)의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폼에 의해 본체(2a)가 동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에어폼챔버의 점검 시 분리가 어려운 분출관 또는 본체를 직접 분리하지 않고 에어폼의 공급 상태를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점검 후 파손된 실글라스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점검 후 본체의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폼을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여, 특히 동절기 본체의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폼에 의해 본체가 동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에어폼을 분출시키는 분출관의 상부에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류저장탱크에 연결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의 입구에 밀봉되는 실글라스(seal glass),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가스킷으로 밀봉되는 덮개로 구성된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입구에 실글라스가 끼워지는 밀봉홈이 구비된 지지링을 설치하고, 상기 밀봉홈에 실글라스를 끼운 상태에서 지지링에 링커버를 나비너트로 체결하여 밀봉시키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 실플레이트(seal plate)가 끼워지는 밀봉홈이 구비된 테스트관을 설치하고, 상기 밀봉홈에 실플레이트를 끼운 상태에서 테스트관에 차단판을 캡너트로 체결하여 밀봉시키되, 상기 에어폼챔버의 점검 시 실글라스,링커버와 실플레이트,차단판의 조립위치를 서로 바꿔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에 따르면, 에어폼챔버의 점검 시 분리가 어려운 분출관 또는 본체를 직접 분리하지 않고 테스트관을 통해 에어폼의 공급 상태를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점검 후 파손된 실글라스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점검 후 본체의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폼을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으므로 동절기 본체의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폼에 의해 본체가 동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류저장탱크에 설치되는 에어폼챔버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종래 에어폼챔버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가”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3의 “나”부 확대단면도.
도 6a,6b는 도 3의 “다”부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6a의 D - D선 단면도.
도 8은 도 3의 “라”부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폼챔버의 점검 시 실글라스,링커버와 실플레이트,차단판의 조립위치를 서로 바꿔서 체결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폼을 분출시키는 분출관(A)의 상부에 연결되는 본체(10),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류저장탱크(B)에 연결되는 배출관(11), 배출관(11)의 입구에 밀봉되는 실글라스(12), 본체(10)의 상부에 가스킷(13)으로 밀봉되는 덮개(14)로 구성된 에어폼챔버(C)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의 입구에 설치되어 실글라스(12)가 끼워지는 밀봉홈(15a)과 다수의 고정볼트(15b)를 구비하는 지지링(15); 상기 고정볼트(15b)와 마주하는 볼트공(16a)을 구비하여 지지링(15)에 나비너트(16b)로 체결되는 링커버(16);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설치되어 밀봉홈(17a)과 다수의 고정볼트(17b)가 형성된 플랜지(17c)를 구비하는 테스트관(17); 상기 밀봉홈(17a)에 끼워지는 실플레이트(18); 상기 고정볼트(17b)와 마주하는 볼트공(19a)을 구비하여 플랜지(17c)에 캡너트(19b)로 체결되는 차단판(19)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에어폼챔버(C)의 점검 시 실글라스(12),링커버(16)와 실플레이트(18),차단판(19)의 조립위치를 서로 바꿔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이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출관(A)은 주지된 바와 같이 화재 발생 시 에어폼챔버(C)의 본체(10)내부로 포수용액을 강하게 분출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분출관(A)에는 에어폼 분출 시 공기가 유입되도록 에어흡입구(A-1)가 구비된다.
상기 유류저장탱크(B)는 주지된 바와 같이 유류와 같은 가연성 액체 등을 저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유류저장탱크(B)의 상부 일측에는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C)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폼챔버(C)는 주지된 바와 같이 화재 발생 시 유류저장탱크(B)의 내부로 에어폼을 분사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는 것으로, 이러한 에어폼챔버(C)는 유류저장탱크(B)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에어폼챔버(C)는 본체(10),배출관(11),실글라스(12),가스킷(13),덮개(14),지지링(15),링커버(16),테스트관(17),실플레이트(18),차단판(1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에어폼을 분출시키는 분출관(A)의 상부에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이러한 본체(10)의 상부 플랜지(10a)에는 다수의 고정볼트(10b)가 고정된다.
상기 배출관(11)은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류저장탱크(B)에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출관(11)은 유류저장탱크(B)의 연결부에 볼트,너트체결을 통해 기밀하게 연결된다.
상기 실글라스(12)는 배출관(11)의 입구에 밀봉되는 것으로, 이러한 실글라스(12)는 평상 시 유류저장탱크(B)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화 가스가 본체(10)측으로 역류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한편 실글라스(12)는 유류저장탱크(B)내의 화재 발생 시 본체(10)내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폼에 의하여 파손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실글라스(12)는 지지링(15)의 밀봉홈(15a)에 끼워지고, 이때 상기 지지링(15)의 밀봉홈(15a)에는 가스킷(12a)을 사이에 두고 실글라스(12)가 끼워진 상태로 밀봉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평상 시 실글라스(12)는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링(15)에 조립되고, 한편 에어폼챔버(C)의 점검 시 실글라스(12)는 도 9에서와 같이 테스트관(17)에 조립된다.
상기 가스킷(13)은 도 8에서와 같이 본체(10)의 상부 플랜지(10a)와 덮개(14) 사이에 기밀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스킷(13)은 본체(10)와 덮개(14) 사이를 기밀하게 밀봉시킨다.
상기 덮개(14)는 본체(10)의 상부에 가스킷(13)으로 밀봉되는 것으로, 이러한 덮개(14)는 본체(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덮개(14)에는 본체(10)의 고정볼트(10b)에 끼워지는 볼트공(14a)이 형성되며, 볼트공(14a)을 통해 상부로 돌출된 고정볼트(10b)에는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캡너트(14b)가 체결되고, 도 3에서와 같이 덮개(14)의 상부에는 분리 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14c)가 부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10)의 상부에 고정볼트(10b)와 캡너트(14b)체결을 통해 덮개(14)가 조립되기 때문에, 에어폼챔버(C)의 점검 시 또는 점검 후 덮개(14)를 한층 더 간단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덮개(14)의 하부에는 분출관(A)과 마주하는 스크린메시(14d)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메시(14d)는 분출관(A)을 통해 에어폼이 분출될 때 거품의 발생을 증대시켜 소화 시 소화성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링(15)은 도 4에서와 같이 배출관(11)의 입구에 설치되어 실글라스(12)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링(15)에는 실글라스(12)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홈(15a)이 형성되고, 또한 지지링(15)에는 링커버(16)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볼트(15b)가 구비된다.
상기 링커버(16)는 도 4에서와 같이 지지링(15)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실글라스(12)를 밀봉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링커버(16)에는 지지링(15)의 고정볼트(15b)에 끼워지는 볼트공(16a)이 형성되고, 볼트공(16a)을 통해 돌출된 고정볼트(15b)에는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나비너트(16b)가 체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지지링(15)에 고정볼트(15b)와 나비너트(16b)체결을 통해 링커버(16)가 조립되기 때문에, 에어폼챔버(C)의 점검 시 또는 점검 후 링커버(16)를 간단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평상 시 링커버(16)는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링(15)에 조립되고, 한편 에어폼챔버(C)의 점검 시 링커버(16)는 도 9에서와 같이 테스트관(17)에 조립된다.
상기 테스트관(17)은 본체(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실플레이트(18)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테스트관(17)은 에어폼챔버(C)의 점검 시 본체(10)내로 분출되는 에어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테스트관(17)의 단부에는 차단판(19)을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17c)가 구비되고, 이때 플랜지(17c)에는 실플레이트(18)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홈(17a)이 형성되며, 또한 플랜지(17c)에는 차단판(19)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볼트(17b)가 형성된다.
상기 실플레이트(18)는 도 5에서와 같이 테스트관(17)의 밀봉홈(17a)에 끼워져 밀봉되는 것으로, 이러한 실플레이트(18)는 유류저장탱크(B)내의 화재 발생 시 본체(10)내로 공급되는 고압의 에어폼이 테스트관(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실플레이트(18)는 고압으로 분출되는 에어폼의 압력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는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평상 시 실플레이트(18)는 도 3에서와 같이 테스트관(17)에 조립되고, 한편 에어폼챔버(C)의 점검 시 실플레이트(18)는 도 9에서와 같이 지지링(15)에 조립된다.
상기 차단판(19)은 도 5에서와 같이 테스트관(17)의 플랜지(17c)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실플레이트(18)를 밀봉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차단판(19)에는 플랜지(17c)의 고정볼트(17b)에 끼워지는 볼트공(19a)이 형성되고, 볼트공(19a)을 통해 돌출된 고정볼트(17b)에는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캡너트(19b)가 체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테스트관(17)의 플랜지(17c)에 고정볼트(17b)와 캡너트(19b)체결을 통해 차단판(19)이 조립되기 때문에, 에어폼챔버(C)의 점검 시 또는 점검 후 차단판(19)을 간단하게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평상 시 차단판(19)은 도 3에서와 같이 테스트관(17)에 조립되고, 한편 에어폼챔버(C)의 점검 시 차단판(19)은 도 9에서와 같이 지지링(15)에 조립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하부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 하부에는 배수관(20)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20)에는 평상 시 개방되고 압력 발생 시 폐쇄되는 드립밸브(3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관(20)은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0)의 경사진 바닥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배수관(20)은 에어폼챔버(C)의 점검 및 진화작업 후 본체(10)내에 잔류하는 에어폼을 외부로 배수시킨다.
상기 드립밸브(30)는 도 3에서와 같이 배수관(20)에 연결되어 평상 시 개방되고 압력 발생 시 폐쇄되는 것으로, 도 6a,6b와 도 7에서와 같이 이러한 드립밸브(30)는 배수관(20)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입공(31a)을 구비하는 상부캡(31)과, 상기 상부캡(31)의 하부에 연결되어 중앙 밸브공(32a)과 방사상으로 연통된 다수의 배수공(32b)을 구비하는 하부캡(32)과, 상기 하부캡(32)에 스프링(33)의 탄력을 받도록 승강가능하게 내장되어 압력 발생 시 밸브공(32a)을 폐쇄시키는 밸브체(34)와, 상기 밸브체(34)에 장착되는 패킹(3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6a에서와 같이 평상시에는 스프링(33)에 의해 밸브체(34)가 상승하여 밸브공(32a)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본체(10)내에 에어폼이 잔류할 경우 잔류하는 에어폼은 유입공(31a)→밸브공(32a)→배수공(32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화재 시 또는 점검 시 본체(10)내로 고압의 에어폼이 분출되면 에어폼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34)는 도 6b에서와 같이 스프링(33)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여 패킹(35)이 밸브공(32a)을 폐쇄시키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배수관(20)이 드립밸브(30)에 의해 폐쇄되어 배수관(20)으로는 에어폼이 배출되지 않는다. 화재진압 후 또는 점검 후 에어폼의 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34)는 도 6a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되어 밸브공(32a)은 다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본체(10)내에 잔류하는 에어폼은 유입공(31a)→밸브공(32a)→배수공(32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C)도 유류저장탱크(B)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기화된 가스가 발화되어 유류저장탱크(B)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분출관(A)으로 고압의 에어폼이 공급되고, 이 에어폼은 분출관(A)을 따라 에어폼챔버(C)의 본체(10)내로 분출되어 실글라스(12)를 깨고, 배출관(11)을 통하여 유류저장탱크(B)의 내부로 투입되어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에어폼챔버(C)의 소방법상 주기적인 점검 시 캡너트(14b)를 풀고 덮개(14)를 분리하고, 나비너트(16b)를 풀고 링커버(16)를 분리한 상태에서 지지링(15)의 밀봉홈(15a)에 끼워진 실글라스(12)와 가스킷(12a)을 빼내고, 캡너트(19b)를 풀고 차단판(19)을 분리한 상태에서 테스트관(17)의 밀봉홈(17a)에 끼워진 실플레이트(18)를 빼낸 후, 도 9에서와 같이 실플레이트(18)는 지지링(15)의 밀봉홈(15a)에 끼워 차단판(19)과 나비너트(16b)를 체결하여 밀봉시키고, 실글라스(12)와 가스킷(12a)은 테스트관(17)의 밀봉홈(17a)에 끼워 링커버(16)와 캡너트(19b)를 체결하여 밀봉시킨 상태에서 본체(10)의 상부를 다시 덮개(14)와 캡너트(14b)를 체결하여 밀봉시키고, 이 상태에서 분출관(A)을 통해 본체(10)내로 고압의 에어폼을 분출시키면 이 에어폼은 테스트관(17)에 밀봉된 실글라스(12)를 깨고 테스트관(1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에어폼의 공급 상태를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덮개(14)와 링커버(16) 및 차단판(19)을 각각 분리한 상태에서 실글라스(12) 및 가스킷(12a)과 실플레이트(18)를 빼내고, 도 9에서와 같이 실글라스(12) 및 가스킷(12a)과 실플레이트(18)의 조립위치를 서로 바꿔 실글라스(12) 및 가스킷(12a)은 테스트관(17)에 실플레이트(18)는 지지링(15)에 각각 끼우고, 링커버(16)는 차단판(19)위치에 차단판(19)은 링커버(16)위치에 각각 다시 조립하고 분리된 덮개(14)와 밀봉시킨 후, 본체(10)내로 고압의 에어폼을 분출시키면 테스트관(17)에 밀봉된 실글라스(12)를 깨고 테스트관(17)을 통하여 에어폼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에어폼의 공급 상태를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점검이 완료되면 다시 덮개(14)와 링커버(16) 및 차단판(19)을 각각 분리한 상태에서 실플레이트(18)와 파손된 실글라스(12)를 각각 빼내고, 실플레이트(18)는 원래 조립위치인 테스트관(17)의 밀봉홈(17a)에 끼우고, 지지링(15)의 밀봉홈(15a)에는 새로운 실글라스(12)를 교체하여 끼우고, 분리된 링커버(16)와 차단판(19) 및 덮개(14)를 처음위치에 각각 다시 조립하여 밀봉시키면 점검 후 파손된 실글라스(12)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한편 본체(10)의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폼은 배수관(2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C)에 따르면, 에어폼챔버(C)의 점검 시 종래와 같이 분리가 어려운 분출관(A) 또는 본체(10)를 직접 분리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작업을 수행하면 테스트관(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폼의 공급 상태를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C)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에어폼챔버(C)의 에어폼 공급 상태 점검 후 테스트로 인해 파손된 실글라스(12)를 간단하게 제거한 후, 새로운 실글라스(12)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다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C)에 따르면, 에어폼챔버(C)의 에어폼 공급 상태 점검 후 본체(10)의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폼을 배수관(20)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동절기 본체(10)의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폼에 의해 본체(10)가 동파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 분출관 B : 유류저장탱크
C : 에어폼챔버 10 : 본체
11 : 배출관 12 : 실글라스
13 : 가스킷 14 : 덮개
15 : 지지링 16 : 링커버
17 : 테스트관 18 : 실플레이트
19 : 차단판 20 : 배수관
30 : 드립밸브

Claims (6)

  1. 에어폼을 분출시키는 분출관(A)의 상부에 연결되는 본체(10),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류저장탱크(B)에 연결되는 배출관(11), 배출관(11)의 입구에 밀봉되는 실글라스(12), 본체(10)의 상부에 가스킷(13)으로 밀봉되는 덮개(14)와 상부 프랜지(10a), 손잡이(14c)로 구성된 에어폼챔버(C)에 상기 배출관(11)의 입구에 설치되어 실글라스(12)가 끼워지는 밀봉홈(15a)과 다수의 고정볼트(15b)를 구비하는 지지링(15); 상기 고정볼트(15b)와 마주하는 볼트공(16a)을 구비하여 지지링(15)에 나비너트(16b)로 체결되는 링커버(16);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설치되어 밀봉홈(17a)과 다수의 고정볼트(17b)가 형성된 플랜지(17c)를 구비하는 테스트관(17); 상기 밀봉홈(17a)에 끼워지는 실플레이트(18); 상기 고정볼트(17b)와 마주하는 볼트공(19a)을 구비하여 플랜지(17c)에 캡너트(19b)로 체결되는 차단판(19)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에어폼챔버(C)의 점검 시 실글라스(12), 링커버(16)와 실플레이트(18), 차단판(19)의 조립위치를 서로 바꿔서 체결하고,
    상기 본체(10)의 덮개(14) 하부에는 분출관(A)과 마주하는 스크린메시(14d)가 설치된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부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 하부에는 배수관(20)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20)은, 공지의 드립밸브(30),에 연결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 플랜지(10a)에는 다수의 고정볼트(10b)가 고정되고, 상기 덮개(14)에는 고정볼트(10b)에 끼워지는 볼트공(14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10b)에는 캡너트(14b)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5. 삭제
  6. 삭제
KR2020100005379U 2010-05-24 2010-05-24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KR200450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379U KR200450759Y1 (ko) 2010-05-24 2010-05-24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379U KR200450759Y1 (ko) 2010-05-24 2010-05-24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759Y1 true KR200450759Y1 (ko) 2010-10-29

Family

ID=4447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379U KR200450759Y1 (ko) 2010-05-24 2010-05-24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7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102Y1 (ko) 2011-02-17 2012-10-18 중앙공업 주식회사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KR101235344B1 (ko) 2010-09-28 2013-02-22 배대순 거품소화장치 및 거품소화장치의 성능검사방법
KR20160039354A (ko) * 2014-10-01 2016-04-11 승진산업 (주)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573Y1 (ko) * 2004-06-14 2004-08-30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
KR200396584Y1 (ko) * 2005-06-21 2005-09-26 신라파이어 주식회사 화재진압용 에어폼 챔버
KR200421466Y1 (ko) * 2006-04-11 2006-07-13 김용수 유조탱크의 소화용 소화 챔버 구조
JP2006334257A (ja) * 2005-06-06 2006-12-14 Fukada Kogyo Kk 泡放出機構及び泡放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573Y1 (ko) * 2004-06-14 2004-08-30 대명기계공업 주식회사 지하식 소화전용 드레인 밸브
JP2006334257A (ja) * 2005-06-06 2006-12-14 Fukada Kogyo Kk 泡放出機構及び泡放出装置
KR200396584Y1 (ko) * 2005-06-21 2005-09-26 신라파이어 주식회사 화재진압용 에어폼 챔버
KR200421466Y1 (ko) * 2006-04-11 2006-07-13 김용수 유조탱크의 소화용 소화 챔버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344B1 (ko) 2010-09-28 2013-02-22 배대순 거품소화장치 및 거품소화장치의 성능검사방법
KR200463102Y1 (ko) 2011-02-17 2012-10-18 중앙공업 주식회사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KR20160039354A (ko) * 2014-10-01 2016-04-11 승진산업 (주)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KR101690200B1 (ko) 2014-10-01 2016-12-27 승진산업 (주)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759Y1 (ko)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EA014991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вредных последствий пожара и взрыва
JPH09287533A (ja) 燃料タンクのガス排出装置
KR200396584Y1 (ko) 화재진압용 에어폼 챔버
CN203379542U (zh) 一种能够自动报警的七氟丙烷气体灭火系统用容器阀
JP2012130651A (ja) 内部浮き蓋付固定屋根タンク及び浮き屋根式タンクの消火及び防火設備、消火及び防火方法
JP5917130B2 (ja) レバー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KR200463102Y1 (ko)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KR200428568Y1 (ko) 유기화합물질 회수 설비용 압력 진공 밸브장치
KR200421466Y1 (ko) 유조탱크의 소화용 소화 챔버 구조
EP2572919A1 (fr) Système de stockage de carburant, et véhicule
KR101257711B1 (ko) 드레인 밸브
RU2364561C1 (ru) Резервуар с плавающим блочным покрытием дл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операций с нефтью или нефтепродуктами
TW201335022A (zh) 船艙用閥裝置
RU170678U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резервуара с нефтепродуктами
KR101186931B1 (ko) 과압가스 배출이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US11691751B2 (en) Accumulator on a fuel line of an aircraft
KR101544679B1 (ko) 방화문
JPS6228988Y2 (ko)
CN220443071U (zh) 一种自启闭自复位式泡沫产生器
KR101810002B1 (ko) 건축물의 소방설비용 수격 방지 장치
CN220097271U (zh) 一种气雾杀虫剂罐
KR101954211B1 (ko) 화재진압용 에어폼 챔버
KR200472374Y1 (ko) 선박용 압축공기탱크의 드레인수 배출 호퍼
KR102175366B1 (ko) 가스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스 씰 포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