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679B1 - 방화문 - Google Patents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679B1
KR101544679B1 KR1020140128922A KR20140128922A KR101544679B1 KR 101544679 B1 KR101544679 B1 KR 101544679B1 KR 1020140128922 A KR1020140128922 A KR 1020140128922A KR 20140128922 A KR20140128922 A KR 20140128922A KR 101544679 B1 KR101544679 B1 KR 101544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late
space
water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riority to KR102014012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6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접합된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공간을 방화수가 유동할 수 있는 복수의 상부 유동 공간 및 복수의 하부 유동 공간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격벽 및 적어도 하나의 수평 격벽을 구비하는 방화문으로서, 상기 복수의 상부 유동 공간 및 상기 복수의 하부 유동 공간이 서로 소통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격벽 및 상기 수평 격벽에 방화수를 통과시키는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상부 유동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외표면상으로 상기 방화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방화수 배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상부 유동 공간들중 하나에 방화수를 공급할 수 있는 방화수 투입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방화문{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화염의 전파 및 연소의 확대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도록 방화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방화문은 화재의 확대 및 연소를 방지하거나 발화를 지연시키기 위해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건물 내부에서 벽체로 구분된 공간이 형성될 경우에 상기 공간에 출입할 수 있는 개구에 방화문을 설치한다.
방화문은 불에 잘 타지 않는 불연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판을 이용하여 방화문을 구성할 경우에, 화재 발생시에 화염이 철판으로 구성된 방화문을 태우거나 방화문을 통해서 전파될 수 없으므로 화재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화염이 전파되지 않을지라도 불이 완전히 꺼지지 않는 한 화재 발생 공간 내부의 온도는 계속 상승하고, 따라서 방화문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여 화재 전파 방지 효과가 감소하게 된다. 예를 들어 철판으로 구성된 방화문이 화염으로 달궈지면 사람이 방화문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화상을 입을 수 있으며, 가연성 물질이 방화문에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화문 내부에 불연재를 포함시켰다. 예를 들어 특허 공개 2013-0021540 에는 화염 전파를 최소화시킨 버팀 목재 방음 방화문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화문에서도 방화문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시에 화재의 전파가 지연될 수 있는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문 자체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상대적으로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접합된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공간을 방화수가 유동할 수 있는 복수의 상부 유동 공간 및 복수의 하부 유동 공간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격벽 및 적어도 하나의 수평 격벽을 구비하는 방화문으로서,
상기 복수의 상부 유동 공간 및 상기 복수의 하부 유동 공간이 서로 소통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격벽 및 상기 수평 격벽에 방화수를 통과시키는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상부 유동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외표면상으로 상기 방화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방화수 배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상부 유동 공간들중 하나에 방화수를 공급할 수 있는 방화수 투입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접합된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공간을 방화수가 유동할 수 있는 복수의 벌집형 유동 공간으로 구분하도록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벌집형 격벽체를 구비하는 방화문으로서,
상기 복수의 벌집형 유동 공간이 서로 소통 가능하도록 상기 벌집형 격벽체의 격벽들에 유동 구멍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벌집형 유동 공간들중 최상부에 배치된 벌집형 유동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외표면상으로 상기 방화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방화수 배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벌집형 유동 공간들중 하나에 방화수를 공급할 수 있는 방화수 투입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내표면에 소음 차단용 불연재가 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서 관찰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손잡이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 장치의 둘레는 차단판으로 둘러싸인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은 상기 방화문에 인접한 방화문 전용 방화수 공급 수도 꼭지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수를 주입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접합된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의 측부에 각각 접합된 측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된 압력 밸브를 구비하는 방화문으로서, 상기 압력 밸브는:
서로 소통 가능하게 형성된 스프링 공간, 패킹 안치 공간 및 증기 통로를 구비한 실린더;
상기 패칭 안치 공간에 안치되는 패킹;
상기 스프링 공간에 안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실린더의 상부 표면을 밀폐시키도록 결합될 수 있고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주입된 방화수의 증발시에 발생하는 증기는 상기 압력 밸브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방화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마개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은 방화수를 이용하여 방화문 자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화문은 화염의 전파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방화문에 접촉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화상 및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화문의 표면을 따라서 방화수를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 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은 다수의 방화수 유동 공간이 형성된 제 1 플레이트(11)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11)에 접합되는 제 2 플레이트(12)를 구비한다. 제 1 플레이트(11)는 상부 플레이트(13) 및 하부 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좌우측의 측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3) 및 하부 플레이트(14)는 제 1 플레이트(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되어 제 1 플레이트(11)에 용접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측부 플레이트도 제 1 플레이트(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되어 제 1 플레이트(11)에 용접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11)에는 다수의 수직 격벽 및 적어도 하나의 수평 격벽에 의해서 다수의 방화수 유동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방화수 유동 공간은 격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서로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플레이트(11)에는 제 1 내지 제 3 수직 격벽(41,42,43)들이 서로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접합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수직 격벽(41,42,43)들을 가로질러서 적어도 하나의 수평 격벽(15)이 제 1 플레이트(11)에 접합된다.
상기 다수의 수직 격벽 및 적어도 하나의 수평 격벽에 의하여 방화문 내부에형성되는 다수의 방화수 유동 공간은 다수의 상부 유동 공간 및 다수의 하부 유동 공간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제 1 내지 제 3 수직 격벽(41,42,43) 및 수평 격벽(15)에 의하여 제 1 내지 제 4 상부 유동 공간(21,22,23,24) 및 제 1 내지 제 4 하부 유동 공간(31,32,33,3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유동 공간(21,22,23,24) 및 제 1 내지 제 4 하부 유동 공간(31,32,33,34)은 격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서로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제 1 내지 제 3 격벽(41,42,43)에는 상부 구멍(41a,42a,43a) 및 하부 구멍(41b,42b,43b)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구멍(41a,42a,43a)은 수평 격벽(15)의 위에서 제 1 내지 제 3 격벽(41,42,43)에 형성되는 반면에, 하부 구멍(41b,42b,43b)은 수평 격벽(15)의 아래에서 제 1 내지 제 3 격벽(41,42,43)에 형성된다. 하부 구멍(41b,42b,43b)은 수평 격벽(15)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한편, 제 4 상부 유동 공간(24)의 저면에 해당하는 수평 격벽(15)에도 구멍(15a)이 형성된다.
제 2 플레이트(12)에는 방화수 투입 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방화수 투입 구멍(12a)은 제 2 플레이트(12)를 제 1 플레이트(11)에 접합했을 때 제 1 플레이트(11)에 형성된 제 1 상부 유동 공간(21)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화수 투입 구멍(12a)을 통해 투입된 방화수는 처음에 제 1 상부 유동 공간(21)을 통해 유동한다.
이후에 방화수는 제 1 상부 유동 공간(21)으로부터 제 2 상부 유동 공간(22), 제 3 상부 유동 공간(23) 및 제 4 상부 유동 공간(24)으로 유동하는데, 이때 방화수는 각각의 격벽에 형성된 상부 구멍(41a,42a,43a)을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제 4 상부 유동 공간(24)에 도달한 방화수는 수평 격벽(15)에 형성된 구멍(15a)을 통해 제 4 하부 공간(34)으로 낙하한다.
제 4 하부 공간(34)으로 낙하한 방화수는 제 4 하부 유동 공간(34)을 채우면서 수위가 상승한다. 제 4 하부 유동 공간(34)의 수위가 제 3 격벽(43)에 형성된 하부 구멍(43b)에 도달하면, 상기 하부 구멍(43b)을 통하여 방화수는 제 3 하부 유동 공간(33)으로 유동한다. 다음에 제 3 하부 유동 공간(33)이 방화수로 채워지면 다시 제 2 격벽(42)의 하부 구멍(42b)을 통하여 방화수가 제 2 하부 유동 공간(32)으로 유동하고, 이후에 다시 제 1 격벽(41)의 하부 구멍(41b)을 통하여 제 1 하부 유동 공간(31)으로 유동한다. 결과적으로, 방화수 투입 구멍(12a)을 통해 투입된 방화수는 제 1 내지 제 4 상부 유동 공간(21,22,23,24)을 채우고, 다시 제 1 내지 제 4 하부 유동 공간(31,32,33,34)을 채운다.
한편, 제 1 플레이트(11)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공간(21,22,23,24)에 하나 이상의 방화수 배출 구멍(11a)들이 형성된다. 상기 방화수 배출 구멍(11a)은 제 1 플레이트(11)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예를 들어 방화수 배출 구멍(11a)은 제 1 플레이트(11)의 상단부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방화수 배출 구멍(11a)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제 1 플레이트(11)의 외측 표면을 따라서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4 상부 공간(21,22,23,24)들이 방화수로 채워지면서 방화수의 수위가 방화수 배출 구멍(11a)에 도달하면 방화수가 배출되며, 그에 따라서 방화수는 제 1 플레이트(11)의 외측 표면을 따라서 흘러내릴 수 있다.
소음 차단용 불연재(17)가 제 1 플레이트(11)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 2 플레이트(12)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는 3 개의 수직 격벽(41,42,43) 및 하나의 수평 격벽(15)들에 의해 형성된 4 개의 상부 유동 공간(21,22,23,24) 및 4 개의 하부 유동 공간(31,32,33,34)을 예로 들어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2 개 이하의 수직 격벽 또는 4 개 이상의 수직 격벽과 2 개 이상의 수평 격벽에 의해서 형성되는 방화수 유동 공간을 구비한 방화문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격벽에 있는 구멍들을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방화수의 유동 경로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상부 공간(21,22,23,24)에 유입된 방화수가 다른 공간을 거치지 않고 바로 아래의 하부 공간(31,32,33,34)으로 유동하도록 수평 격벽(15)에 각각의 공간마다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들의 크기 및 배치를 조절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상부 공간으로 유입된 방화수가 방화수 배출 구멍(11a), 옆에 있는 다른 상부 공간 및 바로 아래의 하부 공간으로 동시에 유동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방화문에 구비되는 손잡이 장치(19)의 둘레는 차단판(19a)으로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상기 차단판(19a)은 방화수가 방화문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할 때 방화수가 손잡이 장치(19)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단판(19a)은 예를 들어 금속이나 플라스틱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선택적으로는 방화문에 관찰구(12c)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찰구(12c)는 예를 들어 렌즈를 설치하여 방화문 너머의 상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러한 경우에 관찰구(12c)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다른 예에서, 상기 관찰구(12c)는 제 1 플레이트(11) 및 제 2 플레이트(12)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구멍을 형성하고, 해당 구멍을 제거 가능하게 덮을 수 있도록 덮개(미도시)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관찰구(12c)를 구성할 수 있다. 덮개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11,12)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거나, 또는 투명 또는 반투명 불연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화 유리를 이용하여 덮개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덮개(미도시)는 필요시에 제거됨으로써 소화용 호스의 노즐(미도시)을 관찰구(12c)를 통해 삽입되어 불을 끄는데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관찰구(12c)를 소화용 호스의 노즐 직경에 맞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 에 도시된 방화문이 인접한 곳에는 방화수 공급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수도 꼭지가 방화문 인근에 설치됨으로써 화재시에 호스를 이용하여 제 2 플레이트(12)에 형성된 방화수 투입 구멍(12a)에 방화수를 투입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방화문은 화재시에 방화수 투입 구멍(12a)을 통해 방화문 내부에 형성된 제 1 상부 유동 공간(21)으로 방화수를 투입할 수 있다. 제 1 상부 유동 공간(21)으로 유입된 방화수는 방화수 통과 구멍(41a,42a,43a)을 통하여 차례로 제 2 내지 제 4 상부 유동 공간(22,22,23,24)으로 유동한다. 이때, 각각의 상부 유동 공간(21,22,23,24)에 형성된 방화수 배출 구멍(11a)을 통해서 제 1 플레이트(11)의 외측 표면을 따라서 흘러내리게 할 수 있으며, 이는 방화수 배출 구멍(11a)의 크기와 배치에 따라서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구멍(41a,42a,43a)의 높이가 방화수 배출 구멍(11a)의 높이와 같다면 방화수가 동시에 상부 구멍과 방화수 배출 구멍을 통하여 유동할 것이다. 그러나 방화수 배출 구멍(11a)의 높이가 상부 구멍(41a,42a,42)의 높이보다 더 높게 배치된다면 방화문 내부의 모든 공간에 방화수가 채워진 이후에 방화수 배출 구멍(11a)을 통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방화수가 제 4 상부 유동 공간(24)에 도달하게 되면 구멍(15a)을 통하여 제 4 하부 유동 공간(34)으로 낙하하게 되며, 다음에 하부 구멍(41b,42b,43b)을 통하여 차례로 옆에 있는 하부 유동 공간(31,32,33)으로 유동하게 된다. 방화수가 제 1 하부 공간(31)을 완전하게 채우게 되면 이후에 제 2 하부 공간(32), 제 3 하부 공간(33) 및 제 4 하부 공간(34)이 차례로 완전하게 채워지게 되고, 다음에는 제 4 상부 공간(24), 제 3 상부 공간(23), 제 2 상부 공간(22) 및 제 1 상부 공간(21)이 차례로 채워질 것이다. 이후에도 방화수가 계속 공급되면 방화수는 방화수 배출 구멍(11a)을 통해 제 1 플레이트(11)의 외표면으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방화문 내부에 방화수가 채워지고, 방화문의 외표면에서 방화수의 유동이 이루어지므로, 방화문을 통한 화재 전파는 적어도 지연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플레이트(110)와 제 2 플레이트(120)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벌집형 격벽체(200)가 구비된다. 상기 벌집형 격벽체(200)에는 방화수 통과 구멍(20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플레이트(110)에는 상단부에 인접하여 방화수 배출 구멍(110a)이 형성되고, 제 2 플레이트(120)에는 방화수 투입 구멍(120a)이 형성된다.
벌집형 격벽체(20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같은 금속재나 또는 다른 불연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벌집형 격벽체(200)는 방화문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벌집형 격벽체(200)에 형성된 방화수 통과 구멍(200a)은 다양한 배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 각형의 격벽들로 이루어진 벌집형 격벽체의 모든 6 개의 격벽들에 방화수 통과 구멍(200a)을 형성하는 경우에, 방화수 투입 구멍(120a)을 통해 투입된 방화수는 방화문의 하부로부터 채워질 것이며, 결국에는 방화문 내부 전체를 채운 후에 방화수 배출 구멍(110a)을 통해 제 1 플레이트(110)의 외표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벌집형 격벽체의 격벽들중 2 개 또는 그 이상의 격벽들에만 방화수 통과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미리 결정된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각각의 벌집이 차례로 물로 채워질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플레이트(110) 또는 제 2 플레이트(120)의 내표면에는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된 소음 차단용 불연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장치(60)의 둘레에는 차단판이 설치될 수 있으며, 관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300)은 도면에서 후면 플레이트에 해당하는 제 1 플레이트(301)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301)에 접합되고 도면상의 전면 플레이트에 해당하는 제 2 플레이트(302)를 구비한다. 방화문(300)은 상부 플레이트(303) 및 하부 플레이트(3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좌우측의 측부 플레이트(305,3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화문(300)은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물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방화문(300)의 상부 플레이트(303)에는 압력 밸브(310)가 설치되며, 방화문(300)의 하부 플레이트(304)에는 방화수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배출구 마개(320)가 구비된다.
압력 밸브(310)는, 서로 소통되는 스프링 공간(321), 패킹 안치 공간(322) 및 증기 통로(323)가 형성된 실린더(320)와, 상기 패칭 안치 공간(322)에 안치되는 패킹(340)과, 상기 스프링 공간(321)에 안치되는 스프링(350)과, 상기 실린더(320)의 상부 표면을 밀폐시키도록 결합될 수 있고 증기 배출구(361)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360)을 구비한다. 스프링(350) 및 패킹(340)이 실린더(320)의 내부에 안치될 때 스프링(350)은 패킹(340)을 하방향으로 미는 편향력을 제공한다. 뚜껑(360)은 나사면(362)이 실린더(320)의 대응 나사면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실린더(320)에 결합된다. 다른 예에서,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압력 밸브(310)의 실린더(320)는 방화문(300)의 상부 표면에 용접에 의해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방화문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특징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격벽 또는 도 2 에 도시된 벌집형 격벽체가 도 3 에 도시된 방화문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소음 차단용 불연재가 방화문(300)의 내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방화문(300)은 내부에 방화수를 채운 상태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서, 방화문(300)을 설치하는 현장에서 압력 밸브(310) 자체를 방화문(300)으로부터 분리하고 방화수를 주입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에서, 압력 밸브(310)의 뚜껑(360)을 분리하고, 스프링(350) 및 고무 패킹(340)을 제거한 상태에서 증기 통로(323)를 통하여 방화수를 방화문(300)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방화수를 주입한 이후에는 고무 패킹(340)과 스프링(350)을 다시 원래 상태로 조립하고 뚜껑(360)을 결합한다. 또 다른 예에서 방화수를 주입하기 위한 별도의 주입구를 방화문(300)에 형성할 수 있다.
화재시에, 방화문(300)은 화재로 인한 온도 상승은 방화문(3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따라서 그 안에 주입된 방화수의 온도도 상승할 것이다. 방화수의 온도가 비등점 이상으로 상승하면, 방화수는 증발할 것이며, 증기가 압력 밸브(310)의 증기 통로(323)로 유입된다. 이때 증기 압력은 스프링(350)의 탄력을 받고 있는 패킹(340)을 밀어올릴 것이며, 증기는 뚜껑(360)의 증기 배출구(361)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증기로 인한 방화문(300) 내부의 압력은 통제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방화문(300) 내부의 방화수를 배출시키거나 교환하려고 할 때, 배출구 마개(320)를 개방하여 방화수를 방화문(300) 외부로 내보낼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배출구 마개(320)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 구비될 수 있다는 점도 이해되어야 한다.
11. 제 1 플레이트 12. 제 2 플레이트
13. 상부 플레이트 14. 하부 플레이트
15. 수평 격벽 41.42.43. 수직 격벽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방화수를 주입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접합된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의 측부에 각각 접합된 측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된 압력 밸브를 구비하는 방화문으로서, 상기 압력 밸브는:
    서로 소통 가능하게 형성된 스프링 공간, 패킹 안치 공간 및 증기 통로를 구비한 실린더;
    상기 패킹 안치 공간에 안치되는 패킹;
    상기 스프링 공간에 안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실린더의 상부 표면을 밀폐시키도록 결합될 수 있고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 주입된 방화수의 증발시에 발생하는 증기는 상기 압력 밸브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방화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방화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마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KR1020140128922A 2014-09-26 2014-09-26 방화문 KR101544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922A KR101544679B1 (ko) 2014-09-26 2014-09-26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922A KR101544679B1 (ko) 2014-09-26 2014-09-26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679B1 true KR101544679B1 (ko) 2015-08-21

Family

ID=5406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922A KR101544679B1 (ko) 2014-09-26 2014-09-26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013B1 (ko) 2015-12-23 2016-05-20 임성호 발포 콘크리트를 이용한 방화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959B1 (ko) 2011-12-22 2013-10-17 주식회사 티에프티 방화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959B1 (ko) 2011-12-22 2013-10-17 주식회사 티에프티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3013B1 (ko) 2015-12-23 2016-05-20 임성호 발포 콘크리트를 이용한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4991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вредных последствий пожара и взрыва
KR102529018B1 (ko) 담수형 배터리 랙 소화장치
KR101605164B1 (ko) 안전 캐비닛
JPH114905A (ja) ウォーターミストを利用した消火、消煙装置及び方法
CA2784413A1 (en) Fireproof door and fireproof door frame
KR101544679B1 (ko) 방화문
US9707424B2 (en) Firefighting training unit
CN110662607B (zh) 安全柜
KR20190113118A (ko) 주방용 소화기
JP5371056B2 (ja) 消火体験装置
US9573009B2 (en) Firefighting training unit
KR101179547B1 (ko) 소화장치가 구비된 도어
JP2009047346A (ja) ガラス窓の曇り防止用空気放出管付き固体燃料ストーブ
CN209777259U (zh) 一种化学物品防爆装置
CN110806152A (zh) 一种抗爆容器的泄压装置
KR102301481B1 (ko) 버너
CN106016264A (zh) 能防止气流回冲的引射式燃烧装置
CN210952552U (zh) 一种抗爆容器的泄压装置
JP3203191U (ja) 防炎カーテン及び防炎カーテン装置
JP6675175B2 (ja) 火災抑制方法
CN112451874B (zh) 油浸式变压器耐火性试验的安全防护装置
US2341436A (en) Fire-extinguishing method and apparatus
CN213546817U (zh) 一种户外防火型箱式变电站
KR101787391B1 (ko) 가스렌지용 버너
KR101613487B1 (ko) 내화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내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