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354A -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354A
KR20160039354A KR1020140132290A KR20140132290A KR20160039354A KR 20160039354 A KR20160039354 A KR 20160039354A KR 1020140132290 A KR1020140132290 A KR 1020140132290A KR 20140132290 A KR20140132290 A KR 20140132290A KR 20160039354 A KR20160039354 A KR 20160039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pray
spray pipe
hous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200B1 (ko
Inventor
강한표
Original Assignee
승진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진산업 (주) filed Critical 승진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40132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2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0Snow traps ; Removing snow from roofs; Snow melters
    • E04D13/103De-icing devices or snow me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작업이 신속 용이하면서도 살수관이 얼지 않도록 하는 비닐하우스 제설장치에 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비닐하우스(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지고 동시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살수공(110)이 형성된 살수관(100)과, 상기 살수관을 비닐하우스에 대하여 일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받침하기 위하여 높낮이를 서로 달리하는 받침부재(200)와, 상기 살수관의 입수구 쪽에 연결 설치되어 물을 강제 공급하기 위한 펌프(300)와, 상기 살수관의 출수구 쪽에 연결 설치되어 살수하는 과정에서는 물이 빠지지 않도록 차단하고, 또 살수 완료 후에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드립밸브(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제설장치{VINYL HOUSE SNOW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지붕에 쌓이는 눈을 제거하기 위한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살수관을 출수구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하고, 살수관의 출수구 쪽에는 드립밸브(drip valve)를 구비하여 살수 효율을 높이면서도 살수 후 살수관 내부에 잔존하는 물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여 제설 작업에 따른 살수관이 얼지 않도록 한 비닐하우스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골조를 구축하고, 이 골조 위에 비닐을 씌워 만든 구조물로서, 계절에 관계없이 각종 야채나 농작물, 화초 등의 재배를 비롯하여 축사나 창고 등 각종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널리 설치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비닐하우스는 보온성에 의해 기온이 낮아지는 겨울에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비닐하우스는 다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골조를 구축하고, 그 위에 비닐을 씌우는 구조물의 특성상, 특히 겨울철에 많은 눈이 내리는 경우 눈이 미처 녹기도 전에 지붕에 쌓이게 되고, 이렇게 지붕에 쌓인 눈은 결국 비닐이나 프레임에 하중을 가하게 되고, 그 한계를 넘어서는 경우 비닐하우스가 눈의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무너지게 되거나 비닐이 찢어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종종 발생되고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프레임을 더 보강한다거나, 또는 눈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제설구조를 갖추는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강도는 보강되나 프레임 사이의 비닐 부분에 쌓이는 눈의 하중을 비닐이 버티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서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어서 개선이 필요하다. 그리고, 비닐하우스 위에 열선이 포함된 패드를 덮어 적설을 방지하는 방법이 개시되기도 하였지만, 이는 열선만을 사용하여 눈을 녹이게 됨에 따라 에너지 낭비가 심하고, 많으 시간이 소요되어 효율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비닐하우스 외부에 패드가 항상 덮여 있으므로 인해 투과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고, 특히 패드가 눈의 무게와 합쳐져서 오히려 더 큰 붕괴사고를 유발하게 되어 이 역시 개선의 필요가 현저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비닐하우스 외부에 다수의 온수관을 설치하여 제설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다수의 온수관을 설치하는 작업이 곤란하고, 또 온수 공급을 위한 에너지 낭비를 비롯하여 온수관의 설치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하중을 오히려 증가시키고 강풍에 취약하게 되는 등의 비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실제 적용하는데는 상당한 한계가 있다.
또한, 비닐하우스 위에 송풍기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발생된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제설하는 기술이 제시되기도 하였지만, 이 역시 비닐하우스 외측에 제설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큰 규모의 골조를 설치해야 되는 부담으로 인해 실제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비닐하우스 외부에 제설장치를 구비하여 제설함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비닐 하우스 내부에 온수를 살수하는 살수수단을 구비하여 비닐하우스 외부에 쌓이는 눈을 녹이도록 하는 제설장치가 제안되기도 하였지만, 이 역시 제설장치가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됨에 인한 번거로움과 비닐하우스 내부 장소가 좁아지고, 또 온수를 비닐 하우스 내부에서 살수하여 비닐하우스 외부에 쌓이는 눈을 간접적으로 제거하는 것이어서 그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온수 공급에 따른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는 등의 구조적인 여러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6705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7332호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11055호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525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하우스 외부에 살수관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살수관의 출수단부에 드립밸브를 구비하여 높은 살수 압력의 유지를 통한 살수 효율을 높이면서도 살수 완료 후 살수관에 잔존하는 물이 신속하게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여 살수 작업에 따른 살수관이 얼지 않도록 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비닐하우스 제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닐하우스의 제설장치는, 비닐하우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지고 동시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살수공이 형성된 살수관과, 상기 살수관을 비닐 하우스에 대하여 일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받침하기 위하여 높낮이를 달리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살수관의 입수구 쪽에 연결 설치되어 물을 강제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살수관의 출수구 쪽에 연결 설치되어 살수하는 과정에서는 물이 빠지지 않도록 차단하고, 또 살수 완료 후에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드립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살수관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것을 사용하고, 각 살수관은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재는, 비닐하우스의 골조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받침과, 상기 살수관에 관통지지 되는 상부 받침 및 이들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받침핀으로 구성되되 상기 받침핀은 그 길이를 각각 다르게 절단 구성하여 받침 높이를 달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드립밸브는, 상기 살수관의 출수구 쪽에 일 단부가 연결 조립되고 간벽으로는 배수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타 단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연결 조립되고 하단부로는 출수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스프링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어 살수시에는 살수 압력에 의해 하강되어 제2하우징의 출수공을 차단하고, 살수 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의 반력에 의해 상승 이동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출수공을 개방하여 살수관의 내부에 흐르는 잔존 물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수되도록 하는 밸브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하우징의 내벽에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밸브체로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 편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가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제2하우징의 출수공을 차단 또는 개방 조작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닐하우스의 외부에 받침부재를 이용하여 살수공이 형성된 살수관을 출수구 방향으로 낮아지게 경사 설치하여 비닐하우스의 비닐 외부에 쌓이는 눈에 대하여 물을 직접 강제로 분사시켜 녹아내리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제설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살수관의 출수구 쪽에 구비된 드립밸브에 의해 제설 작업을 위해 물을 살수하는 과정에서는 살수 압력이 유지되어 안정된 살수가 가능하고, 또 제설 작업 완료 후에는 살수 압력의 자연 해제와 더불어 살수관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이 외부로 자연 배수됨에 따라 살수관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에 의해 어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고, 또 살수관이 제설작업 후에도 잔존하는 물에 의해 얼지 않게 됨에 따라 제설장치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비닐하우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살수관은 일정 길이로 사전에 절단하고, 또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이들 살수관을 상호 연결 조립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높낮이를 달리하는 받침부재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간편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제설장치의 신속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또 설치 비용이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비숙련공이라도 누구나가 간편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현저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장치가 비닐하우스에 설비된 상태의 전체 구조를 보인 일 측면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관의 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재의 구조를 보인 발췌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핀의 길이를 달리하는 상태로 조립된 받침부재 구성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관이 받침부재에 받침 고정된 상태의 발췌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관의 다른 실시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살수관이 받침부재에 받침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립밸브의 밸브체가 하강된 상태의 조립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밸브의 밸브체가 상승된 상태의 조립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제설장치는, 비닐하우스(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지고 동시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살수공(110)이 형성된 살수관(100)과, 상기 살수관을 비닐하우스에 대하여 일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A1)지게 받침하기 위하여 높낮이를 서로 달리하는 받침부재(200)와, 상기 살수관의 입수구(100A) 쪽에 연결 설치되어 물을 강제 공급하기 위한 펌프(300)와, 상기 살수관의 출수구(100B) 쪽에 연결 설치되어 살수하는 과정에서는 물이 빠지지 않도록 차단하고, 또 살수 완료 후에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드립밸브(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살수관(100)에 형성되는 살수공(110)의 형태나, 크기, 수, 각도, 간격 등은 제설환경에 맞추어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고, 특정한 구조나 형태 등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살수관(10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단일의 파이프가 이용되어 짐이 바람직하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10)의 전체 길이를 비롯하여 현장에서의 설치 작업 용이 및 자재의 운반 등 여러 작업조건을 고려하여 사전에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것을 사용하고, 이때 각 살수관(100)은 연결부재(120)를 통해 서로 연결 조립 구성되어 질 수도 있다. 특히 살수관(100)은 필요한 경우에는 현장에서 직접 절단기구를 이용하여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이를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조립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재(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10)의 골조(12)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받침(210)과, 상기 살수관(100)에 관통지지 되는 상부 받침(220) 및 이들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받침핀(230)으로 구성되되, 상기 받침핀은 그 길이를 각각 다르게 절단 구성하고 이를 하부 받침(210) 및 상부 받침(220) 사이에 각각 일체로 조립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받침핀(230)의 받침 높이를 각각 달리하는 상기한 구성의 받침부재(200)를 이용하여 살수관(100)을 받침함으로서 비닐하우스(10)의 외부에 설치되는 살수관(100)은 일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드립밸브(4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수관(100)의 출수구 쪽에 일 단부가 연결 조립되고 간벽으로는 배수공(412)이 형성된 제1하우징(410)과, 상기 제1하우징의 타 단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연결 조립되고 하단부로는 출수공(422)이 형성된 제2하우징(420)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스프링(430)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어 살수시에는 살수 압력에 의해 하강되어 제2하우징(420)의 출수공(422)을 차단하고, 살수 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430)의 반력에 의해 상승 이동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출수공을 개방하여 살수관(100)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수되도록 하는 밸브체(4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420)의 내벽에는 가이드 홈(424)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체(440)로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 편(442)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가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제2하우징(320)의 출수공(422)을 차단 또는 개방 조작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살수관(100)은 직선관이 이용될 수도 있고, 또 필요한 경우 도 6과 같이 구부리는 작업이 용이한 주름관(bellows) 형태의 관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제설장치를 설치하는 상태에 대하여 살펴본다.
비닐하우스(10)의 전체 길이를 감안하여, 살수관(100)으로는 상부받침(220)이 관통되는 상태로 받침부재(200)를 끼운다. 이때 받침부재는 살수관의 경사 설치 각도를 감안하여 받침핀(230)의 받침 길이를 달리하는 받침부재(200)를 각각 선택하여 끼우고, 그 하부 받침(210)이 비닐하우스(10)의 골조(12)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하여 준다.(도 6참조)
여기서 필요한 경우 살수관(100)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12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 조립한다.
그러면, 살수관(100)은 받침 높이를 달리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치 고정되는 받침부재(200)에 의해 일정한 경사 각도(A1)를 갖도록 비닐하우스(10) 외부에 단단히 설비되어 진다.
이때 비닐하우스(10) 외부에 경사 설치되는 살수관(100)은 입수구(100A) 쪽이 높고, 출수구(100B) 쪽이 낮아지는 상태로 설치되어 진다.
그리고, 살수관(100)의 입수구 쪽에는 물을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300)를 연결하고, 또 살수관의 출수구 쪽에는 드립밸브(400)를 연결 조립하여 준다.
상기 살수관(100)의 출수구 쪽에 연결된 드립밸브(400)는 살수 전, 예컨대 제설작업을 하기 위하여 물을 공급하기 전에는 살수 압력이 발생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및 제2 하우징(410)(420)의 내부에 장치된 밸브체(4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30)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어 제2 하우징(420)의 출수공(422)이 개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눈이 내리는 경우, 펌프(300)를 작동시켜 주면, 물은 펌프 작용에 의해 살수관(100)으로 강제 공급되고, 동시에 살수관에 형성된 각 살수공(110)을 통해 물이 강제로 살수되면서 비닐하우스(10)의 외부에 쌓여지는 눈을 녹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닐하우스(10)의 외부에 설치된 살수관(100)의 살수공(110)을 통해 물이 비닐하우스의 외부에 쌓이는 눈에 직접 살수되어 짐에 따라 눈은 신속하게 녹아내릴 수 있게 된다.
한편, 펌프(300) 작동을 통해 물이 살수관(100)으로 강제 공급되기 시작하면, 살수관의 출수구 쪽에 결합된 드립밸브(400)의 밸브체(440)는 도 9와 같이 살수관의 살수압력에 의해 하강 이동되어 제2하우징(420)의 출수공(422)을 막게된다. 따라서, 살수 작업 과정에서 물은 살수관(100)의 살수공(110)을 통해 더욱 용이하게 살수되어 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설작업이 완료되어 펌프(300) 작동을 중단하면, 살수관(100)의 살수공(110)을 통해서는 살수 작업이 중단하게 되고, 동시에 살수관의 내부에 흐르는 물은 일부가 살수공을 통해 배수되어 지기도 하지만 살수관(100)이 출수구(100B) 쪽으로 낮아지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출수구 쪽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게 된다. 그리고 출수구 쪽으로 흐르는 잔여 물은 제1하우징(410)의 배수공(412)을 경우하여 살수 압력의 해제로 인해 도 10과 같이 스프링(430)에 의해 상승 복귀되어진 밸브체(440)에 의해 개방된 제2하우징(420)의 출수공(422)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어 진다.
따라서, 살수관(100)의 내부에는 잔존하는 물이나 공기층이 남아있지 않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살수관은 기온이 낮아지는 동절기에도 얼지 않게되고, 또 동파가 방지되어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면서도, 살수 방식을 이용하여 제설작업을 수행하더라도 제설에 아무런 문제를 야기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비닐하우스(10)의 제설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제설 작업이 보다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살수에 따른 살수관(100)이 얼거나 동파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제설장비의 유지관리도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제설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제설장치를 이용하여 특히 더운 여름에 비닐하우스(10) 내부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물을 살수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제설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장치는 비닐하우스 이외에도 각종 건물의 지붕에 설치하여 제설 작업을 하거나 여름철 실내 온도를 낮추는데도 얼마든지 사용 가능하다. 특히 공장건물이나 주택의 경우 여름철, 실내 온도가 과도하게 올라가는 경우, 지붕에 물을 살수하여 내부 온도를 낮추어 줌으로써 냉방에 소요되는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도 있다.
10: 비닐하우스 12: 골조
100: 살수관 110: 살수공
200: 받침부재 210: 하부받침
220: 상부받침 230: 받침핀
300: 펌프 400: 드립밸브
410,420: 제1 및 제2하우징 412: 배수공
422: 출수공 424: 가이드홈
430: 스프링 440: 밸브체
442: 가이드 편

Claims (5)

  1. 비닐 하우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지고 동시에 물을 분사하기 위한 살수공이 형성된 살수관과,
    상기 살수관을 비닐 하우스에 대하여 일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받침하기 위하여 높낮이를 달리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살수관의 입수구 쪽에 연결 설치되어 물을 강제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살수관의 출수구 쪽에 연결 설치되어 살수하는 과정에서는 물이 빠지지 않도록 차단하고, 또 살수 완료 후에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드립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관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것을 사용하고, 또 각 살수관은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비닐 하우스의 골조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받침과, 상기 살수관에 관통지지 되는 상부 받침 및 이들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받침핀으로 구성되되 상기 받침핀은 그 길이를 각각 다르게 절단 구성하여 받침 높이를 달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립밸브는, 상기 살수관의 출수구 쪽에 일 단부가 연결 조립되고 간벽으로는 배수공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타 단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연결 조립되고 하단부로는 출수공이 형성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스프링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어 살수시에는 살수 압력에 의해 하강되어 제2하우징의 출수공을 차단하고, 살수 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의 반력에 의해 상승 이동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출수공을 개방하여 살수관의 내부에 흐르는 잔존 물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수되도록 하는 밸브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내벽에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밸브체로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 편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체가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제2하우징의 출수공을 차단 또는 개방 조작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KR1020140132290A 2014-10-01 2014-10-01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KR10169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290A KR101690200B1 (ko) 2014-10-01 2014-10-01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290A KR101690200B1 (ko) 2014-10-01 2014-10-01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354A true KR20160039354A (ko) 2016-04-11
KR101690200B1 KR101690200B1 (ko) 2016-12-27

Family

ID=5580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290A KR101690200B1 (ko) 2014-10-01 2014-10-01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2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0148A (zh) * 2016-06-23 2016-11-09 李汀 一种蔬菜喷散装置
CN106070147A (zh) * 2016-06-23 2016-11-09 李汀 一种喷散器
CN106106407A (zh) * 2016-06-23 2016-11-16 李汀 一种大棚喷散装置
CN110199834A (zh) * 2019-06-27 2019-09-06 江苏新格灌排设备有限公司 一种农业用节水滴灌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496Y1 (ko) * 2005-05-31 2005-08-17 전기영 비닐하우스용 살수호스 설치구조
KR20070016705A (ko) 2005-08-05 2007-02-08 주식회사 금문산업 비닐하우스용 제설 장치
KR20070087332A (ko) 2006-02-23 2007-08-28 민승기 비닐하우스용 보온장치
KR20070111055A (ko) 2006-05-16 2007-11-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의 폭설피해 방지장치
KR200450759Y1 (ko) * 2010-05-24 2010-10-29 중앙공업 주식회사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KR20120055191A (ko) * 2010-11-23 2012-05-31 정응묵 이중 비닐하우스와 이중 비닐하우스 축조용 고정클램프 및 비닐하우스 축조방법
KR20120105257A (ko) 2011-03-15 2012-09-25 박삼식 온수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496Y1 (ko) * 2005-05-31 2005-08-17 전기영 비닐하우스용 살수호스 설치구조
KR20070016705A (ko) 2005-08-05 2007-02-08 주식회사 금문산업 비닐하우스용 제설 장치
KR20070087332A (ko) 2006-02-23 2007-08-28 민승기 비닐하우스용 보온장치
KR20070111055A (ko) 2006-05-16 2007-11-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비닐하우스의 폭설피해 방지장치
KR200450759Y1 (ko) * 2010-05-24 2010-10-29 중앙공업 주식회사 유류저장탱크 화재진압용 에어폼챔버
KR20120055191A (ko) * 2010-11-23 2012-05-31 정응묵 이중 비닐하우스와 이중 비닐하우스 축조용 고정클램프 및 비닐하우스 축조방법
KR20120105257A (ko) 2011-03-15 2012-09-25 박삼식 온수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0148A (zh) * 2016-06-23 2016-11-09 李汀 一种蔬菜喷散装置
CN106070147A (zh) * 2016-06-23 2016-11-09 李汀 一种喷散器
CN106106407A (zh) * 2016-06-23 2016-11-16 李汀 一种大棚喷散装置
CN110199834A (zh) * 2019-06-27 2019-09-06 江苏新格灌排设备有限公司 一种农业用节水滴灌装置
CN110199834B (zh) * 2019-06-27 2021-09-17 江苏新格灌排设备有限公司 一种农业用节水滴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200B1 (ko)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200B1 (ko) 비닐하우스 제설장치
EP2498590B1 (en) Modules for growing plants
KR100845989B1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보행자 안전휀스
KR20110005378A (ko) 비닐하우스용 골조장치
CN205266422U (zh) 一种具有清洁功能的植物墙
US20160295809A1 (en) Energy sa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for planting racks
CN205530646U (zh) 一种园林景观节水灌溉系统
JP4551989B2 (ja) 屋根の散水装置
CN108552032A (zh) 一种生态循环的农业垂直建筑模式自动浇灌装置
KR200415463Y1 (ko)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KR101191334B1 (ko) 온수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제설장치
KR100624343B1 (ko) 작물용 하우스의 제설장치
KR101594068B1 (ko) 비닐하우스의 제설시스템
CN205161384U (zh) 高架桥绿化灌溉排水装置
KR200362982Y1 (ko) 비닐하우스 및 가건물 보호장치
CN209801754U (zh) 一种便于安装的空调
CN106234173A (zh) 一种盆景自动浇水装置
CN108404317A (zh) 外墙消防自动、自救的应用方法
KR101292327B1 (ko) 비닐하우스 제설 및 실내온도관리 시스템
CN205491932U (zh) 一种高空间利用率的种植温室
CN213214543U (zh) 一种双体连栋温控大棚
CN215012062U (zh) 一种可调式立体种植装置
CN211983044U (zh) 一种自动园林绿化节水滴灌设备
CN220493736U (zh) 光伏大棚雨水回收系统及光伏大棚
CN210137689U (zh) 一种有机蔬菜种植用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