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458Y1 - 약물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458Y1
KR200450458Y1 KR2020080008695U KR20080008695U KR200450458Y1 KR 200450458 Y1 KR200450458 Y1 KR 200450458Y1 KR 2020080008695 U KR2020080008695 U KR 2020080008695U KR 20080008695 U KR20080008695 U KR 20080008695U KR 200450458 Y1 KR200450458 Y1 KR 200450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ap
storage tube
injection devi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723U (ko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Priority to KR2020080008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458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723U/ko
Priority to CN200920006896U priority patent/CN201370827Y/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4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약액저장튜브의 수축시 밀착되는 돌출부의 형상을 돔형상으로 형성하여 밀착도는 높이며, 그 돌출부의 외주연에 길이방향 등간격으로 미세한 배출홈을 형성하고 그 배출홈들의 접경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약액저장튜브의 수축시 잔여 약액이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약액의 경제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약물 주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수용용기의 내부에 남게 되는 약물 잔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캡으로부터 수용용기의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에 직접 약물저장튜브가 씌워져서 돌출부와 약물저장튜브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시키고, 약물을 배출하는 통공을 1개만 구성하여, 통공의 내부에 약물이 잔존하는 량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고가의 약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약물, 항생제, 약물주입장치.

Description

약물 주입장치{APPARATUS FOR INJECTING MEDICINE}
본 고안은 약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약액저장튜브의 수축시 밀착되는 돌출부의 형상을 돔형상으로 형성하여 밀착도는 높이며, 그 돌출부의 외주연에 길이방향 등간격으로 미세한 배출홈을 형성하고 그 배출홈들의 접경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약액저장튜브의 수축시 잔여 약액이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약액의 경제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약물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암이나 백혈병 등과 같은 환자에게 특수의 항생제를 투여하게 되고, 수술 후 지속적으로 통증이 따르는 환자에게는 통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일정한 시간주기로 진통제를 투여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암이나 백혈병 등과 같은 환자에게 투여되는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투여되는 약액과는 달리 약의 특성상 미세한 량이 항상 일정하게 투여되어야 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투여방식은 약액이 투여되는 호오스에 사용자가 임의로 량을 조절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를 갖추어 상기의 조절부를 의료진(의사 및 간호사)이 직접 조작시켜 조절자의 육안에 의한 투여량을 조절시켜 주도록 하고 있 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정확한 량이 투여되지 못하게 되었으며, 이로인해 수시로 투여량을 조절시켜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환자의 치료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항생제나 기타의 약액을 투여하는 도중에 진통제 등과 같은 다른 약액을 함께 투여하여 주고자 할 경우에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체에 직접적으로 투여하거나 약액이 투여되는 호오스에 주사기를 꽂아 투여하도록 하고 있어, 인체에 직접적으로 투여할 경우 환자에게 많은 아픔을 주게 되어 환자의 안정을 해치게 됨은 물론, 의료인력의 낭비가 심함은 물론, 호오스에 주사기를 꽂을 경우 잦은 투여에 의해 호오스가 손상됨에 따라 손상부위를 통해 투여되고 있는 약액이 누출되는 단점과 외부로 부터의 균 침투로 인한 감염이 될 수 있으며, 그로인해 호오스 및 약액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주사기를 통해 환자에게 약을 투여할 경우 주사기를 눌러주는 힘에 따라 약의 투여량이 각기 다르게 되어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약액이 투여될 경우 환자에게 악 영향을 미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동반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주입펌프를 이용하여 약액을 투여하고자 할 경우에는 환자가 주입펌프 기계에 구속되어 활동에 제한을 받거나 안전을 위한 경보장치로 부터의 잦은 경보 울림에 의해 환자 자신이나 주변의 다른 환자에게 까지도 방해를 주게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 10-262930호를 통해 암이나 백혈병 등과 같은 환자에게 투여되는 특수의 항생제 투 여시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항상 일정량의 약액이 투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약액의 정확한 투여에 의한 효율적인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약액이 투여되는 도중에도 지속적으로 통증이 있을 경우 및 투여되는 약액량보다 순간적으로 많은 량의 약액을 투여시켜 주고자 할 경우 별도의 주사기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일정량의 약액이 추가로 투여될 수 있도록 하는 의약품 주입기를 발명하였다.
이하, 상기한 종래의 의약품 주입기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a, 1b는 종래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약액량에 따라 팽창되면서 약액을 저장시켜 주게 됨과 아울러, 약액을 환자에게 투여시켜 주고져 할 경우에는 팽창 압력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약액이 잔류량 없이 완전히 배출될수 있도록 하는 약액저장수단(200)과, 상기 약액저장수단의 선단부 외측에 결합되어 외부로 부터 상기의 약액저장수단내로 약액을 주입시켜 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저장되어 있는 약액이 호오스(300)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3방향밸브(400)와, 소정의 길이를 갖고 있는 호오스(300)의 끝단부가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호오스(300A)가 연결되어 환자의 손목에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호오스를 통해 공급되는 약액이 환자에게 공급되는 약액량을 조절시켜 줌과 아울러, 공급되는 약액을 일시적으로 저장시켜 주었다가 필요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약액을 강제로 투여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약액량조절수단(500)으로 갖추어진 것이다.
상기 약액저장수단(200)은 케이스(100)의 선단부 외측에 노출되도록 한 상태 에서 내부에 고정되어 외주연부에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통공(211)이 구성된 고정관(210)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관의 후방으로 부터 끼워져 임의로 이동되는 이동축(220)을 구성하며, 고정축의 외주연부에 씌워진 상태에서 양측이 고정관과 이동축의 끝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주입되는 약액량에 따라 팽창됨과 아울러, 팽창된 압력에 의해 약액을 배출시켜 줄수 있도록 신축성이 있는 약액저장튜브(230)로 구성하여 된다.
상기의 3방향밸브(400)는 일단이 케이스(100)의 외면으로 노출된 고정관(210)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은 호오스(300)와 연결되는 연결관(410)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관의 일측에 일체로 하여 약액을 주입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주입관(420)을 구성하며, 연결관의 내부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끼워져 상기 주입관을 차단시켜 준 상태에서 약액이 투여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주액을 주입시 주입되는 압력에 의해 밀려 주입관과 연결관이 연통될수 있도록 하는 실리콘 및 고무로 이루어지는 탄성관(430)을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약물 주입기는 주입관(420)에 체결되어 있는 캡(440)을 풀어 개방된 주입관(420)에 약액이 담겨져 있는 주사기를 꽂아 가압시켜 주게 되면, 주입관(420)내로 주입되는 약액의 압력으로 인하여 점선에서와 같이 연결관(410)의 내주면을 긴밀히 밀착시켜 주고 있는 실리콘튜브의 탄성관(430)이 밀려 연결관(410)과 탄성관(430) 사이에 생기는 공간부를 통해 약액이 고정관(210)내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관내에 수납되어 있던 이동축(220)이 약액의 압력으로 인하여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고정관의 외주연에 씌워진 상태에서 고정관과 이 동축의 각 끝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신축성이 있는 약액저장튜브(230)가 강제로 늘어나게 되는 것이고, 이동축이 후퇴함에 따라 고정관(210)내로 공급되는 약액이 상기 고정관의 외주연측에 구성되어 있는 통공(211)을 통해 고정관의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약액저장튜브(230)에 담겨지게 된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액저장튜브(230)가 완전히 수축되어도 상기 고정관(210)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공(211)과 이동축(220)간에는 공간부(240)가 형성되게 되므로, 그 공간부(240)와 통공(211)에 잔여 약액이 존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약액은 고가의 항상제이거나 진통제이므로 경제적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차후 다른 약물을 해당 약액저장튜브(230)에 저장할 경우에는 두가지 약물이 섞여서 쇼크 등의 이상 반응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약액저장튜브의 수축시 밀착되는 돌출부의 형상을 돔형상으로 형성하여 밀착도는 높이며, 그 돌출부의 외주연에 길이방향 등간격으로 미세한 배출홈을 형성하고 그 배출홈들의 접경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약액저장튜브의 수축시 잔여 약액이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약액의 경제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약물 주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을 이송하는 약물이송관(26)과; 약물 이송관(26)의 소정부에 분기되어 외부 주입수단을 통해 약물을 약액저장튜브로 주입하기 위한 3방향 포트(32)와; 약물 이송관(26)의 소정부에 구비되어 에어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36)와; 상기 약물이송관(26)의 끝단에 장착되는 커넥터(38)와; 상기 커넥터(38)와 연결된 엔드캡(40)으로 이루어진 약물주입수단을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에 있어서, 그 하면에 수용용기(4)의 내부로 돌출되며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출홈(20)이 형성되고, 그 배출홈(20)이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 통공(18)이 형성된 돌출부(14)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 가장자리에 암나사(12)가 각설된 캡(10)과;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 외주연에 상기 캡(10)의 암나사(12)와 결합되는 수나사(8)가 형성된 수용용기(4)와; 상기 캡(10)의 돌출부(14)에 씌워져 수축 및 팽창되면서 약물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수축압력으로 인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약물저장튜브(1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부(14)는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약물저장튜브(16)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캡(10)의 바닥면에 링형태의 지지판(2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10)의 상면에는 상기 통공(18)과 연통되고, 상기 약물 이송관(26)과 결합되는 지지구(28)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홈(20)은 상기 통공(18)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는 수용용기의 내부에 남게 되는 약물 잔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캡으로부터 수용용기의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에 직접 약물저장튜브가 씌워져서 돌출부와 약물저장튜브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시키고, 약물을 배출하는 통공을 1개만 구성하여, 통공의 내부에 약물이 잔존하는 량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고가의 약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캡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2)는 약액저장튜브의 수축시 밀착되는 돌출부의 형상을 돔형상으로 형성하여 밀착도는 높이며, 그 돌출부의 외주연에 길이방향 등간격으로 미세한 배출홈을 형성하고 그 배출홈들의 접경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약액저장튜브의 수축시 잔여 약액이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약액의 경제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2)는 그 하면에 수용용기(4)의 내부로 돌출되며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출홈(20)이 형성되고, 그 배출홈(20)이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 통공(18)이 형성된 돌출부(14)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 가장자리에 암나사(12)가 각설된 캡(10)과;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 외주연에 상기 캡(10)의 암나사(12)와 결합되는 수나사(8)가 형성된 수용용기(4)와; 상기 캡(10)의 돌출부(14)에 씌워져 수축 및 팽창되면서 약물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수축압력으로 인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약물저장튜브(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2)는 상기 수용용기(4)의 내부에 남게 되는 약물 잔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캡(10)으로부터 수용용기(4)의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14)에 직접 상기 약물저장튜브(16)가 씌워져서 돌출부(14)와 약물저장튜브(16)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시키도록 한 장치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2)는 상기 수용용기(4)의 내부에 남게 되는 약물 잔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약물을 배출하는 통공(18)을 1개만 구성하여, 통공(18)의 내부에 약물이 잔존하는 량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2)는 상기 캡(10)의 상면에 약물을 이송하는 약물이송관(26)의 일단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약물 이송관(26)의 소정부에 분기되어 외부 주입수단을 통해 약물을 약액저장튜브로 주입하기 위한 3방향 포트(32)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약물 이송관(26)의 소정부에 구비되어 에어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36)와; 상기 약물이송관(26)의 끝단에 장착되는 커넥 터(38)와; 상기 커넥터(38)와 연결된 엔드캡(40)으로 이루어진 약물주입수단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약물이송관(26), 3방향 포트(32), 필터(36) 등의 약물주입수단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도 1a, 1b의 발명에 의해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14)는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약물저장튜브(16)가 그 돌출부(14)의 외표면에 대한 밀착도를 높이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약물저장튜브(16)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캡(10)의 바닥면에 링형태의 지지판(22)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는 바, 그 지지판(22)은 상기 약물저장튜브(16)를 캡(10)의 하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상기 약물저장튜브(16)에 약물이 주입되어 수용될 때 약물저장튜브(16)가 캡(10)으로부터 임의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캡(10)의 상면에는 상기 통공(18)과 연통되고, 상기 약물이송관(26)과 결합되는 지지구(28)가 더 구성되어져 있는 바, 지지구(28)는 캡(10)의 상면 내부로 깊숙하게 유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통공(18)의 인근에 상기 약물이송관(26)이 근접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출홈(20)은 상기 통공(18)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개 형성되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홈(20)은 상기 통공(18)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깊이가 작은 홈으로 이루어져 배출홈(20)에 약액이 잔존하지 않게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약물 주입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2)는 상기 돌출부(14)가 그 하면에 형성되어져 있고, 그 상면에 형성된 지지구(28)를 통해 약물이송관(26)과 연결된 캡(10)을 그 돌출부(14)가 상기 수용용기(4)의 입구부(6)를 통해 삽입되게 하고, 캡(10)의 하면 가장자리 홈(24)의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12)를 상기 수용용기(4)의 입구부(6)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8)에 체결시킨다.
그 상태에서, 상기 3방향 포트(32)를 통해 주사기 또는 약물주입펌프(미도시)를 통해 외부로부터 약물을 주입한다. 그러면, 외부에서 주입된 약물은 상기 캡(10)의 돌출부(14)를 통해 상기 수용용기(4)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3방향 포트(32)를 통해 주입된 약물은 상기 돌출부(14)의 통공(18)을 통해 상기 약물저장튜브(16)의 내부로 유입되어 그 약물저장튜브(16)가 부풀게 팽창시키면서 주입된다.
그러면, 상기 약물저장튜브(16)는 주입된 약물의 압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동시에 자체 탄성복원력이 작용되어 수축하고자 하는 수축력 또한 커지게 된다.
이때, 환자가 조작할 수 있는 누름버튼(미도시)은 조작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약물주입밸브(미도시)가 폐쇄되어져 상기 약물저장튜브(16)는 수축되면서 약물을 배출하지 않게 된다.
약물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환자가 누름버튼(미도시)을 누르게 되면 약물주입밸브(미도시)가 개방되어 상기 약물저장튜브(16)에 탄발력이 작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약물저장튜브(16)의 자체 탄발력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약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약물저장튜브(16)는 탄발력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상기 돌출부(14)에 형성된 배출홈(20)을 따라 통공(18)으로 약물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 통공(18)을 경유한 약물은 상기 약물이송관(26)을 통해 환자측으로 배출되게 되며, 상기 약물저장튜브(16)가 돔형상의 돌출부(14)에 긴밀하게 밀착됨에 따라 약물저장튜브(16)내에 저장되어 있던 약액이 완전히 배출되게 되도록 하고 있어 약물저장튜브(16)내에 약액이 잔류하지 않아서 고가인 약액을 낭비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a, 1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캡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
도 4a,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의 약물 주입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수용용기, 6:입구부,
8:수나사, 10:캡,
12:암나사, 14:돌출부,
16:약물저장튜브, 18:통공,
20:배출홈, 22:지지판.

Claims (5)

  1. 약물을 이송하는 약물이송관(26)과; 약물 이송관(26)의 소정부에 분기되어 외부 주입수단을 통해 약물을 약액저장튜브로 주입하기 위한 3방향 포트(32)와; 약물 이송관(26)의 소정부에 구비되어 에어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36)와; 상기 약물이송관(26)의 끝단에 장착되는 커넥터(38)와; 상기 커넥터(38)와 연결된 엔드캡(40)으로 이루어진 약물주입수단을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에 있어서,
    그 하면에 수용용기(4)의 내부로 돌출되며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배출홈(20)이 형성되고, 그 배출홈(20)이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 통공(18)이 형성된 돌출부(14)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하부 가장자리에 암나사(12)가 각설된 캡(10)과;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 외주연에 상기 캡(10)의 암나사(12)와 결합되는 수나사(8)가 형성된 수용용기(4)와;
    상기 캡(10)의 돌출부(14)에 씌워져 수축 및 팽창되면서 약물을 내부에 수용하거나, 수축압력으로 인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약물저장튜브(1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4)는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저장튜브(16)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캡(10)의 바닥면에 링형태의 지지판(2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10)의 상면에는 상기 통공(18)과 연통되고, 상기 약물이송관(26)과 결합되는 지지구(28)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홈(20)은 상기 통공(18)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주입장치.
KR2020080008695U 2008-06-30 2008-06-30 약물 주입장치 KR200450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695U KR200450458Y1 (ko) 2008-06-30 2008-06-30 약물 주입장치
CN200920006896U CN201370827Y (zh) 2008-06-30 2009-04-01 药物注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695U KR200450458Y1 (ko) 2008-06-30 2008-06-30 약물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723U KR20080002723U (ko) 2008-07-18
KR200450458Y1 true KR200450458Y1 (ko) 2010-10-06

Family

ID=4149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695U KR200450458Y1 (ko) 2008-06-30 2008-06-30 약물 주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50458Y1 (ko)
CN (1) CN201370827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96U (ko) * 2015-11-06 2017-05-16 김기운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34B1 (ko) * 2013-07-22 2014-08-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 세트용 분기관
KR102049701B1 (ko) * 2019-08-22 2020-01-08 이지희 발룬타입의 약액주입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264A (ko) * 1997-06-19 1999-01-25 이영규 의약품주입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264A (ko) * 1997-06-19 1999-01-25 이영규 의약품주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96U (ko) * 2015-11-06 2017-05-16 김기운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KR200484365Y1 (ko) 2015-11-06 2017-08-29 김기운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370827Y (zh) 2009-12-30
KR20080002723U (ko) 200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2930B1 (ko) 의약품주입기
ES2797481T3 (es) Autoinyector reutilizable con mecanismo de llenado
KR102540409B1 (ko) 자동 주사기
ES2873963T3 (es) Jeringa con diafragma rodante
ES2243459T3 (es) Jeringas y dispositivos de jeringas para administrar de forma selectiva dosis controladas de un sustancia terapeutica.
ES2806643T3 (es) Métodos y aparato para la desinfección y prevención de reflujo, conjunto de jeringa de lavado
US7828772B2 (en) Fluid dispensing device
US4013074A (en) Implantable medication-dispensing device
AU2003223720B2 (en) Safety injectors
ES2762899T3 (es) Dispositivo para administrar por vía intradérmica una substancia
ES2816328T3 (es) Dispositivo de administración de un solo uso que tiene un elemento de cebado
ES2795422T3 (es) Jeringa de clip
KR101028847B1 (ko) 보조 약액저장부가 구비된 약액량 조절장치
KR100710898B1 (ko) 외부 주입포트가 구비된 약물주입기
KR200450458Y1 (ko) 약물 주입장치
KR200481416Y1 (ko) 체내 액체 투여기
KR20180094267A (ko) 자가통증 조절용 약물 투여장치
KR20190038271A (ko) 캡슐형 약물 주입 장치
KR101479258B1 (ko) 일회용 주사기
JPS58218967A (ja) 管内投薬器
CN106999677A (zh) 具有保护针插管的针毂的针组件
KR101982004B1 (ko)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CN111035439A (zh) 神经阻滞穿刺注药装置
KR102302253B1 (ko) 체내 액체 주입장치
KR20180003481A (ko) 체내 액체 투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