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365Y1 -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365Y1
KR200484365Y1 KR2020150007223U KR20150007223U KR200484365Y1 KR 200484365 Y1 KR200484365 Y1 KR 200484365Y1 KR 2020150007223 U KR2020150007223 U KR 2020150007223U KR 20150007223 U KR20150007223 U KR 20150007223U KR 200484365 Y1 KR200484365 Y1 KR 200484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catheter
chemical liquid
injection
reg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696U (ko
Inventor
김기운
Original Assignee
김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운 filed Critical 김기운
Priority to KR2020150007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65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6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6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는 카테터에 연결되어 약액을 주입하는 카테터용 약액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에 주입되는 약액이 공급되어 팽창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장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수축에 의해 이송되면서 일차로 주입되는 압력을 조절하여 공급 이송되는 공급조절부; 상기 공급조절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조절부에서 공급된 약액의 일부를 저장하고 있다가 누름 작동을 실시하면 저장된 약액을 추가 주입하는 자가조절부; 및 상기 자가조절부와 상기 카테터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공급조절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자가조절부를 통과한 약액이 공급되면 팽창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장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수축에 의해 이송되면서 이차적으로 상기 카테터 주입 전에 압력을 조절하는 주입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Medicinal Liquid Infusion Apparatus for Catheter}
본 고안은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는 카테터에 연결되어 약액을 미리 정해진 시간과 압력으로 안정적으로 주입되는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catheter)는 관모양기구의 일반적 명칭으로 체강이나 각종 기관 내의 저류물의 배출, 세정용 관류액의 흡인, 심혈행 동태나 중심정맥압 등의 측정, 약물이나 조영제를 체내에 주입 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약물이나 조영제를 카테터를 통해서 주입하는 경우에는 기관 내 삽입되는 카테터에 진단에 따라 설정된 주입량과 주입 시간을 고려하여 정해진 주입 압력과 주입량으로 약물을 주입하는 약물 주입수단이 연결 설치된다.
통상적인 약물 주입수단은 약액을 피스톤의 가압력으로 주입하는 실린지형태의 주사기를 사용한다. 주사기는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약액을 저장한 상태에서 카테터와 연결하여 사용자가 피스톤을 조작하여 약액을 주입한다. 이때,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압력과 주입량을 결정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주입 시간과 압력이 일정하지 않고, 조작 실수가 발생되면 정확한 주입량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진통제와 항생제와 같은 약액은 주입 시간과 주입량이 일정하지 않으면 주입받는 환자에게 고통을 가중되거나, 과다 주입한 경우에 혼수 상태 또는 쇼크사와 같은 의료적인 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전기적이나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펌프가 설치된 약액 주입장치가 사용되어 펌프의 작동에 의해 약액에 압력을 가하여 연결된 카테터에 주입하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펌프가 설치된 약액 주입장치는 펌프의 부피가 크고,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며, 조작 과정에 시간이 지체되어 즉각적으로 투입량과 압력을 조절하기 어려워 환자에 대한 처치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술이나 치료 시 환자의 상태가 급격하게 변화하게 되면 카테터에서 주입되는 약액의 투입량을 즉각적으로 조절하여야 하나 투입량이 셋팅되어 있는 펌프를 조작에 의해 투입량을 변동하여야 함에 따라 펌프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즉각적인 조절이 어려웠다.
또한, 카테터는 혈관 등에 삽입되는 내경이 작고 길이가 긴 관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약액 주입장치와 연결된 관과의 직경차이로 인해 낮은 압력으로 약액이 공급되어도 카테터를 통과하면서 약액의 압력과 투입 속도가 급격하게 상승되어 약액이 설정된 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주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경이 작고 길이가 긴 관 형태의 카테터에 일시적으로 많은 약액이 공급되면 약액 주입에 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이런 저항으로 인해 약액이 주입되지 않아 추가적인 약액이 주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약액이 설정된 압력을 유지하면서 주입될 수 있고, 추가적인 약액 주입 시에도 카테터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약물이 주입될 수 있는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카테터의 약액을 주입 시에 별도의 조작없이 약액의 공급 위치와 카테터 연결 위치에 이중으로 항상 일정량의 약액이 주입되어 정확한 주입으로 효율적인 치료를 실시할 수 있고, 약액의 주입 중 추가적인 약액을 간단한 조작으로 설정된 추가 주입량으로 정확하게 추가 주입하면 카테터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약액이 주입될 수 있어 사용 편의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는 카테터에 연결되어 약액을 주입하는 카테터용 약액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에 주입되는 약액이 공급되어 팽창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장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수축에 의해 이송되면서 일차로 주입되는 압력을 조절하여 공급 이송되는 공급조절부; 상기 공급조절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조절부에서 공급된 약액의 일부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누름 작동을 실시하면 저장된 약액을 추가 주입하는 자가조절부; 및 상기 자가조절부와 상기 카테터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공급조절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자가조절부를 통과한 약액이 공급되면 기설정된 주입량 이상으로 주입되면 팽창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장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수축에 의해 이송되면서 이차적으로 상기 카테터 주입 전에 압력을 조절하는 주입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조절부는, 약액이 공급되는 수단과 연결되어 약액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체; 상기 공급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체와 연결되어 약액이 공급되면 팽창되면서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면 수축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약액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조절체; 상기 공급체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공급조절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자가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체를 통해서 약액이 공급되며, 공급 후 상기 공급조절체를 거쳐서 압력이 조절된 약액을 상기 자가조절부로 공급시키는 공급유통관; 상기 공급조절체의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공급조절체가 팽창되는 공간 형태의 조절공간을 가지는 공급조절몸체; 상기 공급조절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조절체가 팽창 및 수축되도록 지지하는 공급지지체; 및 상기 공급이송관의 상기 자가조절부에 연결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조절체에서 압력이 조절된 상태로 공급 이송되는 약액이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급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가조절부는, 상기 공급조절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의 한쪽에는 약액이 추가적으로 주입되도록 일부가 저장되는 조절저장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공급조절부에서 압력이 조절된 약액이 통과되면서 상기 조절저장공간에 약액이 공급 및 배출되도록 연통되는 홈 형태의 관삽입공간이 형성된 자가조절몸체; 상기 공급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자가조절몸체를 거쳐서 상기 주입조절부로 약액을 이송하도록 관형태로 구비된 약액이송관; 상기 자가조절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가조절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조절저장공간에 약액을 공급하는 위치와 악액이 배출되는 위치에 상기 약액이송관과 연통되어 상기 조절저장공간에 약액이 공급 및 배출되는 조절이송관; 및 상기 자가조절몸체의 한쪽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저장공간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누름 압력에 의해 상기 조절저장공간에 저장된 약액을 가압하여 상기 조절이송관으로 연결된 상기 약액이송관을 통해서 상기 주입조절부로 추가적인 약액이 주입되도록 설치된 누름가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주입조절부는, 상기 자가조절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자가조절부에서 공급되는 약액이 기설정된 주입량 이상으로 공급되면 팽창되면서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면 수축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약액을 주입하도록 설치된 주입조절체; 상기 주입조절체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조절체에서 압력이 조절된 약액이 상기 카테터로 공급되도록 연결된 카테터주입관; 상기 카테터주입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조절체에서 주입되는 약액을 여과하여 상기 카테터로 주입되도록 설치된 주입필터; 상기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주입관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테터주입관보다 직경이 작은 상기 카테터가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된 카테터연결체; 및 상기 주입조절체의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주입조절체가 팽창되는 공간 형태의 주입조절공간을 가지는 주입조절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인체에 삽입되어 카테터에 약액을 주입하는 위치에 약액을 미리 정해진 시간과 압력으로 주입하기 위해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와 카테터와 연결되는 위치에 각각 이중으로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항상 일정량의 약액이 주입될수 있도록 하므로서 약액의 정확한 주입에 의한 효율적인 치료가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약액 주입장치에는 약액이 주입되는 도중에도 지속적으로 통증이 있을 경우 및 주입되는 약액량 보다 순간적으로 많은 량의 약액을 주입시켜 주고져 할 경우 별도의 주사기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일정량의 약액이 추가로 주입될수 있어 사용 편의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약액의 주입량을 제어하기 위해서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와 카테터 연결 위치에 이중으로 설치된 약액 주입부는 약액의 공급에 의해 풍선형태로 팽창되어 일시적으로 저장하다가 정해진 압력이 되면 수축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주입되는 압력을 제공함에 따라 별도의 조작 없이도 설정된 압력으로 지속적으로 약액을 공급시킬 수 있음에 따라 약액 주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100)는 혈관, 요도 등의 삽입된 카테터(10)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해서 연결하여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런,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100)는 약액이 설정된 압력으로 조절되어 공급되는 공급조절부(110), 자가조절부(120), 및 주입조절부(130)를 포함한다. 공급조절부(110)는 약액이 공급되는 공급체(111), 공급조절체(112), 공급유통관(113), 공급조절몸체(114), 공급지지체(116), 및 공급필터(117)를 포함한다.
공급체(111)는 약액이 공급되는 수단인 주사기(20)가 삽입 연결되어 약액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어 약액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주사기(20)는 약액을 공급하는 하나의 수단에 대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나의 예를 든 것이다. 즉, 주사기(20) 이외에 약액이 공급될 수 있는 다른 모든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공급조절체(112)는 공급체(111)와 공급관(112)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공급관(112)을 통해서 약액이 공급되면 팽창되면서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면 수축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약액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공급조절체(112)는 풍선형태로 제작되어 공급관(112)에서 약액이 공급되면 팽창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별도의 작동 없이 자체 수축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약액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즉, 공급조절체(112)는 팽창과 수축되는 풍선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크기와 재질에 따라서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별도의 작동 없이 수축 작용에 따른 설정된 압력을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것임에 따라 공급된 약액이 일차적으로 압력을 조절한 상태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공급유통관(113)은 공급체(111)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이 공급조절체(112)와 연결되고, 타단이 자가조절부(120)에 연결되어 공급체(111)를 통해서 약액이 공급되며, 공급 후 공급조절체(112)를 거쳐서 압력이 조절된 약액을 자가조절부(120)로 공급시키도록 구비된다.
공급조절몸체(114)는 공급조절체(112)의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공급조절체(112)가 팽창되는 공간 형태의 조절공간(116)을 가진다. 공급조절몸체(114)는 내부에 공급조절체(112)가 위치하여 공급조절체(112)를 보호하면서 외력의 작용 없이 정확한 압력에 의해 공급조절체(112)가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공급지지체(116)는 공급조절몸체(11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조절체가 팽창 및 수축되도록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공급필터(117)는 공급이송관(114)의 자가조절부(120)에 연결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조절체(112)에서 압력이 조절된 상태로 공급 이송되는 약액이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설치된다.
자가조절부(120)는 자가조절몸체(121), 약액이송관(124), 조절이송관(125), 및 누름가압체(126)를 포함한다. 자가조절몸체(121)는 공급조절몸체(114)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의 한쪽에는 약액이 추가적으로 주입되도록 일부가 저장되는 조절저장공간(123)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급조절체(112)에서 압력이 조절된 약액이 통과되면서 조절저장공간(123)에 약액이 공급 및 배출되도록 연통되는 홈 형태의 관삽입공간(122)이 형성된다.
즉, 자가조절몸체(121)는 공급조절체(112)에서 일차적으로 압력이 조절된 약액이 카테터(10)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약액의 주입량을 일시적으로 추가시키도록 추가되는 주입량만큼의 약액을 관삽입공간(122)을 통해서 조절저장공간(123)에 저장되도록 형성된다.
약액이송관(124)은 공급필터(117)에 연결되어 자가조절몸체(121)를 거쳐서 주입조절부(130)로 약액을 이송하도록 관형태로 구비된다. 약액이송관(124)은 공급필터(117)에 연결된 상태에서 자가조절몸체(121)의 내부에 관삽입공간(122)의 약액이 통과되는 위치에 삽입되어 공급조절체(112)에서 일차로 압력이 조절된 약액이 주입조절부(130)로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조절이송관(125)은 자가조절몸체(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가조절몸체(121)의 내부에서 조절저장공간(123)에 약액을 공급하는 위치와 악액이 배출되는 위치에 약액이송관(124)과 연통되어 조절저장공간(123)에 약액이 공급 및 배출되도록 설치된다. 조절이송관(125)은 자가조절몸체(121)의 내부에 관삽입공간(122)의 조절저장공간(123)의 공급되는 위치와 배출되는 위치에 각각 삽입되어 약액이송관(124)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조절이송관(125)은 약액이송관(124)으로 이송되는 약액이 조절저장공간(123)에 저장되도록 공급되고, 조작에 의해 조절저장공간(123)의 약액이 가압되면 배출되는 위치에서 저장된 약액이 연통된 약액이송관(124)으로 재공급되면서 추가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가조절몸체(121) 내부에 설치된 약액이송관(124)과 조절이송관(125)은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조절저장공간(123)과 연결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약액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누름가압체(126)는 자가조절몸체(121)의 한쪽에 구비되어 있으며, 조절저장공간(123)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누름 압력에 의해 조절저장공간(123)에 저장된 약액을 가압하여 조절이송관(125)으로 연결된 약액이송관(124)을 통해서 주입조절부(130)로 추가적인 약액이 주입되도록 설치된다.
주입조절부(130)는 약액이송관(124)에 연결된 주입조절체(131), 카테터주입관(132), 주입필터(133), 카테터연결체(134), 및 주입조절몸체(135)를 포함한다.
주입조절체(131)는 약액이송관(124)과 연결되어 있으며, 약액이송관(124)에서 공급되는 약액이 기설정된 주입량 이상으로 공급되면 팽창되면서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면 수축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약액을 주입하도록 설치된다. 주입조절체(131)는 풍선형태로 제작되어 자가조절부(120)에서 공급되는 약액이 카테터(10)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누름가압체(126)의 작동에 의해 주입량이 증대되면 팽창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별도의 작동 없이 자체 수축하면서 일정한 압력과 속도로 약액을 카테터(10)로 공급되어 카테터(10)에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추가된 약액을 용이하게 주입하도록 구비된다.
즉, 주입조절체(131)는 팽창과 수축되는 풍선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크기와 재질에 따라서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별도의 작동 없이 수축 작용에 따른 설정된 압력을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것임에 따라 일차적으로 압력을 조절한 상태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카테터주입관(132)은 주입조절체(131)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주입조절체(131)에서 압력이 조절된 약액이 카테터(10)로 공급되도록 연결된다.
주입필터(133)는 카테터주입관(132)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주입조절체(131)에서 주입되는 약액을 여과하여 카테터(10)로 주입되도록 설치된다.
카테터연결체(134)는 카테터(10)와 카테터주입관(132)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카테터주입관(132)보다 직경이 작은 카테터(10)가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주입조절몸체(135)는 주입조절체(131)의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주입조절체(131)가 팽창되는 공간 형태의 주입조절공간(137)을 가진다. 주입조절몸체(135)는 내부에 주입조절체(131)가 위치하여 주입조절체(131)를 보호하면서 외력의 작용 없이 정확한 압력에 의해 주입조절체(131)가 팽창 및 수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액이 공급되는 위치에서 공급조절체(112)로 일차적으로 압력을 조절한 상태에서 주입조절체(131)에서 이차적으로 압력을 조절하여 직경이 얇은 카테터(10)로 주입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압력을 유지하면서 약액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자가조절부(120)에서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따라 약액을 추가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공급된 추가 약액은 주입조절체(131)에서 압력이 조절된 상태로 공급됨에 따라 급격한 압력 변화 없이 추가적인 약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입장치 110 : 공급조절부
111 : 공급체 112 : 공급조절체
113 : 공급유통관 114 : 공급조절몸체
115 : 조절공간 116 : 공급지지체
117 : 공급필터 120 : 자가조절부
121 : 자가조절몸체 122 : 관삽입공간
123 : 조절저장공간 124 : 약액이송관
125 : 조절이송관 126 : 누름가압체
130 : 주입조절부 131 : 주입조절체
132 : 카테터주입관 133 : 주입필터
134 : 카테터연결체 135 : 주입조절몸체
136 : 주입조절공간

Claims (4)

  1. 카테터에 연결되어 약액을 주입하는 카테터용 약액주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에 주입되는 약액이 공급되어 팽창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장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수축에 의해 이송되면서 일차로 주입되는 압력을 조절하여 공급 이송되는 공급조절부;
    상기 공급조절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조절부에서 공급된 약액의 일부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누름 작동을 실시하면 저장된 약액을 추가 주입하는 자가조절부; 및
    상기 자가조절부와 상기 카테터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공급조절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자가조절부를 통과한 약액이 공급되면 기설정된 주입량 이상으로 주입되면 팽창에 의해 일시적으로 저장한 상태에서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수축에 의해 이송되면서 이차적으로 상기 카테터 주입 전에 압력을 조절하는 주입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조절부는,
    약액이 공급되는 수단과 연결되어 약액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체;
    상기 공급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체와 연결되어 약액이 공급되면 팽창되면서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면 수축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약액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조절체;
    상기 공급체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공급조절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자가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체를 통해서 약액이 공급되며, 공급 후 상기 공급조절체를 거쳐서 압력이 조절된 약액을 상기 자가조절부로 공급시키는 공급유통관;
    상기 공급조절체의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공급조절체가 팽창되는 공간 형태의 조절공간을 가지는 공급조절몸체;
    상기 공급조절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조절체가 팽창 및 수축되도록 지지하는 공급지지체; 및
    상기 공급유통관의 상기 자가조절부에 연결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조절체에서 압력이 조절된 상태로 공급 이송되는 약액이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급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조절부는,
    상기 자가조절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자가조절부에서 공급되는 약액이 기설정된 주입량 이상으로 공급되면 팽창되면서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기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면 수축하면서 일정한 압력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약액을 주입하도록 설치된 주입조절체;
    상기 주입조절체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조절체에서 압력이 조절된 약액이 상기 카테터로 공급되도록 연결된 카테터주입관;
    상기 카테터주입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조절체에서 주입되는 약액을 여과하여 상기 카테터로 주입되도록 설치된 주입필터;
    상기 카테터와 상기 카테터주입관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카테터주입관보다 직경이 작은 상기 카테터가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된 카테터연결체; 및
    상기 주입조절체의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주입조절체가 팽창되는 공간 형태의 주입조절공간을 가지는 주입조절몸체;를 포함하는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조절부는,
    상기 공급조절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의 한쪽에는 약액이 추가적으로 주입되도록 일부가 저장되는 조절저장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공급조절부에서 압력이 조절된 약액이 통과되면서 상기 조절저장공간에 약액이 공급 및 배출되도록 연통되는 홈 형태의 관삽입공간이 형성된 자가조절몸체;
    상기 공급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자가조절몸체를 거쳐서 상기 주입조절부로 약액을 이송하도록 관형태로 구비된 약액이송관;
    상기 자가조절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가조절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조절저장공간에 약액을 공급하는 위치와 악액이 배출되는 위치에 상기 약액이송관과 연통되어 상기 조절저장공간에 약액이 공급 및 배출되는 조절이송관; 및
    상기 자가조절몸체의 한쪽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저장공간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누름 압력에 의해 상기 조절저장공간에 저장된 약액을 가압하여 상기 조절이송관으로 연결된 상기 약액이송관을 통해서 상기 주입조절부로 추가적인 약액이 주입되도록 설치된 누름가압체;를 포함하는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4. 삭제
KR2020150007223U 2015-11-06 2015-11-06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KR200484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23U KR200484365Y1 (ko) 2015-11-06 2015-11-06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223U KR200484365Y1 (ko) 2015-11-06 2015-11-06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96U KR20170001696U (ko) 2017-05-16
KR200484365Y1 true KR200484365Y1 (ko) 2017-08-29

Family

ID=5902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223U KR200484365Y1 (ko) 2015-11-06 2015-11-06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36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58Y1 (ko) 2008-06-30 2010-10-06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약물 주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468B1 (ko) * 2004-09-03 2006-06-28 김종욱 휴대용 수액 주입장치
KR101554810B1 (ko) * 2014-01-09 2015-09-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삼투압 약물주입펌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58Y1 (ko) 2008-06-30 2010-10-06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약물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96U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5530B2 (en) Fluid delivery system with high and low pressure hand manifold
JP6492059B2 (ja) 流体経路セットボーラス制御装置
US20040019325A1 (en) Syringe Pump
US7972305B2 (en) Drug supply system for CED (convection-enhanced delivery) catheter infusions
CN103945892A (zh) 用于向体内输注治疗剂的组装件、系统和方法
US20180008768A1 (en) Mobile Infusion Pump
WO2007075280A1 (en) Pressurized fluid reservoir for an infusion system
KR20070026373A (ko) 열손실방지용 단열 환자 라인 배관을 구비한 수액 주입장치
KR100961455B1 (ko)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KR200484365Y1 (ko)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US10322273B2 (en) Micro infusion device for drug delivery
JP6945661B2 (ja) 注入装置用のプライミングシステム
EP0327555B1 (en) Apparatus for feeding drugs
JP7100064B2 (ja) ボーラス送達装置
US11419979B2 (en) Variable fluid flow rate control device
US20100076407A1 (en) Catheters for use in the subarachnoid space and the like
JP2552692B2 (ja) 薬剤供給装置
JP2000262613A (ja) 薬液注入装置
CN112074312B (zh) 用于输送小体积流体的输液系统的蠕动泵
KR20230064555A (ko) 약물 저장부재와 스크류를 연결한 약물전달 및 체액추출 시스템 및 체내 배치용 약물 저장부재
JP2008161240A (ja) 薬剤塗布チューブ
RU133421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 скользящим сердечником для подачи текучей среды
JP2010252924A (ja) カテーテルおよび薬剤投与装置
MXPA06007335A (en) Fluid infusion apparatus with an insulated patient line tubing for preventing heat loss
WO2004052427A1 (en) Veterinary intravenous administr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