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455B1 -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455B1
KR100961455B1 KR1020080067415A KR20080067415A KR100961455B1 KR 100961455 B1 KR100961455 B1 KR 100961455B1 KR 1020080067415 A KR1020080067415 A KR 1020080067415A KR 20080067415 A KR20080067415 A KR 20080067415A KR 100961455 B1 KR100961455 B1 KR 100961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low rate
rod
diameter
overl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015A (ko
Inventor
서현배
Original Assignee
서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배 filed Critical 서현배
Priority to KR102008006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455B1/ko
Priority to US13/002,025 priority patent/US20110112488A1/en
Priority to CN2009801271690A priority patent/CN102089022A/zh
Priority to PCT/KR2009/003344 priority patent/WO2010005191A2/ko
Priority to JP2011517332A priority patent/JP2011527594A/ja
Priority to EP09794597A priority patent/EP2324874A2/en
Publication of KR2010000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with capillaries for restricting 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인체에 투여되는 각종 주사제 등 약물의 투여량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의료용 유량조절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는 외경이 일정한 내관부재(110)의 일부분이 내경이 일정한 외관부재(120) 내부로 중첩하게 삽입되어 그 중첩한 부분의 길이와 간격에 따라 결정된 유속으로 유량을 제어한다. 이 장치의 내,외관부재는 구조적으로 내, 외관부재가 고정밀도로 가공될 수 있고 온도변화에 거의 영향이 없는 금속관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량제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특히 두 금속관의 중첩하는 부분의 공극을 이용, 모세관 기능을 수행하므로 보다 정교한 미량의 유량 조절이 가능하다.
의료용 유량조절, 내관, 외관, 모세관

Description

의료용 유량조절장치{MEDICAL FLOW REGULATOR}
본 발명은 의료용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에 투여되는 각종 주사제 등 약물의 투여량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수술 전후나 요양 중에 환자에게 투여되는 링거 액 등 각종 주사제는 전문의에 의한 정확한 진료 및 처방에 따라 일정한 양으로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투여되어야 한다. 주사제에 따라 다소 경중의 차이는 있겠으나, 단위 시간당 투여량이 적을 경우 약효가 떨어지는 반면 과다할 경우에는 이상반응이나 심지어 쇼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사바늘을 통해 혈관에 주사되는 약물은 통상 링거 병에 저장된 상태로 환자보다 높은 위치에서 중력식으로 또는 압력주머니의 수축압력을 이용하여 연속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되는 약물은 그 잔량에 따라 그 중력 압이나 수축 압이 점차 감소하게 되고, 이를 직접 주사할 경우 인체에 투여되는 약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링거 병이나 압력주머니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일정한 양으로 투여할 필요가 있다.
주사제 약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종래의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비탄성 소재의 금속편 클램프와 핀치롤러형 클램프가 있다. 이들은 약물이 저장된 링거 병이나 압력주머니를 주사바늘과 연결하는 가느다란 긴 연질 호스의 어느 한 부위를 가압하여 그 호스의 구경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같은 클램프들은 유량을 눈짐작으로 제어하는 정도로 그 신뢰도가 매우 낮으므로 정밀 제어를 필요로 하는 주사제 약물 투여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정밀 제어를 필요로 하는 주사제 약물 투여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모세관을 이용한 장치들이 제안되어 왔다. 모세관은 액체의 단위 체적당 마찰저항을 크게 하여 외부의 공급 압력에 대해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특성으로 미량의 유량 조절에 유용하다. 모세관에 의한 유량은 대체로 모세관 양단의 차압과 구경 및 길이에 따라 정해지며, 공급 압력이 충분하다면 대체로 그 구경과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99952에는 분기된 다수의 연질 튜브 각각에 모세관을 끼워서 각 튜브로의 약물 유입량을 일정하게 하면서 다수의 연질튜브를 선택적으로 가압 차단함으로써 유량을 조절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6-0055896과 특허 10-0075272, 미국특허 3,785,378 및 3,877,428 등에는 회전체에 모세관과 같은 그루우브(groove)를 형성한 다이얼 조절식 구조들이 제안되어 있다. 그루우브는 각각 다른 깊이로서 방사모양으로 배치되거나 원형으로 배치되는데, 회전체의 위치에 따라 방사상의 그루우브가 선택되거나 원형의 그루우브의 유효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유량이 조절되는 것이다.
모세관을 이용한 구조에서, 종래에 제안된 장치들의 모세관(그루우브)을 포함한 부재들은 구조적으로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로써 구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이같은 사출 성형물로 구현된 모세관은 외부 온도에 따라 쉽게 신축 변형되어 구경이 달라질 수 있으며, 모세관 특성상 그 구경의 미세한 변화에도 유량 조절의 편차가 심하게 커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종래의 장치를 이용하여 주사제 약물을 투여할 경우 실내온도에 따라 그리고 환자가 실내외를 이동할 때 투여량이 변화되어 그 신뢰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다.
또한, 모세관 유량은 대체로 양단의 차압과 구경 및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데, 각 인자의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정확한 설계 치로 유지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사출 성형물 구조에서는 그같은 설계치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성형 과정에서조차 설계치에 오차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유량의 정밀한 선형적 제어 가능한 구조로 제공되기 어렵다. 그러나 주사제 약물의 투여량은 약물 성분이나 환자 상태에 따라 광범위한 선형적 조절을 필요로 하므로 종래의 장치들은 그만큼 제품의 효용성이 낮았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온도에 영향이 거의 없고 매우 높은 정도의 설계가 가능하고 그 설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써 유량 제어의 신뢰성이 높고, 0에서 최대 범위까지 안정적으로 조절 가능한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는 관 모양으로서 내경과 외경이 일정한 내관부재, 내관부재의 외경보다 크고 일정한 내경을 가지는 외관부재, 내관부재의 일부분이 외관부재의 내부로 중첩하게 삽입되어 그 중첩한 부분에서 외관부재의 내벽면과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그 내,외관부재를 고정 지지하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약물 등의 액체가 내관부재의 안쪽으로 유입되고 상기 중첩된 부분의 간격을 통해 외관부재의 주위로 이동한 후 외부로 유출되는 또는 그 역으로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수단, 그리고 상기 내관부재와 외관부재를 상대적으로 관 중심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상호간 중첩하는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내, 외관부재가 서로 중첩하는 부분의 길이와 그 사이의 간격에 의해 조정된 유속으로 상기 액체를 유통시키고 그 유속을 상기 조절수단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는 관 모양으로서 내경과 외경이 일정한 관부재, 이 관부재의 내경보다 작고 일정한 직경의 봉부재, 이 봉부재의 일부분이 관부재 내에 중첩되게 삽입되어 그 중첩된 부분에서의 관부재의 내벽면과 봉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그 관부재와 봉부재를 지지하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약물 등의 액체가 관부재의 한 쪽 끝 안쪽으로 유입되어 상기 봉 부재와의 중첩한 부분의 간격을 통하고 다른 쪽 끝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또는 그 역으로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관부재와 봉부재가 서로 중첩하는 부분의 길이와 그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 유속으로 상기 액체를 유통시키게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는 관 모양으로서 내경과 외경이 일정한 관부재, 이 관부재의 내경보다 작고 일정한 직경의 봉부재, 이 봉부재의 일부분이 관부재 내에 중첩되게 삽입되어 그 중첩된 부분에서의 관부재의 내벽면과 봉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그 관부재와 봉부재를 지지하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약물 등의 액체가 관부재의 한 쪽 끝 안쪽으로 유입되어 상기 봉 부재와의 중첩한 부분의 간격을 통하고 다른 쪽 끝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또는 그 역방향으로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 수단, 그리고 상기 관부재와 봉부재를 상대적으로 관 중심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상호간의 중첩한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관부재와 봉부재가 서로 중첩하는 부분의 길이와 그 사이의 간격에 의해 조정된 유속으로 상기 액체를 유통시키고 그 유속을 상기 조절수단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는 구조적으로 모세관 기능을 위해 구비하는 내, 외관부재로서 금속관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관은 일반 합성수지 성형물에 비해 고정밀도로 관리할 수 있고 외부 온도변화에 거의 변형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는 내, 외관부재를 중첩시켜 그 중첩된 길이와 그 사이의 공차(간격)를 이용하여 유량을 제어하므로 유량을 더욱 미세한 양으로 더욱 정교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환자의 상태나 투여 약물의 성분에 따라 정확한 투여 조치가 가능하여 환자의 치료효과를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일반적인 중력 투여 방식의 링거 주사 기구를 개략으로 나타낸다. 부호 1은 약물이 저장된 링거 병, 2는 링거 스포우크 튜브, 3은 주사기 튜브, 4는 주사기 바늘이다. 이러한 통상의 중력 투여 방식의 링거 주사 기구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는 도 1a와 같이 통상의 링거 스포우크 튜브(2) 내에 일체적으로 내장된 튜브 내 삽입형(100 또는 200)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도 1b와 같이 링거 스포우크 튜브(2)와 주사기 튜브(4) 사이에 연결되는 단독 가변형(300 또는 400)으로 실시 될 수 있다. 튜브 내 삽입형 유량조절장치(100 또는 200)는 유량이 설계치 에 의해 고정된 것으로서, 예컨대 단위시간 당 유량으로서 0.5cc용, 1cc용, 2cc용, 4cc용 등으로 환자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도 2 내지 도 4에 보인 바와 같다. 단독 가변형 유량조절장치(300 또는 400)는 단위시간 당 투여할 유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으로서, 예컨대 0cc~4cc의 범위 또는 그보다 작거나 큰 범위에서 원하는 유량으로 조절하여 투여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도 5 내지 도10에 보인 바와 같다.
도 2, 도 3a 및 3b에 보인 유량조절장치(100)는 튜브 내 삽입형의 한 실시 형태로서, 관 모양의 내, 외관부재(110,120), 그리고 하우징 수단으로서의 내, 외관지지부재(130,140)와 하우징부재(150)로 이루어진다. 내, 외관부재(110,120)는 내경과 외경이 일정한 관 모양으로, 바람직하게는 내식성이 우수하고 고온내열성 및 고강도 재질의 합성수지관이나 금속관 또는 유리관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내, 외관부재(110,120)는 각각 원형관이 바람직하나 닮은꼴의 각형 관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내, 외관부재(110,120)를 각각 고정 지지하는 내, 외관지지부재(130,140)는 내, 외관부재(120,130)와 일체로 가공된 금속가공물이거나 내열성 수지의 성형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부재(150)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관 또는 고내열성 합성수지의 성형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부재의 결합부는 약물이 새지 않도록 누수방 지 구조를 이룬다.
내, 외관부재(110,120)는 각각 내경과 외경이 일정한 원형 또는 각형의 직관 모양으로서, 내관부재(100)의 외경보다 외관부재(120)의 내경이 약간 커서, 내, 외관지지부재(130,140)에 각 한 쪽 단부가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내관부재(110)는 일부가 외관부재(120)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 중첩하고, 그 중첩한 부분에서의 일정한 간격(160)을 유지한다. 이 간격(160)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모세관으로서의 유량조절 기능을 위한 것이다.
하우징부재(150)는 서로 일부 중첩한 내, 외관부재(110,120)를 수용하여 그 주위에 유로(170)를 형성한다. 유로(170)는 내, 외관지지부재(130,140)에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입출력 포트(131,141)를 포함한다. 내관지지부재(130)에 형성된 포트(131)는 거기에 지지된 내관부재(110)의 안쪽 중공부와 통한다. 외관지지부재(140)에 형성된 포트(141)는 외관부재(120)의 외측벽면 주위의 유로(170)로 통하며, 바람직하게는 복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2개의 포트(131,141)중 직경이 작은 내관측의 포트(131)가 유입측으로, 그리고 직경이 큰 외관측의 포트(141)가 유출측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유입측과 유출측이 바뀌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a의 링거 병(1)으로부터 스포우크 튜브(2)를 통해 공급되는 약물은 예컨대 유입측 포트(131)를 통해 내관부재(110)로 유입된 후, 내, 외관부재(110,120) 상호간 중첩 부분의 간격(160)을 경유하여 외관부재(120)의 주위의 유로(170)로 이동하게 되며, 그 유로(170)로부터는 유출측 포트(141)를 통해 도 1a의 주사기 튜브(3)로 유출된다. 여기서, 약물은 내관부재(110)를 따라 그 끝 부분까지는 큰 저항 없이 이동하게 되고, 그 끝에서부터 내, 외관부재(110,120) 상호간 중첩 부분의 간격(160)에서는 그 간격과 중첩 부분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유속으로 제어됨으로써 그 유량이 소정의 미세 유량으로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유로중에 놓인 내관부재(110)의 단부를 둥그렇게 처리함으로써 최초 조립시 외관부재(120)의 내벽 손상을 막고, 또 유체에 대한 저항을 줄여준다.
도 4에 보인 유량조절장치(200)는 튜브 내 삽입형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관부재(210), 봉부재(220), 관지지부재(230), 봉지지부재(240), 그리고 하우징부재(25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에 있어서, 봉부재(220)를 제외한 다른 부재들은 앞에서 설명한 도 2의 실시에 있어서의 대응되는 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봉부재(220)는 관부재(2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공되어 그 일부가 그 관부재(210)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중첩하고 그 중첩부분에서의 관부재(210)의 내측벽면과의 사이에 모세관 기능을 위한 일정한 간격(260)을 유지한다. 포트(231)를 통해 관부재(210) 내부로 유입되는 약물은 간격(260)을 통해 제한된 유속으로 흐르고, 관부재(210) 끝에서는 큰 저항 없이 포트(24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마찬가지로 관부재(210)와 봉부재(220)가 중첩한 부분에서의 간격(260)과 그 중첩길이에 따라 설계된 고정 유량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와 도 6a, 6b 및 도 7에 보인 유량조절장치(300)는 단독 가변형의 한 실시 형태로서, 관 모양의 내, 외관부재(310,320), 하우징 수단으로서의 내, 외관지지부재(330,340)와 하우징부재(350)로 이루어지며, 조절수단으로서 내관지지부재(330)와 하우징부재(350)에 상호 암수 형태로 결합하는 나사부(332,35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누수방지 구조를 위해 내관지지부재(330)에는 하우징부재(350)의 내주면을 향해 환형 돌출부(333)가 연장되고, 그 환형 돌출부(333)의 단부와 하우징부재(350)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로 미끄러질 수 있는 고무 등의 신축성 기밀재인 패킹링(334)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외관지지부재(340)에 결합된 니플(380)은 도 1b의 링거 스포우크 튜브(2)와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도 1b의 주사기 튜브(3)는 내관지지부재(330)의 포트(331)에 연결된다. 즉, 본 실시예의 유량조절장치(300)는 외관측 포트(341)가 약물 유로의 유입측이 되고 내관측 포트(331)가 유출측이 되며, 약물의 유통경로는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반대방향이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장치(300)에서는 내관지지부재(330)와 하우징부재(350)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그 나사의 진행방향인 관 중심방향으로 상호간 신축 조절될 수 있으며, 그 신축조절에 따라 내, 외관부재(310,320)의 중첩 부분의 길이도 신축 조절된다. 이같이 내, 외관부재(310,320)의 중첩 부분의 길이가 신축 조절되면 그 정도에 따라 내, 외관부재(310,320) 사이의 중첩 부분에서의 유속이 변화하여 단위시간당 통과하는 유량이 줄거나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나 투여 약물에 따라 정확한 미세 유량으로 조정하여 일정하게 투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내관지지부재(330)의 외주면에는 유량표시 눈금(335)이, 하우징부재(350)의 외주면에는 유량지시 표식(352)이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유량표시 눈금(335)과 유량지시 표식(352)을 통해 원하는 유량을 쉽게 선택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 보인 유량조절장치(400)는 단독 가변형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관부재(410), 봉부재(420), 관지지부재(430), 봉지지부재(440), 그리고 하우징부재(45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에 있어서, 봉부재(420)는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나머지 부재들은 앞에서 설명한 도 5의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관부재(210)와 봉부재(220)가 중첩 길이는 관지지부재(430)와 하우징부재(450)의 신축 조절에 따라 원하는 유량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a 내지 9c에 보인 유량조절장치(500)는 단독 대용량 가변형의 한 실시 형태이다. 이 실시 형태의 특징은 유량을 더욱 확장된 범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 점으로서, 예를 들면 수술중 긴급 수혈 등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의 주사가 필요한 경우가 있고, 수술 진행에 따라 그 양을 미세 유량으로 재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 외관부재(510,520)가 다단형으로 되고, 나머지 부재들은 앞의 가변형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단형의 내관부재(510)는 그 끝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내경과 외경을 가지며, 각 단에서의 내경과 외경은 일정하다. 다단형의 외관부재(520)는 내관부재(510)에 대응된 모양으로서 그 끝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늘어나는 내경을 가지며, 각 단에서의 내경은 일정하고 동시에 내관부재(510)의 각 단에서의 외경보다 약간씩 크다. 외관부재(520)의 외경도 내경과 같은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경은 전 구간 일정해도 무방하다. 여기서 내, 외관부재(510,520)를 각 단을 직경이 작은 부분부터 1단 조절구간(S1), 2단 조절구간(S2), 3단 조절구간(S3)으로 구분하면, 각 단 상호간의 최대 중첩거리는 앞 단의 최대 중첩거리보다 길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각 차수의 배수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2단 조절구간(S2)의 최대 중첩거리는 1단 조절구간(S1)의 최대 중첩거리의 2배 이상으로, 3단 조절구간(S3)의 최대 중첩거리는 1단 조절구간(S1)의 최대 중첩거리의 3배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도 9a는 1단계 조절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내, 외관부재(510,520)의 직경이 가장 작은 부분인 1단 조절구간(S1)의 서로 중첩한 부분에서 미세 조절 기능이 이행되며, 이 구간에서의 유량은 미량으로 제어된다.
도 9b는 2단계 조절상태로서, 내관부재(510)의 끝 부분이 외관부재(520)의 1단 조절구간(S1)을 벗어나면서 비로소 시작되며, 이 상태에서는 내, 외관부재(510,520)의 2단 직경 부분인 2단 조절구간(S2)의 서로 중첩한 부분에서 미세 조절기능이 이행되며, 이 구간에서의 유량은 중간범위로 제어된다.
다음, 도 9c는 3단계 조절상태로서, 내관부재(510)의 끝 부분이 외관부재(520)의 2단 조절구간(S2)을 벗어나면서 비로소 시작되며, 이 상태에서는 내, 외관부재(510,520)의 3단 직경 부분인 3단 조절구간(S2)의 서로 중첩한 부분에서 미세 조절기능이 이행되며, 이 구간에서의 유량은 최대 범위로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면에는 3단으로 예시되었으나, 2단 또는 4단 이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에 보인 유량조절장치(600)는 단독 대용량 가변형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다단형 관부재(610), 다단형 봉부재(620), 관지지부재(630), 봉지지부재(640), 그리고 하우징부재(650)로 이루어진다. 다단형 관부재(610)와 다단형 봉부재(620)는 앞의 9도a 내지 9c의 실시예서의 다단형 내, 외관부재에 대응하며, 나머지 부재들은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 또한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단에서의 미세 조절기능과 단계별 확장된 유량범위로 유량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유량이 고정된 형태인 튜브 내 삽입형과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형태인 단독 가변형과 단독 대용량 가변형이 예시되었다. 유량이 고정된 단독 고정 형태를 포함하여 더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이 적용된 중력투여식 링거 주사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튜브 내 삽입형 구조의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a 및 3b는 도 2에 실시된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를 축 방향에서 본 좌, 우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튜브 내 삽입형 구조의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세번째 실시예에 따른 단독 가변형 구조의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6a 및 6b는 도 5에 실시된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를 축 방향에서 본 좌, 우 측면도,
도 7은 도 5에 실시된 의료용 유량조절장치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네번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독 가변형 구조의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9a,9b 및 9c는 본 발명의 다섯번째 실시예에 따른 단독 대용량 가변형 구조의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를 보인 단면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여섯번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독 대용량 가변형 구조의 유량조절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관 모양으로서 내경과 외경이 일정한 내관부재, 이 내관부재의 외경보다 크고 일정한 내경을 가지는 외관부재, 내관부재의 일부분이 외관부재의 내부로 중첩하게 삽입되어 그 중첩한 부분에서 외관부재의 내벽면과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그 내,외관부재를 고정 지지하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약물 등의 액체가 내관부재의 안쪽으로 유입되고 상기 중첩된 부분의 간격을 통해 외관부재의 주위로 이동한 후 외부로 유출되는 또는 그 역으로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수단, 그리고 상기 내관부재와 외관부재를 상대적으로 관 중심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상호간의 중첩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내,외관부재가 서로 중첩하는 부분의 길이와 그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 유속으로 상기 액체를 유통시키고 그 유속을 상기 조절수단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으로서 상기 내관부재의 한 쪽 단부를 지지하며 그 단부 안쪽으로 통하는 포트를 가지는 내관지지부재, 상기 외관부재의 한 쪽 단부를 지지하며 그 단부 안쪽을 틀어막고 바깥쪽 주위로 통하는 포트를 가지는 외관지지부재, 상기 외관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유로를 위한 간격을 두고 그 내관지지부재와 외관지지부재 사이에 연결된 하우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수단으로서는 상기 하우징수단의 내관지지부재와 하우징부재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관의 중심방향으로 상호 신축 조절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재와 외관부재가 상호 대응하여 직경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다단형으로 구성되어, 각 단에서의 상호간 중첩하는 거리와 간격에 따라 각각의 범위에서 유량이 조절되고 단계별로 그 유량의 조절범위가 확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6. 관 모양으로서 내경과 외경이 일정한 관부재, 이 관부재의 내경보다 작고 일정한 직경의 봉부재, 이 봉부재의 일부분이 관부재 내에 중첩되게 삽입되어 그 중첩된 부분에서의 관부재의 내벽면과 봉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그 관부재와 봉부재를 지지하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약물 등의 액체가 관부재의 한 쪽 끝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봉부재와의 중첩한 부분의 간격을 경유하여 다른 쪽 끝으로 흐르면 그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또는 그 역으로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관부재와 봉부재가 서로 중첩하는 부분의 길이와 그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 유속으로 상기 액체를 유통시키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량조절기.
  7. 관 모양으로서 내경과 외경이 일정한 관부재, 이 관부재의 내경보다 작고 일정한 직경의 봉부재, 이 봉부재의 일부분이 관부재 내에 중첩되게 삽입되어 그 중첩된 부분에서의 관부재의 내벽면과 봉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그 관부재와 봉부재를 지지하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약물 등의 액체가 관부재의 한 쪽 끝 안쪽으로 유입되어 상기 봉 부재와의 중첩한 부분의 간격을 통하고 다른 쪽 끝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또는 그 역방향으로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하우징 수단, 그리고 상기 관부재와 봉부재를 상대적으로 관 중심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상호간의 중첩한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관부재와 봉부재가 서로 중첩하는 부분의 길이와 그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 유속으로 상기 액체를 유통시키고 그 유속을 상기 조절수단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KR1020080067415A 2008-07-11 2008-07-11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KR100961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415A KR100961455B1 (ko) 2008-07-11 2008-07-11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US13/002,025 US20110112488A1 (en) 2008-07-11 2009-06-22 Medical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CN2009801271690A CN102089022A (zh) 2008-07-11 2009-06-22 用于控制流量的医疗设备
PCT/KR2009/003344 WO2010005191A2 (ko) 2008-07-11 2009-06-22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JP2011517332A JP2011527594A (ja) 2008-07-11 2009-06-22 医療用流量調節装置
EP09794597A EP2324874A2 (en) 2008-07-11 2009-06-22 Medical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415A KR100961455B1 (ko) 2008-07-11 2008-07-11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15A KR20100007015A (ko) 2010-01-22
KR100961455B1 true KR100961455B1 (ko) 2010-06-08

Family

ID=4150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415A KR100961455B1 (ko) 2008-07-11 2008-07-11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12488A1 (ko)
EP (1) EP2324874A2 (ko)
JP (1) JP2011527594A (ko)
KR (1) KR100961455B1 (ko)
CN (1) CN102089022A (ko)
WO (1) WO2010005191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197B1 (ko) * 2019-09-09 2020-09-25 서현배 수액의 주입을 제어하는 밸브 장치
KR20220037103A (ko) 2020-09-17 2022-03-24 이현상 의료용 약액 공급량 조절 장치
KR20240043988A (ko) 2022-09-28 2024-04-04 이현상 다기능 약액 조절 투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6667B2 (en) * 2010-02-11 2013-02-05 Baxter International Inc. Flow pulsatility dampening devices
KR101333121B1 (ko) * 2011-11-18 2013-11-26 한국기계연구원 수액주입용 선형 2중유량조절장치
KR101333118B1 (ko) 2011-11-18 2013-11-26 한국기계연구원 수액주입용 선형유량조절장치
CN107029317B (zh) * 2015-07-31 2020-07-28 重庆倍加医疗器械有限公司 药物注射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5378A (en) * 1972-04-06 1974-01-15 C Stewart Flow control valve for intravenous fluids
US3877428A (en) * 1973-04-30 1975-04-15 Sorenson Research Co Variable infusion control device
US4718634A (en) * 1986-09-23 1988-01-12 Hewlett-Packard Company Physiological pressure monitoring system flush valve
JPH02307477A (ja) * 1989-05-22 1990-12-20 Kobayashi Shogo 薬液持続注入器
JPH04201425A (ja) * 1990-11-30 1992-07-22 Chisso Corp 液体流出量制御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14778A (ja) * 1998-07-03 2000-01-18 Daiken Iki Kk 薬液の流量調整装置
JP2002095744A (ja) * 2000-09-26 2002-04-02 Terumo Corp 流量調節器
US20050059931A1 (en) * 2003-09-16 2005-03-17 Venomatrix Methods and apparatus for localized and semi-localized drug delivery
US8114055B2 (en) * 2005-05-10 2012-02-14 Palyon Medical (Bvi) Limited Implantable pump with infinitely variable resistor
CN201030114Y (zh) * 2007-04-24 2008-03-05 王建友 一种输液流量调节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197B1 (ko) * 2019-09-09 2020-09-25 서현배 수액의 주입을 제어하는 밸브 장치
KR20220037103A (ko) 2020-09-17 2022-03-24 이현상 의료용 약액 공급량 조절 장치
KR20240043988A (ko) 2022-09-28 2024-04-04 이현상 다기능 약액 조절 투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4874A2 (en) 2011-05-25
WO2010005191A9 (ko) 2010-06-10
WO2010005191A3 (ko) 2010-03-11
US20110112488A1 (en) 2011-05-12
JP2011527594A (ja) 2011-11-04
KR20100007015A (ko) 2010-01-22
CN102089022A (zh) 2011-06-08
WO2010005191A2 (ko)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455B1 (ko)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US116684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variable flow resistor
US5409477A (en) Solution administration apparatus with orifice flow control device
WO2007095297A2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with flow rate control
US20060229558A1 (en) Medical infuser device
US20220273867A1 (en) Bladder for an infusion assembly
US20100320409A1 (en) Flow controllers
JPS62501333A (ja) 末端流れレギュレ−タ−を有する注入器
ES2844940T3 (es) Ensamblaje restrictor de microflujos y métodos para hacer el mismo
KR101176792B1 (ko) 약액주입조절장치
EP3582827B1 (en) Mandrel for an infusion assembly
JP6722591B2 (ja) 患者に流体を送達するための装着可能な流量調節装置
US10821224B2 (en) Shaped elastomeric infusion pump
US202400365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riable flow resistance for a pump
CN216629322U (zh) 输注泵
KR200484365Y1 (ko) 카테터용 약액 주입장치
KR20220037103A (ko) 의료용 약액 공급량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