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792B1 - 약액주입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약액주입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792B1
KR101176792B1 KR20100035558A KR20100035558A KR101176792B1 KR 101176792 B1 KR101176792 B1 KR 101176792B1 KR 20100035558 A KR20100035558 A KR 20100035558A KR 20100035558 A KR20100035558 A KR 20100035558A KR 101176792 B1 KR101176792 B1 KR 101176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support
holder
cannula support
chemic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3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931A (ko
Inventor
서현배
Original Assignee
서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배 filed Critical 서현배
Priority to KR20100035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792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의료용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캐뉼라를 지지하는 제1캐뉼라 지지체(20), 제2캐뉼라를 지지하는 제2캐뉼라 지지체(40), 제2캐뉼라와 결합하고 제1캐뉼라 지지체(20)와는 상호 신축조절가능하게 결합된 홀더(50), 그리고 제1캐뉼라 지지체(20)와 홀더(50) 상호간을 구속시킬 수 있는 고정링(60)을 구비하여, 의사나 간호사 외에 환자나 보호자에 의해 쉽게 조작될 수 없고, 환자가 움직이거나 이동 중 외부 물체와 접촉하더라도 그 조절 상태가 변화되지 않음으로써, 안전성을 높인다.

Description

약액주입조절장치{MEDICAL FLOW REGULATOR}
본 발명은 의용으로서 인체에 투여되는 각종 주사제 등 약물의 투여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약액주입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자에 의한 선출원발명인 특허출원 10-2008-0067415에서 제안된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혈관에 지속적으로 주사되는 약액을 단위 시간당 일정량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약액의 유량을 일정량으로 제어 및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는 대체로 유로구조가 미세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합성수지 사출성형물로 밖에 제작될 수 없는 기술적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사출성형물에 의한 미세한 유로구조는 외부 온도변화에 민감하여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곤란하고, 이 경우 어떤 환자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선출원발명에서 지름이 아주 작은 두 개의 관체를 이용하여, 약물의 흐름을 일정 유량으로 제어하고, 그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간단한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 장치는 두 개의 관체 중 하나가 다른 관체 내부로 삽입되어 상호간 일정한 틈을 유지하면서, 그 삽입 방향으로 신축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된다. 약물은 일측 관체 내부로부터 두 관체 사이의 틈을 경유하게 되는데, 그 두 관체가 중첩한 길이에 따라 약물의 유량이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는 유로구조가 매우 단순하므로 상기 관체로서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관이나 유리관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합성수지 사출 성형물에 의한 유로와 달리, 외부 온도변화에 거의 영향이 없다.
혈관에 지속적으로 주사되는 약물을 단위 시간당 일정량으로 조절하여 투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는 그 조절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특히 의사나 간호사 외에 환자나 보호자 등에 의해 쉽게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선출원발명에 의한 장치는 약물의 유량을 제어 조절하는 매우 안정된 성능을 보였으나 의사나 간호사가 아닌 환자나 보호자 등에 의해 쉽게 조작될 수 있고 환자가 움직이거나 이동 중,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해서도 조절상태가 변화될 수 있는 등 구조적으로 보완될 필요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선출원발명을 개선하여 의사나 간호사 외에 환자나 보호자에 의해 쉽게 조작될 수 없고, 환자가 움직이거나 이동 중 외부 물체와 접촉하더라도 그 조절 상태가 변화되지 않는 보다 안정된 구조의 의료용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약액주입조절장치는, 내경과 외경을 가지는 관 모양인 제1캐뉼라를 구비하고, 그 제1캐뉼라를 끼워 고정하는 고정부, 이 고정부에 끼워진 제1캐뉼라와 통하고 외부의 약액용 튜브와 연결될 수 있는 약액 유입을 위한 연결부, 상기 고정부 주위에 상기 제1캐뉼라를 통해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 커버부를 가지는 제1캐뉼라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뉼라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 관 모양인 제2캐뉼라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으로서 중심부에 상기 제2캐뉼라의 한쪽 단부를 끼워 고정하는 지지홈, 이 지지홈 주위에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 내 공간과 통하고 외부의 약액용 튜브와 연결될 수 있는 약액 유출을 위한 연결부를 가지는 제2캐뉼라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와 상기 제2캐뉼라 지지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간 중심축 방향으로의 유동을 허용하면서 유체를 차단하는 시일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2캐뉼라 지지체 주위에 결합되고 그 제2캐뉼라 지지체와의 사이에 상기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를 수용하게 된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캐뉼라가 상기 제2캐뉼라 내부로 삽입되는 상태로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와 상기 홀더가 상호 나사결합시켜서, 그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상호 신축하여 상기 제1 및 제2캐뉼라의 삽입 거리가 변화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캐뉼라의 상기 커버부 주위에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홀더의 단부와 중첩하게 이동시켜 그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와 홀더 상호간을 구속시킬 수 있는 고정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에 중심축 방향으로 연속한 안내홈을 형성하고, 상기 홀더의 단부 주위에는 톱니모양의 스플라인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링에는 상기 안내홈에 대응한 안내돌기, 그리고 상기 스플라인축부에 대응한 스플라인축 결합부를 형성하여, 그 제1캐뉼라 지지체와 고정링이 상기 안내홈과 안내돌기에 의해 항시 회전방향으로 구속되게 하고, 그 홀더와 고정링이 상기 스플라인축부와 스플라인축 결합부에 의해 상호 회전방향으로 구속되거나 해제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에 유량지시 눈금을 표시고, 상기 고정링의 일부분을 절결하여 그 유량지시 눈금이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약액의 유량 조절이 쉽고, 의사나 간호사가 아닌 환자나 보호자 등 타인에 의한 임의 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환자가 움직이거나 이동하는 동안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해서 약액의 조절 유량이 변화할 염려가 없어 그 안정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제1캐뉼라와 제2캐뉼라를 안정된 구조로 고정 지지하여 약액의 유량제어 및 조절에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 예에 따른 약액주입조절기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액주입조절기를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약액주입조절기의 유량조절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A 선상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표시된 B-B 선상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약액주입조절기의 주요부를 보인 반단면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약액주입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예시된 도면의 실시 들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각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과장되는 등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각 구성 요소의 명칭 등 용어는 각 요소의 기능이나 형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의 의미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에 따른 약주입조절장치는 제1캐뉼라(10)와 제1캐뉼라 지지체(20), 제2캐뉼라(30)와 제2캐뉼라지지체(40), 홀더(50), 그리고 고정링(60)으로 이루어진다.
제1캐뉼라(10)와 제2캐뉼라(30)는 가는 관체로서,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관이나 유리관을 사용한다. 제1캐뉼라(10)와 제2캐뉼라(30)는 모두 내경과 외경을 가지는데, 제1캐뉼라(10)가 제2캐뉼라(3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약간의 틈을 유지하도록 제1캐뉼라(10)의 외경이 제2캐뉼라(20)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다.
제1캐뉼라 지지체(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캐뉼라(10)를 끼워 고정하는 고정부(21)를 가지며, 이 고정부에 끼워진 제1캐뉼라(21)와 통하고 외부의 약액용 튜브(도 1의 부호 70 참조)를 끼워 연결할 수 있는 약액 유입을 위한 연결부(22)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21) 주위에 상기 제1캐뉼라(10)를 통해 연결되는 공간(부호 생략)을 형성하는 원통형 커버부(23)를 가진다. 커버부(23)의 선단부에는 수나사부(24)가 형성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는 축중심 방향으로 연속한 안내홈(25)과 이 안내홈(25) 시작 위치에 더 오목한 스톱퍼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제2캐뉼라 지지체(4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캐뉼라 지지체(20)의 커버부(23)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이고, 그 중심부에 상기 제2캐뉼라(20)를 끼워 고정하는 고정홈(41)을 가지며, 외부의 약액용 튜브(도 1의 부호 80 참조)를 끼워 연결할 수 있는 약액 유출을 위한 연결부(42)를 가지며, 고정홈(41) 주위에는 전술한 제1캐뉼라 지지체(20)의 커버부(23) 내 공간과 그 연결부(42)를 연결하는 유출연결구멍(43)을 가진다.
제1캐뉼라 지지체(20)의 커버부(23)와의 사이에 개재된 시일링(44)은 고무재질로서, 제1캐뉼라 지지체(20)와 제2캐뉼라 지지체(40) 상호간의 축중심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그 제1캐뉼 지지체(20) 의 커버부(23)와 제2캐뉼라 지지체(40) 사이로 약액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위해 구비된다.
홀더(50)는 전술한 제2캐뉼라 지지체(40) 주위에 결합되고 그 제2캐뉼라 지지체(40)와의 사이에 전술한 제1캐뉼라 지지체(20)의 커버부(23)를 수용하는 원통 모양이다. 이 홀더(50)에는 전술한 제1캐뉼라 지지체(20)의 커버부(23)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24)에 대응하는 암나사부(51)가 형성되고, 단부측 주위면에는 축중심방향의 톱니 모양 홈으로 이루어진 스플라인축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링(60)은 원환형으로서, 전술한 제1캐뉼라 지지체(20)의 커버부(23) 주위에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고정링(60)은 전술한 홀더(50)의 단부로 이동하여 중첩하게 함으로써 쐐기와 같은 역할로 제1캐뉼라 지지체(20)의 커버부(23)와 홀더(50) 상호간을 구속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고정링(60)은 전술한 안내홈(25)에 대응한 안내돌기(61)를 가짐으로써 제1캐뉼라 지지체(20)와 축중심에 대해 회전방향으로 상호 구속되며, 또한 전술한 스플라인축부(52)에 대응한 스플라인축 결합부(63)를 가짐으로써 홀더(50)를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안내돌기(61)에는 전술한 스톱퍼홈(26)에 대응한 스톱퍼돌기(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전술한 제1캐뉼라 지지체(20)의 커버부(23)에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유량지시 눈금을 표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고정링(60)의 일부분을 절결함으로써 그 유량지시 눈금이 보이게 하면 된다(도 1 참조)
상기와 같이 실시된 본 발명의 약액주입조절기에 있어서, 고정링(60)을 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로 올려주면, 그 위치에서 전술한 스톱퍼홈(26)과 스톱퍼돌기(62)에 의해 일시 고정되고, 이때 스플라인축(52)과 스플라인축 결합부(63)에 의한 구속 상태가 해제되어, 홀더(50)를 제1캐뉼라 지지체(20)에 대해 회전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홀더(50)를 회전조작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나사부(51)와 수나사부(24)의 결합에 의해 그 회전조작하는 방향에 따라 승강되어 제1캐뉼라 지지체(20)와 신축하고, 이에 따라 제1캐뉼라 지지체(20)와 제2캐뉼라 지지체(40)의 각 중심에 고정되어 상호 중첩하게 삽입된 제1캐뉼라(10)와 제2캐뉼(30)도 상호간 신축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캐뉼라(10)를 통해 유입되는 약액은 제2캐뉼라(30) 내부를 돌아서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23) 내 공간으로 이동하고, 그 공간으로부터는 제2캐뉼라 지지체의 유출연결구멍(43)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제1캐뉼라(10)와 제2캐뉼라(30)가 상호 중첩하는 길이에 따라 비례하는 유체 저항에 의해 약액의 유량이 제어되어 일정량으로 유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량 제어에 관한 기술은 전술한 본 발명자의 선출원 발명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제1캐뉼라 지지체와 제2캐뉼라 지지체에 각각 2개의 나란한 제1캐뉼라(10a,10b)와 2개의 제2캐뉼라(20a,20b)를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약액이 2개씩의 제1캐뉼라(10a,10b)와 제2캐뉼라(20a,20b)를 동시에 경유하게 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약액의 유량 제어범위를 2배 넓힐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캐뉼라를 3개 이상씩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제어범위를 더욱 확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둘 이상의 제1캐뉼라 또는 제2캐뉼라들의 직경을 다르게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위해서는 앞의 실시예와는 다른 방식으로, 즉 홀더와 제1캐뉼라 지지체 상호간을 회전시키지 않고 신축시킬 수 있는 수단을 필요로 하나, 이는 단순 설계적 사항에 불과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예시 및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캐뉼라와 제2캐뉼라의 위치는 상호 맞바뀌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캐뉼라와 제2캐뉼라 중 어느 한쪽이 관 모양이 아닌 봉 모양이어도 되며, 전술한 본 발명자의 선출원발명에서 실시된 바와 같이 다단형의 캐뉼라나 봉체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10a,10b: 제1캐뉼라
20: 제1캐뉼라 지지체
30;30a,30b: 제2캐뉼라
40: 제2캐뉼라 지지체
50: 홀더
60: 고정링

Claims (5)

  1. 삭제
  2. 내경과 외경을 가지는 관 모양인 제1캐뉼라, 상기 제1캐뉼라를 끼워 고정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끼워진 상기 제1캐뉼라와 통하고 외부의 약액용 튜브와 연결될 수 있는 약액 유입을 위한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 주위에 상기 제1캐뉼라를 통해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 커버부를 가지는 제1캐뉼라 지지체, 상기 제1캐뉼라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 관 모양인 제2캐뉼라,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으로서 중심부에 상기 제2캐뉼라의 한쪽 단부를 끼워 고정하는 지지홈과, 이 지지홈 주위에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 내 공간과 통하고 외부의 약액용 튜브와 연결될 수 있는 약액 유출을 위한 연결부를 가지는 제2캐뉼라 지지체,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와 상기 제2캐뉼라 지지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간 중심축 방향으로의 유동을 허용하면서 유체를 차단하는 시일링, 상기 제2캐뉼라 지지체 주위에 결합되고 그 제2캐뉼라 지지체와의 사이에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를 수용하게 된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1캐뉼라가 상기 제2캐뉼라 내부로 삽입되는 상태로 상기 제1캐뉼라의 커버부와 상기 홀더가 상호 나사결합되고, 그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상호 신축하여 상기 제1 및 제2캐뉼라의 삽입 거리를 변화시키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캐뉼라의 상기 커버부 주위에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홀더의 단부와 중첩하게 이동시켜 그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와 홀더 상호간을 구속시키기 위한 고정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에 중심축 방향으로 연속한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단부 주위에는 톱니모양의 스플라인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에는 상기 안내홈에 대응한 안내돌기와 상기 스플라인축부에 대응한 스플라인축 결합부가 형성되어, 그 제1캐뉼라 지지체와 고정링은 상기 안내홈과 안내돌기에 의해 항시 회전방향으로 구속되어 있고, 그 홀더와 고정링은 상기 스플라인축부와 스플라인축 결합부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구속되거나 해제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조절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1캐뉼라 지지체의 커버부에 유량지시 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고정링의 일부분이 그 유량표시 눈금을 노출시키도록 절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주입조절장치.
  5. 삭제
KR20100035558A 2010-04-16 2010-04-16 약액주입조절장치 KR101176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5558A KR101176792B1 (ko) 2010-04-16 2010-04-16 약액주입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5558A KR101176792B1 (ko) 2010-04-16 2010-04-16 약액주입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931A KR20110115931A (ko) 2011-10-24
KR101176792B1 true KR101176792B1 (ko) 2012-08-24

Family

ID=4503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5558A KR101176792B1 (ko) 2010-04-16 2010-04-16 약액주입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7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998A (ko) 2015-06-11 2016-12-21 (주)가이버 다기능 약액 공급량 조절기
KR20220037103A (ko) 2020-09-17 2022-03-24 이현상 의료용 약액 공급량 조절 장치
KR20240043988A (ko) 2022-09-28 2024-04-04 이현상 다기능 약액 조절 투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118B1 (ko) * 2011-11-18 2013-11-26 한국기계연구원 수액주입용 선형유량조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222B1 (ko) 2004-07-16 2005-01-26 메인텍 주식회사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222B1 (ko) 2004-07-16 2005-01-26 메인텍 주식회사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998A (ko) 2015-06-11 2016-12-21 (주)가이버 다기능 약액 공급량 조절기
KR20220037103A (ko) 2020-09-17 2022-03-24 이현상 의료용 약액 공급량 조절 장치
KR20240043988A (ko) 2022-09-28 2024-04-04 이현상 다기능 약액 조절 투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931A (ko)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24633A1 (en)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KR101659640B1 (ko) 개선된 역압 밀봉을 갖는 의료용 밸브
ES2728315T3 (es) Adaptador para un dispositivo de acceso sin aguja y un método para conectar dicho dispositivo acto seguido
US20100152669A1 (en) Connec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necting a medical device to the improved connection arrangement
CA2747025C (en) Connec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necting a medical device to the connection arrangement
JPH06509726A (ja) 医療用コネクタ
US7975721B2 (en) Fluid valve systems
KR101176792B1 (ko) 약액주입조절장치
US20080262441A1 (en) Infusion status indicator
BRPI0418352B1 (pt) conjunto de seringa de lavagem
JP2018530375A (ja) 注入システム、カテーテル装置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コネクタ、及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US5409477A (en) Solution administration apparatus with orifice flow control device
EP2620173A1 (en) Intravenous infusion pump system
KR200475695Y1 (ko) 주입저항감을 저하시킨 필터가 내장된 스톱코크방식의 정맥주사용 멀티웨이 커넥터 장치
US11207515B2 (en) Injection port protector
US20140175314A1 (en) Strain relieving valve assembly with flow blocking
CN205494541U (zh) 螺旋管式精密输液器
BRPI0414912A (pt) sistema infusor e método de administração de medicamentos a paciente
KR20100007015A (ko) 의료용 유량조절장치
JP2024015424A (ja) 静脈内プライミング・キャップ
KR100909342B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WO2009058124A1 (en) Fluid valve systems
US202400914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ming a fluid line
CA3218145A1 (en) Safety intravenous cannula
EP2666513A1 (en) Connectio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medical device to the connection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