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087Y1 - 저유소 출하대의 작업자 추락 방지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저유소 출하대의 작업자 추락 방지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087Y1
KR200450087Y1 KR2020080011291U KR20080011291U KR200450087Y1 KR 200450087 Y1 KR200450087 Y1 KR 200450087Y1 KR 2020080011291 U KR2020080011291 U KR 2020080011291U KR 20080011291 U KR20080011291 U KR 20080011291U KR 200450087 Y1 KR200450087 Y1 KR 200450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rope
shipping
sta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308U (ko
Inventor
고종철
Original Assignee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1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08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3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0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유소에서 유류를 탑재하여 운반하는 유조차량에 유류를 탑재할 때 유류 출하 작업자가 높은 유조차량이나 출하 시설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는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을 구비한 저유소의 출하대에 설치되는 추락방지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레일과 ; 상기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이동수단에 연결된 로프의 하단에 연결되어 출하 작업자를 매달아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벨트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저유소, 유조차량, 추락, 안전벨트

Description

저유소 출하대의 작업자 추락 방지 안전장치{safety for prevent a fall of oil-storing place}
본 고안은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저유소에서 유류를 탑재하여 운반하는 유조차량에 유류를 탑재할 때 유류 출하 작업자가 높은 유조차량이나 출하 시설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저유소는 많은 양의 유류를 보관하고 있으며, 이렇게 보관된 유류는 유조차량을 이용하여 인근 지역의 주유소로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저유소는 많은 양의 유류를 보관하고 있고, 유조 차량의 경우 한번에 많은 양을 운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대형차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유조차량을 이용하여 저유소의 유류를 출하할 경우 유조차량은 저유소의 일측에 구비된 출하대에 차량을 주차한 후 출하대 또는 유조 차량의 위로 출하 작업자가 올라간 상태에서 저유소의 유류 배출 수단을 작동시켜 저유소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유류를 유조 차량에 탑재하게 된다.
이러한 저유소의 출하대와 유조 차량은 많은 양의 유류 운반을 위해 대형화됨으로서 차량이 주차된 바닥으로부터 차량의 유조 탱크까지의 높이가 2.5m 이상 높으며, 이렇게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출하 작업자의 경우 항상 추락의 위험을 갖게 된다.
특히, 유조 차량이나 출하대의 경우 탑재시 흘린 유류에 의해 상당히 미끄러운 상태임으로 추락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아무런 안전장치도 설치되지 않은 열악한 작업장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써, 저유소에서 유류를 탑재하여 운반하는 유조차량에 유류를 탑재할 때 유류 출하 작업자가 높은 유조차량이나 출하 시설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유류 출하 작업자가 유조 차량과 출하대 간을 편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는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을 구비한 저유소의 출하대에 설치되는 추락방지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레일과 ; 상기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이동수단에 연결된 로프의 하단에 연결되고 출하 작업자를 매달아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벨트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저유소의 출하대 지붕 프레임에 하나 이상의 레일을 설치하고 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안전벨트를 설치하여 출하 작업자가 출하 작업을 하는 동안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 중 작업자가 미끄러져 떨어져도 안전벨트에 의해 매달린 상태가 됨으로 크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레일 연결부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이동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이동수단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 를 구성하는 견인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견인수단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벨트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는 출하 작업자가 작용하는 안전벨트(5)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을 구비한 저유소의 출하대에 설치되는 추락방지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레일(1, 2)과 ; 상기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이동수단(3)에 연결된 로프(33)의 하단에 연결되어 출하 작업자를 매달아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벨트(5)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전벨트(5)는 작업자의 허리에 감기는 허리끈(51)에 하나 이상의 어깨끈(52)을 연결하고, 허리끈(51)의 단부에 잠금수단(53)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이 폭을 갖는 허리끈(51)의 중앙에 두 가닥으로 어깨끈(52)을 설치하고, 착용자의 전면을 향하는 허리끈(51)의 단부 중 일측에는 수커넥터(53a)를 설치하고 다른 단부에는 암커넥터(53b)를 설치하여 착용한 후 이 두 커넥터(53a, 53b)를 서로 결합시켜 허리끈(51)이 인체에 고정되게 한다.
상기 허리끈(51)이나 어깨끈(52) 중 일부에는 상기 로프(33)가 연결되는 로프연결고리(5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깨근(52)을 두 가닥으로 구성하였을 때 전면을 향한 부분의 어 깨끈(52)들 사이에는 단부에 수커넥터(54a)와, 암커넥터(54b)가 설치된 보조끈(54c)을 더 설치하여 어깨끈(52)이 작업자의 어깨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기존의 출하대에 구성된 프레임(100)에 본 고안의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설치할 수 있음으로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출하대를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레일(1, 2)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출하대를 구성하는 지붕 프레임(10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레일들(1, 2)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게 설치된다.
상기 레일(2)은 출하 작업자가 유조 차량이나 출하대 위에서 작업할 때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전벨트(5)를 매달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로프(33)의 상단이 연결된 이동수단(3)이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이동수단(3)은 롤러프레임(31a)의 양측에 각각 롤러(31b)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 롤러조립체(31)로 구성되어 상기 롤러(31b)가 레일(2)에 형성된 홈을 따라 굴러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일(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을 굽혀 롤러(31b)가 안착되는 홈을 형성한 것으로 롤러(31b)가 레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홈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레일(2)와 수직으로 설치된 레일(1)은 출하 작업자가 차량으로 승차할 때 파지하고 승차할 수 있는 파지구(4)가 설치되는 레일로서 유조차나 출하대의 작 업자 승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레일(2)는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물론, 상기 레일(1)에도 상기 이동수단(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이동ㄱ수단(3)에 로프(33)의 상단이 연결되고 로프(33)의 하단에는 파지구(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파지구(4)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차량이 주차된 위치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3)의 이동에 의해 이동된다.
상기 레일(1, 2)들을 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는 고정볼트(23)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는 유류가 저장된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미 출하대와 그 인근에는 유류가 존재하며 이렇게 유류가 있는 장소에서 용접 등의 방법으로 레일(1, 2)을 고정시킬 경우 용접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유로에 불이 붙을 수 있으므로 고정볼트(23)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23)를 직접 프레임(100)과 레일(1, 2)에 조여 레일(1, 2)을 프레임(1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나, 이렇게 프레임(100)에 고정볼트(23)를 조이기 위해서는 프레임(100)에 구멍을 형성하여야 하고, 금속 프레임(100)에 구멍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드릴날과 프레임 사이의 마찰에 의해 불꽃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멍 형성 작업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볼트(23)로 레일(1, 2)을 프레임(100)에 고정시키되 보조 수단으로 고정판(21, 22)을 이용한다.
즉, 통상적으로 프레임은 "I"형 빔을 이용하여 구성됨으로 레일(1, 2)을 "I"형 빔의 하단 가장자리에 고정시키되 -자고정판(21)의 일측 단부는 레일(1, 2)에 미리 형성한 구멍에 고정볼트(23)로 조이고 타측 단부는 상기 "I"형 빔 아래 부분의 날개의 윗면에 올려지게 하여 레일(1, 2)과 -자고정판(21) 사이에 I"형 빔 아래 부분의 날개가 끼워진 상태가 되게 하여 레일을 고정시킨다.
레일(1)과 레일(2)을 서로 연결할 때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T자고정판(22)을 이용하거나 또는 저유소 외부에서 두 레일(1, 2)을 서로 용접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프레임(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3)과 로프(3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3)의 저면에 로프연결고리(32)를 형성하여 로프(33)를 직접 묶어 연결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3)을 구성하는 롤러프레임(31a)의 하부에 연결구(34)를 이용하여 걸쇠조립체(35)를 더 설치하여 로프(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34)는 중간 부분이 상기 롤러프레임(31a)과 연결된 "U"자형으로 굽혀진 연결밴드(34a)와, 상기 연결밴드(34a)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홀(34b)읠 관통하여 너트(34d)가 조여지는 볼트(34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쇠조립체(35)는 상기 볼트(34c)의 중간 부분에 걸린 "∩"형상의 걸고리(35a)와, 상기 걸고리(35a)의 양단이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된 로프고정구(35b)와, 상기 로프고정구(35b)가 끼워진 걸고리(35a)의 양단에 각각 조여지는 너트(35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34)는 롤러조립체(31)와 걸쇠조립체(35)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밴드(34a)는 일정한 폭을 갖는 판체를 굽히고 중간 부분에 볼트를 설치하여 볼트가 상기 롤러조립체의 롤러프레임(31a)에 나사 조임되게 구성되고, 양단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34b)를 관통하여 볼트(34c)를 관통시키고 볼트(34c)의 단부에 너트(34d)를 조여 볼트가 연결밴드(34a)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상기 걸쇠조립체(35)를 구성하는 걸고리(35a)는 연결밴드(34a)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걸고리의 굽혀진 부분이 볼트(34c)에 걸려 연결밴드(34a)와 연결되고, 단부에 설치되는 로프고정구(35b)에 로프(33)를 감아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로프(33)의 하단 즉, 안전벨트(5)가 연결되는 단부에는 연결고리(61)가 매달려 있다.
이 연결고리(6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데 일부가 탄성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는 등산 장비 등에 사용되는 고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고리(61)를 설치함으로서 안전벨트(5)를 보다 용이하게 로프(33)에 찰탈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61)와 로프(33)의 단부 사이에는 안전벨트(5)에 매달린 작업자가 추락할 때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장치(62)가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충격흡수장치(62)는 내부에 감겨진 신축밴드(62b)가 순간적으로 당겨졌을 때 순간적으로 신축밴드의 풀림을 제동하는 신축 및 걸림수단(62a)으로 구성된 다.
상기 충격흡수장치(62)는 차량의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서서히 당기면 그 내부의 신축밴드(62b)가 풀려 나오고, 순간적으로 당겨졌을 때에는 신축밴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 또한, 이미 개발되어 제공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출하대를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수직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벨트(5)가 보관되는 벨트보관함을 더 설치할 수 있고, 일부에는 상기 파지구(4)를 보관할 수 잇는 고리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저유소의 출하대에서 차량에 유류를 탑재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해당 출하대에 유조 차량을 주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출하대를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의 일측에 보관된 안전벨트(5)를 착용한 후, 파지구(4)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유조차량 또는 출하대로 올라간다.
유조차량 또는 출하대로 올라간 작업자는 파지구(4)를 놓고 안전벨트(5)에 구비된 로프연결고리(55)에 로프(33)를 연결한다.
로프(33)에 연결고리(61)가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연결고리(61)를 열고 로프연결고리(55)를 끼워 연결한다.
이렇게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벨트(5)는 이동수단(3)에 의해 수평이동 되는 로프(33)에 매달린 상태가 되어 작업자가 실수로 차량이나 출하대로부터 떨어질 경우 작업자가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로프(33)에 의해 매달린 상태가 되어 다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레일 연결부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이동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이동수단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견인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견인수단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안전벨트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2 : 레일
21 : -자고정판 22 : T자고정판 23 고정볼트
3 : 이동수단
31 : 롤러조립체 31a : 롤러프레임 31b : 롤러
32 : 로프연결고리
33 : 로프
34 : 연결구 34a : 연결밴드 34b : 관통홀
34c : 볼트 34d : 너트
35 : 걸쇠조립체 35a : 걸고리 35b : 로프고정구
35c : 너트
4 : 파지구
5 : 안전벨트
51 : 허리끈 52 : 어깨끈 53, 54 : 잠금수단
53a, 54a : 수커넥터 53b, 54b : 암커넥터
6 : 견인수단
61 : 연결고리
62 : 충격흡수장치 62a : 신축 및 걸림수단 62b : 신축띠

Claims (8)

  1.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을 구비한 저유소의 출하대에 설치되는 추락방지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레일(1, 2)과 ;
    상기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되는 이동수단(3)에 연결된 로프(33)의 하단에 연결되어 출하 작업자를 매달아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벨트(5)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벨트(5)를 매다는 로프(33)의 하단에는 일측이 탄성적으로 개방되는 고리 형상의 연결고리(61)가 더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 2) 들 중 어느 하나에 수평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된 로프(33)의 단부에는 출하 작업자가 차량으로 승차할 때 파지하고 승차할 수 있도록 파지구(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 2)을 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은 고정볼트(23)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3)은 롤러프레임(31a)의 양측에 각각 롤러(31b)를 회전 가능 하게 구비한 롤러조립체(31)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3)을 구성하는 롤러프레임(31a)에는 연결구(34)에 의해 걸쇠조립체(35)가 더 설치되어 걸쇠조립체(35)에 로프(3)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구(34)는 중간 부분이 상기 롤러프레임(31a)과 연결된 "U"자형으로 굽혀진 연결밴드(34a)와, 상기 연결밴드(34a)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홀(34b)읠 관통하여 너트(34d)가 조여지는 볼트(34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쇠조립체(35)는 상기 볼트(34c)의 중간 부분에 걸린 "∩"형상의 걸고리(35a)와, 상기 걸고리(35a)의 양단이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된 로프고정구(35b)와, 상기 로프고정구(35b)가 끼워진 걸고리(35a)의 양단에 각각 조여지는 너트(35c)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61)와 로프(33)의 단부 사이에는 안전벨트(5)에 매달린 작업자가 추락할 때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장치(62)가 더 설치되고,
    상기 충격흡수장치(62)는 내부에 감겨진 신축밴드(62b)가 순간적으로 당겨졌을 때 순간적으로 신축밴드의 풀림을 제동하는 신축 및 걸림수단(62a)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5)는 작업자의 허리에 감기는 허리끈(51)에 하나 이상의 어깨끈(52)을 연결하고, 허리끈(51)의 단부에 잠금수단(53)을 설치하여 구성되고,
    허리끈(51)이나 어깨끈 중 일부에는 상기 로프(33)가 연결되는 로프연결고리(55)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유소 출하대의 추락 방지 안전장치.
KR2020080011291U 2008-08-25 2008-08-25 저유소 출하대의 작업자 추락 방지 안전장치 KR200450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291U KR200450087Y1 (ko) 2008-08-25 2008-08-25 저유소 출하대의 작업자 추락 방지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291U KR200450087Y1 (ko) 2008-08-25 2008-08-25 저유소 출하대의 작업자 추락 방지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308U KR20100002308U (ko) 2010-03-05
KR200450087Y1 true KR200450087Y1 (ko) 2010-09-02

Family

ID=4419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291U KR200450087Y1 (ko) 2008-08-25 2008-08-25 저유소 출하대의 작업자 추락 방지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0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49Y1 (ko) 2010-03-22 2012-06-08 에쓰대시오일 주식회사 작업자의 추락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류 출하 설비
KR102548699B1 (ko) * 2022-06-07 2023-06-27 김형수 비계용 추락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269B1 (ko) * 2017-01-12 2018-07-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하우스 내 안전벨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9154A (ja) * 1994-05-02 1995-11-14 Toru Hasegawa ショック吸収緩和付墜落防止用命綱付き安全ベルト
JP2001293100A (ja) * 2000-04-17 2001-10-23 Osuka Engineering:Kk 高所作業用安全装置
JP2003236003A (ja) 2002-02-20 2003-08-26 Shinkansai Bearing Co Ltd 耐衝撃荷重用吊車
KR20040101142A (ko) * 2004-11-06 2004-12-02 (주) 영진산업안전 수직 추락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9154A (ja) * 1994-05-02 1995-11-14 Toru Hasegawa ショック吸収緩和付墜落防止用命綱付き安全ベルト
JP2001293100A (ja) * 2000-04-17 2001-10-23 Osuka Engineering:Kk 高所作業用安全装置
JP2003236003A (ja) 2002-02-20 2003-08-26 Shinkansai Bearing Co Ltd 耐衝撃荷重用吊車
KR20040101142A (ko) * 2004-11-06 2004-12-02 (주) 영진산업안전 수직 추락방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49Y1 (ko) 2010-03-22 2012-06-08 에쓰대시오일 주식회사 작업자의 추락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류 출하 설비
KR102548699B1 (ko) * 2022-06-07 2023-06-27 김형수 비계용 추락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308U (ko) 201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3327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ecuring cargo
US8191680B2 (en) Support assembly
CA2440536C (en) Safety system to prevent falls
KR200450087Y1 (ko) 저유소 출하대의 작업자 추락 방지 안전장치
WO2010128340A2 (en) Fall prevention system and access ladder
US6491135B2 (en) Portable anchorage point assembly
WO2009105826A1 (en) A height safety system
JP6723119B2 (ja) 天井クレーン用墜落防止設備
KR101417298B1 (ko) 화물보호아대의 설치기구
CN110051947B (zh) 角钢塔防坠器
KR101346733B1 (ko) 안전 승주신
KR102099032B1 (ko) 보행형 작업기의 범퍼부 로프 후크 구조
JP6688414B1 (ja) 貨物自動車荷台からの墜落防止装置
JP5312424B2 (ja) 貨物自動車の荷台、および貨物自動車の荷台作業用安全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て形成した貨物自動車
US2537587A (en) Luggage carrier for automobiles
JP3180786U (ja) 墜落防止装置
CN209848173U (zh) 角钢塔防坠器
KR102639574B1 (ko) 안전 시스템
CN203753071U (zh) 卧铺安全带总成
US20090211842A1 (en) Support Assembly
AU2010101257A4 (en) A reversibly attachable fall restraint apparatus
JP3211247U (ja) ボトルカーでの高所作業における墜落防止設備
US8672091B2 (en) Personnel safety apparatus for a machine
JP7337467B1 (ja) 転落防止補助具
JP7271269B2 (ja) 支柱および転落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