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890Y1 -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 - Google Patents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890Y1
KR200449890Y1 KR2020080016190U KR20080016190U KR200449890Y1 KR 200449890 Y1 KR200449890 Y1 KR 200449890Y1 KR 2020080016190 U KR2020080016190 U KR 2020080016190U KR 20080016190 U KR20080016190 U KR 20080016190U KR 200449890 Y1 KR200449890 Y1 KR 200449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elastic
base block
height
elastic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045U (ko
Inventor
오광석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엔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6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89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0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0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8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height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01D11/18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 G01M1/16Determining im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01M5/005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 G01M5/005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of elongated objects, e.g. pipes, masts, towers or rail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8Detecting presence of flaws or irregulari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로서; 중공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인 베이스블록(11)과; 베이스블록(11)의 중공 내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상승 및 하강하도록 삽입되며, 상승 시에는 베이스블록(11)의 상단면 위로 돌출되는 슬라이더(12)와; 상기 슬라이더(12)가 베이스블록(11)의 상단면 위로 돌출된 최고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하는 경우 압축탄성력을 축적하여 상기 최고 상승 위치로 복원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13)과; 베이스블록(11)에 대하여 고정핀(16)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또한 비틀림스프링(15)에 의하여 평소에는 슬라이더(12)의 외측의 특정 중지 위치에서 슬라이더(12)를 가압함으로써 압축스프링(13)의 복원 탄성력에 대항하여 특정 중지 위치에 슬라이더(12)가 고정되도록 하고, 반면에 비틀림스프링(1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고정핀(16)을 중심으로 슬라이더(12)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되어 슬라이더(12)가 베이스블록(11)의 중공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14)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높이 측정을 위하여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 있는 탄성마운트의 변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 디젤발전기, 탄성재

Description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Resilient mount Hight Gage}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높이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하중을 받으면 압축변형이 발생하는 탄성재를 내장한 탄성마운트의 높이를 한 손만을 사용하여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새로운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장치 또는 구조물의 진동발생 기기로부터 외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진동발생 기기 하부와 지지대 사이에 탄성마운트(20)(도 1 참조)를 사용한다. 탄성마운트(20)는, 진동발생 구조물(도2에서 30)로부터 외부 구조물(40)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발생 구조물(30) 및 상기 외부 구조물(40)에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부(23, 22)와 이 연결부(23, 22) 사이에 초기 높이(H)를 가지는 탄성재(21)를 구비한다. 탄성재(21)는 상부에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점차 변형되는데, 이러한 변형은 초기 높이(H)가 점점 작아진 변형된 높이(H')로 나타난다.
이러한 탄성마운트(20)는 예를 들면 도 2에 간략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디젤엔진을 동력원으로 하는 선박 발전용 디젤발전기(30)는 운전 중 디젤엔진에서 발 생하여 선체(40)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여 승객 및 승무원의 승선감을 높이고 진동, 충격에 민감한 정밀 기기를 보호하며, 외부의 유해한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디젤발전기(30)를 보호하기 위하여 디젤발전기(30)의 공통베드(31)와 선체(40)의 기초베드(41) 사이에 탄성마운트(20)를 장착한다.
이때 사용하는 탄성마운트(20)의 탄성재(21)는 대부분 금속재 스프링과 고무재료를 이용하는데, 진동차단 효과 및 감쇠특성이 우수한 고무 탄성재(21)를 내장한 탄성마운트(20)를 많이 사용한다. 고무 탄성재(21)를 내장한 탄성마운트(20)는 고무재료의 형상 및 고유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작용하중에 따라 변형이 증가하며, 허용치 이상의 변형이 발생하면 탄성마운트(20)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고 수명도 단축된다. 또한 탄성마운트(20)는 여러 개를 조합하여 동시에 사용하는데 구조물의 변형, 설치불량 등으로 탄성마운트(20)에 편하중이 작용할 수 있거나 장기간 사용으로 크립(Creep) 변형에 의한 허용한계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탄성마운트(20) 제조자는 탄성마운트(20)의 높이를 측정하여 변형량을 엄격하게 관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탄성마운트(20)는 기기의 받침대 역할을 하므로 기기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리고 기기의 하부는 복잡한 받침대 구조물과 배관류가 존재하고 윤활유 누유 등으로 오염될 수 있으므로 차폐되어 있어 탄성마운트(20)에 접근이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탄성마운트(20)의 높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으로 탄성마운트(20)의 설치 검사 및 성능관리에 필요한 사용이 편리하고 정확한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탄성마운트(20) 측정시 높이 측정용 도구로 줄자, 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선자(50), 또는 버니어캘리퍼스(60) 등을 사용하고 있다. 탄성마운트(20)의 변형 범위는 제작자, 용량, 형상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20mm 이내가 대부분으로 설치검사 시 탄성마운트(20)간 높이편차 적정성을 판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0.5mm 이내의 정밀도로 측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구조물의 간섭이 있는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서 줄자, 직선자(50) 또는 버니어캘리퍼스(60)를 이용하여 0.5mm 이내의 정확도로 높이를 측정하기는 대단히 어려우며 측정하는 사람에 따라 측정결과의 편차도 매우 심하다.
특히 탄성마운트(20)의 특성관리를 위해 장기적으로 크립(Creep) 변형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1/100mm 정도의 정밀도로 계측하여야 하지만 현재의 방법으로는 측정 정밀도가 높지 않아 시간 경과에 따라 탄성마운트(20)의 높이가 증가하는 모순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탄성마운트(20)의 설치검사 및 성능을 관리하기 위하여 측정하는 탄성마운트(20)의 높이를 용이하게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에 대한 절실한 요구가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탄성마운트의 탄성재의 변형을 측정하는 측정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특히 하중을 받으면 압축변형이 발생하는 탄성재를 내장한 탄성마운트의 높이를 한 손만을 사용하여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새로운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측정 작업자에 따른 측정결과의 편차가 적고 크립(Creep) 특성을 측정할 수 있을 정도의 정밀도를 갖는 정밀한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에 의해 성취된다.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는, 진동발생 구조물로부터 외부 구조물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발생 구조물 및 상기 외부 구조물에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부와 이 연결부 사이에 초기 높이(H)를 가지는 탄성재를 구비하는 탄성마운트의 상기 탄성재의 높이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로서, 중공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인 베이스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의 중공 내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상승 및 하강하도록 삽입되며, 상승 시에는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단면 위로 돌출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단면 위로 돌출된 최고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하는 경우 압축탄성력을 축적하여 상기 최고 상승 위치로 복원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베이스블록에 대하여 고정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또한 비틀림스프링에 의하여 평소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의 특정 중지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압축스프링의 복원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특정 중지 위치에 상기 슬라이더가 고정되도록 하고, 반면에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고정핀을 중심으로 상기 슬라이더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베이스블록의 중공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외측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베이스블록 외측으로 돌출 상승한 부분의 치수를 알 수 있도록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진 연장봉이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특히 하중을 받으면 압축변형이 발생하는 탄성재를 내장한 탄성마운트의 높이를 한 손만을 사용하여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측정자에 따라 측정결과의 편차가 적고 크립(Creep) 특성을 측정할 수 있을 정도의 정밀도를 갖는 정밀한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마운트 높이측정 기(10)의 중심을 절개한 구조도이고, 도 4의 (a)는 본 고안의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를 탄성마운트(20)에 장착한 상태도, (b)는 높이측정기(10) 양쪽 레버(14)를 누름으로써 압축스프링(13)의 반력으로 슬라이더(12)가 상승하여 탄성마운트(20) 상부베이스(23)에 접촉된 상태도, (c)는 높이측정기(10) 양쪽 레버(14)를 놓음으로써 비틀림스프링(15)의 반력으로 레버(14)가 복원되어 슬라이더(12)가 고정된 상태도, 및 (d)는 높이측정기(10)를 탄성마운트(20)에서 분리하여 눈금을 읽는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5는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슬라이더(12)가 고정된 상태의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를 버니어캘리퍼스(60)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개념도이다.
본 고안은 하중을 받으면 압축변형이 발생하는 탄성재(21)를 내장한 탄성마운트(20)의 높이를 한 손만을 사용하여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10)에 관한 것이다.
도 3의 (a) 및 (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예와 같이, 본 고안은 슬라이더(12)의 상승 및 하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공된 원통 홈을 중앙에 갖는 사각형의 베이스블록(11)에 한쪽 끝이 막힌 중공축 형상의 슬라이더(12) 내부에 압축반발력을 발생하도록 코일형상의 압축스프링(13)을 배치한 슬라이더(12)를 조립하고, 슬라이더(12)의 작동을 제어하는 레버(14)와 비틀림스프링(15)을 베이스블록(11) 양쪽에 각 한 개씩 배치하여 베이스블록(11)에 조립하는 고정핀(1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12) 상부는 측정범위 확장에 필요한 부속품인 연장봉(17)을 조립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12)는 양쪽 레버(14)가 해제되는 즉시 내장된 압축스프링(13)의 반력에 의하여 베이스블록(11) 하부와 수직방향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블록(11)에 비틀림스프링(15)과 함께 고정핀(16)으로 조립된 레버(14)는 평상 시 비틀림스프링(15)의 반력에 의해 슬라이더(12)와 접촉하여 마찰력으로 슬라이더(12)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키고, 레버(14)를 누르면 슬라이더(12)와 레버(14)의 마찰력이 소멸되어 슬라이더(12)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레버(14)는 2개가 대칭적으로 설치되었으나, 본 고안이 2개의 레버(14)를 설치하는 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높이측정기(10)의 전체적인 규모에 따라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레버(14)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측정기(10)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a)에서 보는 것과 같이, 측정하기 위한 준비로서, 높이측정기(10) 양쪽의 레버(14)를 누른 상태에서 슬라이더(12)를 베이스블록(11) 안쪽으로 밀어 하강시켜 넣는다. 그러면 베이스블록(11)과 슬라이더(12) 사이의 압축스프링(13)이 압축되면서 슬라이더(12)의 높이가 최소가 될 때까지 슬라이더(12)가 베이스블록(11) 안쪽으로 하강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높이측정기(10)의 양쪽 레버(14)를 놓으면 비틀림스프링(15)의 반력으로 레버(14)와 슬라이더(12) 외부가 접촉되고, 레버(14)와 슬라이더(12)의 마찰력으로 슬라이더(12)는 상승하지 않고 고 정된다.
이 상태에서, 높이측정기(10)를 탄성마운트(20)의 하부연결부(22)와 상부연결부(23) 사이에 탄성재(21) 측부에 배치한다. 일반적으로 탄성마운트(20)의 탄성재(21)은 상하부연결부(23, 22)에 비하여 내측에 위치하고, 하부연결부(22)의 상부면과 상부연결부(23)의 하부면은 탄성재(21)의 측부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높이측정기(10)를 하부연결부(22)의 상부면과 상부연결부(23)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할 공간은 충분하다.
슬라이더(12)가 압축,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가 정확히 위치한 것을 확인하고 이후 도 4의 (b) 및 도 4의 (c)에서 보는 것과 같이, 양쪽의 레버(14)를 예컨대 작업자가 손으로 누른다.
그러면 레버(14)가 비틀림스프링(1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고정핀(16)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에 따라 레버(14)와 슬라이더(12) 사이의 마찰력이 제거된다. 그러면 슬라이더(12)는 압축스프링(13)의 반력으로 상승하여 베이스블록(11)의 상부면 위로 돌출한다. 돌출 상승하는 슬라이더(12)는 그 상부가 탄성마운트(20) 상부 연결부(23)의 하부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더(12)의 상승이 종료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누르고 있던 레버(14)를 놓으면, 레버(14)는 비틀림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레버(14)와 슬라이더(12)가 접촉되어 슬라이더(12)가 압축스프링(1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특정 중지 위치에 고정 된다.
그 다음 작업자는 슬라이더(12)가 고정된 상태에서 주변 물체와 접촉하거나 충격으로 슬라이더(12)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를 탄성마운트(20)에서 분리하고 슬라이더(12) 옆면에 각인된 눈금을 읽어 측정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의 최소/최대 측정범위는 베이스블록(11)의 높이 및 슬라이더(12)의 행정에 따라 결정된다. 블록의 높이를 20mm로 설정할 경우 최소 측정 가능한 높이는 20mm로 제한되며, 슬라이더(12)의 행정은 베이스블록(11)의 높이에서 조립 부위를 제외하면 13mm 정도이므로 측정범위는 20~33mm로 제한된다. 선박용 디젤발전기(30)에 적용하는 탄성마운트(20)의 측정범위는 일반적으로 20~40mm 범위에 있으므로 10mm 높이의 연장봉(17)을 슬라이더(12) 상부에 연결시켜 사용하면 한가지의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로 측정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즉 측정범위 20~33mm 범위에서는 연장봉(17)을 제거하여 사용하고 30 ~ 43mm 범위에서는 연장봉(17)을 장착하여 사용하면 한가지의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로 20 ~ 43mm 범위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슬라이더(12)의 옆면에 각인된 측정자는 육안 식별 및 눈금 두께의 한계로 최소 눈금이 0.5mm 단위보다 정밀하기 어렵다. 따라서 크립(Creep) 특성 측정 등 필요 시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슬라이더(12)에 각인된 눈금자를 읽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버니어캘리퍼스(60) 또는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 베이스블록(11) 하단과 슬라이더(12) 상단의 거리를 직접 측정하면 높은 정밀도로 탄성마운트(2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를 이용하면 종래의 방법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탄성마운트(2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를 이용하면; 접근이 어려운 탄성마운트(20)의 높이를 한 손을 사용하여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탄성마운트(20) 설치검사 및 판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를 이용하면; 버니어캘리퍼스(60), 마이크로미터 등을 활용하여 크립(Creep) 변형량 등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탄성마운트(20)의 특성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라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에 부속된 연장봉(17)을 활용하면 구조변경 없이 측정범위 확장이 가능하여 측정범위가 다른 여러 종류의 탄성마운트(20)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가 설명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 즉 당업자라면 개시된 내용을 기초로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응용하여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해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예컨대 선박의 디젤발전기와 같은 진동발생 구조물로부터 발생한 진동을 선박의 선체와 같은 외부 구조물로부터 차단하 기 위한 탄성마운트의 변형을 측정하기 위한 높이측정기 분야에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일반적으로 탄성마운트(20)가 하중을 받지 않은 상태의 탄성마운트(20) 외관도이고, (b)는 탄성마운트(20)가 하중을 받아 탄성재(21)가 변형되어 탄성마운트(20)의 높이가 변화된 상태의 높이측정 상황도.
도 2의 (a)는 일반적으로 탄성마운트(20)가 장착된 디젤발전기(30)를 선체(40) 내부에 설치한 개략 구조도의 예이고, (b)는 종래의 대표적인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 방법인 직선자(50)를 이용한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10)의 중심을 절개한 구조도.
도 4의 (a)는 본 고안의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를 탄성마운트(20)에 장착한 상태도, (b)는 높이측정기(10) 양쪽 레버(14)를 누름으로써 압축스프링(13)의 반력으로 슬라이더(12)가 상승하여 탄성마운트(20) 상부베이스(23)에 접촉된 상태도, (c)는 높이측정기(10) 양쪽 레버(14)를 놓음으로써 비틀림스프링(15)의 반력으로 레버(14)가 복원되어 슬라이더(12)가 고정된 상태도, 및 (d)는 높이측정기(10)를 탄성마운트(20)에서 분리하여 눈금을 읽는 상태의 개념도.
도 5는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슬라이더(12)가 고정된 상태의 탄성마운트(20) 높이측정기(10)를 버니어캘리퍼스(60)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높이측정기 11 : 베이스블록
12 : 슬라이더 13 : 압축스프링
14 : 레버 15 : 비틀림스프링
16 : 고정핀 17 : 연장봉
20 : 탄성마운트 21 : 탄성재
22 : 하부베이스 23 : 상부베이스
30 : 디젤발전기 31 : 공통베드
40 : 선체 41 : 기초베드
42 : 상판 50 : 직선자
60 : 버니어캘리퍼스

Claims (3)

  1. 진동발생 구조물(30)로부터 외부 구조물(40)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진동발생 구조물(30) 및 상기 외부 구조물(40)에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연결부(23, 22)와 이 연결부(23, 22) 사이에 초기 높이(H)를 가지는 탄성재(21)를 구비하는 탄성마운트(20)의 상기 탄성재(21)의 높이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10)로서,
    중공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인 베이스블록(11)과;
    상기 베이스블록(11)의 중공 내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상승 및 하강하도록 삽입되며, 상승 시에는 상기 베이스블록(11)의 상단면 위로 돌출되는 슬라이더(12)와;
    상기 슬라이더(12)가 상기 베이스블록(11)의 상단면 위로 돌출된 최고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하는 경우 압축탄성력을 축적하여 상기 최고 상승 위치로 복원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13)과;
    상기 베이스블록(11)에 대하여 고정핀(16)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또한 비틀림스프링(15)에 의하여 평소에는 상기 슬라이더(12)의 외측의 특정 중지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더(12)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압축스프링(13)의 복원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특정 중지 위치에 상기 슬라이더(12)가 고정되도록 하고, 반면에 상기 비틀림스프링(15)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고정핀(16)을 중심으로 상기 슬라이더(12)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더(12)가 상기 베이스블록(11)의 중공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2)의 외측에는 상기 슬라이더(12)가 상기 베이스블록(11) 외측으로 돌출 상승한 부분의 치수를 알 수 있도록 눈금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2)의 상단에는 상기 슬라이더(12)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진 연장봉(17)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
KR2020080016190U 2008-12-05 2008-12-05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 KR2004498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190U KR200449890Y1 (ko) 2008-12-05 2008-12-05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190U KR200449890Y1 (ko) 2008-12-05 2008-12-05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045U KR20100006045U (ko) 2010-06-15
KR200449890Y1 true KR200449890Y1 (ko) 2010-08-19

Family

ID=4424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190U KR200449890Y1 (ko) 2008-12-05 2008-12-05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8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9641A (zh) * 2018-05-23 2018-11-06 柳州上汽汽车变速器有限公司 汽车变速器台架传感器测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410A (ja) * 1992-09-24 1994-04-19 Kanto Auto Works Ltd 間隙寸法測定用プローブ
JPH09101135A (ja) * 1995-10-06 1997-04-15 Ohbayashi Corp 積層ゴムの高さ測定装置
JP2004176875A (ja) 2002-11-29 2004-06-24 Fujita Corp 免震用滑り支承および免震用滑り支承の滑り材のクリープ測定方法
JP2006037995A (ja) 2004-07-22 2006-02-09 Nec Facilities Ltd アクティブ除振装置およびアクティブ除振マウ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410A (ja) * 1992-09-24 1994-04-19 Kanto Auto Works Ltd 間隙寸法測定用プローブ
JPH09101135A (ja) * 1995-10-06 1997-04-15 Ohbayashi Corp 積層ゴムの高さ測定装置
JP2004176875A (ja) 2002-11-29 2004-06-24 Fujita Corp 免震用滑り支承および免震用滑り支承の滑り材のクリープ測定方法
JP2006037995A (ja) 2004-07-22 2006-02-09 Nec Facilities Ltd アクティブ除振装置およびアクティブ除振マウ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045U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6783A (en) Spring-force measuring device
KR102316890B1 (ko) 변위측정장치
CN105865696A (zh) 一种拉索索力变化测试装置
CN101319864A (zh) 塞规头孔径测量机构
JP6552940B2 (ja) 治具及びゲージ検査機
CN106568536A (zh) 一种连接器保持力测试装置
JP4747029B2 (ja) 硬度計の検査装置
KR200449890Y1 (ko) 탄성마운트 높이측정기
US107538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ication and calibration of hamburg wheel tracker devices
EP3343187A1 (en) Load cell
KR100932699B1 (ko) 변위측정장치
CN219103934U (zh) 浮高检测装置
RU163305U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й датчик деформации (продольного растяжения/сжатия)
US20190293534A1 (en) Test Jig and Test Method
CN106197795B (zh) 弹簧触指压变形量与弹力值测量方法及测量工装
JP6664945B2 (ja) 物体の厚さ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機器
CN211374032U (zh) 一种负压带传感器执行器检测设备
US4611408A (en) Mechanical averaging gauge
CN103105110A (zh) 基于标准尺的大尺寸高精度测量的方法和装置
CN105911728A (zh) 用于测量液晶屏受力大小的装置及其测量方法
CN206724823U (zh) 一种游标卡尺
US20240134476A1 (en) Acceleration sensor for touch display surface
CN208270363U (zh) 一种高精度引伸计标定仪
JP2598862B2 (ja) 非接触式検出器
US5341689A (en) Pen force gage for a pen plo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