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712Y1 -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712Y1
KR200449712Y1 KR2020100001007U KR20100001007U KR200449712Y1 KR 200449712 Y1 KR200449712 Y1 KR 200449712Y1 KR 2020100001007 U KR2020100001007 U KR 2020100001007U KR 20100001007 U KR20100001007 U KR 20100001007U KR 200449712 Y1 KR200449712 Y1 KR 200449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joint
index
concrete joint
finish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선
Original Assignee
이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선 filed Critical 이해선
Priority to KR2020100001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7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3Compressable seals of hollow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가 개시된다.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 이음부 표면을 커버하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로서, 일면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 사이에 개재되며, 일면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채널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타면의 좌우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에 각각 매립되며, 표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는, 공장에서 기 제작되어 이를 콘크리트 이음부에 적용함으로써 시공을 단순화할 수 있고, 지수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지수판 설치를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Water protecting finishing material for concrete joint}
본 고안은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지수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옹벽, 암거, 유로, 측구 등 콘크리트 구조체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연속적이어치기하여 시공하는데, 콘크리트 구조체는 이어치기, 온도변화, 크리프, 건조수축, 시공오차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이어친 콘크리트 사이에 콘크리트 이음('줄눈'이라고도 함)을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이음은 일반적으로 이어치기로 인해 생기는 시공이음, 온도변화, 건조수축, 크리프 등에 따른 콘크리트의 신축을 흡수하는 신축이음, 온도 등으로 인한 건조수축균열을 인위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수축이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부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콘크리트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물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지수판을 설치한 후 굳지 않은 콘크리트 타설하고 양생한다. 그리고, 거푸집을 제거하고 두 콘크리트 사이에 신축이음 채움재를 삽입하고 신축이음 채움재 상부에 백업재를 삽입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이음부 표면을 청소한 후 실란트를 배합하여 주입하고 실란트를 양생하여 이음부를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라 형성된 콘크리트 이음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란트가 콘크리트에서 분리되어 물이 콘크리트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수판과 실란트가 분리되어 있어 시공이 복잡하고, 현장에서 실란트를 배합하고 주입하게 되어 품질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공장에서 기 제작하여 이를 콘크리트 이음부에 적용함으로써 품질을 균일화할 수 있고 시공을 단순화할 수 있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수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지수판 설치를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 이음부 표면을 커버하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로서, 일면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 사이에 개재되며, 일면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채널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타면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에 각각 매립되며, 표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체부의 내부에는 채널홈의 좌우에 채널홈을 따라 중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 이음부 사이에는 신축이음 채움재가 개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체부의 타면에는 신축이음 채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를 공장에서 기 제작하여 이를 콘크리트 이음부에 적용함으로써 품질을 균일화할 수 있고 시공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지수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지수판 설치를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 본체부(12), 채널홈(14), 중공홀(16), 날개부(18), 돌기(20), 결합홈(22). 경계돌부(24)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은,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 이음부 표면을 커버하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으로서, 일면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콘크리트 사이에 개재되며, 일면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채널홈(14)이 형성되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타면의 좌우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에 각각 매립되며, 표면에 복수의 돌기(20)가 형성되는 날개부(1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은 공장에서 기 제작되어 이를 콘크리트 이음부에 적용함으로써 시공을 단순화할 수 있고, 지수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지수판 설치를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체부(12)는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 이음부 사이에 개재되며 콘크리트의 신축에따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다.
본체부(12)의 일면은 콘크리트 이음부의 외측으로 향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며 본체부(12)의 타면은 콘크리트 이음부 내부를 향한다. 본체부(12)의 일면의 중앙부에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채널형상의 채널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채널홈(14)은 아래 방향으로 단면이 축소되는 역사다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채널홈(14)이 신축하면서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의 신축에 따른 변위를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채널홈(14)은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의 시공 시 거푸집에 결합되는 목재(도 5의 도면번호 30)가 삽입되어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이 거푸집에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체부(12)의 일면는 대략 콘크리트 표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실란트를 대신할 수 있다.
날개부(18)는 본체부(12)의 타면의 좌우로 각각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에 각각 매립된다. 두 개의 날개부(18)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에 각각 매립됨으로써 콘크리트의 신축에 따라 본체부(12)가 신축되어 종래의 실란트 처리에 따른 실란트의 분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8)는 콘크리트 이음부 외부로부터 물이 이음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날개부(18)는 종래의 지수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본체부(12)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의 한 번의 시공으로 종래의 지수판의 설치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날개부(18)의 표면에는 콘크리트와 접착표면을 넓히기 위해 복수의 돌기(2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부(18)의 하부에만 돌기(20)가 형성된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날개부(18)의 상부에도 돌기(2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20)는 외측의 갈수록 단면이 확대되는 사리꼴 형태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돌기(20)는 콘크리트와의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체부(12)의 채널홈(14)이 예상되는 콘크리트의 변위를 수용할 수 없는 경우, 본체부(12)의 내부에는 채널홈(14)의 좌우로 본체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홀(16)을 형성할 수 있다. 채널홈(14)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콘크리트의 변위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나, 하부는 폐쇄되어 있어 콘크리트의 변위을 수용할 수 없을 수 있다. 이 경우 채널홈(14)의 좌우에 중공홀(16)을 형성함으로써 본체부(12)가 전체적으로 콘크리트의 변위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은 각종 신축이음부, 시공이음부, 수축이음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이 신축이음부에 설치되는 경우, 본체부(12)의 타면에는 신축이음 채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 신축이음부의 경우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 이음부 사이에는 신축이음 채움재가 개재될 수 있고 이 경우 신축이음 채움재의 단부가 본체부(12)의 결합홈(22)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부(12)의 일면의 양단부에는 경계돌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경계돌부(24)는 거푸집 해체 시 콘크리트와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의 경계선을 미관상 명확히 유지할 수 있다.
본체부(12), 날개부(18) 및 경계돌부(2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사출성형, 압출성형 등에 의해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은 고무,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수지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 본체부(12), 날개부(18), 돌기(20), 결합홈(22), 경계돌부(24), 콘크리트(26), 거푸집(28), 목재(30), 신축이음 채움재(32)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콘크리트(26) 신축이음부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콘크리트 벽체의 양면에 대응하여 각각 거푸집(28)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의 일면이 거푸집(28)면을 향하도록 벽체의 높이 방향으로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을 거푸집(28) 각각에 설치한다. 그리고, 신축이음 채움재(32)의 양 단부가 본체부(12)의 결합홈(22)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다. 물론, 신축이음 채움재(32)와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을 먼저 결합한 후 거푸집(28)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거푸집(28)에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을 고정하기 위해 본체부(12)의 일면에 대향하는 거푸집(28)의 표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채널홈(14)의 형상에 상응하는 목재(30)를 결합하고 목재(30)가 본체부(12)의 채널홈(14)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거푸집(28) 사이에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과 신축이음 채움재(32)가 고정 설치되면 굳지 않는 콘크리트(26)를 거푸집(28) 내에 타설하고 양생하고 거푸집(28)을 해체한다.
거푸집(28)이 해체되면 본체부(12)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경계돌부(24)에 의해 콘크리트(26)와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의 경계선을 미관상 명확히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10)은 종래와 같이 별도의 실란트 처리를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와 날개부(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의 실란트와 지수판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며, 그 설치가 간편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 12: 본체부
14 : 채널홈 16 : 중공홀
18 : 날개부 20 : 돌기
22 : 결합홈 24 : 경계돌부
26 : 콘크리트 28 : 거푸집
30 : 목재 32 : 신축이음 채움재

Claims (3)

  1.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 이음부 표면을 커버하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로서,
    일면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일면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채널홈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면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상기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에 각각 매립되며, 표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채널홈의 좌우에 상기 채널홈을 따라 중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향하는 콘크리트 이음부 사이에는 신축이음 채움재가 개재되며,
    상기 본체부의 타면에는 상기 신축이음 채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
KR2020100001007U 2010-01-28 2010-01-28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 KR200449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07U KR200449712Y1 (ko) 2010-01-28 2010-01-28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07U KR200449712Y1 (ko) 2010-01-28 2010-01-28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712Y1 true KR200449712Y1 (ko) 2010-08-03

Family

ID=4424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007U KR200449712Y1 (ko) 2010-01-28 2010-01-28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71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06B1 (ko) * 2013-08-08 2015-03-05 현태식 분리형 매립 실런트 및 이의 시공방법
CN108343093A (zh) * 2018-01-22 2018-07-3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地下室沉降后浇带伸缩后浇带留设施工方法
CN109736457A (zh) * 2019-02-25 2019-05-10 中国葛洲坝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水池池体施工缝渗漏处理的双面防水结构及处理方法
CN112343188A (zh) * 2020-11-27 2021-02-09 成都城投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施工缝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491U (ja) * 1992-10-13 1994-05-13 白水興産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用目地切材
KR200294920Y1 (ko) 2002-07-26 2002-11-13 이인섭 콘크리트슬라브 구조의 크랙방지 줄눈용 코킹부재
KR20020094920A (ko) * 2001-06-13 2002-12-18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체 통신 시스템, 이동체 통신 방법, 기지국, 이동국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 송신 방법
KR20030075722A (ko) * 2002-03-20 2003-09-2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합착기
KR200375722Y1 (ko) 2004-11-30 2005-03-10 정득환 구조물 이음부의 수축이음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491U (ja) * 1992-10-13 1994-05-13 白水興産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用目地切材
KR20020094920A (ko) * 2001-06-13 2002-12-18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체 통신 시스템, 이동체 통신 방법, 기지국, 이동국및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 송신 방법
KR20030075722A (ko) * 2002-03-20 2003-09-2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합착기
KR200294920Y1 (ko) 2002-07-26 2002-11-13 이인섭 콘크리트슬라브 구조의 크랙방지 줄눈용 코킹부재
KR200375722Y1 (ko) 2004-11-30 2005-03-10 정득환 구조물 이음부의 수축이음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06B1 (ko) * 2013-08-08 2015-03-05 현태식 분리형 매립 실런트 및 이의 시공방법
CN108343093A (zh) * 2018-01-22 2018-07-31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地下室沉降后浇带伸缩后浇带留设施工方法
CN109736457A (zh) * 2019-02-25 2019-05-10 中国葛洲坝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水池池体施工缝渗漏处理的双面防水结构及处理方法
CN112343188A (zh) * 2020-11-27 2021-02-09 成都城投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施工缝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712Y1 (ko) 콘크리트 이음용 지수 마감재
KR20130141185A (ko) 건축용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120210665A1 (en) Fireproof Panel Equipped with Coupling Ho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ld for the Fireproof Panel
KR200449840Y1 (ko) 조립식 차수벽체
KR101428510B1 (ko) 고강도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아치형 교량 구조물
KR20060126852A (ko) 흡차음 스톤패널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KR20190127160A (ko) 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마감장치
KR101385991B1 (ko) 신축이음장치용 신축성 마감부재 유닛, 그 마감부재 유닛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그 신축이음장치의 제작방법 및 시공방법
KR101285842B1 (ko) 콘크리트 보수용 방수형 탄성봉함제 시공 방법
KR101005581B1 (ko) 터널, 지하건축물용 신축이음 구조물
KR100937312B1 (ko) 비해체식 거푸집 및 상기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공법
JP526069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447273Y1 (ko) 유로폼 거푸집용 줄눈 성형장치
KR101560189B1 (ko)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KR101193013B1 (ko) 콘크리트 타설물의 신축 및 수축 이음조인트장치
KR100781970B1 (ko)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JP4680724B2 (ja) 住宅用残存化粧型枠
KR100423008B1 (ko) 난방을 위한 조립식 바닥재
KR20140008960A (ko) 매립형 마감 실런트
KR20140012401A (ko) 합성목재 패널 조립체
JP3893516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連結部止水構造
KR200294920Y1 (ko) 콘크리트슬라브 구조의 크랙방지 줄눈용 코킹부재
JP4587714B2 (ja) 住宅用残存化粧型枠及び住宅の基礎の施工方法
KR101279858B1 (ko) 투수매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