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852A - 흡차음 스톤패널 - Google Patents

흡차음 스톤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852A
KR20060126852A KR1020050041646A KR20050041646A KR20060126852A KR 20060126852 A KR20060126852 A KR 20060126852A KR 1020050041646 A KR1020050041646 A KR 1020050041646A KR 20050041646 A KR20050041646 A KR 20050041646A KR 20060126852 A KR20060126852 A KR 20060126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tone panel
artificial stone
cemen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799B1 (ko
Inventor
이형두
이진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류림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류림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류림스톤
Priority to KR102005004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799B1/ko
Publication of KR2006012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76Cellular, e.g. as wall facing
    • E01F8/0082Cellular,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Abstract

자연석무늬를 인조석패널의 장식부에 형성하여 미려하고 고급스런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조석패널의 입음구멍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음파의 감쇄과정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입음구멍이 형성되고 일면에 소정 무늬가 형성되는 장식부가 위치하고 인조석몰탈을 이용하여 평판형상으로 성형되는 인조석패널과, 인조석패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평면부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과 양쪽 끝부분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또는 3개의 격벽을 연결하여 지지하며 상기 평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형상유지부로 이루어지고 격벽 및 형상유지부의 일부가 인조석패널에 매설되는 시멘트패널을 포함하는 흡차음 스톤패널을 제공한다.
인조석, 시멘트패널, 인조석패널, 입음구멍, 격벽, 결합빔, 성형몰드.

Description

압출성형 시멘트패널과 흡차음 스톤패널 및 그 제조방법 {Extrusion Cement Panel and Stone Panel for Absorbing and Excluding of Sounds and Process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을 이용하여 방음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 블럭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압출성형 시멘트패널과 흡차음 스톤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조석패널을 이용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흡음 및 차음(음의 차단) 기능을 보유하는 압출성형 시멘트패널과 흡차음 시멘트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고속도로변 및 준 고속화도로의 주위에 주거지가 형성된 곳에 있어서는 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주택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벽의 설치가 요구되어 왔다.
상기 방음벽은 소음공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인간의 쾌적한 생활 환경을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종래의 방음벽으로는 알루미늄 등과 흡음재로 이루어지는 방음패널을 이용하여 소정의 높이로 설치하는 방식과, 시멘트몰탈 등으로 이루어지는 방음블럭을 이용하여 조적하여 형성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알루미늄 등을 이용하는 방음벽은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표면처리에 한계가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차갑고 딱딱한 느낌을 주어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루는데 한계가 있고, 쉽게 부식되어 내구성이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아 수리나 교체를 자주 행하여야 하는 문제 가 있다.
또 종래 방음블럭을 이용하여 방음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멘트몰탈로 성형하므로 비용은 적게 들지만 외관이 미려하지 않으므로 표면에 미장처리 및 페인트칠 등의 작업을 별도로 행하여야 하고, 대리석이나 장식벽돌 등의 고급재료로 마감처리를 행하면 외관은 미려하지만 비용이 고가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멘트몰탈을 이용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인조석몰탈을 이용하여 저가로 고급스런 외관을 얻을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입음구멍을 형성하여 흡음 및 음의 차단(차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흡차음 스톤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멘트몰탈을 이용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인조석몰탈을 이용하여 저가로 고급스런 외관을 얻을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입음구멍을 형성하여 흡음 및 음의 차단(차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흡차음 스톤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쪽 끝부분에 인조석몰탈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상유지부가 형성되므로 흡차음 스톤패널을 제조하는 경우 측면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은 시멘트몰탈을 압출성형하여 이루 어지고, 소정의 형상과 면적으로 형성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한쪽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하여 압출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과, 상기 평면부의 양쪽 끝부분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또는 3개의 격벽을 연결하여 지지하며 상기 평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형상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형상유지부에는 인조석패널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결합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형상유지부에는 인조석몰탈이 주입된 성형몰드에 삽입할 때에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측면의 일부를 제거한 삽입안내홈을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격벽 중에 형상유지부와 연결되지 않는 중앙쪽의 격벽의 끝부분에는 인조석패널에 매입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지지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흡차음 스톤패널은 인조석몰탈을 이용하여 평판형상으로 성형되는 인조석패널과, 상기 인조석패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과 상기 평면부의 양쪽 끝부분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또는 3개의 격벽을 연결하여 지지하며 상기 평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형상유지부로 이루어지고 격벽 및 형상유지부의 일부가 인조석패널에 매설되어 형성되는 시멘트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인조석패널의 표면(시멘트패널과 접하는 면의 반대쪽면)에는 자연석과 유사한 느낌을 갖도록 다양한 무늬를 형성한다.
상기 인조석패널에는 외부로부터 소음이 유입되어 감쇄되도록 복수의 입음구 멍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인조석패널과 시멘트패널의 평면부 사이에는 격벽에 의하여 유지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입음구멍을 통하여 빈 공간으로 유입되는 소음은 이 빈 공간에서 맴돌면서 음파의 감쇄로 인하여 소멸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흡차음 스톤패널 제조방법은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과 상기 평면부의 양쪽 끝부분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또는 3개의 격벽을 연결하여 지지하며 상기 평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형상유지부로 이루어지는 시멘트패널을 압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조하고, 골재와 시멘트를 혼합한 원료에 물과 고성능 감수제 등을 넣어 고르게 반죽하여 인조석몰탈을 제조하고, 제조된 인조석몰탈을 성형몰드에 주입하고, 인조석몰탈이 주입된 성형몰드에 복수의 격벽의 일부가 인조석몰탈과 접하도록 시멘트패널을 삽입하고, 상기 인조석몰탈에 격벽의 일부가 매설된 상태에서 접착을 강화하기 위하여 성형몰드에 진동을 가하고, 인조석몰탈이 양생되어 인조석패널의 성형이 완료되면 성형몰드로부터 일체화된 인조석패널과 시멘트패널을 분리 취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과 흡차음 스톤패널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1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과 면적으로 형성되는 평면부(11)와, 상기 평면부(11)의 한쪽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하여 압출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 (12)과, 상기 평면부(11)의 양쪽 끝부분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의 격벽(12)을 연결하여 지지하며 상기 평면부(11)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형상유지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평면부(11), 격벽(12), 형상유지부(13)는 시멘트몰탈을 압출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일체로 동시에 형성한다.
상기 격벽(12)의 수 및 격벽(12) 사이의 간격 등은 평면부(11)의 폭을 감안하여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격벽(12) 사이의 간격은 대략 10∼150mm 정도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격벽(12)의 두께는 대략 2∼20mm 정도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격벽(12)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으면 격벽(12)의 수가 많아져 시멘트몰탈의 소모가 많아지며, 격벽(12)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으면 격벽(12)의 수가 적어 인조석패널과의 결합력이 저하되고 평면부(11)의 지지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12)의 두께가 너누 얇으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고, 너무 두꺼우면 중량의 증가를 가져오며 시멘트몰탈의 소모가 많다.
상기 형상유지부(12)는 바깥쪽(측면쪽)에 위치하는 2개의 격벽(12)을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3개 이상을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바깥쪽(측면쪽)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격벽(12)을 형상유지부(12)를 통하여 서로 연결하게 되면, 격벽(12)만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인조석몰탈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바깥쪽에 위치한 격벽(12)이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경사지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형상유지부(12)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조석패널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결합홈(15)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결합홈(15)을 형성하게 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조석패널(30)이 결합되는 경우 인조석패널(30)의 일부가 결합홈(15)에 삽입되어 인조석패널(30)과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결합홈(15)은 단면형상을 삼각형, 사각형, 반원형, 역삼각형, 도브테일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설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평면부(11)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증가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인조석패널(30)과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형상유지부(12)의 중앙쪽 끝부분을 연결되는 격벽(12)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하게 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12)의 끝부분이 인조석패널(30)에 매설되는 경우 인조석패널(30)과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12) 중에 있어서 양쪽 바깥쪽에 위치하는 격벽(12)에는 조립을 위하여 조립돌기(16)와 조립홈(18)을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돌기(16)와 조립홈(18)를 형성하게 되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음벽이나 내외장벽 등의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용이하면서도 간단하게 조립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상유지부(12)에는 인조석몰탈이 주입된 성형몰드에 삽입할 때에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측면의 일부를 제거한 삽입안내홈(19)을 더 형성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삽입안내홈(19)은 조립돌기(16)가 형성된 쪽에 형성하는 것이 조립돌기(16)쪽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안내홈(19)은 격벽(12)과 평행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2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상유지부(1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격벽(12) 사이의 간격을 다른 격벽(12)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설정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상유지부(1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격벽(12) 사이의 간격을 다른 격벽(12)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하게 되면, 형상유지부(13)에 의하여 연결되는 격벽(12)의 지지력이 향상되고, 형상유지력이 상기한 제1실시예보다 향상된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3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홈(18)이 형성되는 쪽의 격벽(12)에도 삽입안내홈(19)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홈(18)이 형성되는 쪽의 격벽(12)에 삽입안내홈(19)을 형성하게 되면, 인조석몰탈이 주입된 성형몰드에 삽입할 때에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나아가 조립돌기(16)가 형성되는 쪽의 격벽(12)과 조립홈(18)이 형성되는 쪽의 격벽(12)에 모두 삽입안내홈(19)을 형성하게 되면, 성형몰드에의 삽입작업이 보 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4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안내홈(19)을 경사면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삽입안내홈(19)을 경사면으로 형성하게 되면, 성형몰드에의 삽입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5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12) 중에 형상유지부(13)와 연결되지 않는 중앙쪽의 격벽(12)의 끝부분에는 인조석패널에 매입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지지돌기(12a)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돌기(12a)는 대략 역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돌기(12a)를 형성하게 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조석패널(30)에 매설된 경우에 지지돌기(12a)에 의하여 결합력이 보다 향상되고, 인조석패널(30)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걸림돌기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6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돌기(12b)의 단면형상을 격벽(12)과 대략 "T"형상으로 이루도록 설정하여 형성한다.
상기 지지돌기(12a), (12b)의 단면형상은 삼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등의 다 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평면부(11)를 향하는 쪽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인조석패널(30)을 향하는 쪽을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양쪽을 모두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1실시예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입음구멍(34)이 형성되고 일면에 소정 무늬가 형성되는 장식부(32)가 위치하고 인조석몰탈을 이용하여 평판형상으로 성형되는 인조석패널(30)과, 상기 인조석패널(3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평면부(11)와 상기 평면부(11)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12)과 상기 평면부(11)의 양쪽 끝부분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또는 3개의 격벽(12)을 연결하여 지지하며 상기 평면부(11)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형상유지부(13)로 이루어지고 상기 격벽(12) 및 형상유지부(13)의 일부가 상기 인조석패널(30)에 매설되는 시멘트패널(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멘트패널(10)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의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를 조합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시멘트패널(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시멘트패널(10)의 복수의 격벽(12) 및 형상유지부(13)의 일부는 상기 인조석패널(30)에 매설된다.
상기 인조석패널(30)은 상기 시멘트패널(10)의 결합홈(15)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3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조석패널(30)은 상기 시멘트패널(10)의 삽입안내홈(19)에 채워져 형성되는 측면돌기(3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조석패널(30)의 입음구멍(34)은 상기 격벽(12)과 격벽(12)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격벽(12)과 인조석패널(30), 평면부(11)에 의하여 형성되는 빈 공간(14)에 효과적으로 외부의 소음이 유입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입음구멍(34)은 위아래로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좌우로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입음구멍(34)은 격벽(12)을 가로질러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입음구멍(34)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별형, 타원형, 반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입음구멍(34)은 규칙적인 배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불규칙적인 배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입음구멍(34)을 다양한 형상이나 배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입음구멍(34)의 장식미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입음구멍(34)만에 의해서도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입음구멍(34)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은 상기 빈 공간(14) 으로 유입된 후 이 빈공간(14)에서 맴돌면서 음파의 감쇄로 인하여 소멸된다.
상기 인조석패널(30)을 성형하기 위한 인조석몰탈은 골재 대략 40∼90중량%, 모래 대략 0∼50중량%, 시멘트 대략 10∼30중량%를 혼합한 원료에 물/시멘트(W/C)비 10∼25%범위에서 물을 첨가하고 고르게 반죽하여 제조한다.
상기에서 골재로는 자연석이나 자갈 등을 분쇄한 쇄석골재 및/또는 콩자갈 등을 사용한다.
상기 인조석몰탈에는 고성능 감수제, A.E 감수제, 지연제 등의 혼화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시멘트로는 백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고강도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쇄석골재의 색상과 광택이 잘 드러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인조석몰탈은 2개 이상의 색상으로 형성한 다음 불균일하게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바탕색에 또 다른 색상이 혼입된 상태로 표현되어 하늘에 구름이 떠있는 듯한 장식감을 부여하거나 들판이나 바다 등을 표현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인조석패널(30)의 장식부(32)에는 자연석과 유사한 느낌을 갖도록 다양한 무늬를 형성한다.
상기 인조석패널(30)은 대략 5∼40mm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인조석패널(30)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외부의 충격이나 외력에 대하여 강도가 약하여 쉽게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고, 너무 두꺼우면 중량이 증대되어 취급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재료비가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시멘트패널(10)의 격벽(12)이 상기 인조석패널(30)에 매설되는 깊이는 대략 3㎜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격벽(12)의 매설깊이가 3㎜ 미만인 경우에는 인조석패널(30)과 격벽(12)의 접착력이 작아 인조석패널(30)과 시멘트패널(10)이 서로 분리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시멘트패널(10)의 격벽(12)이 상기 인조석패널(3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격벽(12)의 끝부분이 인조석패널(3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미려한 인조석패널(30)의 미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가능하면 상기 시멘트패널(10)의 격벽(12) 끝면은 상기 인조석패널(30)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3㎜이상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매설깊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2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멘트패널(10)의 격벽(12)에 역삼각형의 지지돌기(12a)를 형성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3실시예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멘트패널의 격벽(12)에 대략 "T"형상으로 지지돌기(12b)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시멘트패널(10)의 격벽(12)에 지지돌기(12a), (12b)를 형성하여 인조석패널(30)에 매설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시멘트패널(10)과 인조석패널(30)과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인조석패널(30)에 매몰되는 격벽(12)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접착력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지지돌기(12a), (12b)가 격벽(12)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시멘트패널(10)이 상기 인조석패널(3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는 걸리는 기능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4실시예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12)과 인조석패널(30), 평면부(11)로 이루어지는 빈 공간(14)에 흡음재(70)를 채운다.
상기와 같이 흡음재(70)를 빈 공간(14)에 채우는 것에 의하여 입음구멍(34)을 통하여 유입된 소음의 제거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빈 공간(14)에 흡음재(70)를 채우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빈 공간(14)에 단열재를 채우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5실시예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조석패널(30)의 표면(장식부(32))에 양각 또는 음각 형상으로 성형하여 블 럭, 벽돌이나 타일, 석재 등이 조적 또는 부착되어 있는 듯한 모양의 줄눈(36)을 형성한다.
상기 줄눈(36)은 가로 및/또는 세로로 형성하며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줄눈(36)을 형성하면, 대리석 등의 석재판을 벽면에 부착한 것과 유사한 느낌을 주는 것이 가능하며, 미장의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 줄눈(36)에는 실리콘이나 소정의 색상(예를 들면 백색, 적색, 회색, 흑색 등)을 갖는 시멘트몰탈 등을 채워넣어 줄눈(36)을 보다 선명하게 드러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줄눈(36)은 대략 1∼10mm 정도의 깊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줄눈(36)의 깊이가 너무 얕으면 줄눈이 쉽게 시인되지 않으며, 너무 깊으면 인조석패널(30)의 강도가 줄눈(36) 부위에서 급격하게 약화되고 먼지나 이물질이 줄눈(36)에 쌓일 우려가 높다.
상기 줄눈(36)은 대략 3∼20mm 정도의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줄눈(36)의 폭이 너무 작으면 줄눈이 쉽게 시인되지 않으며, 너무 넓으면 오히려 인조석패널(30)의 외관을 해칠 우려가 있다.
상기한 제5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제6실시예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조석패널(30)에 입음구멍(34)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입음구멍(34)을 형성하지 않게 되면, 건물의 외벽이나 내벽, 칸막이 등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방음벽 이외에 다양한 장식 마감재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입음구멍(34)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도 시멘트패널(10)과 인조석패널(30) 사이에 빈 공간(14)이 형성되므로, 방음 및 단열 효과가 우수하고, 빈 공간(14)에 흡음재(70)나 단열재 등을 채우게 되면 그 효과는 보다 향상된다.
상기한 제6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을 이용하여 방음벽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의 길이 간격으로 결합빔(200)(예를 들면 "H"빔)을 고정하고, 상기 결합빔(200)의 'ㄷ'형상의 홈(220)에 흡차음 스톤패널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하고 시멘트패널(10)의 조립돌기(16)와 조립홈(18)을 삽입하면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시멘트패널(10)을 시멘트와 모래로 이루어지는 시멘트몰탈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시멘트패널(10)을 인조석몰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기타 황토나 세라믹 등을 포함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부(11)와 상기 평면부(11)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12)과 상기 평면부(11)의 양쪽 끝부분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또는 3개의 격벽(12)을 연결하여 지지하며 상기 평면부(11)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형상유지부(13)로 이루어지는 시멘트패널(10)을 압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조하는 패널제조단계(P10)와, 골재와 시멘트를 혼합한 원료에 물과 고성능 감수제 등을 넣어 고르게 반죽하여 인조석몰탈(31)을 제조하는 몰탈제조단계(P20)와, 제조된 인조석몰탈(31)을 성형몰드(50)에 주입하는 주입단계(P22)와, 인조석몰탈(31)이 주입된 성형몰드(50)에 복수의 격벽(12)의 일부가 인조석몰탈(31)과 접하도록 시멘트패널(10)을 삽입하는 패널삽입단계(P30)와, 상기 인조석몰탈(31)에 격벽(12)의 일부가 매설된 상태에서 접착을 강화하기 위하여 성형몰드(5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성형단계(P40)와, 인조석몰탈(31)이 양생되어 인조석패널(30)의 성형이 완료되면 성형몰드(50)로부터 일체화된 인조석패널(30)과 시멘트패널(10)을 분리 취출하는 취출단계(P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시멘트패널형성단계(P10)에서는 시멘트몰탈을 이용하여 평면부(11)와 복수의 격벽(12), 형상유지부(13)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멘트패널(10)을 압출성형 방법으로 제조한다.
상기 몰탈제조단계(P20)에서는 골재 대략 40~90중량%, 모래 대략 0~50중량%, 시멘트 대략 10~30중량%를 혼합한 원료에 물/시멘트(W/C)비 10~25%범위에서 물을 첨가하고 고르게 반죽하여 인조석몰탈(31)을 제조한다.
상기 골재로는 자연석이나 자갈등을 분쇄한 쇄석골재 및/또는 콩자갈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인조석몰탈(31)에는 고성능 감수제, A.E 감수제, 지연제 등의 혼화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시멘트로는 백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고강도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골재의 색상과 광택이 잘 드러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인조석몰탈은 2개 이상의 색상으로 형성한 다음 불균일하게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인조석몰탈을 2색 이상으로 형성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바탕색에 또 다른 색상이 혼입된 상태로 표현되어 하늘에 구름이 떠있는 듯한 장식감을 부여하거나 들판이나 바다 등을 표현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주입단계(P22)에서는 상기와 같이 고르게 혼합 교합된 인조석몰탈(31)을 소정의 캐비티가 형성된 성형몰드(50)에 주입한다.
상기 성형몰드(50)는 폴리우레탄수지나 섬유강화 합성수지(FRP), 금속재료 등을 이용하여 한쪽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하고, 내부에 인조석패널(30)을 형성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면에 대응되는 바닥면은 자연석문양이 음각전사된 장식판(52)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식판(52)에 음각전사되는 문양은 자연석문양 외에도 소정의 무늬나 기호, 문자 등 다양한 문양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장식판(5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인조석패널(30)의 장식부(32)에는 자연석과 유사한 느낌을 갖도록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성형몰드(50)의 바닥면(장식판(52))에는 줄눈(36)을 형성하기 위한 줄눈돌기(58)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성형몰드(50)의 바닥면에 소정의 패턴(예를 들면 격자무늬 등)으로 줄눈돌기(58)를 돌출시켜 형성하면, 상기 인조석몰탈(31)을 성형몰드(50)에 주입하여 성형하는 과정에서 줄눈돌기(58)가 형성된 부분은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인조석패널(30)에 줄눈(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판(52)에는 인조석패널(30)에 입음구멍(34)를 형성하기 위한 입음돌기(54)가 형성된다. 상기 입음돌기(54)의 형상은 입음구멍(34)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한다.
상기 입음돌기(54)는 접착제 등으로 상기 장식판(52)에 접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입음돌기(54)가 제거된 상태로 본 발명을 실시하면 상기 입음구멍(34)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패널삽입단계(P30)에서는 인조석몰탈(31)이 주입된 성형몰드(50)에 상기 시멘트패널(10)의 복수의 격벽(12)이 인조석몰탈(31)과 접하도록 성형몰드(50)에 삽입한다.
상기 성형몰드(50)에 상기 시멘트패널(10)을 삽입하여 인조석몰탈(31)과 상기 복수의 격벽(12)이 접하게 되면, 상기 시멘트패널(10)의 자중에 의해 인조석몰 탈(31)과의 밀착이 진행된다.
상기에서 시멘트패널(10)의 양쪽 바깥쪽에 위치하는 격벽(12)의 측면에 각각 삽입안내홈(19)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시멘트패널(10)의 성형몰들(50)에의 삽입작업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진동성형단계(P40)에서 성형몰드(50)에 진동을 가하게 되면, 인조석몰탈(31)에 포함된 기포 및 상기 격벽(12)과 인조석몰탈(31)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시멘트패널(10)과 성형몰드(5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빠져나가면서 인조석몰탈(31)과 격벽(12)의 밀착도가 향상되고, 인조석몰탈(31)의 일부가 형상유지부(13)의 결합홈(15)에 고르게 채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인조석몰탈(31)을 양생하게 되면, 인조석몰탈(31)이 굳어지면서 인조석패널(3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인조석몰탈(31)의 양생이 완료되면, 성형몰드(50)로부터 일체화된 시멘트패널(10)과 인조석패널(30)을 취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성형공정에서 진동을 주게 되면, 강도가 우수한 균일한 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인조석패널(30)의 장식부(32)에 골재가 일정하게 노출되어 자연석(화강암이나 대리석 등)에 가까운 미려한 외관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과 흡차음 스톤패널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 및 그 제조방에 의하면, 자연석무늬를 인조석패널의 장식부에 형성하여 미려하고 고급스런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조석패널의 입음구멍을 통하여 음파의 감쇄과정을 통하여 유입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방음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인조석몰탈에 시멘트패널의 격벽의 일부가 매설된 상태에서 진동을 주어 밀착을 증대하고 소정 기간동안의 양생을 통하여 일체로 제조되므로 강한 내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시공 후에도 수리 또는 교체를 거의 요하지 않는 반영구적인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흡차음 스톤패널에 의하면,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이용하여 패널과 패널을 조립하는 형태로 시공이 진행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공사기간이 짧아지고 또한 별도의 미장 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공사비를 절감하는 데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및 흡차음 스톤패널에 의하면, 2개 이상의 격벽을 연결하는 형상유지부를 형성하므로, 시멘트패널과 인조석패널을 결합시킬 때에 격벽이 외력에 의하여 경사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항상 균일한 측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및 흡차음 스톤패널에 의하면, 형상유지부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격벽에 지지돌기를 형성하므로, 시멘트패널과 인조석 패널 사이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및 흡차음 스톤패널 제조방법에 의하면, 양쪽 바깥쪽에 위치하는 격벽에 삽입안내홈을 형성하므로 시멘트패널을 성형몰드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25)

  1. 시멘트몰탈을 압출성형하여 이루어지고,
    소정의 형상과 면적으로 형성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한쪽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하여 압출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과, 상기 평면부의 양쪽 끝부분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또는 3개의 격벽을 연결하여 지지하며 상기 평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형상유지부를 포함하는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에는 하나이상의 결합홈을 형성하는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단면형상을 삼각형, 사각형, 반원형, 역삼각형, 도브테일형상, 상기 평면부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증가하는 형상 중에서 설정하여 형성하는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에는 측면의 일부를 제거한 삽입안내홈을 형성하는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의 중앙쪽 끝부분을 연결되는 격벽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중에 형상유지부와 연결되지 않는 중앙쪽의 격벽의 끝부분에는 지지돌기를 형성하는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의 단면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T"형상, 도브테일형상, 상기 평면부를 향하는 쪽이 경사면인 형상, 상기 평면부의 반대쪽이 경사면인 형상, 상기 평면부를 향하는 쪽과 반대쪽이 모두 경사면인 형상 중에서 설정하여 형성하는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중에서 양쪽 바깥쪽에 위치하는 격벽에는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격벽 사이의 간격을 다른 격벽 사 이의 간격보다 좁게 설정하는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10. 인조석몰탈을 이용하여 평판형상으로 성형되는 인조석패널과,
    상기 인조석패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과 상기 평면부의 양쪽 끝부분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또는 3개의 격벽을 연결하여 지지하며 상기 평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형상유지부로 이루어지고 격벽 및 형상유지부의 일부가 인조석패널에 매설되며 시멘트몰탈을 압출성형하여 형성되는 시멘트패널을 포함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패널의 표면에는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패널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 형상으로 줄눈을 형성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줄눈은 1∼10mm의 깊이와 3∼20mm의 폭으로 형성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패널은 5∼40mm의 두께로 형성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패널의 격벽이 상기 인조석패널에 매설되는 깊이는 3㎜ 이상으로 설정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평면부, 인조석패널로 이루어지는 빈 공간에 흡음재를 삽입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17.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패널에는 외부로부터 소음이 유입되어 감쇄되도록 복수의 입음구멍을 형성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입음구멍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별형, 타원형, 반원형 중에서 설정하여 형성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19.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패널의 형상유지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조석패널의 일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돌기를 형성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20.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패널의 형상유지부 바깥쪽 측면에는 삽입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조석패널의 일부는 상기 시멘트패널의 삽입안내홈에 채워져 측면돌기를 형성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21.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과 상기 평면부의 양쪽 끝부분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2개 또는 3개의 격벽을 연결하여 지지하며 상기 평면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형상유지부로 이루어지는 시멘트패널을 압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조하고,
    골재와 시멘트를 혼합한 원료에 물과 고성능 감수제 등을 넣어 고르게 반죽하여 인조석몰탈을 제조하고,
    제조된 인조석몰탈을 성형몰드에 주입하고,
    인조석몰탈이 주입된 성형몰드에 복수의 격벽 및 형상유지부의 일부가 인조석몰탈과 접하도록 시멘트패널을 삽입하고,
    상기 인조석몰탈에 격벽 및 형상유지부의 일부가 매설된 상태에서 접착을 강화하기 위하여 성형몰드에 진동을 가하고,
    인조석몰탈이 양생되어 인조석패널의 성형이 완료되면 성형몰드로부터 일체화된 인조석패널과 시멘트패널을 분리 취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제조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몰탈은 골재 40~90중량%, 모래 0~50중량%, 시멘트 10~30중량%를 혼합한 원료에 물/시멘트(W/C)비 10~25%범위에서 물을 첨가하고 고르게 반죽하여 제조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제조방법.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성형몰드의 바닥면은 소정의 무늬가 음각전사된 장식판으로 형성되는 흡차음 스톤패널 제조방법.
  24. 청구항 21 또는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성형몰드의 바닥면에는 입음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입음돌기가 돌출 설치되는 흡차음 스톤패널 제조방법.
  25. 청구항 21 또는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성형몰드의 바닥면에는 줄눈을 형성하기 위한 줄눈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흡차음 스톤패널 제조방법.
KR1020050041646A 2005-05-18 2005-05-18 흡차음 스톤패널 KR100671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646A KR100671799B1 (ko) 2005-05-18 2005-05-18 흡차음 스톤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646A KR100671799B1 (ko) 2005-05-18 2005-05-18 흡차음 스톤패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477A Division KR100781970B1 (ko) 2006-03-10 2006-03-10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852A true KR20060126852A (ko) 2006-12-11
KR100671799B1 KR100671799B1 (ko) 2007-01-19

Family

ID=3773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646A KR100671799B1 (ko) 2005-05-18 2005-05-18 흡차음 스톤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7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7665A1 (en) * 2009-06-19 2012-03-22 Lg Hausys, Ltd. Sound-absorbing noise barrier
KR101286939B1 (ko) * 2011-04-21 2013-07-16 차희장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인조석 판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87258B1 (ko) * 2011-04-21 2013-07-17 차희장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KR101463500B1 (ko) * 2011-04-21 2014-11-19 차희장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KR20210100364A (ko) * 2020-02-06 2021-08-17 김종덕 소음 저감용 패널결합체
KR102644713B1 (ko) * 2023-08-23 2024-03-11 휴먼이엔티 주식회사 경량 골재와 폐고무를 활용한 친환경 흡음재와 압출성형 시멘트 패널을 포함하는 차음 성능이 향상된 친환경 흡차음 방음판, 이의 조립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59B1 (ko) * 2008-08-11 2011-06-23 우리산업기술개발 주식회사 흡차음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7665A1 (en) * 2009-06-19 2012-03-22 Lg Hausys, Ltd. Sound-absorbing noise barrier
US8544601B2 (en) * 2009-06-19 2013-10-01 Lg Hausys, Ltd. Sound-absorbing noise barrier
KR101286939B1 (ko) * 2011-04-21 2013-07-16 차희장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인조석 판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87258B1 (ko) * 2011-04-21 2013-07-17 차희장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KR101463500B1 (ko) * 2011-04-21 2014-11-19 차희장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KR20210100364A (ko) * 2020-02-06 2021-08-17 김종덕 소음 저감용 패널결합체
KR102644713B1 (ko) * 2023-08-23 2024-03-11 휴먼이엔티 주식회사 경량 골재와 폐고무를 활용한 친환경 흡음재와 압출성형 시멘트 패널을 포함하는 차음 성능이 향상된 친환경 흡차음 방음판, 이의 조립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799B1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799B1 (ko) 흡차음 스톤패널
US5802797A (en) Dry-stackable masonry unit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AU2012216408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Translucent Multilayer Composite Construction Element with Integrated Facade Panel
KR20100012888A (ko) 건축용 블록
KR101030221B1 (ko) 천연 석재 층과 이 천연 석재 층의 이면에 시멘트 몰탈층이 일체로 부착되어 이루어진 복합석재블록 및 그제조방법
KR100781970B1 (ko) 압출성형 시멘트패널
KR100812642B1 (ko) 건물 장식용 인조석 몰딩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KR100900155B1 (ko) 양면 자연석블록의 제조방법
KR101178611B1 (ko) 돌출줄눈을 가지는 문양블록과 이를 이용한 조립형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KR100720952B1 (ko) 흡차음 스톤패널
KR100828432B1 (ko) 초경량 단열블록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주택
KR200317122Y1 (ko) 흡차음 스톤블럭
KR100927483B1 (ko) 건축용 복합 판넬의 제조방법
JP2008127984A (ja) 床タイル張り工法
JP4402089B2 (ja) 床材
KR200459623Y1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KR100581405B1 (ko) 황토 표면층을 가진 콘크리트 블록
KR200368320Y1 (ko) 압출성형 인방
KR200246525Y1 (ko) 단열블록
JP2002322656A (ja) 壁面用の化粧材
KR200327095Y1 (ko) 창대석
KR101286939B1 (ko)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된 인조석 판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71458B1 (ko) 시멘트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880662B1 (ko) 인조석 몰딩 제조용 금형
KR200345087Y1 (ko) 황토 표면층을 가진 콘크리트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09

Effective date: 200611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