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675Y1 -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 - Google Patents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675Y1
KR200449675Y1 KR2020080014121U KR20080014121U KR200449675Y1 KR 200449675 Y1 KR200449675 Y1 KR 200449675Y1 KR 2020080014121 U KR2020080014121 U KR 2020080014121U KR 20080014121 U KR20080014121 U KR 20080014121U KR 200449675 Y1 KR200449675 Y1 KR 200449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in
clamping bolt
cutting tool
chuck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515U (ko
Inventor
신동순
Original Assignee
신세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세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4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675Y1/ko
Priority to DE102009023672A priority patent/DE102009023672A1/de
Publication of KR20100004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6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30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30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 B23B31/305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the gripping means is a deformable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26Bushings, e.g. adapter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 본체에 대한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분리 후 재결합 과정이 용이하게 진행되고, 재결합에 의한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상호 결합 부위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재결합 후 기능 저하 현상을 전혀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분리 후 재결합에 기인하는 생산성 저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은 척 본체의 유압챔버에 절삭공구 파지용 슬리브가 결합되고, 상기 척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체통로를 통해 상기 유압챔버의 내면과 절삭공구 파지용 슬리브의 외면 사이에 오일이 주입되며, 상기 유체통로와 연결된 가압부에 실링용 피스톤과 피스톤 핀 및 클램핑 볼트가 차례로 결합되고, 상기 클램핑 볼트를 조여 상기 유압 챔버의 오일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절삭공구 파지용 슬리브를 가압하여 절삭공구를 파지하는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볼트는 상기 피스톤 핀과 접촉되는 하부에 피스톤 핀의 상부를 삽입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핀은 그 상부의 지름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피스톤 핀의 상부가 결합홈의 내면에 지지되되, 상기 결합홈은 홈의 입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지름이 점차 축소되어 홈의 내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핀의 상부는 그 둘레면이 상기 결합홈의 경사면 각도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그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지름을 점차 확장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압 척, 클램핑 볼트, 결합홈, 경사면, 피스톤 핀, 결합부

Description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Hydraulic chuck for fixing cutting tool}
본 고안은 유압 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척 본체에 대한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분리 후 재결합 과정이 용이하게 진행되고, 재결합에 의한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상호 결합 부위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재결합 후 기능 저하 현상을 전혀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분리 후 재결합에 기인하는 생산성 저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에 관한 것이다.
각종 공작 기계의 스핀들에 장착되는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은 장착된 절삭공구의 동심도를 향상하고 절삭 가공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하도록 척 본체의 내경부에 파지용 슬리브가 접속 체결되고 상기 척 본체와 파지용 슬리브 사이에 형성된 유압 챔버에 오일이 충진되는 구성으로 절삭공구 장착 후 상기 유압 챔버의 오일을 가압하여 상기 파지용 슬리브를 압박하여 절삭공구를 파지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6926호에는 본 고안의 출원인이 고안한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이 공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은 파지용 슬리브(3)의 양 단부와 척 본체(4) 사이의 틈새를 브레이징에 의해 실링하는 일정한 직경의 고리 형태의 납재(1)가 구성된다. 상기 납재(1)는 브레이징 과정 이후의 침탄 열처리 과정에서 용융 증발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일정한 융점을 지닌 구리 또는 은납 재질로 구성된다.
고리 형태의 납재(1)를 파지용 슬리브(3)의 외경 양단부에 각각 체결하고, 상기 파지용 슬리브(3)를 척 본체(4)의 내경부에 접속하면 상기 각 고리 형태의 납재(1)가 상기 파지용 슬리브(3)의 양 단부와 척 본체(4) 사이의 틈새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파지용 슬리브(3)가 접속 체결된 척 본체(4)를 가열로나 가열 장치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면 상기 파지용 슬리브(3)의 양 단부와 척 본체(4) 사이에 안착된 납재(1)를 용융하고, 상기 용융된 납재(1)가 모세관 현상을 일으켜서 상기 파지용 슬리브(3)의 양 단부와 척 본체(4) 사이의 미세 틈새로 확산 침투하고, 이어서 상기 척 본체(4)를 냉각하면 상기 미세 틈새로 확산 침투한 납재(1)가 서서히 냉각되어 상기 파지용 슬리브(3)와 척 본체(4) 사이의 유압 챔버(5)의 양단부를 접합 실링하여 상기 유압 챔버(5)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유압 챔버(5)의 양 단부가 브레이징에 의해 완전히 접합 실링되는 유압 척의 척 본체(4)의 유체 통로(7)를 통해 유압 챔버(5)로 오일을 일정량 주입하고 상기 유체 통로(7)와 연결된 가압부(8)에 오일 실과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를 차례로 체결하여 상기 유압 챔버(5)에 오일을 충진하며, 에어 벤트(9)를 조작 하여 상기 오일에 함유된 기포를 제거하고 상기 오일의 팽창량을 조절한 후에 상기 에어 벤트(9)를 실링하며, 파지용 슬리브(3)의 내경에 절삭공구(6)를 접속하고 상기 가압부(8)의 클램핑 볼트를 조여서 상기 유압 챔버(5)의 오일을 가압하여 상기 파지용 슬리브(3)를 압박하여 상기 절삭공구(6)를 파지하며, 상기 절삭공구(6)가 파지된 유압 척을 공작 기계의 스핀들에 장착한다.
유압 척에 파지된 절삭공구(6)를 탈리하려면 상기 가압부(8)의 클램핑 볼트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유체 통로(7)의 유압을 하강시키면 상기 파지용 슬리브(3)의 내경이 원래 상태로 복귀되어 절삭공구(6)를 탈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은 클램핑 볼트의 하부가 막힌 평면 구조이고, 또한 미도시된 피스톤 핀은 동일한 지름의 일자형 구조이다. 따라서, 가압부(8)의 나사산을 형성한 홀에 피스톤과 피스톤 핀을 삽입한 후, 상기 홀의 나선부에 클램핑 볼트를 나사 결합 시, 피스톤 핀이 그 지름보다 큰 상기 홀 내에서 사방으로 쉽게 유동될 수 있는 동시에, 평면 구조인 클램핑 볼트의 하부에 일자형인 피스톤 핀의 상부가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피스톤 핀의 상부와 클램핑 볼트의 하부가 충분한 접촉을 하지 못하는 상태로 상기 홀에 대해 클램핑 볼트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유로, 피스톤 및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를 유압 척의 본체에서 분리한 다음, 다시 유압척의 본체에 피스톤과 피스톤 핀 및 클램핑 볼트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결합 상태의 불량이 초래되면서 유압 척의 성능 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피스톤 및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결합 상태가 불량한 것에 기인하는 유압척의 성능 저하시마다, 피스톤과 피스톤 핀 및 클램핑 볼트를 유압 척의 본체에서 분리한 후 재결합하게 되므로, 그 해당 시간 동안에 작업이 중단되거나 지연되며, 이는 유압 척에 의한 작업성의 저하 및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압 척의 가압부에 대한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분리 후 재결합시,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상호 결합 부위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분리 후 재결합시 기능 저하 현상을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압 척의 가압부에 대한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분리 후 재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되는 동시에 재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척 본체에 대한 분리 및 재결합의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동시에 이에 따라 유압 척의 작업 중단시간이 최소화되어 생산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은 척 본체의 유압챔버에 절삭공구 파지용 슬리브가 결합되고, 상기 척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체통로를 통해 상기 유압챔버의 내면과 절삭공구 파지용 슬리브의 외면 사이에 오일이 주입되며, 상기 유체통로와 연결된 가압부에 실링용 피스톤과 피스톤 핀 및 클램핑 볼트가 차례로 결합되고, 상기 클램핑 볼트를 조여 상기 유압 챔버의 오일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절삭공구 파지용 슬리브를 가압하여 절삭공구를 파지하는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볼트는 상기 피스톤 핀과 접촉되는 하부에 피스톤 핀의 상부를 삽입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핀은 그 상부의 지름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피스톤 핀의 상부가 결합홈의 내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홈의 입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지름이 점차 축소되어 홈의 내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핀의 상부는 그 둘레면이 상기 결합홈의 경사면 각도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그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지름을 점차 확장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결합홈의 경사진 내면의 경사각과 피스톤 핀의 상부의 경사진 둘레면의 경사각은 동일하거나, 1°~ 5°의 범위 내에서 경사각의 차이를 보이는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에 의해서, 유압 척의 가압부에 대한 피 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분리 후 재결합시,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상호 결합 부위가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분리 후 재결합시 기능 저하 현상을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유압 척의 가압부에 대한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분리 후 재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되는 동시에 재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의 척 본체에 대한 분리 및 재결합의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동시에 이에 따라 유압 척의 작업 중단시간이 최소화되어 생산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의 요부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은 본체부(110)와 슬리브(130) 및 환형부(120)를 포함하는 척 본체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10)는 공작기계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상기 슬리브(130)는 본 체부(110)의 반대쪽에 위치해 공구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환형부(120)는 본체부(110)와 슬리브(130)의 사이, 다시 말해 척 본체의 중앙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환형부(120)는 상하 한 쌍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 척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종래의 유압 척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인 클램핑 볼트(141)와 피스톤 핀(142)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척은 슬리브(130)의 양 단부와 본체부(110) 사이의 틈새를 브레이징에 의해 실링하는 일정한 직경의 고리 형태의 납재가 구성된다. 상기 납재는 브레이징 과정 이후의 침탄 열처리 과정에서 용융 증발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일정한 융점을 지닌 구리 또는 은납 재질로 구성된다.
고리 형태의 납재를 슬리브(130)의 외경 양단부에 각각 체결하고, 슬리브(130)를 본체부(110)의 내경부에 접속하면 상기 각 고리 형태의 납재가 슬리브(130)의 양 단부와 본체부(110) 사이의 틈새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130)가 연결된 본체부(110)를 가열로나 가열 장치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면 슬리브(130)의 양 단부와 본체부(110) 사이에 안착된 납재를 용융하고, 상기 용융된 납재(1)가 모세관 현상을 일으켜서 슬리브(130)의 양 단부와 본체부(110) 사이의 미세 틈새로 확산 침투하고, 이어서 본체부(110)를 냉각하면 상기 미세 틈새로 확산 침투한 납재가 서서히 냉각되어 슬리브(130)와 본체부(110) 사이의 유압 챔버의 양 단부를 접합 실링하여 상기 유압 챔버를 밀폐하 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유압 챔버의 양 단부가 브레이징에 의해 완전히 접합 실링되는 유압 척의 본체부(110)의 유체 통로를 통해 유압 챔버로 오일을 일정량 주입하고 상기 유체 통로와 연결된 가압부에 그 홀(132)을 통해 실(seal) 기능의 피스톤(143)과 피스톤 핀(142) 및 클램핑 볼트(141)를 차례로 체결하여 상기 유압 챔버에 오일을 충진하며, 에어 벤트를 조작하여 상기 오일에 함유된 기포를 제거하고 상기 오일의 팽창량을 조절한 후에 상기 에어 벤트를 실링하며, 슬리브(130)의 내경에 절삭공구(143)를 접속하고 상기 가압부의 클램핑 볼트(141)를 조여서 상기 유압 챔버의 오일을 가압하여 슬리브(130)를 압박하여 상기 절삭공구를 파지하며, 상기 절삭공구가 파지된 유압 척을 공작 기계의 스핀들에 장착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볼트(141)는 그 하부에 피스톤 핀(142)의 상부를 삽입하기 위한 결합홈(141a)이 형성된다. 여기서, 클램핑 볼트(141)의 하부라 함은 척 본체에 구비되는 가압부의 홀(132)에 대해서 클램핑 볼트(141)가 결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클램핑 볼트(141)의 홀(132)에 대한 결합 방향의 선단을 하부로 함에 따라, 클램핑 볼트(141)의 하부와 접하는 피스폰 핀(142)의 일단이 피스톤 핀(142)의 상부가 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 핀(142)은 그 상부의 지름이 클램핑 볼트(141)의 결합홈(141a)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피스톤 핀(142)의 상부는 클램핑 볼트(141)의 결합홈(141a)에 삽입되어 그 둘레면을 결합홈(141a)의 내면에 지지시 킨다.
여기서, 클램핑 볼트(141)의 결합홈(141a)은 그 입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지름이 점차 축소됨으로써, 그 내면이 경사면의 형태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피스톤 핀(142)의 상부는 상면으로부터 피스폰 핀(142)의 몸체 방향으로 지름이 점착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써, 피스폰 핀(142)이 상부에 경사진 둘레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피스톤 핀(142)의 경사진 둘레면을 갖는 상부에 대해 결합부(142a)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결합홈(141a)의 경사진 내면의 경사각과 피스톤 핀(142)의 결합부(142a)의 경사각은 동일하거나, 기울기 1°~ 5°의 범위 내에서 경사각의 차이를 보이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클램핑 볼트(141)에 형성되는 결합홈(141a)과 피스톤 핀(142)에 형성되는 결합부(142a)에 의한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핀(142)이 그 결합부(142a)를 클램핑 볼트(141)의 결합홈(141a)에 삽입시키게 되며, 결합홈(141a)의 내면과 동일한 각도를 이루는 피스톤 핀(142)의 결합부(142a)가 그 둘레면을 결합홈(141a)의 내면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결합홈(141a)은 그 입구의 지름이 가장 큰 동시에 내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이고, 반대로 피스톤 핀(142)의 결합부(142a)는 상면의 지름이 가장 작은 동시에 하방향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형태이므로, 척 본체의 가압부의 홀(132)에 피스톤 핀(142)과 클램핑 볼트(141)를 차례로 체결시, 피스톤 핀(142)의 상부가 클램핑 볼트(141)의 하부에 원활하게 삽입되고, 이에 따 라 클램핑 볼트(141)의 하부와 피스톤 핀(142)의 상부가 서로 어긋나는 상태로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다시 말해, 가압부의 홀(132)은 그 내경이 피스톤 핀(142)의 외경보다 크며, 이에 따라 피스톤 핀(142)은 가압부의 홀(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이유로, 기존의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에서, 가압부의 홀에 클램핑 볼트를 나사 결합시에 클램핑 볼트의 하부와 피스톤 핀의 상부가 서로 어긋난 상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유압 척이 그 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동시에, 유압 척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해 피스톤 핀과 클램핑 볼트를 여러 차례 분리하여 재결합하게 되는 상황이 초래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의 경우, 클램핑 볼트(141)에 형성되는 결합홈(141a)의 외경이 가압부의 나사산을 포함한 홀(132)의 내경과 대응되는 동시에, 결합홈(141a)의 입구쪽 지름이 가장 큰 지름을 형성하고, 피스톤 핀(142)에 형성되는 결합부(142a)의 최상단 지름이 가장 작은 지름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가압부의 홀(132)에 피스톤 핀(142)을 삽입한 후, 가압부의 홀(132)에 클램핑 볼트(141)를 나사 결합하게 되면, 가장 작은 지름의 결합부(142a) 최상단이 가장 큰 지름의 결합홈(141a) 입구에 자연스럽게 삽입되는 것을 시작으로, 클램핑 볼트(141)의 하부와 피스톤 핀(142)의 상부가 서로 어긋남이 방지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클램핑 볼트(141)의 결합홈(141a)에 피스톤 핀(142)의 결합부(142a)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척 본체의 홀(132)에 피스톤 핀(142)의 하부를 삽입하는 것을 시작으로 피스톤 핀(142)의 전체를 홀(132)에 삽입하고 이어서 클램핑 볼트(141)를 홀(132)에 나사 결합하는 방식으로 결합 작업이 진행될 수도 있다. 이때, 결합부(142a)의 둘레가 결합홈(141a)의 내면에 지지되는 것이므로, 피스톤 핀(142)은 클램핑 볼트(141)의 하부에 유동 방지되는 상태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피스톤 핀(142)과 클램핑 볼트(141)를 척 본체의 홀(132)에 차례로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피스톤 핀(142)은 척 본체의 홀(132)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클램핑 볼트(141)의 결합홈(141a) 내면에 지지되는 것이므로, 유압 척의 유동에 기인하여 피스톤 핀(142)의 상부와 클램핑 볼트(141)의 하부가 서로 어긋나게 되는 현상이 잘 방지된다.
상기에 따라, 척 본체의 가압부로부터 피스톤 핀(142)과 클램핑 볼트(141)를 분리한 후, 다시 결합하는 과정에서 피스톤 핀(142)의 상부와 클램핑 볼트(141)의 하부가 어긋남이 방지되면서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적인 결합을 하는 동시에 이러한 안정적인 결합 상태가 잘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척 본체에 대한 피스톤 핀(142)과 클램핑 볼트(141)의 분리 및 재결합 후에도 유압 척은 그 기능의 저하 현상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척 본체에 피스톤 핀(142)과 클램핑 볼트(141)를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한 동시에 그 작업 시간이 비교적 짧게 되므로, 척 본체로부터 피스톤 핀(142)과 클램핑 볼트(141)를 분리 및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압 척의 작업 중단이 최소화되어 생산성 향상의 결과를 가져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을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에서 슬리브가 파지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유압 척의 요부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공구 유압 척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부 120 : 환형부
130 : 슬리브 131 : 체결공
132 : 홀 141 : 클램핑 볼트
141a : 결합홈 142 : 피스톤 핀
142a : 결합부 143 : 피스톤

Claims (3)

  1. 척 본체의 유압챔버에 절삭공구 파지용 슬리브가 결합되고, 상기 척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체통로를 통해 상기 유압챔버의 내면과 절삭공구 파지용 슬리브의 외면 사이에 오일이 주입되며, 상기 유체통로와 연결된 가압부에 실링용 피스톤과 피스톤 핀 및 클램핑 볼트가 차례로 결합되고, 상기 클램핑 볼트를 조여 상기 유압 챔버의 오일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절삭공구 파지용 슬리브를 가압하여 절삭공구를 파지하는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볼트는 상기 피스톤 핀과 접촉되는 하부에 피스톤 핀의 상부를 삽입하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핀은 그 상부의 지름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피스톤 핀의 상부가 결합홈의 내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홈의 입구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지름이 점차 축소되어 홈의 내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핀의 상부는 그 둘레면이 상기 결합홈의 경사면 각도와 상응하는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그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지름을 점차 확장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경사진 내면의 경사각과 상기 피스톤 핀의 상부의 경사진 둘레면의 경사각은 동일하거나, 기울기 1°~ 5°의 범위 내에서 경사각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
KR2020080014121U 2008-10-23 2008-10-23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 KR200449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121U KR200449675Y1 (ko) 2008-10-23 2008-10-23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
DE102009023672A DE102009023672A1 (de) 2008-10-23 2009-06-03 Hydraulische Spannvorrichtung für fixierte Schneidewerkze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121U KR200449675Y1 (ko) 2008-10-23 2008-10-23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515U KR20100004515U (ko) 2010-05-03
KR200449675Y1 true KR200449675Y1 (ko) 2010-07-30

Family

ID=4210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121U KR200449675Y1 (ko) 2008-10-23 2008-10-23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9675Y1 (ko)
DE (1) DE102009023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9167B4 (de) * 2019-06-25 2021-12-02 Kennametal Inc. Dichtkolben für eine hydraulische Dehnspannhalterung sowie Dehnspannhalterung
DE102019124523A1 (de) * 2019-09-12 2021-03-18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Spanneinrichtung mit Kühlmittelzufuhr
US20220331885A1 (en) * 2019-09-20 2022-10-20 Big Daishowa Co., Ltd. Hydro chu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0355A (ja) 1999-11-22 2001-06-05 Mitsubishi Materials Corp 油圧フランジ
KR100528699B1 (ko) 2004-04-22 2005-11-15 이석부 기능성 망치
WO2008052623A1 (de) 2006-11-04 2008-05-08 Kennametal Inc. Werkzeughal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6926A (ko) 2003-06-05 2004-12-20 신세기산업 주식회사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의 가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0355A (ja) 1999-11-22 2001-06-05 Mitsubishi Materials Corp 油圧フランジ
KR100528699B1 (ko) 2004-04-22 2005-11-15 이석부 기능성 망치
WO2008052623A1 (de) 2006-11-04 2008-05-08 Kennametal Inc. Werkzeugha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23672A1 (de) 2010-05-20
KR20100004515U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675Y1 (ko) 절삭공구 장착용 유압 척
WO2019064848A1 (ja) 液冷ジャケットの製造方法
US20100140920A1 (en) Pipe joint including a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a joint section of a pipe joint
JP2010535306A (ja) 組立式ピストン
CN101578440A (zh) 筒体壁面的通孔制造方法及筒体结构
US20100224672A1 (en) Braze joining of workpieces
KR101374560B1 (ko) 프로젝션 용접용 전극
US6871774B2 (en) Aluminum tubular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2003520686A (ja) 摩擦溶接により2つの部材を結合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機械部品
KR20150048962A (ko) 음압을 이용한 배관 브레이징 장치
JP4830678B2 (ja) 回転摩擦接合方法および回転摩擦接合装置
EP3252319A1 (en) An assembly method of a piston-cylinder group and a piston-cylinder group thus obtained
US20080276441A1 (en) Tubular assembly and method
JP2008256157A (ja) 流体圧シリンダ
CN114746201A (zh) 膨胀夹紧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931943B1 (ko) 열교환기 검사용 핏팅 클램프
KR100891343B1 (ko) 플라즈마 절단기의 전극 및 이 전극의 제조방법
WO2020058121A1 (en) Method for creating bumps, method for joining components, injector cup and arrangement
JP2006150397A (ja) リング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方法およびリング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部材
WO2005040663A1 (en) Method for joining a pipe and a connector piece for use in the method
JP2010223571A (ja) 空気調和機,空気調和機用冷媒量調節器の管座形成用流動ドリル及び管座加工方法
KR100221807B1 (ko) 유압확장식 척
CN212734556U (zh) 一种具有长度调节功能的钎焊夹具装置
KR200392385Y1 (ko)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체결구조
KR20230051587A (ko) 마찰 교반 용접 도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