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385Y1 -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385Y1
KR200392385Y1 KR20-2005-0013400U KR20050013400U KR200392385Y1 KR 200392385 Y1 KR200392385 Y1 KR 200392385Y1 KR 20050013400 U KR20050013400 U KR 20050013400U KR 200392385 Y1 KR200392385 Y1 KR 200392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fastening
ring
torch cab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익
Original Assignee
전형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형익 filed Critical 전형익
Priority to KR20-2005-0013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87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3Combined coupling means, e.g. gas, electricity, water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선단에 밀폐링이 끼움결합되는 링홈이 형성되는 삽입관부를 갖고 토치케이블의 타단에 삽입고정되는 연결관과, 내측에 연결관의 삽입관부가 삽입되는 삽입장공이 형성되고 삽입장공의 선단부에 삽입장공보다 크고 외향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내측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체결부가 형성되며 외주연 선단부에 외측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관부를 갖는 전원연결부와, 링형상으로 내주연은 삽입장공의 연장선상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은 슬라이딩체결부의 내측경사면 선단측에 대응되게 경사진 외측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절단된 신축절취부를 갖는 결속링과, 외측나사부에 대응되는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삽입장공의 연장선상에 삽입관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체결관부의 선단에 나사결합되어 결속링을 내측으로 밀어 삽입관부를 체결관부에 완강히 체결고정시키는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 체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welding torch cable}
본 고안은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Welding torch cable)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큰 힘이 아닌 적은 힘으로도 와이어 피더의 전원연결부와 토치(torch)에 연결된 토치케이블(Welding torch cable) 선단을 손쉽게 결합하고 또한 분리할 수 있는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이나 비금속의 접합부위를 가열하여 용융상태 또는 반용융 상태에서 접합시키는 것을 용접이라고 하는데, 이와같은 용접방법으로는 융접(Fusion Welding), 압접(Pressure Welding) 및 납접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융접은 모재의 접합부위를 용융상태로 가열하여 접합하거나 용융체를 주입하여 융착시키는 방법이고, 압접은 접합부위를 반용융 상태로 가열하거나 냉간상태에서 기계적인 압력을 가하여 접합시키는 방법이며, 납접은 접합재인 금속보다 낮은 온도에서 녹는 용가재를 접합부위에 유입시켜 용가재의 표면장력에 의해 생기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이중, 모재의 접합부위를 용융상태로 가열하여서 접합하거나 용융체를 주입하여 융착시키는 융접방법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 아크용접인데, 아크용접은 모재와 토치의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여 아크를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접합부위를 용융시켜 접착시킨다. 이와같은 아크용접 방법으로는 금속아크용접, 불활성가스 아크용접, 서브 머어지용접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아크용접장치로는 가스통과, 용접기본체에 의해 공급되는 용접에 필요한 가스 및 전력과, 토치(torch)로 가스와 전력을 이송하는 토치케이블(Welding torch cable)과, 토치의 선단까지 와이어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피더(Wire Feeder; 와이어 송급장치)로 이루어진다.
이때, 토치에서 연결되어진 토치케이블의 타측선단은 와이어 피더의 결합부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바, 용접기용 전원케이블 연결장치에 대해서는 2001년 5월 15일자로 등록공고된 실용등록 제223352호와, 2002년 10월 29일자로 등록공고된 실용등록 제243702호에서 전원연결부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절단홈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상하고정단(또는 컨넥터)을 각각 형성하되, 상하고정단(컨넥터)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볼트홈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하고정단(컨넥터) 사이의 간격을 조임으로써 전원연결부에 삽입된 토치케이블을 완강히 고정하도록 하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용접기용 토치케이블 연결장치들은 와이어 피더의 전원연결부에 토치에 연결된 토치케이블 선단을 삽입한 다음, 두께가 두꺼운 금속재질인 상하고정단(컨넥터)을 관통하는 볼트를 회동시켜서 상하고정단의 틈새를 완강히 조여서 결합시켜야 하나, 그 작업이 벌어진 금속재질의 틈새를 볼트의 회동으로 조이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큰 힘을 필요로 하는 힘든 작업을 수행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와이어 피더의 전원연결부에서 토치케이블의 결합작업과 분리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트의 십자홈이나 일자홈에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볼트를 돌려야 되는 바, 큰 힘으로 돌리면서 볼트의 십자홈이나 일자홈이 망가져 볼트를 자주 교환하여야 했으며 이에 따라 전원연결부에서 토치케이블의 결합작업과 분리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큰 힘이 아닌 적은 힘으로도 와이어 피더의 전원연결부와 토치에 연결된 토치케이블 선단을 손쉽게 결합하고 또한 분리할 수 있어 업무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단에 토치가 결합되어 용접기로부터 전원과 가스 및 와이어를 토치로 공급하는 토치케이블과, 와이어 피더의 외부에 설치되어 용접 작업시 토치케이블 타측단과 연결되고 용접기에서 인가되는 용접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연결부를 구비하는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 체결구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선단에 밀폐링이 끼움결합되는 링홈이 형성되는 삽입관부를 갖고 토치케이블의 타단에 삽입고정되는 연결관과;
내측에 연결관의 삽입관부가 삽입되는 삽입장공이 형성되고 삽입장공의 선단부에 삽입장공보다 크고 외향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내측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체결부가 형성되며 외주연 선단부에 외측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관부를 갖는 전원연결부와;
링형상으로 내주연은 삽입장공의 연장선상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은 슬라이딩체결부의 내측경사면 선단측에 대응되게 경사진 외측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절단된 신축절취부를 갖는 결속링과;
외측나사부에 대응되는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삽입장공의 연장선상에 삽입관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체결관부의 선단에 나사결합되어 결속링을 내측으로 밀어 삽입관부를 체결관부에 완강히 체결고정시키는 체결손잡이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인 체결관부와 연결관의 분리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인 체결관부와 연결관의 분리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인 체결관부와 연결관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 체결구조는, 와이어 피더(도시않음)의 외부에 설치되는 전원열결부(도시않음) 선단에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체결관부(20)와, 체결관부(20)의 선단 내측에 삽입되는 금속재질의 결속링(10)과, 체결관부(20)의 선단 외주연에 나사결합되어 결속링(10)을 체결관부(20) 내측방향으로 미는 체결손잡이(30)와, 일단에 토치(도시않음)가 연결된 토치케이블(도시않음)의 타단에 결합되어 체결관부(20) 내측에 삽입되는 연결관(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40)은 토치케이블의 타단에 삽입고정되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42)과, 선단 외주연에 고무재질의 밀폐링(44)이 끼움결합되는 링홈(43)이 형성되는 삽입관부(41)가 형성된다.
상기 전원연결부의 체결관부(20)는 내측에 연결관(40)의 삽입관부(41)가 삽입되는 삽입장공(22)과, 삽입장공(22)의 선단부에 삽입장공(22)보다 지름이 크고 외향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내측경사면(24a)을 갖는 슬라이딩체결부(24)와, 외주연 선단부에 형성된 외측나사부(26)로 형성된다.
상기 결속링(10)은 금속재질의 링체로, 내주연에는 삽입장공(22)의 연장선상으로 통공형성되고, 외주연은 슬라이딩체결부(24)의 내측경사면(24a)의 선단측에 대응되게 경사진 외측경사면(14)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절단된 신축절취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손잡이(30)는 체결관부(20)의 선단에 나사결합되어 결속링(10)을 내측으로 밀어 삽입관부(41)를 체결관부(20)에 완강히 체결고정시키는 금속과 합성수지 재질의 손잡이로, 체결관부(20)의 외측나사부(26)에 대응되는 내측나사부(34)와, 삽입장공(22)의 연장선상에 삽입관부(41)가 삽입되게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공(32)이 형성된다. 내측나사부(34)는 금속재질로 형성시켜 합성수지재질인 몸체의 내주연에 고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 경도의 합성수지로 체결손잡이(30)를 만들 경우에는 체결손잡이(30)의 내주연에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이어 피더의 외부에 설치된 전원연결부의 체결관부(20)의 슬라이딩체결부(24)에 결속링(10)을 안착시킨 다음, 체결손잡이(30)의 외측나사부(26)에 내측나사부(34)를 나사결합시킨다.
이때, 어느 정도 체결손잡이(30)를 나사결합시킨 후, 일단에 토치(도시않음)가 결합된 토치케이블(도시않음)의 타단에 연결관(40)을 결합시켜 일측단에 삽입관부(41)가 위치되도록 한 다음, 삽입관부(41)를 체결손잡이(30)의 삽입공(32)을 통해 체결관부(20)의 삽입장공(22)으로 완전히 삽입시키고, 체결손잡이(30)를 완강하게 나사결합시키면 된다.
이때, 체결손잡이(30)를 완강히 나사결합시킴에 따라서, 체결손잡이(30)의 내측면과 면접되는 결속링(10)은 체결관부(20) 내측의 슬라이딩체결부(24)에 안착된 상태에서 내측경사면(24a) 상에서 내측으로 서서히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신축절취부(12) 사이의 간격을 좁히게 되며, 결속링(10)의 내주연은 연결관(40)의 삽입관부(41) 외주연을 완강히 조이면서 고정시키게 된다.
반대로, 체결손잡이(30)를 체결관부(20)에서 풀면, 결속링(10)을 슬라이딩체결부(24) 상에서 미는 힘이 사라져 결속링(10)이 자체 탄발력으로 신축절취부(12)의 간격이 넓어지고, 슬라이딩체결부(24)의 내측경사면(24a) 상에서 외측으로 서서히 이동되면서 연결관(40)의 삽입관부(41)를 조이던 힘이 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체결관부(20)에서 연결관(40)의 삽입관부(41)를 손쉽게 빼낼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큰 힘이 아닌 적은 힘으로도 와이어 피더의 전원연결부와 토치에 연결된 토치케이블 선단을 손귑게 결합하고 또한 분리할 수 있어 업무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인 체결관부와 연결관의 분리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인 체결관부와 연결관의 분리된 상태에서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인 체결관부와 연결관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결속링 12 : 신축절취부
14 : 외측경사면 20 : 체결관부
22 : 삽입장공 24 : 슬라이딩체결부
24a : 내측경사면 26 : 외측나사부
30 : 체결손잡이 32 : 삽입공
34 : 내측나사부 40 : 연결관
41 : 삽입관부 42 : 관통공
44 : 밀폐링

Claims (1)

  1. 일측단에 토치가 결합되어 용접기로부터 전원과 가스 및 와이어를 토치로 공급하는 토치케이블과, 와이어 피더의 외부에 설치되어 용접 작업시 토치케이블 타측단과 연결되고 용접기에서 인가되는 용접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연결부를 구비하는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 체결구조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선단에 밀폐링이 끼움결합되는 링홈이 형성되는 삽입관부를 갖고 토치케이블의 타단에 삽입고정되는 연결관과;
    내측에 연결관의 삽입관부가 삽입되는 삽입장공이 형성되고 삽입장공의 선단부에 삽입장공보다 크고 외향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내측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딩체결부가 형성되며 외주연 선단부에 외측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관부를 갖는 전원연결부와;
    링형상으로 내주연은 삽입장공의 연장선상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은 슬라이딩체결부의 내측경사면 선단측에 대응되게 경사진 외측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절단된 신축절취부를 갖는 결속링과;
    외측나사부에 대응되는 내측나사부가 형성되고 삽입장공의 연장선상에 삽입관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체결관부의 선단에 나사결합되어 결속링을 내측으로 밀어 삽입관부를 체결관부에 완강히 체결고정시키는 체결손잡이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 체결구조.
KR20-2005-0013400U 2005-05-12 2005-05-12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체결구조 KR200392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00U KR200392385Y1 (ko) 2005-05-12 2005-05-12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400U KR200392385Y1 (ko) 2005-05-12 2005-05-12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385Y1 true KR200392385Y1 (ko) 2005-08-17

Family

ID=4369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400U KR200392385Y1 (ko) 2005-05-12 2005-05-12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3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19B1 (ko) 2010-08-27 2011-04-26 손보승 아크 용접기의 다기능 어댑터 및 토치 체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19B1 (ko) 2010-08-27 2011-04-26 손보승 아크 용접기의 다기능 어댑터 및 토치 체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6058B2 (en) Dual power pin connector assembly for a MIG welding machine
EP2969352B1 (en) Replaceable machine-mounted male input power connections
MXPA01002474A (es) Punta de contacto de fijacion ahusada y conjunto de cabeza para dispositivo de soldadura.
EP3725171A1 (en) Conductive component of an electronic cigarette
KR200413407Y1 (ko) 용접장치의 케이블 체결구조
US20240162671A1 (en) Reconfigurable welding-type power sockets and power plugs
KR200392385Y1 (ko) 용접장치의 와이어 피더용 전원연결부의 토치케이블체결구조
US4492850A (en) Carbon rod assembly for arc gouging and blasting of metallic article
US6831252B1 (en) Electric soldering iron
KR100729441B1 (ko) 탄산가스 용접토치
KR100921485B1 (ko) 용접봉 홀더
JPH06300177A (ja) パイプクランプ付電気融着継手
PT1413400E (pt) Ferramenta para aperto ou desaperto de conectores de cabos
KR200488027Y1 (ko) 용접용 홀더
KR200469758Y1 (ko) 용접용 케이블 커넥터
KR200239799Y1 (ko) 아르곤 용접기용 토치
JPS5833352Y2 (ja) カンツギテ
KR200370386Y1 (ko) 이산화탄소 전기 용접기의 어댑터
KR200157151Y1 (ko) 냉.온 정수기 및 공압용 공급관의 연결구
CN217442705U (zh) 一种用于固定热电偶的卡箍式接头和热电偶组件
JP3141006U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ガスシールドノズルの水冷装置
JP2001009575A (ja) スポット溶接用電極構造
KR200211382Y1 (ko) 절연볼트
JP2511310Y2 (ja) 溶接用ケ―ブルの端部構造
KR200170659Y1 (ko) 합성수지관 자동 열융착기의 클램프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