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931Y1 -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931Y1
KR200448931Y1 KR2020100001863U KR20100001863U KR200448931Y1 KR 200448931 Y1 KR200448931 Y1 KR 200448931Y1 KR 2020100001863 U KR2020100001863 U KR 2020100001863U KR 20100001863 U KR20100001863 U KR 20100001863U KR 200448931 Y1 KR200448931 Y1 KR 200448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road facility
base plate
protection device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파워
Priority to KR2020100001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9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교통신호제어기나 분전함과 같은 도로 시설물을 차량 및 보행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는, 소정 높이를 갖는 베이스판의 상부에 설치된 도로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로시설물의 측면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측면가로봉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가로봉을 연직하게 잇는 측면세로봉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세로봉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 방향으로 굴곡되게 이어져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브라켓이 구비된 측면보호대와, 상기 도로시설물의 전방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전방가로봉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가로봉을 연직하게 잇는 전방세로봉이 구비되며, 일단부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측면보호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보호대와,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보호대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세로봉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된 힌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볼트에 의해 상기 힌지브라켓이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PROTECTOR OF ROAD FACILITIES}
본 고안은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교통신호제어기나 분전함과 같은 도로 시설물을 차량 및 보행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인접한 곳에는 다양한 도로시설물이 설치되게 되는데, 특히 교차로의 주변에는 지면으로부터 수분 등에 접촉되지 않도록 적정 높이만큼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여 바닥부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교통제어기나 가로등과 같은 시설물에 전압공급 및 제어를 담당하는 분전함 등의 도로시설물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로시설물은 전신주를 없애고 각종 전선을 땅속에 묻는 지중화 사업의 결과물로서, 환경미화 차원에서 주로 도심 위주로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에는 도로 곳곳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이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도로시설물은 내부에 복잡한 제어기와 전선 등이 내설되어 있어 차량충돌로 인한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면으로 양문형 개폐문이 설치된 철재 재질의 케이스를 외측에 구비하여 수시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었다. 하지만, 상기의 철재 케이스와 같은 것들은 외측면에 각종 홍보물이 부착되거나 이물질이 묻게 되어 더럽혀지는 등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차량이나 보행자로부터 접촉된 도로시설물은 표면 곳곳이 찌그러지는 등 심하게 훼손되고 있었다. 한편, 이 도로시설물은 직육면체 형태로 큰 것은 폭과 높이가 대략 1m이상으로 크게 설치된 것이지만 차량의 충돌로부터 파손을 막기에는 그 강도가 턱없이 부족한 것이었다. 이에, 종래에는 도로시설물의 외부를 보호하도록 그 주변을 프레임으로 둘러싸는 형태의 도로시설물 보호 장치들이 개시되고 있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로시설물 보호 장치들은 도로시설물이 차도에 인접하여 설치된 경우 전후면에 구비된 양문형 개폐문을 수시로 개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것이었고, 도로시설물의 개폐문이 개폐될 수 있는 공간만큼 보호 장치가 전후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됨에 따라 보행자의 소통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신호제어기, 분전함과 같은 도로시설물의 사방을 차량이나 보행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도로시설물의 주변으로 최대한 인접하게 설치되어 보행자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고,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도로시설물 전후면에 구비된 개폐문을 수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는, 소정 높이를 갖는 베이스판의 상부에 설치된 도로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로시설물의 측면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측면가로봉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가로봉을 연직하게 잇는 측면세로봉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세로봉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 방향으로 굴곡되게 이어져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브라켓이 구비된 측면보호대와, 상기 도로시설물의 전방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전방가로봉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가로봉을 연직하게 잇는 전방세로봉이 구비되며, 일단부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측면보호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보호대와,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보호대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세로봉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된 힌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로 시설물 방호 장치는,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볼트에 의해 상기 힌지브라켓이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는, 신호제어기, 분전함과 같은 도로시설물의 측방 및 후방을 차량이나 보행자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도로시설물의 주변으로 최대한 인접하게 설치되어 보행자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고, 착탈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도로시설물 전후면에 구비된 개폐문을 수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의 전방보호대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의 전방보호대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는, 측면보호대(10), 전방보호대(20), 힌지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는 교차로의 주변 인도에서 지면으로부터 수분에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 높이만큼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베이스판(1)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1) 상부에서 교통제어기나 가로등과 같은 시설물에 전압공급 및 제어를 담당하기 위해 설치된 분전함 등의 도로시설물(2)을 보호하기 위한 발명인 것으로, 상기 도로시설물(2)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도로시설물(2)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보호대(10)는 상기 도로시설물(2)의 측면 방향을 보호하기 위한 가드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단면이 원통형의 형태로 봉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로시설물(2)의 측면 방향 양측 각각에 구비된다. 상기 측면보호대(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도로시설물(2)을 일정 높이만큼 가리도록 복수개의 측면가로봉(11)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측면가로봉(11)은 그 각각의 양측 말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연직되게 잇는 측면세로봉(12)이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측면가로봉(11)의 후방 부분의 말단부를 잇는 상기 측면세로봉(12)은 하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 방향을 향하여 수직하게 굴곡되어 그 말단에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공을 갖는 측면브라켓(13)이 상기 측면세로봉(12)과 일체로 구비된다. 이에, 상기 측면브라켓(13)은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1a)에 미리 고정된 앵커볼트(13a)에 체결되고 나사볼트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방보호대(20)는 상기 도로시설물(2)의 전방을 보호하기 위한 가드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측면보호대(10)와 동일한 형태로 단면이 원통형인 봉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상기 전방호보대(20)는 상기 도로시설물(2)의 전방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도로시설물(20)을 일정 높이만큼 가리도록 복수개의 전방가로봉(21)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전방가로봉(21)은 그 각각의 양측 말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연직되게 잇는 전방세로봉(22)이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 부분까지 하향 연장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방보호대(20)의 상기 전방가로봉(21) 및 전방세로봉(22)은 상기 측면보호대(10)의 상기 측면가로봉(11) 및 측면세로봉(1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전방보호대(20)의 양측 각각에서 상기 측면보호대(10)와 이웃하게 맞닿는 부분 즉, 상기 전방세로봉(22) 상단 부분과 상기 측면세로봉(12) 상단 부분은 체결수단(2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23)은 상기 측면세로봉(12)과 상기 전방세로봉(22)을 관통하게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기 위한 체결볼트(23a)와, 상기 체결볼트(23a)를 고정시키는 체결너트(23b)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측면보호대(10)와 상기 전방보호대(20)는 상기 체결수단(23)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지지되게 된다.
상기 힌지브라켓(30)은 상기 전방보호대(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힌지브라켓(30)은 판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표면에 관통공을 갖고,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 방향 전방 모서리 부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 방향에 형성된 결합공(1a)에 결합볼트(32)로 체결된다. 상기 힌지브라켓(30)은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 부분까지 하향 연장된 상기 전방세로봉(22)의 하단부와 힌지축(31)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방보호대(2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는 상기 결합볼트(32)를 사용하여 힌지브라켓(30)이 상기 베이스판(1)에 결합된 것이지만, 상기 베이스판(1)은 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방호 장치 시설물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브라켓(13)을 고정할 때 사용된 앵커볼트(13a)를 상기 결합공(1a)에 미리 구비되도록 하고 고정나사로 체결하여 고정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는 상기 도로시설물(2)의 개폐문(2a)를 열고자 할 때에는 상기 측면보호대(10)와 상기 전방보호대(20)를 지지하는 상기 체결수단(23)을 간단히 해체하고, 상기 전방보호대(20)를 전방 방향(F)으로 회동시켜 지면에 안착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문(2a)을 개방하여 도로시설물(2)의 유지 보수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는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결합공(1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a)에 삽입되는 결합볼트(32)에 의해 상기 힌지브라켓(30)이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가 도로(L)에 인접하게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전방보호대(20)가 도로 쪽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되어 설치가 매우 곤란한 상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는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 방향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결합공(1a)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힌지브라켓(30)에는 상기 다수개의 결합공(1a)에 대응하도록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된 관통공이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힌지브라켓(30)이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보호대(10)의 측면가로봉(11)의 길이는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가변되게 제작되어 질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힌지브라켓(30)과 상기 측면브라켓(13)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브라켓(30')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일체형브라켓(30')은 상기 측면세로봉(12)과 전방세로봉(22)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 방향 전방과 후방 부분에 미리 삽입된 상기 앵커볼트(13a)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 방향에는 상기 결합공(1a)의 간격이 전방과 후방 부분에서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상기 일체형브라켓(30')의 표면에는 상기 결합공(1a)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일체형브라켓(30')이 상기 앵커볼트(13a)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 측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굳이 상기 측면보호대(10)의 길이를 다르게 제작하지 않더라도 기존에 설치된 본 발명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L)에 인접한 경우에는 후방 방향(R)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하고, 인도에서 설치 공간이 넉넉하게 확보된 경우에는 전방 방향(F)으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는 상기 베이스판(1)의 측면 방향으로만 연결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도로시설물(2)에 최대한 인접하게 설치되어 도로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고,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종래에 개시된 도로시설물의 보호 장치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현저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베이스판 2 도로시설물
F 전방 방향 R 후방 방향
10 측면보호대 11 측면가로봉
12 측면세로봉 13 측면브라켓
20 전방보호대 21 전방가로봉
22 전방세로봉 23 체결수단
30 힌지브라켓 30' 일체형브라켓
31 힌지축 32 결합볼트

Claims (2)

  1. 소정 높이를 갖는 베이스판의 상부에 설치된 도로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로시설물의 측면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측면가로봉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가로봉을 연직하게 잇는 측면세로봉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세로봉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 방향으로 굴곡되게 이어져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브라켓이 구비된 측면보호대와,
    상기 도로시설물의 전방에 배치되어 복수개의 전방가로봉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가로봉을 연직하게 잇는 전방세로봉이 구비되며, 일단부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측면보호대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보호대와,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방보호대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세로봉의 하단부와 힌지축으로 연결된 힌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의 방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볼트에 의해 상기 힌지브라켓이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시설물의 방호 장치.
KR2020100001863U 2010-02-22 2010-02-22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 KR200448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863U KR200448931Y1 (ko) 2010-02-22 2010-02-22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863U KR200448931Y1 (ko) 2010-02-22 2010-02-22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931Y1 true KR200448931Y1 (ko) 2010-06-08

Family

ID=4423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863U KR200448931Y1 (ko) 2010-02-22 2010-02-22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93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440B1 (ko) 2005-03-16 2005-09-22 이건식 지상기기용 방호대
KR100761064B1 (ko) 2006-09-28 2007-09-21 주식회사 서호기술단 지중배전 지상기기용 보호장치
KR100886958B1 (ko) 2008-09-08 2009-03-25 (주)선진이엔지 송배전 전력 지상기기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440B1 (ko) 2005-03-16 2005-09-22 이건식 지상기기용 방호대
KR100761064B1 (ko) 2006-09-28 2007-09-21 주식회사 서호기술단 지중배전 지상기기용 보호장치
KR100886958B1 (ko) 2008-09-08 2009-03-25 (주)선진이엔지 송배전 전력 지상기기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972B1 (ko) 가로대의 각도 조정이 용이한 울타리
KR100926257B1 (ko) 안전장치가 내장된 기능성 도로표지판
KR101315808B1 (ko) 분전반 내장형 내진 가로등주
US20120124918A1 (en) Parapet protector
CN204741221U (zh) 一种杆塔驱鸟器带电安装工具
KR20190052341A (ko) 로드킬 방지수단이 구비된 가드레일
KR200448931Y1 (ko) 도로시설물 방호 장치
JP6375022B1 (ja) 道路橋地覆拡幅ユニット
JP2010284093A (ja) 鳥害防止装置
JP6971641B2 (ja) 橋梁用恒久足場
KR20130061790A (ko) 차선분리대
KR101259351B1 (ko) 가드레일을 이용한 식물성장 억제 및 동물 진입 방지펜스
KR100724018B1 (ko)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보호휀스
KR102259672B1 (ko) 철망 고정프레임
KR200460914Y1 (ko) 조류퇴치장치
KR100516440B1 (ko) 지상기기용 방호대
KR101407690B1 (ko) 양개형 다기능 가로등주
KR200450792Y1 (ko) 3단 분리형 조립식 지주
KR100914936B1 (ko) 송전선 배전반 고정플레이트
KR101538050B1 (ko) 로드킬 방지장치
KR200408996Y1 (ko) 고전압 개폐기의 외함 조립구조
KR101202428B1 (ko) 중앙분리대의 개폐장치
JP2011019297A (ja) 設置物保護具
KR20140005658U (ko) 지상배전함용 외장함체
KR100847685B1 (ko) 도로용 가이드레일에 야생동물 보호용 펜스의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