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453Y1 -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 - Google Patents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453Y1
KR200448453Y1 KR2020090012446U KR20090012446U KR200448453Y1 KR 200448453 Y1 KR200448453 Y1 KR 200448453Y1 KR 2020090012446 U KR2020090012446 U KR 2020090012446U KR 20090012446 U KR20090012446 U KR 20090012446U KR 200448453 Y1 KR200448453 Y1 KR 200448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xylophone
winding
hole
loss preven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산
Original Assignee
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산 filed Critical 박산
Priority to KR2020090012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4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8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 G10D13/09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with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로폰 케이스 내에 별도의 보관공간을 형성하므로써 실로폰 채의 보관에 따른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실로폰과 실로폰 채를 신축성있는 줄로 연결하므로써 실로폰 채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실로폰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은 격벽(106)에 의해 분리되는 내부공간(102) 및 보관공간(104)을 가지되, 상기 내부공간(102)에 상기 음판(110)이 위치되도록 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음판(110)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실로폰채(120)와; 상기 케이스(100)의 보관공간(104)에 위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실로폰채(120)와 연결되어 상기 실로폰채(12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분실방지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로폰, 실로폰채, 분실방지

Description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Xylophone for preventing loss}
본 고안은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실로폰 케이스 내에 별도의 보관공간을 형성하므로써 실로폰 채의 보관에 따른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실로폰과 실로폰 채를 신축성있는 줄로 연결하므로써 실로폰채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실로폰 케이스 내에 분실방지구를 설치하므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줄이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하여 실로폰채의 사용 후 보관을 편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로폰은 다수개의 목금 및 철금의 음판 양단 저면을 받침부재에 놓여지게 몸체의 받침대 양단에 고정구를 형성하여 음판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하여 음판 타격시 음판을 울림 공명을 향상시켜 양호한 음질과 음색을 낼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어린이들의 음계와 조율을 쉽게 익히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실로폰 몸체에 필요한 음판만을 결합시켜 타격음을 들려주었다.
이와 같은 실로폰은 실로폰채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없어 실로폰의 사용 후 실로폰채의 분실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1309호 "실로폰"과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89-0011428호 "실로폰 케이스"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80-0001388호 "어린이용 실로폰의 악보 협지구"에서는 실로폰채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 내에 음판을 설치하여 케이스 내에 실로폰채를 보관하는 실로폰이 고안되었다.
이와 같이 케이스 내에 실로폰채를 보관하는 실로폰은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음판과 실로폰채를 함께 넣어 이동 및 보관을 하기 때문에 음판과 실로폰채의 부딪힘으로 인해 음판 및 실로폰채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실로폰 케이스 내에 별도의 보관공간을 형성하므로써 실로폰 채의 보관에 따른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실로폰과 실로폰 채를 신축성있는 줄로 연결하므로써 실로폰 채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실로폰 케이스 내에 분실방지구를 설치하므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줄이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하여 실로폰채의 사용 후 보관을 편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정해진 음높이를 지니고, 음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음판(110)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실로폰에 있어서, 격벽(106)에 의해 분리되는 내부공간(102) 및 보관공간(104)을 가지되, 상기 내부공간(102)에 상기 음판(110)이 위치되도록 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음판(110)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실로폰채(120)와; 상기 케이스(100)의 보관공간(104)에 위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실로폰채(120)와 연결되어 상기 실로폰채(12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분실방지구(20)를 포함하 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서 상기 분실방지구(2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공간(32)을 갖고, 상기 내부공간(32)의 중심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중심축(34)을 갖는 하우징(30)과; 저면(41)에 상기 하우징(30)의 중심축(34)이 삽입되는 삽입구(42)가 형성되고, 상면(43)에 걸림턱(44)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구(40)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실로폰채(1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권취구(40)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구(40)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기는 동작을 수행하는 줄(50)과; 상기 하우징(30)과 상기 권취구(40) 사이에 설치되고, 태엽형상으로 이루어져, 끝단부(62)는 상기 하우징(30)에 고정되고, 중심부(64)는 상기 권취구(40)의 삽입구(42)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권취구(4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는 탄성부재(60)와; 상기 하우징(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노출홀(72)이 형성되는 커버(70)와; 상기 커버(70)와 상기 권취구(40) 사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권취구(40)의 걸림턱(44)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권취구(40)의 회전을 조절하게 되는 스톱퍼(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서 상기 스톱퍼(80)는 핀(88)에 의해 상기 커버(70)에 결합되는 지지바(82)를 갖고, 상기 지지바(82)의 일측 끝단에 상기 커버(70)의 노출홀(7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70)의 노출홀(72)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버튼(84)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82)의 타측 끝단에 상기 권취구(40)의 걸림턱(44)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권취구(40)의 걸림턱(44)에 걸리도록 턱간(8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서 상기 권취구(40)의 걸림턱(44)은 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정방향 회전에 대해 경사단면을 갖고, 역방향 회전에 대해 수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정방향 회전 시 상기 스톱퍼(80)의 턱간(86)이 경사단면을 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역방향 회전 시 상기 스톱퍼(80)의 턱간(86)이 수직단면에 걸리어 회전이 멈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 의하면, 실로폰 케이스 내에 별도의 보관공간을 형성하므로써 실로폰 채의 보관에 따른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실로폰과 실로폰 채를 신축성있는 줄로 연결하므로써 실로폰 채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로폰 케이스 내에 분실방지구를 설치하므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줄이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하여 실로폰채의 사용 후 보관을 편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로폰채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실로폰의 구성(음판, 실로폰채 등등)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로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서 분실방지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서 분실방지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 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서 분실방지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10)은 음판(110)과 케이스(100)와 실로폰채(120) 및 분실방지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음판(110)은 정해진 음높이를 지니고, 음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진다.
케이스(100)는 격벽(106)에 의해 분리되는 내부공간(102) 및 보관공간(104)을 가지되, 내부공간(102)에 음판(110)이 위치되도록 하고, 보관공간(104)에는 후술하는 실로폰채(120)가 위치되어 음판(110) 및 외부의 충격에도 파손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케이스(100)를 내부공간(102)과 보관공간(104)으로 분리하여 음판(110)은 내부공간(102)에 위치시켜 설치하고, 실로폰채(120)를 보관공간(104)에 보관하므로써 음판(110)과 실로폰채(120)의 부딪힘이 없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로폰채(12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막대(122)와 막대(122)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음판(110)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구(124) 및 막대(122)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고리(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케이스(100)의 보관공간(104)에 위치되어 사용 시 음판(110)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실로폰채(120)를 케이스(100)의 보관공간(104)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써 음판(110)과 부딪힘이 없어 파손을 실로폰채(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분실방지구(20)는 실로폰채(120)와 연결되어 실로폰채(12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30)과 권취구(40)와 줄(50)과 탄성부재(60)와 커버(70) 및 스톱퍼(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30)은 측면(31)과 바닥면(33)을 갖고,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공간(32)을 가지며, 바닥면(33)의 중심측에 위치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중심축(34)을 갖는다. 그리고, 측면(31)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홀(36)이 형성된다.
권취구(40)는 저면(41)에 하우징(30)의 중심축(34)이 삽입되도록 삽입구(42)가 형성되고, 상면(43)에 걸림턱(44)이 형성되어 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전면(41)과 상면(43) 사이에 후술하는 줄(50)이 권취되는 권취부(46)를 갖는다. 한편, 걸림턱(44)은 삼각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정방향 회전에 대해 경사단면(44a)을 갖고, 역방향 회전에 대해 수직단면(44b)을 갖도록 형성되어 진다.
줄(50)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이 실로폰채(120)의 고리(126)에 연결되고, 타단이 권취구(40)의 권취부(46)에 감기어 권취구(40)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기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탄성부재(60)는 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에서 권취구(40)의 삽입구(42) 외측에 설치되고, 태엽형상으로 이루어져, 끝단부(62)는 하우징(30)의 고정구(36)에 고정되고, 중심부(64)는 권취구(40)의 삽입구(42)에 삽입고정되어 권취구(4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30) 및 권취구(40)에 고정시에 권취구(40)의 회전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고정되어 진다.
커버(70)는 하우징(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면(71)과 저면(73)을 관통하도록 노출홀(72)이 형성되며, 저면(73)에 핀(88)이 결합되도록 지지구(74)가 형성된다.
스톱퍼(80)는 핀(88)에 의해 커버(70)의 지지구(74)에 결합되는 지지바(82) 를 갖고, 지지바(82)의 일측 끝단에 커버(70)의 노출홀(7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노출홀(72)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버튼(84)이 형성되며, 타측 끝단에 권취구(40)의 걸림턱(44)에 걸리도록 턱간(86)이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스톱퍼(80)는 지지바(82)와 결합되는 핀(88)을 중심으로 버튼(84)과 턱간(86)이 상·하로 회동가능하여 권취구(40)의 정회전과 탄성부재(60)의 역회전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10)은 분실방지구(20)를 케이스(100)의 보관공간(104)에 설치하므로써 분실방지구(20)의 줄(50)과 연결되는 실로폰채(1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실로폰채(120)의 사용 후 사용자가 스톱퍼(80)를 조작하여 줄(50)과 연결되는 실로폰채(120)의 권취가 자동으로 되도록 구성되므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실로폰채(120)를 권취할 수 있도록 하고, 줄(50)과 실로폰채(120)가 연결되어 있어 실로폰채(1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실로폰채(120, 미도시)를 잡아 당기면 실로폰채(120)와 줄(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권취구(40)가 정회전 운동을 한다. 이때, 스톱퍼(80)의 턱간(86)은 권취구(40)의 상면(43)에 형성되는 걸림턱(44)의 경사단면(44a)을 넘도록 하여 권취구(40)가 회전하도록 하고, 탄성부재(60)는 권취구(40)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 운동을 하며 압축되어 지고, 사용자에 의해 권취구(40)의 회전이 멈추면 걸림턱(44)과 스톱퍼(80)가 맞닿아 역회전을 못하게 된다.{도 4의 (a)}
그리고, 사용자가 실로폰채(120)를 보관하기 위해 스톱퍼(80)의 버튼(84)을 누르면, 핀(88)을 중심으로 턱간(86)은 상측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압축되어진 탄성부재(60)가 복원하게 되며 권취구(40)는 탄성부재(60)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실로폰채(120)와 연결된 줄(50)을 권취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스톱퍼(80)의 버튼(84)을 놓으면 회전하는 권취구(40)는 스톱퍼(80)에 의해 회전을 멈추게 된다.{도 4의 (b)}
이와 같이 분실방지구(20)는 권취구(40)에 걸림턱(44)을 형성하고, 스톱퍼(80)를 구성하므로써 사용자가 줄(50)을 당겼을 때 권취구(40)는 정회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줄이 풀리도록 하고, 사용자에 의해 권취구(40)의 회전이 멈추면 걸림턱(44)과 스톱퍼(80)가 맞닿아 역회전이 안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 의하면, 실로폰 케이스 내에 별도의 보관공간을 형성하므로써 실로폰 채의 보관에 따른 분실 및 파 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실로폰과 실로폰 채를 신축성있는 줄로 연결하므로써 실로폰 채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로폰 케이스 내에 분실방지구를 설치하므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줄이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하여 실로폰채의 사용 후 보관을 편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로폰채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로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서 분실방지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서 분실방지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에서 분실방지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실로폰 20 : 분실방지구
30 : 하우징 32 : 내부공간
34 : 중심축 40 : 권취구
41 : 저면 42 : 삽입구
43 : 상면 44 : 걸림턱
50 : 줄 60 : 탄성부재
62 : 끝단부 64 : 중심부
70 : 커버 72 : 노출홀
80 : 커버 82 : 지지바
84 : 버튼 86 : 턱간
88 : 핀

Claims (4)

  1. 정해진 음높이를 지니고, 음높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음판(110)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실로폰에 있어서,
    격벽(106)에 의해 분리되는 내부공간(102) 및 보관공간(104)을 가지되, 상기 내부공간(102)에 상기 음판(110)이 위치되도록 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음판(110)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실로폰채(120)와;
    상기 케이스(100)의 보관공간(104)에 위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실로폰채(120)와 연결되어 상기 실로폰채(12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분실방지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실방지구(2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공간(32)을 갖고, 상기 내부공간(32)의 중심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중심축(34)을 갖는 하우징(30)과;
    저면(41)에 상기 하우징(30)의 중심축(34)이 삽입되는 삽입구(42)가 형성되고, 상면(43)에 걸림턱(44)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구(40)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실로폰채(1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권취구(40)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구(40)의 회전에 따라 풀리거나 감기는 동작을 수행하는 줄(50)과;
    상기 하우징(30)과 상기 권취구(40) 사이에 설치되고, 태엽형상으로 이루어져, 끝단부(62)는 상기 하우징(30)에 고정되고, 중심부(64)는 상기 권취구(40)의 삽입구(42)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권취구(4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는 탄성부재(60)와;
    상기 하우징(3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노출홀(72)이 형성되는 커버(70)와;
    상기 커버(70)와 상기 권취구(40) 사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권취구(40)의 걸림턱(44)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권취구(40)의 회전을 조절하게 되는 스톱퍼(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80)는 핀(88)에 의해 상기 커버(70)에 결합되는 지지바(82)를 갖고, 상기 지지바(82)의 일측 끝단에 상기 커버(70)의 노출홀(7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커버(70)의 노출홀(72)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버튼(84)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82)의 타측 끝단에 상기 권취구(40)의 걸림턱(44)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권취구(40)의 걸림턱(44)에 걸리도록 턱간(8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구(40)의 걸림턱(44)은 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정방향 회전에 대해 경사단면을 갖고, 역방향 회전에 대해 수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정방향 회전 시 상기 스톱퍼(80)의 턱간(86)이 경사단면을 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역방향 회전 시 상기 스톱퍼(80)의 턱간(86)이 수직단면에 걸리어 회전이 멈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
  4. 삭제
KR2020090012446U 2009-09-22 2009-09-22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 KR200448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446U KR200448453Y1 (ko) 2009-09-22 2009-09-22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446U KR200448453Y1 (ko) 2009-09-22 2009-09-22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453Y1 true KR200448453Y1 (ko) 2010-04-16

Family

ID=4423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446U KR200448453Y1 (ko) 2009-09-22 2009-09-22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4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243B1 (ko) * 2018-01-19 2019-03-22 정선화 실로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011Y1 (ko) * 1987-11-24 1991-02-20 조정길 실로폰 케이스
KR200246111Y1 (ko) * 2001-05-21 2001-10-15 이성제 이탈 방지 리듬스틱
JP2005017640A (ja) 2003-06-25 2005-01-20 Yamaha Corp 発音積み木玩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011Y1 (ko) * 1987-11-24 1991-02-20 조정길 실로폰 케이스
KR200246111Y1 (ko) * 2001-05-21 2001-10-15 이성제 이탈 방지 리듬스틱
JP2005017640A (ja) 2003-06-25 2005-01-20 Yamaha Corp 発音積み木玩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243B1 (ko) * 2018-01-19 2019-03-22 정선화 실로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592B2 (en) Retained impinger handgrip assembly
KR100986674B1 (ko) 탄성스트링 와인딩 및 언와인딩 장치
US7244200B2 (en) Lacrosse stick pocket creator
KR200448453Y1 (ko) 분실방지구를 구비한 실로폰
KR100650513B1 (ko) 현악기용 줄감개
KR20070012584A (ko) 줄 권취장치
US20150262560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placement of musical instrument strings
US20150152681A1 (en) Curtain cord winder structure
KR100964534B1 (ko) 파지부재가 마련된 골프티
US20120091246A1 (en) Cord winder seat structure
JPS5843025Y2 (ja) ピアノの巻線弦捩り器
KR101902339B1 (ko) 타악기
KR200420804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KR200420542Y1 (ko) 이어폰 코드의 길이조절장치
JP3105523U (ja) 巻き取り具
KR200390184Y1 (ko) 통발
JP2005198710A (ja) 卓球ネット支持具
US5562260A (en) Line extension and retraction mechanism
KR200332219Y1 (ko) 휴대용 목걸이줄 권취장치
KR100539370B1 (ko) 개량 해금
JP2014018625A (ja) 物干し装置
JP2001187674A (ja) 巻き取り器
KR200261716Y1 (ko) 줄넘기
JP3103502U (ja) ゴルフバッグ
KR101013536B1 (ko) 줄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