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247Y1 - 흡음체를 구비한 취출구 - Google Patents

흡음체를 구비한 취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247Y1
KR200448247Y1 KR2020090013000U KR20090013000U KR200448247Y1 KR 200448247 Y1 KR200448247 Y1 KR 200448247Y1 KR 2020090013000 U KR2020090013000 U KR 2020090013000U KR 20090013000 U KR20090013000 U KR 20090013000U KR 200448247 Y1 KR200448247 Y1 KR 200448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hole
sound
outle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형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롬
Priority to KR2020090013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2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공기 마찰음을 줄일 수 있는 취출구에 관한 것으로써, 천장에 고정되고 덕트와 연결되어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취출구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의 관통공에 흡음소재가 안착되는 흡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부는 소리를 흡음하는 흡음소재로 구성되고, 기둥 형상이며 몸체를 수직 관통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상/하단을 관통하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안착되는 흡음체와 상기 흡음체의 상부를 덮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구에 수용 결합되는 결합구로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구가 제공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의한 생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취출구, 덕트, 흡음체, 마개, 조절

Description

흡음체를 구비한 취출구{DIFFUSER HAVING ACOUSTIC ABSORPTION BODY}
본 고안은 취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공기 마찰음을 줄일 수 있는 취출구에 관한 것이다.
요즘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이나 빌딩, 백화점, 대형마트와 같은 대형 건물 등에는 냉, 난방 시스템으로 공기 조화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중앙 집중방식으로 널리 사용되어 진다.
중앙 집중방식이란 건물의 일정장소에 하나 이상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조화기에 연결된 덕트 라인을 통해 격벽으로 각각 공간이 구획된 실내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방식이다. 상기의 토출된 공기는 건물 천장에 설치되는 다수의 취출구(Diffuser)를 통해 실내로 들어온다.
종래에 사용되어 온 취출구들은 공기조화기에서 보내온 냉방 또는 난방된 공기를 취출구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데 덕트를 통해 나오는 공기에 의해 덕트 내벽 및 취출구를 통과하면서 생기는 공기 마찰 소리는 생활 소음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흡음체를 구비한 취출구를 제공함으로써 취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출구는 천장에 고정되고 덕트와 연결되어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취출구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의 관통공에 흡음소재가 안착되는 흡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부는 소리를 흡음하는 흡음소재로 구성되고, 기둥 형상이며 몸체를 수직 관통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상/하단을 관통하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안착되는 흡음체와 상기 흡음체의 상부를 덮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구에 수용 결합되는 결합구로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취출구는, 토출 공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흡음체를 구비함으로써 생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출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출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출구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출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출구(100)는 천장(5)에 고정되고 덕트(1)와 연결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몸체부(10)와 몸체부(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커버부(20)와 몸체부(1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일부 또는 전부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부(30)와 커버부(20)의 상부에 흡음 소재가 안착되는 흡음부(5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의 몸체부(10)는 속이 비고, 상/하부면이 개방된 제1 관통공(11a)과 내측의 일측에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복수의 결착홈(11b)이 구비된 본체(11)와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고 관통되어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13a)을 구비하고, 본체(11)의 일단에서 외부로 지름 방향의 방사상으로 일정 면적을 가지고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된 날개판(13)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일반 철판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및 일반 철판, 스테인레스로 제조될 경우 부식 방지 페인트로 코팅할 수 있다. 날개판(13)은 평평하며 천장(5)의 노출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날개판(13)에는 일정 간격으로 관통되어진 체결공(13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날개판(13)은 체결공(13a)을 통해 나사, 피스와 같은 체결구로 천장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의 내측의 일측에 내측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복수의 결착홈(11b)은 후술되는 삽입체(21)의 결착돌기(21b)와 결합될 수 있다. 결착홈(11b)은 결착돌기(21b)의 형상과 개수에 맞게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의 커버부(20)는 속이 비고 상/하부면이 개방된 제2 관통공(21a)과 복수의 결착홈(11b) 각각에 대응되어 결합하도록 일단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결착돌기(21b)와 내부에 조절공(22a)이 관통되어 형성된 조절구(22)와 일단은 조절구(22)와 결합하고 타단은 내측의 일측에 결합하여 조절구(22)를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25)가 구비된 삽입체(21)와 삽입체(21)의 타단에서 외부로 지름 방향의 방사상으로 날개판(13)을 하부에서 수용 결합하도록 삽입체(21)와 일체로 형성된 덮개판(23)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체(21)의 상단의 외측 둘레를 따라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결착돌기(21b)들은 결착홈(11b)들 각각에 대응되어 결합하도록 결착홈(11b)들 위치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착홈(11b)의 형성 위치는 커버부(20)의 덮개판(23)이 몸체부(10)의 날개판(13)과 결합하는 높이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착돌기(21b)의 양 측에는 수직하게 아래로 절개된 절개홈(21c)은 삽입체(21)가 본체(11)의 내부에 삽입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덮개판(23)은 아래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하며, 삽입체(21)가 위로 가게 하여 몸체부(10)의 날개판(13) 쪽의 제1 관통공(11a)을 통해 내부로 삽입될 시 몸체 부(10)의 날개판(13)을 덮어 감쌀 수 있다. 이로써 날개판(13)의 체결공(13a) 및 체결공(13a)과 결합된 체결구등이 덮개판(23)에 덮혀 가려질 수 있다. 커버부(20)와 몸체부(10)를 분리할 시 커버부(20)의 덮개판(23)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11)의 결착홈(11b)을 벗어난 후 아래로 당기면 분리가 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삽입체(21)는 내부 즉 제2 관통공(21a)에 조절공(22a)이 관통되어 형성된 조절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구(22)는 내부를 관통한 조절공(22a)이 형성되며 조절공(22a)은 후술되는 마개와 연결된 조절봉(33)과 나사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구(22)는 일단이 조절구(22)와 결합하고 타단은 내측의 일측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25)는 평평하게 수평을 이루며 판상, 봉 등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서로 이웃하는 리브(25) 사이에 리브(25)와 연결되는 받침편(27)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받침편(27)들은 서로 이웃하는 리브(25)들 사이에 원의 호의 형상으로 리브(25)들과 결합되어 흡음체(51)의 하부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받침편(27)은 리브(25)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며, 판상, 원형봉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받침편(27)들은 리브(25)들의 수평과 일치하도록 평평하게 맞추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조절구(22)와 조절구(22)를 지지하는 리브(25)들은 커버부(20)의 삽입체(21)에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몸체부(10)의 본체(1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의 개폐부(30)는 삽입체(21)의 제2 관통공(11a)의 하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제2 관통공(21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일면은 삽입체(21)의 내부로 볼록하고 타면은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마개(31)와 마개(31)의 타면에 수직하게 형성된 조절봉(33)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30)의 마개(31)는 삽입체(21)의 하부에서 제2 관통공(21a)을 개폐할 수 있으며 제2 관통공(21a)을 막을 수 있도록 외경의 크기는 제2 관통공(21a)의 크기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마개(31)의 일면의 중심에는 수직하게 연결 결합된 조절봉(3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마개(31)의 조절봉(33)을 조절구(22)의 조절공(22a)에 나사 결합시킨 후 마개(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봉(33)이 수직 상하 이동을 하여 본체(11)의 제1 관통공(11a)을 개폐하며, 나사 결합의 풀림의 정도에 따라 제2 관통공(21a)의 열림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열림의 정도가 점차 커짐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조절봉(33)은 조절공(22a)에 암나사가 형성될 경우 외측 둘레에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의 흡음부(50)는 소리를 흡음하는 흡음소재로 구성되고, 기둥 형상이며 몸체를 수직 관통한 제3 관통공(51a)이 형성되며, 리브(25) 상단에 제1 및 제2 관통공(11a,21a)의 상/하단을 관통하는 틈새(60)가 형성되도록 안착되는 흡음체(51)와 흡음체(51)의 상부를 덮는 고정판(53a)과 고정판(53a)과 일체로 연결되며 제3 관통공(51a)을 관통하여 조절구(22) 에 수용 결합되는 결합구(53b)로 구성되는 고정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음부(50)의 흡음체(51)는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기 전 몸체부(10) 및 커버부(20)를 통과시 내측면에 부딪쳐서 발생하는 마찰 소리를 흡음할 수 있다.
그리고 흡음체(51)는 수평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단면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기둥일 수도 있다. 흡음소재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폴리에스테르, 솜, 유리솜, 코르크(cork), 스펀지(Sponge), 목재, 천연 또는 인공 섬유 등을 이용하며 기존에 사용되는 재료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흡음소재는 난연 또는 방염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과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관통공(11a) 및 제2 관통공(21a)을 통해 공기가 통하도록, 흡읍체(51)와 본체(11) 사이에 제1 및 제2 관통공(11a,21a)의 상/하단을 관통하는 틈새(6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흡음체(51)의 외경이 본체(11)의 내경보다 작게 함으로서 틈새(60)가 형성되어 틈새(60)로 공기가 통할 수 있다.
흡음체(51)는 몸체를 길이방향으로 수직 관통된 제3 관통공(51a)이 형성되며 제3 관통공(51a)의 크기를 조절구(22)와 후술되는 고정부(53)의 결합구(53b)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제3 관통공(51a)으로 조절구(22)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흡음체(51)의 길이는 본체(11)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흡음체(51)는 삽입체(21)의 리브(25)들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안착되며 고정부(5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53)는 흡음체(51)의 상부를 덮는 고정판(53a)과 상기 고정판(53a)의 하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3 관통공(51a)을 관통 할 수 있는 결합구(5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고정판(53a)은 위로 볼록하며 속이 빈 반구 형상을 가지며, 흡음체(51)의 상단을 고정할 수 있다. 결합구(53b)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이고 제3 관통공(51a)을 관통하도록 외측둘레는 제3 관통공(51a)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53a)과 결합구(53b)의 형상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수정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판은 원반 또는 사각판, 육각판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결합구(53b) 또한 조절구(22)의 외측 둘레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는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결합구(53b) 하단의 내측면에 조절구(22)와 결합하는 결합홈(53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53b)의 하단의 내측면에 형성된 ㄱ자 형상의 결합홈(53c)이 조절구(22)의 외측둘레를 수용 결합함으로써 흡음체(51)를 고정할 수 있다.
결합구(53b)와 조절구(22)의 결합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 외에 결합구(53b)의 내측면과 조절구(22)의 외측면에 각각 암/수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시키는 등 여러 다양한 결합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의 흡음체(51)의 단면의 둘레에는 길이방향으로 홈을 파서 요입부(51b)와 돌출부(51c)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입부(51b)와 돌출부(51c)에 의해 형성된 흡음체(51)의 둘레면의 형상은 파도 또는 기어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흡음체(51)는 둘레면에 오목 및 볼록한 곡면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파도의 형상에 의해 더욱 흡음에 효과적이며 소리 차단효과가 더욱 크다. 즉 취출구(100)에 유입되어 마찰 소리를 일으키는 공기는 흡음체(51)의 요입부(51b)와 돌출부(51c)에 부딪쳐서 일부 흡수되고 일부 반사되며 그 반사된 공기는 서로를 상쇄시킴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흡음체(51)의 둘레면에 형성된 형상이 파도의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의 기어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흡음체(51)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본체(11)의 내측면에는 내측면 둘레를 따라 흡음체(51)와 접촉되지 않게 흡음판(55)이 형성되며, 흡음체(51)와 흡음판(55)은 같은 흡음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취출구(100)는 본체(11)의 내측면에 흡음판(55)을 내측면 둘레를 따라 설치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공기 소리를 차단할 수 있다. 즉 본체(11)의 내측면에 부딪치는 공기에 의한 마찰 소리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흡음판(55)과 흡음체(51) 사이에도 틈새(60)가 형성되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흡음판(55)과 흡음체(55)는 접촉되지 않아야 함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출구(100)의 설치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천장(5) 속에 본체(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11)의 외경에 해당하는 크기로 천장(5)을 타공한 후 천장(5) 속에 있는 덕 트(1)의 메인관(1a)에서 분기된 지관(1b)을 후렉시블과 같은 주름관(3)을 이용하여 양단 중 일단은 지관(1b)에 타단은 몸체부(10)의 본체(11)의 상단 입구에 외접하여 연결된 후 몸체부(10)의 날개판(13)을 천정에 부착한 후 체결공(13a)에 볼트, 나사 등으로 체결한다. 그 후 커버부(20)의 덮개판(23)이 아래로 가게 하여 삽입체(21)를 본체(11)의 제1 관통공(11a)을 통해 결착돌기(21b)가 결착홈(11b)에 결착되도록 삽입하고 결착돌기(21b)가 결착홈(11b)에 결착됨과 동시에 커버부(20)의 덮개판(23)은 날개판(13)을 덮어 감싸게 된다. 그 후 조절구(22)의 조절공(22a)에 나사 결합된 개폐부(30)의 마개(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본체(11)의 하단을 개폐하며, 개폐의 정도를 조절봉(33)을 통해 조절함으로써 공기의 토출량을 많게 또는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0)의 내부에 흡음체(51)와 흡음판(55)을 고정 및 부착시킴으로써 공기의 마찰 소리에 의한 생활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출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출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출구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취출구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부 11:본체
13:날개판 15:제1 관통공
20:커버부 21:삽입체
22:조절구 23:덮개판
25:리브 27:받침편
30:개폐부 31:마개
33:조절봉 50:흡음부
51:흡음체 53:고정부
55:흡음판 100:취출구

Claims (6)

  1. 천장에 고정되고 덕트와 연결되어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관통공의 하단을 개폐하는 마개와 상기 마개와 결합하고 상기 마개를 상하 이동시키는 조절구를 구비하는 취출구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의 관통공에 흡음소재가 안착되는 흡음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부는,
    소리를 흡음하는 흡음소재로 구성되고, 기둥 형상이며 몸체를 수직 관통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취출구의 관통공의 상/하단을 관통하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안착되는 흡음체;
    상기 흡음체의 상부를 덮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흡음체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조절구에 수용 결합되는 결합구로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체의 단면의 둘레에는 길이방향으로 홈을 파서 요입부와 돌출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와 상기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흡음체의 둘레면의 형상은 파도 또는 기어치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측면 둘레를 따라 상기 흡음체와 접촉되지 않게 흡음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체와 상기 흡음판은 동일한 흡음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소재는 난연 또는 방염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구.
KR2020090013000U 2009-10-06 2009-10-06 흡음체를 구비한 취출구 KR200448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000U KR200448247Y1 (ko) 2009-10-06 2009-10-06 흡음체를 구비한 취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000U KR200448247Y1 (ko) 2009-10-06 2009-10-06 흡음체를 구비한 취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247Y1 true KR200448247Y1 (ko) 2010-03-29

Family

ID=4421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000U KR200448247Y1 (ko) 2009-10-06 2009-10-06 흡음체를 구비한 취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24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2831A1 (en) * 2014-02-11 2015-08-20 Lindab Ab Ventilation device with reduced sound generation
KR101554108B1 (ko) * 2014-08-20 2015-09-18 강태옥 방음부스
CN107202414A (zh) * 2017-06-07 2017-09-26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声学混响室专用通风口结构
EP2581678A3 (en) * 2011-10-11 2018-03-07 Dir-Air Oy Supply air val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45U (ja) * 1993-11-18 1995-06-1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天井吹出口ユニット
JPH08226696A (ja) * 1995-02-21 1996-09-03 Mitsubishi Heavy Ind Ltd 通風装置の給排気口オリフィス
KR20060008277A (ko) * 2003-04-23 2006-01-26 도쇼 엔지니아링구 가부시키가이샤 소음 카트리지가 부착된 환기 장치
KR200442850Y1 (ko) 2008-06-03 2008-12-17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축물 실내 환기장치용 실내측 디퓨져의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45U (ja) * 1993-11-18 1995-06-1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天井吹出口ユニット
JPH08226696A (ja) * 1995-02-21 1996-09-03 Mitsubishi Heavy Ind Ltd 通風装置の給排気口オリフィス
KR20060008277A (ko) * 2003-04-23 2006-01-26 도쇼 엔지니아링구 가부시키가이샤 소음 카트리지가 부착된 환기 장치
KR200442850Y1 (ko) 2008-06-03 2008-12-17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축물 실내 환기장치용 실내측 디퓨져의 필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81678A3 (en) * 2011-10-11 2018-03-07 Dir-Air Oy Supply air valve
WO2015122831A1 (en) * 2014-02-11 2015-08-20 Lindab Ab Ventilation device with reduced sound generation
WO2015122832A1 (en) * 2014-02-11 2015-08-20 Lindab Ab Ventilation device with varying air velocity
US10443887B2 (en) 2014-02-11 2019-10-15 Lindab Ab Ventilation device with varying air velocity
KR101554108B1 (ko) * 2014-08-20 2015-09-18 강태옥 방음부스
CN107202414A (zh) * 2017-06-07 2017-09-26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声学混响室专用通风口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00147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 acoustic locking ceil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9745744B2 (en) Acoustic systems for lighting in suspended ceilings
KR200448247Y1 (ko) 흡음체를 구비한 취출구
US5928078A (en) Floor register mounting frame
US200800148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register boxes, improving penetration sealing, improving airflow and reducing the labor costs to install ceiling registers
US10508445B2 (en) Housing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ceiling or wall-mounted electrical appliances
US1074591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bridge-free insulation assembly
US11609003B1 (en) Clothes dryer exhaust vent for building exterior wall
US5564975A (en) Air flow controller for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vents
KR200414327Y1 (ko) 디퓨저
JP4790529B2 (ja) 窓用換気扇装置
JP2010164241A (ja) 住宅換気システム
KR200459987Y1 (ko) 공기 조화 장치
US20100154453A1 (en) Line set box for protecting refrigerant line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464816B1 (en) Attic ventilation system
JP5693434B2 (ja) 換気扇
US7125332B2 (en) Ceiling radiation damper and mounting method
KR100615856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의 환기시설물
KR101176887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지지구
JP3815377B2 (ja) 機器落下防止金具
KR200450750Y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덕트프레임 고정구조
KR100867305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RU163316U1 (ru) Наружный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колпак
RU2715351C1 (ru) Звукоизолированный воздуховод
DK201900933A1 (en) Acoustic panel system, fastening element, and method for arranging an acoustic panel system on a wall or ceiling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