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139Y1 -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139Y1
KR200448139Y1 KR2020080008234U KR20080008234U KR200448139Y1 KR 200448139 Y1 KR200448139 Y1 KR 200448139Y1 KR 2020080008234 U KR2020080008234 U KR 2020080008234U KR 20080008234 U KR20080008234 U KR 20080008234U KR 200448139 Y1 KR200448139 Y1 KR 200448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ed
door
acupressure
manual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145U (ko
Inventor
윤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80008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139Y1/ko
Priority to PCT/KR2009/003265 priority patent/WO2009154407A2/ko
Publication of KR200900131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1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68P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노브의 잠금 및 해제시 수동노브의 잠금 상태와 해정 상태의 위치가 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한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노브; 상기 노브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평탄면을 갖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기어연결되어 상기 노브의 회동에 의해 데드 볼트의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는 데드볼트 구동부; 및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평탄면이 밀착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락, 수동 노브, 탄성 부재, 샤프트

Description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MANUAL KNOB ASSEMBLY FOR DOOR-LOCK}
본 고안은 수동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노브의 잠금 및 해제시 수동노브의 잠금 상태와 해정 상태의 위치가 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한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또는 상점 등에서는 방범과 보안을 위하여 도어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범죄자들의 수법이 고도화되어 도어락의 안전성이 위협을 받게 됨에 따라 편리성과 보안성이 뛰어난 디지털 도어락으로 점차 교체되는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문의 안쪽과 바깥쪽에 설치된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번째 구성은 사용자가 밖에서 숫자 버튼을 통한 비밀 번호 입력 방식이나 전자키 또는 출입 카드 등을 통하여 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문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외측 조작부이다. 다음으로 두번째 구성은 문의 안쪽에서 열림/잠김 버튼이나 수동 노브를 통하여 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문의 안쪽에 설치되는 내측 조작부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일 구성인 내측 조작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 다. 도 1과 같이 내측 조작부(100)는 건전지 덮개(110), 열림/잠김 버튼(120), 강제 잠금 버튼(130), 수동 노브(150) 및 내측 레버(190; 도 2) 등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수동 노브(150)의 상부에 덮어 씌워지는 보호용 커버(140)를 추가로 포함한다.
열림/잠김 버튼(120)은 내부에서 문을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열림/잠김 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 모터가 작동하여 내부 기어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내부 기어에 연결된 데드 볼트(160)는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미도시)에 인입되거나 인출됨으로써 문의 잠금 및 해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동으로 문이 열린 상태에서 열림/잠김 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문이 잠기며, 문이 잠긴 상태에서 열림/잠김 버튼(120)을 누르면 문이 열리게 된다.
강제 잠금 버튼(130)은 외부에서 외측 조작부의 숫자 버튼을 통한 비밀 번호 입력, 전자키나 출입 카드를 통한 조작 시에도 문이 열리지 않도록 작동한다. 또한 내부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도 해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수동 노브(150)는 사용자가 열림/잠김 버튼(120)을 통한 문의 개폐가 아닌 수동으로 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수동 노브(150)는 내부의 건전지가 모두 소모되어 자동 개폐가 불가능한 경우나, 외부에서 전자키나 출입 카드를 이용하여 외부 강제 잠금 기능을 설정하여 내부에서의 버튼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에 문을 열기 위하여 사용되는 레버이다.
보호용 커버(140)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을 이용하여 수동 레버와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져 수동 레버(150) 위에 씌워져, 침입 장비를 이용한 무단 침입을 방지하거나, 사용자의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표시부가 인쇄된다.
한편,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에서 수동 노브(150)는 종종 잠금 및 해정 위치 사이의 부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되는 오작동이 발생 되었다. 도 2는 도 1의 수동 노브가 오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2와 같이, 수동 노브 조립체는 설치시 각 부품의 공차나 장기간 사용에 따른 마모에 의한 공차에 의해 수동 노브(150)의 잠금 및 해정 위치가 불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도어락의 수동 노브(150)가 정확한 잠금 및 해제위치를 이루지 못하고 불안정한 위치에 놓임으로써 정확한 잠금 및 해정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수동 노브(150)를 회동시켜 잠금 상태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은 오작동이 빈번히 발생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있어 제품의 작동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문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수동 노브가 해정 상태를 이루기 위한 정위치(θa)를 벗어난 위치(θb)에 놓이게 되면 개방 상태를 올바르게 이루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오작동이 사용중에 빈번히 발생 됨으로써 제품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되고, 이는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불신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필요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수동노브의 잠금 및 해제시 수동노브의 잠금 상태와 해정 상태의 위치가 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한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어락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노브; 상기 노브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평탄면을 갖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기어연결되어 상기 노브의 회동에 의해 데드 볼트의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는 데드볼트 구동부; 및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평탄면이 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의 평탄면에 밀착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탄면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에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탄성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탄면은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탄성 부재의 탄성편이 샤프트의 평탄면에 밀착됨으로써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정시 수동 노브가 정위치를 벗어난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장치의 작동 신뢰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수동 노브 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수동 노브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수동 노브 조립체의 탄성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노브 조립체는 본체(10), 노브(20), 샤프트(30), 데드볼트 구동부(40) 및 탄성 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본체(10)는 도어 프레임(60)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통상의 도어락에 설치되는 내측 본체이다. 또한 본체(10)의 외측면에는 노브(2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노브(20)의 하부면에는 샤프트(30)가 고정된다. 샤프트(30)는 본체(10)를 관통하여 도어 프레임(60) 내부에 설치되는 모티스 본체(70)의 내부까지 연장된다. 이때 샤프트(30)는 절삭가공이나 주조에 의한 단일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샤프트(30)의 말단(즉, 모티스 본체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데드볼트(80)를 구동시키는 데드볼트 구동부(4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데드볼트(80)는 샤프트(30)에 형성된 데드볼트 구동부(40)와 치합(기어 연결)을 이룬다.
이에 따라 샤프트(30)가 회동 되면 기어연결된 데드볼트 구동부(4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게 된다. 즉, 데드볼트 구동부(40)는 데드볼트(80)의 상면에 래크가 형성되고, 샤프트(30)의 하부에는 피니언이 형성되어 상호 기어연결됨으로써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데드볼트(80)가 인입 및 인출되는 작동을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일뿐 래크와 피니언 구성이 아닌 다른 종래의 다양한 구동방식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샤프트(30)의 말단 외주면에는 평탄면(31)이 형성된다. 여기서 평탄면(31)은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도 5와 같이 샤프트(30)의 외주면에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평탄면(31,32)은 탄성 부재(50)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일정각도에서 샤프트(30)의 회동을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부재(50)는 모티스 본체(70)에 고정된 브라켓(55)과 브라켓(55)에 연장되어 샤프트(30)가 회동하면 평탄면(31,32)에 각각 밀착되는 탄성편(51,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51,52)은 도 5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탄성편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노브(20)를 파지하고 회동시키면 노브(20)에 연결된 샤프트(30)가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30)의 말단에 고정된 데드볼트 구동부(40)를 가동하여 데드 볼트(80)를 인입 및 인출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노브(20)를 일정각도로 비틀면 모티스 본체(70) 내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50)의 탄성편(51,52)가 양측으로 구부려졌다가 샤프트(30)의 말단에 설치된 평탄면(31,32)에 다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탄성 부재(50)의 탄성편(51,52)은 일정각도로 회동된 샤프트(30)의 평탄면(31,32)에 다시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브(20)를 회동시켜 잠금 및 해정 상태를 이룰 때 탄성편(51,52)은 노브(20)가 일정각도에서 고정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샤프트(30)에 형성된 평탄면(31,32)이 도 5와 같이 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가정하면, 노브(2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각도마다 회동되므로 노브(20)가 부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어락의 잠금/해정시 사용자가 올바르게 잠금 및 해정위치에 노브(20)가 위치하는지 알 수 있음은 물론 노브(20)가 부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되어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일 구성인 내측 조작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수동 노브가 오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수동 노브 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수동 노브 조립체를 나타내는사시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의 수동 노브 조립체의 탄성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주요 도면부호 간략한 설명>
10: 본체 20: 노브
30: 샤프트 40: 데드볼트
50: 탄성 부재

Claims (4)

  1. 도어락을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노브;
    상기 노브의 하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평탄면을 갖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기어연결되어 상기 노브의 회동에 의해 데드 볼트의 인입 및 인출이 이루어지는 데드볼트 구동부; 및
    상기 샤프트의 말단에 근접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평탄면이 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의 평탄면에 밀착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에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탄성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은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KR2020080008234U 2008-06-19 2008-06-19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KR200448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234U KR200448139Y1 (ko) 2008-06-19 2008-06-19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PCT/KR2009/003265 WO2009154407A2 (ko) 2008-06-19 2009-06-18 골반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234U KR200448139Y1 (ko) 2008-06-19 2008-06-19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45U KR20090013145U (ko) 2009-12-30
KR200448139Y1 true KR200448139Y1 (ko) 2010-03-18

Family

ID=4143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234U KR200448139Y1 (ko) 2008-06-19 2008-06-19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8139Y1 (ko)
WO (1) WO200915440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RM20120585A1 (it) * 2012-11-21 2014-05-22 Chama Abdulkarim "apparato per il trattamento delle lesioni osteopatiche del bacino"
CN113907929B (zh) * 2021-11-23 2023-11-03 永城市妇幼保健院 一种妇产科产后恢复治疗护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267A (ko) * 2001-10-30 2003-05-09 주식회사 신정기연 디지털 도어록의 오픈 노브 이탈방지 구조
KR20070114552A (ko) * 2006-05-29 2007-12-04 주식회사 젤컴 디지털 도어락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33551A0 (en) * 1999-12-16 2001-04-30 Nissim Elias Human touch massager
US20040193077A1 (en) * 2003-03-31 2004-09-30 Yi-Ping Hsu Programmable digital-controlling massage machine
KR200318274Y1 (ko) * 2003-04-02 2003-06-27 정승연 골반교정기
JP4233449B2 (ja) * 2003-12-26 2009-03-04 勝 田中 骨盤矯正装置
KR100742782B1 (ko) * 2005-08-24 2007-07-25 정두환 골반 및 척추교정기
KR100787163B1 (ko) * 2006-05-12 2007-12-21 유병찬 골반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267A (ko) * 2001-10-30 2003-05-09 주식회사 신정기연 디지털 도어록의 오픈 노브 이탈방지 구조
KR20070114552A (ko) * 2006-05-29 2007-12-04 주식회사 젤컴 디지털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4407A3 (ko) 2010-04-22
WO2009154407A2 (ko) 2009-12-23
KR20090013145U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316B1 (ko) 지문인식 도어락
CN105298225B (zh) 插锁
ATE394568T1 (de) Elektromechanischer schliesszylinder
TW202024454A (zh) 具有彈簧機構之鎖定總成
KR200448139Y1 (ko)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CN107355139B (zh) 电子锁及应用其的门禁系统
US20080216531A1 (en) Locking apparatus
CN103790444B (zh) 钥匙微动开锁自动记录电子锁机构
JP2008014037A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005002562A (ja) 防犯サムターンユニット
KR100930731B1 (ko) 회전형 데드볼트 및 회전형 데드볼트를 갖는 도어 록
CN108457527B (zh) 机械式防盗加密锁
JP2005139853A (ja) 電子式ドアロック装置
KR200342375Y1 (ko) 도어락장치
KR101979144B1 (ko)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CN220167716U (zh) 一种带保险示意装置的斜舌锁具
KR200325764Y1 (ko) 도어잠금장치
CN108412327A (zh) 一种锁具
KR102453941B1 (ko)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CN209457573U (zh) 一种带防拆结构的智能锁
GB2357313B (en) Door Locks
JP2005139854A (ja) 非常用電子式ドアロック装置
KR200231785Y1 (ko) 전자 도어락
JP2004257214A (ja) インナーロック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