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015Y1 - 공작 기계용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용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015Y1
KR200448015Y1 KR2020090010005U KR20090010005U KR200448015Y1 KR 200448015 Y1 KR200448015 Y1 KR 200448015Y1 KR 2020090010005 U KR2020090010005 U KR 2020090010005U KR 20090010005 U KR20090010005 U KR 20090010005U KR 200448015 Y1 KR200448015 Y1 KR 2004480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losing
machine tool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식
Original Assignee
(주)프로텍이노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텍이노션 filed Critical (주)프로텍이노션
Priority to KR2020090010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0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0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0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25Relatively slidable coverings,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2011/0808Means for maintaining identical distances between relatively movable cov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구를 고속 회전시켜 인공치아, 소형장식물, 소형정밀 기계부품 및 또는 기타 소형의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공작기계의 전면에 형성된 도어를 보다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공작기계의 통상적인 회전 도어 개폐 방식을 살펴보면,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좌, 우로 개폐시키는 방식, 도어 문을 잡아당기면서 들어올리는 방식 등 여러가지 개폐 방식이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 공작기계의 도어 개폐 방식은 전체적으로 비효율적인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그 효과가 전체적으로 미진하였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본 고안이 개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공각기계의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 안내레일을 따라 도어를 슬라이딩시키는 미닫이식으로 개폐토록 하여 주변기기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전체적인 크기를 콤팩트화 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토록 하였으며, 몸체의 전면부를 반원형 곡선부로 형성토록 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심플하고 미려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공작기계, 레일, 도어, 개폐

Description

공작 기계용 도어 개폐장치{Door open/close device for machine tool}
본 고안은 공구를 고속 회전시켜 소형의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작기계의 도어를 보다 간편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를 원형형상으로 하며, 상기 원형형상의 도어를 슬라이딩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물 또는 공구를 고속 회전시켜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작기계(밀링머신, 씨엔씨머시닝센터, 자동가공기)는 작업 중 각종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거나, 가공중인 공작물의 가공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도어를 설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작기계의 도어는 공작물의 절삭과정 및 조각기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전면에 투시창이 구비되어 있기도 하며, 자유로운 공작물의 이동을 위하여 개폐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진다.
즉 자유로운 도어의 개폐를 통하여 공작물의 가공상태 및 공작기계의 내부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어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종래 공작기계의 도어 개폐 방식을 살펴보면, 단순히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좌,우로 개방시키는 도어 개폐 방식이 있으나, 이와 같은 도어 개폐 구조는 주변기기와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설치공간에 제한이 따르는 폐단이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312270호(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와 같이 도어 문을 잡아 당기면서 들어올리는 개폐 구조가 있으나, 이와 같은 구조 또한 주변기기와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설치공간에 제한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과 그 구성은 상이하지만 목적이 유사한 종래 고안을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 제312270호(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가 있다.
또한 종래 머시닝센터의 원형 도어를 갖는 특허로는 특허등록 제10-0656631호(링크구조를 이용한 머시닝센터의 원형 도어)를 볼 수 있다.
상기, 선등록특허는 링크구조를 이용한 머시닝센터의 원형도의 개폐장치로, 좌,우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2개)의 부채꼴형 원형도어부재와, 링크브라켓을 피스톤로드의 끝단에 설치한 에어실린더와, 상단 한 쌍의 원형도어 부재를 피봇으로 연결하는 각각의(두개의) 연통 링크로 개폐토록 한 구조로 에어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신장시 상기 연동링크를 작동하여 원형 도어 부재를 개폐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등록 특허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동력기구인 에어실린더로 2개의 원형 도어 부재를 대칭으로 개폐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볼 수 있으나,
본 고안은 동력기계 기구없이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는 원형 도어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 도어의 개폐에 따른 주변기기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개폐 동작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적용되는 공작기계는 소형 씨엔씨 밀링기, 소형조각기로, 고도로 정밀한 기계부품이나, 보석가공기 인공치아 가공기, 소형장식물가공기와 같이 주로 소형이면서도 정밀성을 요구하는 소형, 정밀 공작기계에 용이하게 적용되어, 상시 소형, 정밀 공작기계를 효율적으로 사용토록 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내측에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기계장치가 장착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공작기계(10)의 전면은 반원형상으로 된 둥근 반원형 전면부(11)로 형성하며, 상기 반원형 전면부(11)에는 투입구(12)를 가지며, 상기 투입구(12) 내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투입구(12)를 개폐하는 곡판형 개폐문(13)을 가지며, 상기 곡판형 개폐문(13)의 상단은 좌우고정구(14)(14')로 지지 고정되며, 상기 좌우고정구(14)(14')는 "L"형 작동구(15)로 연결 고정되며, 상기 "L"형 작동구(15)의 단부는 조각기(10)의 천정면(16)과 회전지지볼트(17)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L"형 작동구(15)의 양측에는 고정지지볼트(18)(18')가 천정면(16)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반원형 전면부(11)의 투입구(12) 내측 하방에는 "L" 형태의 안내레일(19)을 가지며, 상기 곡판형 개폐문(13) 하단부에는 각각의 안내바퀴(21)(21')가 결합된 다수 개의 바퀴지지구(20)를 부착토록 하였다.
상기에 있어, 다수개의 바퀴지지구(20)에 부착된 안내바퀴 중 일부 안내바퀴(21)는 "L" 형태의 안내레일(19)과 맞닿으며, 나머지 안내바퀴(21')는 반원형 전면부 내주면과 맞닿도록 구성하였다.
본 고안은 공작기걔의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 미닫이식으로 개폐토록 하여 주변기기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전체적인 크기가 콤팩트화 되어 심플하며,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장소 확보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토록 하였다.
또한, 몸체의 전면부가 반원형 곡선부로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형상이 매우 세련되고 미려하여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현대에 잘 어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내측에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기계장치가 장착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공작기계(10)의 전면은 반원형상으로 된 둥근 반원형 전면부(11)로 형성하며, 상기 반원형 전면부(11)에는 투입구(12)를 가지며, 상기 투입구(12) 내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투입구(12)를 개폐하는 곡판형 개폐문(13)을 가지며, 상기 곡판형 개폐문(13)의 상단은 좌우고정구(14)(14')로 지지 고정되며, 상기 좌우고정구(14)(14')는 "L"형 작동구(15)로 연결 고정되며, 상기 "L"형 작동구(15)의 단부는 조각기(10)의 천정면(16)과 회전지지볼트(17)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L"형 작동구(15)의 양측에는 고정지지볼트(18)(18')가 천정면(16)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반원형 전면부(11)의 투입구(12) 내측 하방에는 "L" 형태의 안내레일(19)을 가지며, 상기 곡판형 개폐문(13) 하단부에는 각각의 안내바퀴(21)(21')가 결합된 다수개의 바퀴지지구(20)를 부착토록 하였다.
상기에 있어, 다수개의 바퀴지지구(20)에 부착된 안내바퀴 중 일부 안내바퀴(21)는 "L" 형태의 안내레일(19)과 맞닿으며, 나머지 안내바퀴(21')는 반원형 전면부(11) 내주면과 맞닿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 공작기계(10)의 전면은 반원형상으로 된 둥근 반원형 전면부(11)로 형성되어 있어 외관이 미려함과 동시에 콤팩트한 구성을 갖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반원형 전면부(11)에는 투입구(12)를 가지며, 상기 투입구(12) 내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투입구(12)를 개폐하는 곡판형 개폐문(13)을 갖도록 하였다.
상기 곡판형 개폐문(13)은 미닫이식으로 개폐되므로,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종래 방식에 비하여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아니하므로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 곡판형 개폐문(13)의 상단은 좌우고정구(14)(14')로 지지 고정되며, 상기 좌우고정구(14)(14')는 "L"형 작동구(15)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L"형 작동구(15)의 단부는 조각기(10)의 천정면(16)과 회전지지볼트(17)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L"형 작동구(15)의 양측에는 고정지지볼트(18)(18')가 천정면(16)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에 있어, "L"형 작동구(15)는 천정면(16)에 고정된 회전지지볼트(17)에 의하여 공회전 방식으로 회동가능하므로, 곡판형 개폐문(13)은 "L"형 작동구(15)를 지지축으로 하여 좌우로 개폐되는 것이다.
도5 내지 도6은 손잡이(30)를 이용하여 곡판형 개폐문(13)을 개폐시키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30)를 우측으로 당기면 개폐문(13) 상단에 연결된 "L"형 작동구(15)가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L"형 작동구(15)가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지지볼트(18)에 닿게 되면 도어는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30)를 좌측으로 당기면 개폐문(13) 상단에 연결된 "L"형 작동구(15)가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L"형 작동구(15)가 좌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지지볼트(18)에 닿게 되면 도어는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경우 도7 내지 도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원형 전면부(11)의 투입구(12) 내측 하방에는 "L" 형태의 안내레일(19)을 가지며, 상기 곡판형 개폐문(13) 하단부에는 각각의 안내바퀴(21)(21')가 결합된 다수개의 바퀴지지구(20)를 부착토록 하였는 바,
상기에 있어, 다수개의 바퀴지지구(20)에 부착된 안내바퀴 중 일부 안내바퀴(21)는 "L" 형태의 안내레일(19)과 맞닿으며, 나머지 안내바퀴(21')는 반원형 전면부(11) 내주면과 맞닿도록 구성함으로서, 매우 견고하면서도 긴밀하게 도어가 개폐되도록 하였다.
즉 본 고안의 경우, 곡판형 개폐문(13) 하단부에 다수개의 바퀴지지구(20)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지지구(20)에는 안내바퀴(21)(21')가 부착되어 있어, "L" 형태의 안내레일(19)의 상면을 따라 도어는 개폐되어 지는 바,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바퀴지지구(20)에 부착된 안내바퀴 중 일부 안내바퀴(21)는 "L" 형태의 안내레일(19)과 맞닿으며, 나머지 안내바퀴(21')는 도9와 같이 반원형 전면부(11) 내주면에 맞닿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서, 개폐문(13)이 앞뒤로 흔들리지 않고 매우 정확하고도 긴밀하게 개폐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공작기계의 도어 개폐장치에 비하여 그 전체적인 효과가 월등히 뛰어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충분하다 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있어 개폐문이 약간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있어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있어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8은 도6에 있어 A-A선 단면도.
도9는 도6에 있어 B-B선 단면도.
* 도면부호
10 : 조각기 11 : 전면부 12 : 투입구
13 : 개폐문 14,14' : 좌우고정구 15 : "L"형 작동구
16 : 천정면 17 : 회전지지볼트 18,18' : 고정지지볼트
19 : 안내레일 20 : 바퀴지지구 21 : 안내바퀴 30 : 손잡이

Claims (2)

  1. 내측에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기계장치가 장착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공작기계(10)의 전면은 반원형상으로 된 둥근 반원형 전면부(11)로 형성하며, 상기 반원형 전면부(11)에는 투입구(12)를 가지며, 상기 투입구(12) 내측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투입구(12)를 개폐하는 곡판형 개폐문(13)을 가지며, 상기 곡판형 개폐문(13)의 상단은 좌우고정구(14)(14')로 지지 고정되며, 상기 좌우고정구(14)(14')는 "L"형 작동구(15)로 연결 고정되며, 상기 "L"형 작동구(15)의 단부는 조각기(10)의 천정면(16)과 회전지지볼트(17)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L"형 작동구(15)의 양측에는 고정지지볼트(18)(18')가 천정면(16)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반원형 전면부(11)의 투입구(12) 내측 하방에는 "L" 형태의 안내레일(19)을 가지며, 상기 곡판형 개폐문(13) 하단부에는 각각의 안내바퀴(21)(21')가 결합된 다수개의 바퀴지지구(20)를 일체형으로 부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바퀴지지구(20)에 부착된 안내바퀴 중 일부 안내바퀴(21)는 "L" 형태의 안내레일(19)과 맞닿으며, 나머지 안내바퀴(21')는 반원형 전면부(11) 내주면과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도어 개폐장치.
KR2020090010005U 2009-07-30 2009-07-30 공작 기계용 도어 개폐장치 KR2004480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005U KR200448015Y1 (ko) 2009-07-30 2009-07-30 공작 기계용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005U KR200448015Y1 (ko) 2009-07-30 2009-07-30 공작 기계용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015Y1 true KR200448015Y1 (ko) 2010-03-10

Family

ID=4421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005U KR200448015Y1 (ko) 2009-07-30 2009-07-30 공작 기계용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01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5797A (zh) * 2020-01-21 2020-05-22 瑞迹工业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机床上的旋转防护装置
CN112355706A (zh) * 2020-12-18 2021-02-12 贵州海宇航天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零件加工数控铣床的行程控制装置
CN112846910A (zh) * 2020-12-26 2021-05-28 景荣精密模具(深圳)有限公司 一种cnc加工中心
CN113547379A (zh) * 2021-08-31 2021-10-26 中国工程物理研究院机械制造工艺研究所 一种桌面式超精密金刚石机床防护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325U (ko) * 1998-12-31 2000-07-25 추호석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도어개폐구조
KR100450425B1 (ko) 2001-12-31 2004-09-30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이동회전점을 갖는 공작기계의 도어 개폐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325U (ko) * 1998-12-31 2000-07-25 추호석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도어개폐구조
KR100450425B1 (ko) 2001-12-31 2004-09-30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이동회전점을 갖는 공작기계의 도어 개폐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85797A (zh) * 2020-01-21 2020-05-22 瑞迹工业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机床上的旋转防护装置
CN111185797B (zh) * 2020-01-21 2021-07-13 微一绿色环保科技(海盐)有限公司 一种用于机床上的旋转防护装置
CN112355706A (zh) * 2020-12-18 2021-02-12 贵州海宇航天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零件加工数控铣床的行程控制装置
CN112846910A (zh) * 2020-12-26 2021-05-28 景荣精密模具(深圳)有限公司 一种cnc加工中心
CN112846910B (zh) * 2020-12-26 2022-03-25 景荣精密模具(深圳)有限公司 一种cnc加工中心
CN113547379A (zh) * 2021-08-31 2021-10-26 中国工程物理研究院机械制造工艺研究所 一种桌面式超精密金刚石机床防护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015Y1 (ko) 공작 기계용 도어 개폐장치
EP2772417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gine hood of a construction machine
EP1770223A3 (en) Construction machine
CA2542681A1 (en) Pipe elevator with rotating door
EP1977866A4 (en) SEALED FINGER WITH PULLEY WHEEL
CN102943594B (zh) 保险箱柜机械螺旋门闩机构
CN204823515U (zh) 一种捆带盘装置
CN201288007Y (zh) 电梯门锁的开锁装置
ITMI20120206U1 (it) Dispositivo di sicurezza, particolarmente per maniglie di porte, di finestre, di porte finestre e simili.
RU2005140096A (ru) Привод с тягой
CN209052258U (zh) 一种轿厢门的卡合装置
CN209095371U (zh) 一种可使渔具钳保持合口状态的锁定机构
CN210307340U (zh) 一种平面磨床安全防护装置
CN207224924U (zh) 五轴精雕机及其自动门结构
PL1681411T3 (pl) Cylinder zamka do klucza z trzonem o niekołowym przekroju
WO2008081429A3 (en) Handle-mounted safety apparatus to prevent a door from slamming closed
CN108098758A (zh) 一种三轴机械手
CN201908590U (zh) 一种开口型液压动力钳安全保护装置
CN106168091A (zh) 大开度暗铰链
CN205713885U (zh) 一种用于木百叶窗帘的拉绳锁具
CN2569960Y (zh) 电动切割机的活动防护罩结构
CN201411991Y (zh) 柜体开启限位装置
CN202431160U (zh) 无导轨卷帘
CN211448100U (zh) 一种新型顶紧锁
CN209320858U (zh) 一种挂车用可拆卸工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106

Effective date: 2010012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