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855Y1 -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 - Google Patents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855Y1
KR200447855Y1 KR2020070019055U KR20070019055U KR200447855Y1 KR 200447855 Y1 KR200447855 Y1 KR 200447855Y1 KR 2020070019055 U KR2020070019055 U KR 2020070019055U KR 20070019055 U KR20070019055 U KR 20070019055U KR 200447855 Y1 KR200447855 Y1 KR 200447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valve
edge portion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237U (ko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밸브
Priority to KR2020070019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85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2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2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8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16K1/08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in which the spindle is perpendicular to the general direction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업 및 제약분야의 청정 생산라인에 적용되는 개폐밸브에 있어 실제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개폐부재에 관한 것으로, 네크부를 갖는 이송배관의 경로 상에 체결되는 개폐밸브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요소이며, 상기 개폐밸브의 체결을 위한 이송배관의 네크부측에 안착되도록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가장자리부의 하면 내측으로는 안정된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향 돌출된 하향돌부를 형성하고 가장자리부의 상면 최외곽으로는 상향 지지턱을 형성하며, 상기 가장자리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일체 형성되어지되 내측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커버막과, 상기 커버막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일체 형성되어지되 하부의 외경이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대되고 내부 중심에 상기 커버막과 연결되게 개구되는 결합암나사홀이 형성된 개폐견인몸체와, 상기 개폐견인몸체의 결합암나사홀에 삽입 고정되고 개폐밸브를 구성하는 승강샤프트와의 체결을 위한 인서트너트가 구비되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개폐밸브, 개폐부재, 이송배관, 커버막, 개폐견인몸체, 인서트너트, 승강샤프트

Description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MEANS FOR FORMATION OF OPENING AND SHUTTING VALVE}
본 고안은 청결이 요구되는 유업 및 제약분야에서의 생산라인에 설치되며 이송배관의 경로 상에 연결 설치되어 액상유체의 흐름 및 분배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개폐밸브에 있어 실제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개폐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배관에 연결 설치되는 개폐밸브측으로 이물질이 침투되어 끼거나 쌓이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이 우선시되는 우유나 제약품 또는 원료 등의 액상유체가 생산과정에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업분야나 제약분야에서는 제품의 생산 제조를 위한 생산라인이 설치되는데, 생산라인에는 원료나 생산품의 액상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배관이 연결 구비되며, 이 이송배관의 흐름경로 상에는 이송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액상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분배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에는 개폐밸브의 구성요소중의 하나이고 승강 동작되는 승강샤프트에 결합되어 실제로 이송배관 내의 흐름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벨로우즈 타입의 개폐부재가 적용된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송배관(1)에 개폐밸브(10)가 체결되어 설치되는데, 이송배관(1) 내에 벨로우즈 타입의 개폐부재(11)가 배치되고 승강 동작되는 승강샤프트(12)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승강샤프트(12)의 상승시 개폐부재(11)가 동반 상승됨에 의해 이송배관(1) 내의 흐름을 개방하게 되고, 승강샤프트(12)의 하강시 개폐부재(11)가 동반 하강됨에 의해 이송배관(1) 내의 흐름을 폐쇄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송배관(1) 상에 개폐밸브(10)를 체결 장착시 이송배관(1)의 흐름경로 상에 개폐부재(11)가 배치되어지는데, 종래 사용되는 개폐부재(11)는 외면이 주름진 형태를 갖는 벨로우즈 타입으로 액상유체와 직접 접하는 부분이 많을 분더러 접촉면적이 크고 이송배관(1) 내 개폐를 수행하기 위해 주름진 부분을 폈다 줄였다 하여야 하므로 이송배관(1)을 흐르게 되는 원료나 우유 또는 제약품의 액상유체가 개폐부재(11)에 끼거나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계속 사용으로 인하여 이물질화됨에 의해 청결이 가장 중요시 요구되는 이송배관(1) 라인에 액상유체의 오염요인이 형성되어 이송되는 우유나 제약품 또는 원료의 액상유체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송배관 내 크린액을 사용한 청소시에도 화학약품인 크린액이 개폐부 재의 주름진 외면에 끼거나 부착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청소 이후의 사용시 이송배관(1)을 통해 이송되는 액상유체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기존 사용되는 개폐부재에 비해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며 개폐밸브의 체결 장착에 따른 개폐부재의 이송배관 내 배치 및 동작시 개폐부재에 액상유체가 끼거나 쌓이는 등의 문제점을 없애 청결이 우선시되는 액상유체가 생산과정에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크린액(화학약품)을 사용한 이송배관 내 세정 및 세척시에도 유용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이송배관 내를 흐르는 액상유체와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네크부를 갖는 이송배관의 경로 상에 체결되는 개폐밸브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하나로, 상기 개폐밸브의 체결을 위한 이송배관의 네크부측에 안착되도록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되 상기 가장자리부의 하면 내측으로는 안정된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향 돌출된 하향돌부를 형성하고 가장자리부의 상면 최외곽으로는 상향 지지턱을 형성하며, 상기 가장자리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일체 형성되어지되 내측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커버막과, 상기 커버막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일체 형성되어지되 하부의 외경이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대되고 내부 중심에 상기 개폐밸브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하나인 승강샤프트의 수나사부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는 상측 개구된 결합암나사홀이 형성된 개폐견인몸체로 이루어진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승강샤프트의 수나사부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나사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고정나선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인서트너트가 상기 개폐견인몸체의 결합암나사홀에 부분적으로 매입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기존 사용되는 개폐부재에 비해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몸체의 유선구조설계를 통해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며 액상유체와 직접 접촉하는 개폐부재에 액상유체가 끼거나 쌓이는 등의 문제점을 없앨 수 있고 이송배관 내를 흐르는 액상유체와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어 청결이 우선시되는 액상유체가 생산과정에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막에 의해 개폐밸브측으로의 액상유체 침투나 외부로부터 이송배관측으로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크린액(화학약품)을 사용한 이송배관 내 세정 및 세척시에도 크린액이 개폐부재에 끼거나 쌓이는 것을 방지하므로 배관청소 이후 액상유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110)는 원료나 생산품의 액상유체를 이송 처리하기 위하여 생산라인에 연결 구비되는 이송배관(1)의 경로 상에 체결되는 개폐밸브(100)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테프론(teflon) 소재에 의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개폐밸브(100)의 체결을 위한 이송배관(1)의 네크부(1a)측에 안착되도록 가장자리부(111)를 형성하되 상기 가장자리부(111)의 하면 내측으로는 안정된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향 돌출된 하향돌부(111a)를 형성하고 가장자리부(111)의 상면 최외곽으로는 상향 지지턱(111b)을 형성하며, 상기 가장자리부(1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일체 형성되어지되 내측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면서 라운드(round)지게 형성되는 커버막(112)과, 상기 커버막(112)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일체 형성되어지되 하부의 외경이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대되고 내부 중심에 상기 개폐밸브(1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하나인 승강샤프트(120)의 수나사부(121)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는 상측 개구된 결합암나사홀(113a)이 형성된 개폐견인몸체(113)로 이루어진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110)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승강샤프트(120)의 수나사부(121)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나사공(114a)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고정나선부(114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인서트너트(114)가 상기 개폐견인몸체(113)의 결합암나사홀(113a)에 부분적으로 매입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110)의 가장자리부(111)가 안착되는 이송배관(1)의 네크부(1a)측 안착면으로는 가장자리부(111)의 하면에 돌출된 하향돌부(111a)에 대응되는 대응요홈을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서트너트(114)는 젤 상태의 테프론(teflon) 소재를 금형에 주입 냉각시켜 개폐부재(11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부재(110)의 개폐견인몸체(113)에 매입되어 상기 개폐견인몸체(113)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110)의 작용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110)가 적용된 수동방식의 개폐밸브를 나타낸 것으로 개폐부재의 폐쇄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110)가 적용된 자동방식의 개폐밸브를 나타낸 것으로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핸들(150)에 결합된 승강샤프트(120)의 끝단부가 개폐부재(110)의 개폐견인몸체(113)에 내장된 인서트너트(114)에 결합되어 있고 이송배관(1)의 네크부(1a)측에 가장자리부(111)가 안착되는 개폐부재(110)의 바로 위로 쿠션 패킹(130) 및 고정플레이트(140)가 순차 배치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에는 핸들(150)의 회전조정에 따라 승강샤프트(120)를 상승 및 하강 동작시키게 되는데, 승강샤프트(120)의 하강 동작 완료시 개폐부재(110)의 개폐견인몸체(113)를 통하여 이송배관(1) 내 폐쇄상태를 만듦으로써 액상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개폐부재(110)의 커버막(112)이 하측으로 펼쳐진 상태를 형성함에 의해 개폐견인몸체(113)의 하면이 이송배관(1) 내 흐름개구를 막도록 위치된다.
도 5에서는 실린더피스톤(160)에 결합된 승강샤프트(120)의 끝단부가 개폐부재(110)의 개폐견인몸체(113)에 내장된 인서트너트(114)에 결합되어 있고 이송배관(1)의 네크부(1a)측에 가장자리부(111)가 안착되는 개폐부재(110)의 바로 위로 쿠션 패킹(130) 및 고정플레이트(140)가 순차 배치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에는 실린더피스톤(160)의 동작에 따라 승강샤프트(120)를 상승 및 하강 동작시키게 되는데, 승강샤프트(120)의 상승 동작 완료시 개폐부재(110)의 개폐견인몸체(113)가 승강샤프트(120)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견인되고 개폐견인몸체(113)의 상측 이동압력에 의해 커버막(112)의 중심부분이 함께 상측 이동되어 이송배관(1) 내 흐름개구를 개방시키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나타낸 수동방식이나 자동방식 모두 개폐부재(110)의 인서트너트(114)측에 결합되는 승강샤프트(120)의 승강에 따라 개폐견인몸체(113)가 승강되면서 이송배관(1) 내 개방폐쇄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커버막(112)은 이송배관(1)을 흐르는 액상유체가 개폐밸브(100)측으로 침투되거나 또는 개폐밸브(100)측에서 이송배관(1) 내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폐부재(110)는 구성요소를 라운드 및 곡선 처리하는 등 전반적으로 몸체를 유선구조로 설계함에 따라 액상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기존에 비해 액상유체와의 접촉면적이 크게 축소되므로 개폐부재(110)측에 액상유체가 끼거나 쌓이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커버막(112)의 형성구조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이송배관(1)의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생산과정에서의 액상유체의 오염을 극히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고안은 크린액을 통한 세척 및 세정까지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므로 이송배관 내 청결유지를 용이하게 하는 반사이익 및 이송배관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우유나 제약품 또는 원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인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110)는 개폐견인몸체(113)의 결합암나사홀(113a)에 인서트너트(114)가 부분적으로 매입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결합되어 상기 인서트너트(114)에 의해 개폐견인몸체(113)와 상기 개폐밸브(1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하나인 승강샤프트(120)의 수나사부(121)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개폐밸브(100)의 구성 요소인 개폐부재(110)와 승강샤프트(120)의 결합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개폐밸브(100)의 개폐부재(110) 또는 승강샤프트(120) 교체시 상기 인서트너트(114)에 의해 승강샤프트(120)와 일체로 결합되는 개폐부재(110)의 개폐견인몸체(113) 부위가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개폐부재(110)는 몸체를 테프론소재로 구성함에 의해 내약품성, 비점착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등의 우수한 물질특성을 발휘하므로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인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110)는 개폐견인몸체(113)의 결합암나사홀(113a)에 인서트너트(114)가 부분적으로 매입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결합되어 상기 인서트너트(114)에 의해 개폐견인몸체와 상기 개폐밸브(1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하나인 승강샤프트(120)의 수나사부(121)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개폐밸브(100)의 구성 요소인 개폐부재(110)와 승강샤프트(120)의 결합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개폐밸브(100)의 개폐부재(110) 또는 승강샤프트(120) 교체시 상기 인서트너트(114)에 의해 승강샤프트(120)와 일체로 결합되는 개폐부재(110)의 개폐견인몸체(113) 부위가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개폐부재(1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된다 할 수 없으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의 균등범주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개폐밸브를 나타낸 조립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 인서트너트가 제외된 상태의 개폐부재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인서트너트가 포함된 개폐부재를 나타낸 단면 예시 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가 적용된 수동방식의 개폐밸브를 나타낸 것으로 개폐부재의 폐쇄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가 적용된 자동방식의 개폐밸브를 나타낸 것으로 개폐부재의 개방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이송배관 1a: 네크부
100: 개폐밸브 110: 개폐부재
111: 가장자리부 111a: 하향돌부
111b: 상향 지지턱 112: 커버막
113: 개폐견인몸체 114: 인서트너트
120: 승강샤프트

Claims (1)

  1. 네크부(1a)를 갖는 이송배관(1)의 경로 상에 체결되는 개폐밸브(1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하나로, 상기 개폐밸브(100)의 체결을 위한 이송배관(1)의 네크부(1a)측에 안착되도록 가장자리부(111)를 형성하되 상기 가장자리부(111)의 하면 내측으로는 안정된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향 돌출된 하향돌부(111a)를 형성하고 가장자리부(111)의 상면 최외곽으로는 상향 지지턱(111b)을 형성하며, 상기 가장자리부(11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일체 형성되어지되 내측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커버막(112)과, 상기 커버막(112)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일체 형성되어지되 하부의 외경이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대되고 내부 중심에 상기 개폐밸브(10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하나인 승강샤프트(120)의 수나사부(121)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는 상측 개구된 결합암나사홀(113a)이 형성된 개폐견인몸체(113)로 이루어진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110)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승강샤프트(120)의 수나사부(121)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나사공(114a)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고정나선부(114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인서트너트(114)가 상기 개폐견인몸체(113)의 결합암나사홀(113a)에 부분적으로 매입된 상태로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
KR2020070019055U 2007-11-27 2007-11-27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 KR200447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055U KR200447855Y1 (ko) 2007-11-27 2007-11-27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055U KR200447855Y1 (ko) 2007-11-27 2007-11-27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237U KR20090005237U (ko) 2009-06-01
KR200447855Y1 true KR200447855Y1 (ko) 2010-02-24

Family

ID=4129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055U KR200447855Y1 (ko) 2007-11-27 2007-11-27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85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3262A (ja) 2004-10-29 2006-06-15 Surpass Kogyo Kk 流量調整弁
JP2007024090A (ja) * 2005-07-12 2007-02-01 Microzero Corp ダイアフラム弁
KR20080006964A (ko) * 2006-07-14 2008-01-17 주식회사 퓨어라인 대구경 수지제 매뉴얼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3262A (ja) 2004-10-29 2006-06-15 Surpass Kogyo Kk 流量調整弁
JP2007024090A (ja) * 2005-07-12 2007-02-01 Microzero Corp ダイアフラム弁
KR20080006964A (ko) * 2006-07-14 2008-01-17 주식회사 퓨어라인 대구경 수지제 매뉴얼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237U (ko) 200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3726A (en) Dripless feeder nipple system with detachable valve
US6601823B2 (en) Sanitary drain valve design
CN104421439B (zh) 具有浮动密封件的闸阀
US20120111280A1 (en) Automatic Water Fountain for Supplying Warm--Clean Water to Livestock
US3059797A (en) Air eliminator for nursing bottles
EP1043529B1 (en) High-efficiency poppet and seat assembly
US10271526B2 (en) Breather cap assembly
KR200447855Y1 (ko) 개폐밸브 형성용 개폐부재
KR102178771B1 (ko) 워터 서버
CA2745754A1 (en) Aseptic flow control valve with outside diameter valve closure
JPH09183487A (ja) 容器用の排出弁
KR20080003369U (ko) 젖병용 젖꼭지
CN203788893U (zh) 一种新型鸡舍饮水器
JP2816524B2 (ja) 真空弁
CN206462962U (zh) 一种内窥镜吸引阀结构
KR100550312B1 (ko) 부식 방지용 진공 게이트밸브
KR102041712B1 (ko) 배수량 조절이 가능한 세면대용 회전식 개폐장치
CN205518889U (zh) 一种啤酒桶清洗阀
US20070114484A1 (en) Sanitary drain valve design
US10542731B2 (en) Breather cap assembly
JP4392101B2 (ja) サニタリー用ブリーザーバルブ
KR101894246B1 (ko) 다용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급수기
KR20160090044A (ko) 세면대용 팝업 밸브
CN105104236B (zh) 一种乳头式饮水装置
US3352248A (en) Fluid conve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