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718Y1 - 유아용 신발 - Google Patents

유아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718Y1
KR200447718Y1 KR2020090011380U KR20090011380U KR200447718Y1 KR 200447718 Y1 KR200447718 Y1 KR 200447718Y1 KR 2020090011380 U KR2020090011380 U KR 2020090011380U KR 20090011380 U KR20090011380 U KR 20090011380U KR 200447718 Y1 KR200447718 Y1 KR 200447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shoe
baby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너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너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너비코리아
Priority to KR2020090011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7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7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specially adapted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27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from a material having special colours
    • A43B1/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from a material having special colours with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5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sound or music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아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진동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체를 유아용 신발에 장착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로써 효율적으로 발광체를 삽입 및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유아, 신발, 발광, 진동

Description

유아용 신발{Shoes for children}
본 고안은 유아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체를 구비한 유아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아용 신발에는 유아가 걸을 때 소리를 나게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유아가 걸음걸이 및 신발에 흥미를 가지도록 하는 제품이 널리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유아는 청각보다 시각에 보다 민감하며 시각적으로 만족을 얻을 때 보다 흥미를 느낀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유아가 걸을 때 시각적으로 흥미를 유발하는 수단을 구비한 여러 가지 제품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 시각적으로 흥미를 유발하는 수단은 캐릭터가 그려진 스티커 또는 야광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발광체를 이용하여 빛을 나오게 하는 신발이 시중에 널려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스티커등은 지속적으로 유아의 관심을 유발하기 힘들고, 발광체를 사용한 신발은 고장이 나거나, 발광체에 사용되는 전지가 소모되는 경우 수리가 어렵고, 전지를 교체하기도 힘들어 유아의 관심이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광체의 고장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고, 유아에게 강렬한 시각적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유아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유아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은,
신발본체와,
상기 신발본체를 발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는 조임용 밴드를 포함하는 유아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조임용 밴드는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재와,
상기 전면재와의 사이에 발광체가 삽입되는 발광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전면재에 접합되는 후면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재는 상기 발광공간이 형성되는 영역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재는 배면상에 형성된 암형 밸크로와, 상기 발광체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 및 상기 암형밸크로와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수형 밸크로가 구비된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투광부에는 문양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광부는 전면재의 타영역보다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후면재를 라인상으로 절단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양은 야광 또는 형광소재의 문양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재와 상기 후면재는 야광실 또는 형광실로 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체는 발광소자, 제어부 및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센서에서 인식된 진동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입력받아,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발광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체는 음향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인식된 진동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입력받아 상기 음향발생부의 음향발생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신발에 장착되는 발광체는 고장수리 및 교체가 매우 간단하다. 또한, 발광체가 유아가 보기 쉬운 위치에 장착되어, 유아들의 관심을 용이하게 유발하며, 또한 자극적인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아 아이들의 시력에 장애를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에 따른 유아용 신발은 신발본체(100)와 조임용 밴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발본체(100)는 통상의 신발과 같은 구조이며 밑창(110)과 덮개부(120)로 구성된다. 이 때, 신발의 종류는 구두, 운동화등 유아용으로 제작되는 모든 신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사용된 조임용 밴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제1실시예에 사용된 조임용밴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I-I'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조임용 밴드(200)는 신발을 신은 후 발에 맞도록 조이는 밴드로서 일반적으로 일측 단부는 신발본체(100)에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암형 밸크로(보들이)가 형성되어 수형 밸크로가 형성된 신발본체에 접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조임용 밴드(200)는 전면재(210)과 후면재(220)의 두겹으로 구성되며, 전면재(210)의 예컨데, 중앙부는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광부(211)로 구성된다. 이 때, 투광부(211)는 반투명으로 재질로 구성하여 발광체(300)에서 나오는 빛을 적절히 차단하여 눈부심으로 인하여 유아의 시력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한다.
전면재(21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투광부(211)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나, 전면재(210)의 타부분보다 돌출되는 것이 시각상 보다 주목을 주게 되는 효과가 있다. 투광부(211)의 소재는 각종 반투명 수지재나 투명수지재에 반투명 코팅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투광부(211)에는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기 좋은 캐릭터나 도형이 그려질 수 있다.
후면재(220)는 암형 밸크로(221)가 배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전면재(210)의 투광부(211)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은 전면재(210)와 서로 접합되지 않아 발광체(300)가 위치할 발광공간(230)이 형성된다. 또한, 후면재(220)의 상기 영역에는 발광체(30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223)가 형성된다. 개구부(223)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나, 발광체가 잘 빠지지 않게 하면서도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상으로 절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절단된 라인은 호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체(300)가 빠지지 않도록 덮개(22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덮개(225)는 후면재(220)에 암형 밸크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형 밸크로를 형성하여 손쉽게 덮개(225)를 탈부착할 수 있게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발광체를 삽입하는 상태를 보이는 동작도이다.
발광체(300)는 후면재(220)에 형성된 전술한 개구부(223)를 통해 발광공간(230)에 삽입하여 설치된다.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개구부(223)를 벌려 발광체(300)를 삽입하고, 개구부(223)를 닫은 다음, 덮개(225)로 닫음으로서 간편하게 설치 및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전지를 교환할 때는 반대의 순서로 발광체(300)를 빼낼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발광체의 전기적 구성도이다. 이에 따르면,
발광체(30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310), 전원부(320), 제어부(330), 및 진동센서(340)를 포함한다. 발광소자(310)는 종류에 제한되지 않지만, 엘이디(LED)가 바람직하며, 진동센서(340)가 걸음걸이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면 진동을 센싱하 여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330)에 송신하면 제어부(330)에서는 발광소자(310)의 발광을 제어한다. 즉, 유아가 걸음으로서 진동이 발생할 때에만 발광소자(310)가 발광하게 하여, 호기심에 의해 유아의 걸음걸이를 유도할 수 있고, 신지 않는 경우에는 전지가 소모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을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전면재와 후면재를 야광실(250)로 접합시킨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를 보다 구체화한 것이다. 야광실을 사용함으로써 평상시에도 어둠 속에서 신발을 찾거나,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조임용 밴드의 전면재에 추가의 야광문양(260)을 더 부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을 설명한다.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발광체의 전기적 구성도이다. 이에 따르면,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발광체는 음향발생부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구별된다.
음향발생부(350)는 예컨대, 멜로디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진동센서(340)가 걸음걸이에 따라 진동을 센싱하여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330)에 송신하면 제어부(330)에서는 멜로디칩(310)에 내장된 음향의 발생을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330)는 음향발생부(350)와 발광소자(310)를 연동하여 유아가 특정하게 정해진 걸음걸이를 걸을 때 그 진동으로 정해진 음향과 발광을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 다. 예를들면, 연속적으로 100걸음을 걸을 때, 이를 알리는 음향 또는 발광이 발생하는 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에 유아용 신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전술한 고안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사용된 조임용 밴드의 정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사용된 조임용밴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I-I'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발광체를 삽입하는 상태를 보이는 동작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발광체의 전기적 구성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사시도.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발광체의 전기적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신발본체 200: 조임용 밴드
210 : 전면재 220 : 후면재
300 : 발광체 310 : 발광소자
320 : 전원부 330 : 제어부
340 : 진동센서

Claims (9)

  1. 신발본체와,
    상기 신발본체를 발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는 조임용 밴드를 포함하는 유아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조임용 밴드는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재와,
    상기 전면재와의 사이에 발광체가 삽입되는 발광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전면재에 접합되는 후면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재는 상기 발광공간이 형성되는 영역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면재는 배면상에 형성된 암형 밸크로와, 상기 발광체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와, 그리고 상기 암형밸크로와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수형 밸크로가 구비된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는 전면재의 타영역보다 돌출되고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는 후면재를 라인상으로 절단하여 이루어지되, 절단된 라인은 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면재와 후면재는 야광실 또는 형광실로 접합을 시키고,
    상기 발광체는 발광소자, 제어부 및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센서에서 인식된 진동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입력받아,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에는 문양이 코팅된 유아용 신발.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은 야광 또는 형광소재의 문양이 포함된 유아용 신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유아용 신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음향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센서로부터 인식된 진동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입력받아 상기 음향발생부의 음향발생을 제어하는 유아용 신 발.
KR2020090011380U 2009-08-31 2009-08-31 유아용 신발 KR200447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380U KR200447718Y1 (ko) 2009-08-31 2009-08-31 유아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380U KR200447718Y1 (ko) 2009-08-31 2009-08-31 유아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718Y1 true KR200447718Y1 (ko) 2010-02-12

Family

ID=4421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380U KR200447718Y1 (ko) 2009-08-31 2009-08-31 유아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71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3263A1 (ko) 2010-09-07 2012-03-15 (주)와일드캣 영유아용 신발 및 그의 제조에 사용되는 라스트
KR101359462B1 (ko) 2011-05-23 2014-02-07 신강희 좋은 습관을 길러주는 유아용 신발
KR20170009275A (ko) 2015-07-16 2017-01-25 하용호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
KR20220066795A (ko) 2020-11-16 2022-05-24 한상배 구동식 장식부를 포함하는 신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473A (ja) * 1989-07-13 1991-02-28 Toyo Denso Co Ltd ローターヘッド及びその製法
KR19990008665U (ko) * 1997-08-05 1999-03-05 차영철 가벼운 충격이 가해지면 램프가 점멸되는 신발용 장식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473A (ja) * 1989-07-13 1991-02-28 Toyo Denso Co Ltd ローターヘッド及びその製法
KR19990008665U (ko) * 1997-08-05 1999-03-05 차영철 가벼운 충격이 가해지면 램프가 점멸되는 신발용 장식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3263A1 (ko) 2010-09-07 2012-03-15 (주)와일드캣 영유아용 신발 및 그의 제조에 사용되는 라스트
KR101359462B1 (ko) 2011-05-23 2014-02-07 신강희 좋은 습관을 길러주는 유아용 신발
KR20170009275A (ko) 2015-07-16 2017-01-25 하용호 빔을 이용한 보행 유도용 신발
KR20220066795A (ko) 2020-11-16 2022-05-24 한상배 구동식 장식부를 포함하는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4686A (en) Light distribution/information display systems
US6942362B1 (en) Lighted whistle
US6174075B1 (en) Illuminated ornamentation/amusement device
JP5965489B2 (ja) 照明/音声発生装置を備えた風船
KR200447718Y1 (ko) 유아용 신발
KR101334090B1 (ko) 엘이디 신발
ATE316805T1 (de) Einrichtung zur lichttherapie
US20100170115A1 (en) Footwear, footwear compon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140211471A1 (en) Electric candle
GB2377327A (en) Electronic candle
US11149932B1 (en) Device with lighting, lo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KR101416827B1 (ko) 응원 도구
WO2011115852A1 (en) Glo-blades skates
US10323840B1 (en) Wearable article and intelligent wearable device
TW201909775A (zh) 鞋結構
WO1999050915A1 (fr) Emetteur de lumiere
JP5357810B2 (ja) 発光機能を有する靴
WO2018120089A1 (zh) 一种鞋及其控制方法
KR200431625Y1 (ko) 발광 안전 밴드
CN215873621U (zh) 一种激光图案投影组件和发光鞋
KR200349925Y1 (ko) 발광 헬멧
KR20090110619A (ko) 유아용 신발
KR20100001284A (ko) 발광 및 멜로디 기능을 갖는 신발
CN220103082U (zh) 一种唤醒灯及其可发光旋钮
JP3161581U (ja) 発光アクセサリ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