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827B1 - 응원 도구 - Google Patents

응원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827B1
KR101416827B1 KR1020130096478A KR20130096478A KR101416827B1 KR 101416827 B1 KR101416827 B1 KR 101416827B1 KR 1020130096478 A KR1020130096478 A KR 1020130096478A KR 20130096478 A KR20130096478 A KR 20130096478A KR 101416827 B1 KR101416827 B1 KR 10141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ain body
emitting device
magnet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진
Original Assignee
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진 filed Critical 한영진
Priority to PCT/KR2014/00436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2304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는 의류잡화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체와, 상기 의류잡화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결합체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자석과,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응원 도구{Cheer Tool}
본 발명은 응원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응원도구에 착탈 가능한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의류잡화에 착탈 할 수 있도록 하는 응원도구에 관한 것이다.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응원문화는 변화하기 시작했고 이와 더불어 응원도구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특히 월드컵 당시 대표적인 응원도구는 헤어밴드를 기본으로 하고 뿔 모양의 장식이 양 옆에 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붉은악마를 연상케 하는 뿔 모양의 머리 장식 응원도구가 있다.
그러나 이 머리 장식 응원도구는 붉은악마를 응원한다는 이미지에서 벗어날 수 없어 기타 다른 스포츠 종목이나 특정 선수를 응원하고 싶을 때 사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또한 헤어밴드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모자나 두건 등을 착용한 후 사용할 시 헤어밴드의 특성상 머리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고 무리하게 사용할 경우 손상에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자나 두건 등과 같은 의류잡화로부터 착탈 되어 모자나 두건 등과 같은 의류잡화를 착용한 후에도 사용할 수 있는 응원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소리에 맞춰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응원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는 의류잡화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체와, 상기 의류잡화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결합체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자석과,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는 머리띠의 일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와 나선결합을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방면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구비하는 상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타입을 설정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와 상기 제어회로와 상기 발광소자를 고정하는 회로판과, 상기 회로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전지에서 발생하는 고열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형 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는 의류잡화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체와, 상기 의류잡화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결합체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자석과,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한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와, 상기 소리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소리의 패턴에 맞춰 동일한 패턴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타입을 설정하고 상기 소리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와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제어회로를 고정하는 회로판과, 상기 회로판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소리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1모드와, 상기 소리에 상관없이 일정 간격으로 지속적인 빛을 발광하는 제2모드를 행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는 머리띠의 일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전지에서 발생하는 고열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형 가스켓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응원도구에 의하면, 의류잡화의 내부와 외부에 결합체와 자석이 구비되어 착탈가능하므로 모자 또는 두건 등의 의류잡화를 착용하였을 때 간편하게 응원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소리감지센서를 구비하므로 외부 소리에 맞춰 빛을 발광하는 응원도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를 활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의 결합체를 머리띠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의 소리감지센서와 발광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20)는 의류잡화(10)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체(100)와, 상기 결합체(100)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와 착탈 가능한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원도구(20)는 모자, 두건 등과 같은 의류잡화(10) 내부에 상기 결합체(100)를 설치하고, 상기 의류잡화(10)에 방해를 받지 않고 상기 의류잡화(10) 외부에서 상기 의류잡화(10) 내부에 구비된 상기 결합체(100)와 결합할 수 있는 상기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와 결합하는 상기 커버(4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100)는 내부공간(120)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20)에는 부착판(110)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300)에 구비되는 상기 자석(200)과 자기력에 의하여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부착판(110)은 철판 또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석(20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부착판(110)을 상기 자석(200)과 결합하는 철판 또는 자석(200)으로 형성하면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결합체(100)와 상기 본체(300)가 분리되거나 의류잡화(10)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자 또는 두건에 상기 응원도구(20)를 설치할 경우 모자 또는 두건의 섬유에 의하여 응원도구(20)의 본체(300)에 구비된 상기 자석(200)과 결합체(100)에 구비된 부착판(110)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응원을 위해서 상기 모자 또는 두건에 상기 응원도구(20)를 착용한 사람이 몸을 흔들거나 주위 사람들에 의해 충격을 받아서 응원도구(20)의 본체(300)에 구비된 상기 자석(200)과 결합체(100)에 구비된 상기 부착판(110)이 분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300)에 구비된 상기 자석(200)과 결합체(100)에 구비된 상기 부착판(110)이 외부 충격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소정의 강도를 유지하도록 강한 자력의 자석(2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100)에는 상기 부착판(110)을 구비할 수 있는 내부공간(1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0)는 상기 커버(400)와 결합하는 방면에 형성된 수나사(310)와, 상기 결합체(100)와 결합하는 방면에 수용체(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나사(310)의 내부에는 상기 커버(400)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장치(34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수나사(310)는 상기 커버(400)를 회전시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나선형의 측벽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나사(310)는 상기 커버(4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의 수용체(320)보다 원주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체(320)는 하부에 자석(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자석(200)에 의하여 상기 발광장치(340)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 또는 불투명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400)는 하부 원주보다 상부의 원주가 좁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원뿔 형상은 상부로 올라갈수록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원도구(20)는 상기 본체(300)와 상기 커버(400)가 결합될 때 상기 커버(400)가 상기 본체(300)와 결합력을 높이도록 하며 상기 발광장치(340)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밀폐형 가스켓(5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20)는 의류잡화(10)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체(100)와, 상기 결합체(100)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와 착탈 가능한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100)는 내부공간(120)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120)에는 부착판(110)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300)에 구비되는 상기 자석(200)과 자기력에 의하여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결합체(100)는 의류잡화(10) 내부에 구비하여 의류잡화(10)를 착용하였을 때 상기 결합체(100)에 의하여 착용감에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하여 의류잡화(10)를 착용하였을 때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착판(110)은 철판 또는 자석(200)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석(2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착판(110)을 자석(200)으로 형성하면 상기 자석(200)과 다른 극의 자석(2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200)과 상기 다른 극의 자석(200)이 결합 되는 사이에는 의류잡화(10)에 의하여 자기력이 발생하였을 때 방해를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자석(200)과 상기 다른 극의 자석(200)은 소정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에 분리되거나 의류잡화(10)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은 철판 또는 자석(200)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석(20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착판(110)을 자석(200)으로 형성하면 상기 자석(200)과 다른 극의 자석(2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200)과 상기 다른 극의 자석(200)이 결합 되는 사이에는 의류잡화(10)에 의하여 자기력이 발생하였을 때 방해를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자석(200)과 상기 다른 극의 자석(200)은 소정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외부의 충격에 분리되거나 의류잡화(10)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100)에는 상기 부착판(110)을 구비할 수 있는 내부공간(1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20)은 부착판(110)이 외부로 탈락하거나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부착판(110)의 원주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100)와 상기 부착판(110)은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공간(12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300)는 상기 커버(400)와 결합하는 방면에 형성된 수나사(310)와, 상기 결합체(100)와 결합하는 방면에 수용체(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나사(310)는 상기 커버(400)와 결합하는 방면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장치(340)를 구비하는 상부공간(33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공간(330)의 측벽에는 상기 커버(400)와 나선결합을 할 수 있도록 수나사(3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나사(310)는 상기 커버(4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의 수용체(320)보다 원주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체(320)는 하부에 자석(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자석(200)에 의하여 상기 발광장치(340)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체(320)의 두께가 작게 형성되면 전자회로기판으로 형성된 상기 발광장치(340)가 상기 수용체(3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자석(200)에 의하여 오류를 발생하는 등의 고장이 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용체(320)의 두께를 소정 이상 두껍게하여 상기 자석(200)에 의한 자기장이 상기 발광장치(340)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체(320)는 상기 자석(200)을 삽입시키는 수용공간의 밑판에 고무 등의 자기장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재료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발광장치(340)는 상기 커버(400)의 내부에서 상기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343)와, 상기 발광소자(343)의 발광타입을 설정하는 제어회로(342)와, 상기 제어회로(342)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344)와, 상기 전지(344)와 상기 제어회로(342)와 상기 발광소자(343)가 고정되는 회로판(341)과 상기 회로판(341)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회로(342)를 제어하는 스위치(34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343)는 상기 회로판(341)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LED전구 또는 LCD전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343)는 다양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342)는 상기 발광소자(343)가 발광하는 타입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를 응원할 때 상기 발광소자(343)가 3.3.7박수 또는 각 구단의 응원 리듬에 맞게 상기 발광소자(343)가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회로(342)에 발광타입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지(344)는 상기 회로판(341)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회로(342)로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발광소자(343)가 빛을 발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지(344)는 상기 회로판(341)에서 착탈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전지(344)는 수은전지(344) 등의 소형의 전지(344)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로판(341)은 상기 본체(300)의 상부공간(330) 중앙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회로판(341) 상부에는 상기 제어회로(342)와 상기 발광소자(343)와 상기 전지(34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판(341)의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346)의 내부공간(120)까지 연장되는 전류핀(34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류핀(345)은 전류가 흐르는 철재 등의 재질로 2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전류핀(345)은 상기 전지(344)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상기 제어회로(34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346)는 상기 전류핀(345)과 접하여 상기 전지(344)의 전류가 상기 제어회로(342)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류판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위치(346)가 눌렸을 때 탄성에 의하여 원상태로 돌아가게 하는 탄성장치(347)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류핀(345)이 상기 스위치(346) 내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346)의 상부공간(330)에는 가이드홀(34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스위치(346)는 누름 횟수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343)의 발광타입을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번 누를 시 3.3.7 박수 리듬과 동일한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는 타입이 선택이 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를 시 일정 간격으로 지속적인 발광을 하는 타입이 선택이 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를 시 응원 구단의 응원에 맞게 발광할 수 있는 타입 등 사용자가 원하는 발광타입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346)의 최단부는 상기 자석(20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체(100)와 결합하였을 때 스위치(346)가 오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346)가 상기 자석(200)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있으면 상기 결합체(100)와 상기 자석(200)이 결합될 때 상기 결합체(100)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346)가 상부로 상승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위치(346)의 가이드홀(348)에 삽입된 상기 전류핀(345)이 전류판과 결합되어 상기 발광소자(343)에 빛이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346)를 사용하여 상기 응원도구(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체(100)와 상기 본체(300)를 결합시키기 전에 상기 스위치(346)를 조작하여 상기 응원도구(20)에 빛이 발광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자석(200)은 상기 본체(300)의 수용체(3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석(200)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고정되어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을 받았거나 응원을 위해서 상기 모자 또는 두건에 상기 응원도구(20)를 착용한 사람이 몸을 흔들어 주위 사람들에 의해 충격을 받아서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된 상기 자석(200)이 상기 본체(3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200)의 중앙에는 상기 스위치(346)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별도의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 또는 불투명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0)와 상기 본체(300)의 상부공간(330)이 결합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300)의 상부공간(330)에 고정되는 상기 발광장치(340)가 발광을 하면 상기 커버(400)를 통해서 상기 발광장치(340)의 빛이 외부로 표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400)는 하부 원주보다 상부의 원주가 좁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원뿔 형상은 상부로 올라갈수록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선형태는 악마의 뿔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400)는 하트모양, 사슴뿔, 고양이귀, 곰귀, 강아지귀, 천사날개 등 다양한 사물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40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30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310)와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4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나사(310)와 상기 암나사(410)가 결합될 때 상기 암나사(410)와 상기 수나사(31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밀폐형 가스켓(5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가스켓(500)은 상기 전지(344)에서 발생하는 고열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3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가스켓(500)은 상기 본체(300)의 수나사(310)와 상기 수용체(320)가 접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400)의 암나사(410)가 상기 본체(300)의 수나사(310)와 결합을 할 때 상기 수나사(310)와 상기 암나사(4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가스켓(500)에 의하여 상기 수나사(310)는 상기 암나사(410)와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충격에 의하여 커버(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형 가스켓(500)에 의하여 상기 수나사(310)와 상기 암나사(4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빗물 등과 같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0) 내부에 구비된 발광장치(340)의 전지(344)가 오랜 시간 작동하여 발생할 수 있는 고열의 액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구, 축구 등의 야외 운동경기를 응원할 때 상기 응원도구(20)를 사용하면 비나 물 등에 의하여 응원도구(20)가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응원도구(20)의 커버(40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면 전자식의 발광장치(340)가 고장이 나거나 화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피해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기가 종료될 때까지 응원도구(20)의 작동시키므로 전지(344)의 오랜 사용에 의하여 전지(344)의 전해액인 수산화칼륨이 고열을 발생시키며 흐를 수 있으므로 상기 전해액이 응원도구(20)의 본체(300) 외부로 방출되면 사용자의 머리로 흘러 화상 등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응원도구(20)에 커버(400)와 본체(300) 사이에 밀폐형 가스켓(500)을 구비하여 외부에서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선 전지(344)의 전해액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피해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를 활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20)는 의류잡화(10)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체(100)와, 상기 결합체(100)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와 착탈 가능한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원도구(20)는 상기 의류잡화(10)의 다양한 위치에서 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자에 상기 악마의 뿔이나 사슴뿔, 고양이귀 등의 커버(400)를 사용할 시에는 상기 응원도구(20)를 상기 모자의 양 측면에 장착하여 연출할 수 있고, 상기 천사날개 형상의 커버(400)를 사용할 시에는 상기 응원도구(20)를 상기 모자의 뒤쪽에 장착하여 연출할 수 있으며, 하트모양의 커버(400)를 사용할 시에는 상기 응원도구(20)를 상기 모자의 앞쪽에 장착하여 연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의 결합체를 머리띠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20)는 머리띠(600)에 구비되는 결합체(100)와, 상기 결합체(100)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와 착탈 가능한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원도구(20)의 상기 결합체(100)를 머리띠(600)에 부착하여 두건, 모자 등의 의류잡화(10)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응원도구(20)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머리띠(600)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귀에 걸어서 머리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띠(600)의 일 측면에는 상기 결합체(100)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100)는 상기 머리띠(600)를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였을 때 외부의 일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머리띠(600)에 부착된 상기 결합체(100)는 부착판(110)에 의하여 자석(200)을 구비하는 상기 본체(3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300)는 발광장치(340)에 의하여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빛은 상기 자석(200)의 중심에 형성된 스위치(346)에 의하여 발광하는 패턴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0)는 커버(400)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300)의 발광장치(340)에서 발광하는 빛이 외부로 표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의 소리감지센서와 발광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20)는 결합체(100)와, 상기 결합체(100)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본체(300)와, 상기 본체(300)와 착탈 가능한 커버(400)와, 상기 본체(300) 내부에 구비되는 소리감지센서(700)와 빛을 발광하는 발광장치(34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장치(340)는 상기 커버(400)의 내부에서 상기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343)와, 상기 발광소자(343)의 발광타입을 설정하고 상기 소리감지센서(70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회로(342)와, 상기 제어회로(342)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344)와, 상기 전지(344)와 상기 제어회로(342)와 상기 발광소자(343)가 고정되는 회로판(341)과 상기 회로판(341)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회로(342)를 제어하는 스위치(34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소리감지센서(700)는 본체(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바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리감지센서(700)가 본체(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보였으나. 소리감지센서(700)는 본체(30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소리감지센서(700)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발광장치(340)의 제어회로(342)에 전달되고, 제어회로(342)는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소리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된 소리의 패턴에 맞춰 동일한 패턴의 빛을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응원구단의 응원가나 구호에 맞춰 발광장치(340)를 발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장치(34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리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된 소리의 패턴에 맞춰 동일한 패턴의 빛을 발광할 수 있지만, 소리에 상관없이 일정 간격으로 지속적인 빛을 발광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회로(342)에는 소리감지센서(70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1모드(349a)와, 소리에 상관없이 일정 간격으로 지속적인 빛을 발광하는 제2모드(349b)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의 소리에 맞춰 빛을 발광하고자 할 때에는 제1모드(349a)를 선택하여 소리의 패턴에 맞춰 동일한 패턴의 빛을 발광할 수 있고, 소리에 상관없이 3.3.7 박수 리듬 등과 같은 동일한 패턴으로 빛을 발광하고자 할 때에는 제2모드(349b)를 선택하여 일정 간격으로 지속적인 빛을 발광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지로부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오프모드를 구비하여 발광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지와 제어회로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지의 전력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제1모드(349a), 제2모드(349b), 오프모드(미도시)는 스위치(346)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346)를 한번 누를 시 외부 소리의 패턴에 맞춰 동일한 패턴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제1모드(349a)가 선택이 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를 시 소리에 상관없이 3.3.7 박수 리듬 등과 같은 동일한 패턴이 일정 간격으로 지속적인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제2모드(349b)가 선택이 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를 시에는 오프모드(미도시)가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회로(342)가 제1모드(349a), 제2모드(349b), 오프모드(미도시)만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제어회로(342)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모드를 더 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모드(349b)는 사용자에 기호에 따라 다양한 발광타입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3.7 박수 리듬과 동일한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는 타입, 일정 간격으로 지속적인 발광을 하는 타입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의 발광타입 또한 스위치(346)의 조작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광장치(340)는 사용자의 간단한 스위치(346) 조작을 통해 다양한 방법과 타입으로 빛을 발광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도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의류잡화 20: 응원도구
100: 결합체 200: 자석
300: 본체 310: 수나사
320: 수용체 330: 상부공간
340: 발광장치 400: 커버
500: 밀폐형 가스켓 600: 머리띠
700: 소리감지센서

Claims (11)

  1. 의류잡화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체와,
    상기 의류잡화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결합체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자석과,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체는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및 상기 결합체가 상기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의류잡화에 고정되도록 하는 부착판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방면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구비하는 상부공간과, 상기 자석의 자성에 의해 상기 발광장치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수용체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타입을 설정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와 상기 제어회로와 상기 발광소자를 고정하는 회로판과, 상기 회로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머리띠의 일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와 나선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도구.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지에서 발생하는 고열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형 가스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도구.
  7. 의류잡화 내부에 구비되는 결합체와,
    상기 의류잡화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결합체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자석과,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한 커버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감지센서와,
    상기 소리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소리의 패턴에 맞춰 동일한 패턴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체는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및 상기 결합체가 상기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의류잡화에 고정되도록 하는 부착판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방면에 상기 발광장치를 구비하는 상부공간과, 상기 자석의 자성에 의해 상기 발광장치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수용체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타입을 설정하고 상기 소리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와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제어회로를 고정하는 회로판과, 상기 회로판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회로를 조작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소리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1모드와, 상기 소리에 상관없이 일정 간격으로 지속적인 빛을 발광하는 제2모드를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도구.
  8. 삭제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머리띠의 일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도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지에서 발생하는 고열의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형 가스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도구.












KR1020130096478A 2013-04-10 2013-08-14 응원 도구 KR10141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4361 WO2015023046A1 (ko) 2013-08-14 2014-05-15 응원도구 및 응원도구를 이용한 카드 섹션 응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038 2013-04-10
KR20130039038 2013-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827B1 true KR101416827B1 (ko) 2014-07-08

Family

ID=5174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478A KR101416827B1 (ko) 2013-04-10 2013-08-14 응원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8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55617A1 (en) * 2015-08-24 2017-03-02 Irwin Girven Hat Embellishing System
KR101916451B1 (ko) * 2018-05-11 2018-11-07 손규보 장식품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주머니를 포함하는 제품
KR102044925B1 (ko) * 2018-09-28 2019-11-14 손규보 배터리를 포함하는 장식품의 부속품을 보관할 수 있는 주머니를 구비한 모자
KR102191457B1 (ko) * 2020-06-29 2020-12-15 강은규 푸쉬버튼형 라이트를 이용한 안전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303Y1 (ko) * 1993-10-09 1996-03-20 김재덕 전광판이 부착된 응원용 모자
KR200331834Y1 (ko) 2003-07-31 2003-11-01 시 철 전 옷 장식구
KR20090012649U (ko) * 2008-06-07 2009-12-10 이랄라 탈착되는 장신구가 구비된 헤어밴드
KR20110011014U (ko) * 2010-05-20 2011-11-28 유정진 자동차용 장식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303Y1 (ko) * 1993-10-09 1996-03-20 김재덕 전광판이 부착된 응원용 모자
KR200331834Y1 (ko) 2003-07-31 2003-11-01 시 철 전 옷 장식구
KR20090012649U (ko) * 2008-06-07 2009-12-10 이랄라 탈착되는 장신구가 구비된 헤어밴드
KR20110011014U (ko) * 2010-05-20 2011-11-28 유정진 자동차용 장식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55617A1 (en) * 2015-08-24 2017-03-02 Irwin Girven Hat Embellishing System
KR101916451B1 (ko) * 2018-05-11 2018-11-07 손규보 장식품을 탈착 가능하게 수용하는 주머니를 포함하는 제품
KR102044925B1 (ko) * 2018-09-28 2019-11-14 손규보 배터리를 포함하는 장식품의 부속품을 보관할 수 있는 주머니를 구비한 모자
KR102191457B1 (ko) * 2020-06-29 2020-12-15 강은규 푸쉬버튼형 라이트를 이용한 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39972A1 (en) Control device for mounting on electrically heated articles of apparel
KR101416827B1 (ko) 응원 도구
US9732948B1 (en) Hands-free LED lighting system
US8157402B2 (en) Illuminated helmet with programmable lamps and proximity sensor
US20160209731A1 (en) Light struct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60182297A1 (en) Garment with water-resistant speakers
US20150032021A1 (en)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fatigue monitoring apparatus and fatigue detecting helmet thereof
US11673038B1 (en) Digital patch for discrete signaling, a baseball glove including same,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WO2006070724A1 (ja) ソーラー視認装置
US20060187066A1 (en) Armlet-type alarm
KR100758701B1 (ko) 착용형 디스플레이
US20170202293A1 (en) ANSI approved rechargeable, lighted, blue tooth hardhat
US6097300A (en) Multifunctional sensing and control assembly
KR200447718Y1 (ko) 유아용 신발
US10323840B1 (en) Wearable article and intelligent wearable device
KR102506694B1 (ko) 외장 마이크를 위한 인공 와우 외부기
KR102107096B1 (ko) 발광 장갑
CN209806134U (zh) 一种手势传感控制的灯具
JP3230237U (ja) スマート発光装置
CN111583562B (zh) 电子握手器
KR20200006697A (ko) 형상 변형 가면
KR102310150B1 (ko) 전자식 호루라기 어셈블리
KR200494893Y1 (ko) Led 안전 의류용 패치
CN213599277U (zh) 一种发光组件和包括发光组件的可穿戴设备
KR101777718B1 (ko) 헬멧용 라이트 스위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