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893Y1 - Led 안전 의류용 패치 - Google Patents

Led 안전 의류용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893Y1
KR200494893Y1 KR2020210001794U KR20210001794U KR200494893Y1 KR 200494893 Y1 KR200494893 Y1 KR 200494893Y1 KR 2020210001794 U KR2020210001794 U KR 2020210001794U KR 20210001794 U KR20210001794 U KR 20210001794U KR 200494893 Y1 KR200494893 Y1 KR 200494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unit
display unit
speaker
safety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장동수
김남수
Original Assignee
김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수 filed Critical 김남수
Priority to KR2020210001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4Displays including an emergency or alarm me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09F21/023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fixed on cloth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82Forms or constructions for textiles, e.g. clot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ED 안전 의류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복의 후면에 탈부착 되는 패치부와 패치부의 일면을 발광시키는 표시부와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의복의 전면에 위치하여 표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의환기 시킬 수 있도록 재생되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LED 안전 의류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ED 안전 의류용 패치{LED PATCH FOR SAFETY CLOTHING}
본 고안은 LED 안전 의류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복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패치부와 패치부의 일면에 문구 또는 경고표시를 발광시키는 표시부를 형성하여 야간에 착용자의 시인성을 높이고, 주의환기 시킬 수 있도록 경고음을 재생하는 스피커를 형성한 제어부를 구비한 LED 안전 의류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의복은 개인 보호 장비(personal protection equipments: PPE)의 범주에 포함되며, 안전을 요하는 작업장에서 사용되거나 어두운 공간에서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착용된다.
안전의복은 환경미화원, 경찰관, 건설노동자, 공항 근무자, 주차안내원 등이 주로 착용하며, 보통 작업현장에서 사용되지만 최근 야외 스포츠나 레저 활동이 많아지면서 야간에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착용하는 생활형 안전의복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특히, 야간작업자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착용하는 기존의 안전의복에 사용되는 재귀반사 테이프는 외부의 광원이 없이는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 도중 위험에 노출되기가 쉽다.
단순 반사형 안전 조끼에 비해 반사 및 발광 복합형 안전 조끼의 경우, 14배 가량 가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야간 교통사고 특성상 고시인성이 사고 예방의 필수적인 요소라는 사실로 볼 때 반사 및 발광 융합형 안전의복이 기존 반사형 안전 의복보다 높은 문제 해결 가능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장치는 외부의 광원과 별개로 자체 발광을 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시인성이 확보되어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안전의복은 발광장치를 획일적으로 배치하여 각 직업군에 필요한 정보를 인식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야간에 교통단속을 하거나 음주단속을 하기 위한 교통경찰의 시인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교통경찰의 안전을 위협하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2840호(2011.08.31.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의 해결하고자는 과제는 의복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패치부와 패치부의 일면에 문구 또는 경고표시를 발광시키는 표시부를 형성하여 야간에 착용자의 시인성을 형상시키고, 주의환기 시킬 수 있도록 경고음을 재생하는 스피커를 형성한 제어부를 구비한 새로운 구조의 LED 안전 의류용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패치부의 일면에 형성된 표시부를 해당 직업군에 대응하여 문구 또는 경고표시로 표현하여 일반적인 안전 의류에 패치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LED 안전 의류용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경고음과 패치부의 하부에 음향출력부를 형성하여 착용자의 시인성 뿐 아니라, 주변인들이 청각적으로 주의할 수 있게 한 LED 안전 의류용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LED 안전 의류용 패치는 의복의 후면에 탈부착 되는 패치부;
삭제
상기 패치부의 일면을 발광시키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의복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의환기 시킬 수 있도록 재생되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삭제
본 고안의 패치부는 상기 의복의 후면에 재봉되어 부착된 고정패치; 및
일면에 원하는 문구 또는 경고표시를 표현하고, 타면이 상기 고정패치에 탈부착 되는 메인패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의 표시부는 상기 문구를 따라 상기 패치의 타면에 LED소자를 배치하여 상기 LED소자의 작동으로 상기 문구를 발광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패치부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소형 스피커를 배치한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의 음향출력부는 초소형 스피커를 둘러 싼 진동막; 및
상기 초소형 스피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패치부의 일면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초소형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해주는 음향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는 의복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패치부와 패치부의 일면에 문구 또는 경고표시를 발광시키는 표시부를 형성하여 야간에 착용자의 시인성을 형상시키고, 경고음을 재생하는 스피커를 제어부에 구비하여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치부의 일면에 형성된 표시부를 해당 직업군에 대응하여 문구 또는 경고표시로 표현하여 일반적인 안전 의류에 패치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경고음과 패치부의 하부에 음향출력부를 형성하여 착용자의 시인성 뿐 아니라 주변인들이 청각적으로 주의할 수 있게 하여 야간에 업무를 보는 착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향출력부에 구비되는 초소형 스피커를 진동막이 둘러싸도록 하여 우천 시에도 초소형 스피커를 작동할 수 있게 하여 착용자의 전면과 후면에 동시에 경고음을 출력하여 보다 더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의 패치부 및 표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의 음향출력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를 부착한 의류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의 패치부 및 표시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의 음향출력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를 부착한 의류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10)는 패치부(100), 표시부(200), 제어부(300) 및 스피커(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10)는 의복(11)의 후면에 탈부착 되는 패치부(100), 패치부의 일면을 발광시키는 표시부(200),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의복의 전면에 위치하여 표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및 제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의환기 시킬 수 있도록 재생되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의복(11)은 환경미화원, 경찰관, 건설노동자, 공항 근무자, 주차안내원 등이 착용할 수 있는 안전 작업복, 조끼 및 유니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야간에 자동차 또는 가로등에 의해 빛이 반사되는 야광성 물질 또는 LED발광소자를 의복(11)의 외측면에 형성하여 착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사고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의복(11)은 전면에 제어부(300)를 수납하기 위한 포켓을 형성하고, 제어부(300)에 연결된 전선이 표시부(200)에 연결되도록 포켓의 일측에 제1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홀을 통과한 전선이 의복(11)의 내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1홀에 인접하여 전선이 끼워진 후 통과할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의복(11)의 어깨부분의 내측과 의복(11)의 후면 내측에 각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리는 밴드형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패치부(100)는 의복(11)의 후면에 탈부착 되는 것으로, 고정패치(110) 및 메인패치(120)를 더 포함한다.
고정패치(110)는 의복(11)의 후면에 재봉되어 부착된 패치이다.
즉, 의복(11)의 후면 상부에 메인패치(120)를 탈부착하기 위해 부착수단을 형성한 패치가 재봉되어 견고하게 위치된다.
또한, 고정패치(110)는 제어부(300)에 연결된 전선이 표시부(2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의복(11)의 후면에 홀이 형성되고, 홀에 연통하는 전선홀을 더 형성한다.
메인패치(120)는 일면에 원하는 문구 또는 경고표시를 표현하고, 타면이 고정패치(110)에 탈부착 되는 패치이다.
이러한, 메인패치(120)는 내열성이 있는 폴리아미드(polyamide) 소재가 포
함된 원단이 사용될 수 있고, 비닐, 실리콘 등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메인패치(120)는 안전의복에 탈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의복의 세탁 및 수선 등 안전의복을 교체하고 교체된 의복(11)에 탈부착할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200)는 패치부(100)의 일면을 발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200)는 문구를 따라 메인패치(120)의 타면에 LED소자를 배치하여 LED소자의 작동으로 문구를 발광시키는 것이다.
일례로, 야간 음주단속 또는 교통단속을 위한 경찰을 위해 "경찰", "POLICE"와 같은 문구를 메인패치(120)의 일면에 형성한다.
이때, 메인패치(120)의 일면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경찰의 배경색으로 이루어지고, 배경색에 하얀색의 문자로 형성된다. 그리고 표시부(200)는 메인패치(120)의 타면에 문자를 따라 LED소자를 배치하여 야간에 LED소자가 발광하거나 깜박임에 따라 메인패치(120)의 일면이 발광하거나 깜박이게 된다.
특히, 표시부(200)는 LED소자 뿐 아니라 EL테이프, PVC테이프에 발광다이오드가 접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00)는 착용자의 직업군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경고문구를 발광시켜 주의를 환기시키고 시인성을 향상시켜 사고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표시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의복(11)의 전면에 위치하여 표시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의복(11)의 전면에 형성된 포켓에 수납되는 케이스로 형성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전자회로가 형성된 PCB기판 및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단자 또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외부에 전원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가 형성된다.
또한, 제어부(300)는 배터리를 마찰전기 생성 모듈로 형성하여 배터리의 충전없이 착용자의 움직임을 전력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표시부(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피커(400)는 제어부(3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의환기 시킬 수 있도록 재생되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피커(400)는 의복(11)의 포켓에 수납된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어 주간, 야간에 상관없이 외부로 경고음 또는 착용자가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알림음을 출력해준다.
이로 인해, 시각적으로 착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청각적으로 위치를 확인하여 착용자의 사고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300)에 "교통단속중입니다", "음주단속중입니다", "공사중입니다", "접근금지", "청소중입니다" 및 주차안내를 위한 "내려가세요" 등과 같은 원하는 경고문구를 입력하면 스피커(400)를 통해 출력된다.
이로 인해, 우천, 야간 등 시인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청각적으로 대중에게 착용자의 위치를 인식시키고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LED 안전 의류용 패치(10)는 음향출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500)는 패치부(10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소형 스피커(510)를 배치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음향출력부(500)는 진동막(520) 및 음향홀(530)을 더 포함한다.
진동막(520)은 초소형 스피커(510)를 둘러 싼 막으로 우천 또는 강풍으로 초소형 스피커(51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음향홀(530)은 초소형 스피커(5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패치부(100)의 일면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초소형 스피커(510)를 통해 재생되는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해주는 홀이다.
일례로, 안전의복을 착용한 착용자의 전면에 위치한 스피커(400)에서 경고음이 출력되고, 패치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음향출력부(500)에서 경고음이 출력되면, 착용자의 전면과 후면에서 동시에 경고음이 출력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증대한다.
또한, 표시부(200)가 점등되거나 깜박이고, 스피커부(400) 및음향출력부(500)에서 경고음이 출력되면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착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로 인해, 야간작업 시, 착용자의 안전을 확보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LED 안전 의류용 패치
11 : 의복 100 : 패치부
110 : 고정패치 120 : 메인패치
200 : 표시부 300 : 제어부
400 : 스피커 500 : 음향출력부
510 : 초소형 스피커 520 : 진동막
530 : 음향홀

Claims (5)

  1. 의복의 후면에 탈부착 되는 패치부;
    상기 패치부의 일면을 발광시키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의복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표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의환기 시킬 수 있도록 재생되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패치부는 상기 의복의 후면에 재봉되어 부착된 고정패치; 및
    일면에 원하는 문구 또는 경고표시를 표현하고, 타면이 상기 고정패치에 탈부착 되는 메인패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문구를 따라 상기 패치의 타면에 LED소자를 배치하여 상기 LED소자의 작동으로 상기 문구를 발광시키고;

    상기 패치부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소형 스피커를 배치한 음향출력부가 장착되고, 여기서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초소형 스피커를 둘러 싼 진동막; 및
    상기 초소형 스피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패치부의 일면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초소형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해주는 음향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안전 의류용 패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10001794U 2021-06-08 2021-06-08 Led 안전 의류용 패치 KR200494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94U KR200494893Y1 (ko) 2021-06-08 2021-06-08 Led 안전 의류용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94U KR200494893Y1 (ko) 2021-06-08 2021-06-08 Led 안전 의류용 패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93Y1 true KR200494893Y1 (ko) 2022-01-19

Family

ID=8004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794U KR200494893Y1 (ko) 2021-06-08 2021-06-08 Led 안전 의류용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9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982A (ko) * 2001-10-05 2003-04-11 이인태 발광 패드 장치 및 그 발광 패드 장치가 장착된 의류
KR20110033593A (ko) * 2009-09-25 2011-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막에 부착된 질량체를 가진 압전형 마이크로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
KR101062840B1 (ko) 2008-09-16 2011-09-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KR20170089533A (ko) * 2016-01-27 2017-08-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안전 의류
KR20170105893A (ko) * 2016-03-10 2017-09-20 주식회사 애니맥스 Foled를 이용한 웨어러블 방식의 플랫폼 시스템
KR20200133875A (ko) * 2019-05-20 2020-12-01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안전 보호구 조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982A (ko) * 2001-10-05 2003-04-11 이인태 발광 패드 장치 및 그 발광 패드 장치가 장착된 의류
KR101062840B1 (ko) 2008-09-16 2011-09-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KR20110033593A (ko) * 2009-09-25 2011-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막에 부착된 질량체를 가진 압전형 마이크로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89533A (ko) * 2016-01-27 2017-08-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안전 의류
KR20170105893A (ko) * 2016-03-10 2017-09-20 주식회사 애니맥스 Foled를 이용한 웨어러블 방식의 플랫폼 시스템
KR20200133875A (ko) * 2019-05-20 2020-12-01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안전 보호구 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3114B1 (en) Hands-free LED lighting system
US20170143053A1 (en) Electro illuminating wire lighted safety vests
EP2024679A2 (en) Illuminated helmet
US20170307205A1 (en) Layered reflective strip, article, and/or garment, and methods for integrating electronic and/or electrical components for improving awareness, safety, and/or visibility
WO2006070724A1 (ja) ソーラー視認装置
KR101381860B1 (ko) 발광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의류
KR200494893Y1 (ko) Led 안전 의류용 패치
KR101096621B1 (ko) 안전가방
RU189212U1 (ru) Сигнальный жилет
US20050223464A1 (en) Luminescent vest equipped with plastic optical fibers
KR101096649B1 (ko) 안전우의
KR101859603B1 (ko) 발광 안전 밴드
US10588371B2 (en) Safety light apparatus for headwear
KR20090117210A (ko) 발광장치가 구비된 의류
KR20170110265A (ko) 발광 기능을 구비한 의복
JP2008223167A (ja) 発光標識体
JP4552127B2 (ja) 安全チョッキ
KR20100114403A (ko) 안전 우산
CN214677637U (zh) 一种可发光的安全雨衣
JP3236210U (ja) ヘルメット装着用発光帯状体
JP3148064U (ja) 安全チョッキ
KR200246712Y1 (ko) 구명복 부착용 발광장치
KR102631000B1 (ko) 발광 안전 밴드의 착탈식 구조
DE102021001208B4 (de) Flexibles Flächengebilde mit beleuchteten Flächenbereichen als Anzeigevorrichtung
KR101147813B1 (ko) 의류에 탈착 가능한 발광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