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840B1 -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840B1
KR101062840B1 KR1020080090602A KR20080090602A KR101062840B1 KR 101062840 B1 KR101062840 B1 KR 101062840B1 KR 1020080090602 A KR1020080090602 A KR 1020080090602A KR 20080090602 A KR20080090602 A KR 20080090602A KR 101062840 B1 KR101062840 B1 KR 101062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transistor
waist belt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807A (ko
Inventor
정기수
김연상
이대훈
박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9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8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3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함으로써, 야간에 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도 착용자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순간적으로 고전류를 흘려 발광 다이오드를 반복 점멸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시간 및 발광 다이오드의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허리 벨트와, 어깨 걸이부로 이루어진 안전 재킷에 있어서, 허리 벨트 및 어깨 걸이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된 배터리와, 배터리의 전압을 낮춰 출력하는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LDO:Low Drop Out Regulator)와,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에 연결되어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전압을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턴온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턴온되는 제2트랜지스터와,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와 제1트랜지스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동시에, 허리 벨트 및 어깨 걸이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다수의 제1발광 다이오드와,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와 제2트랜지스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동시에, 허리 벨트 및 어깨 걸이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다수의 제2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안전 재킷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SAFETY JACKET WITH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에 관한 것이다.
안전 재킷은 교통 경찰관, 환경 미화원, 도로 공사 현장 및 건설 현장 작업자 등을 운전자나 기타 사람들이 야간에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체에 착용하는 안전용품으로서, 허리 벨트 및 어깨 걸이부와, 상기 허리 벨트 및 어깨 걸이부에 부착되어 빛을 반사하는 반사지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어깨 걸이부를 양쪽 어깨에 걸치고 허리 벨트를 허리에 둘러매면 착용이 완료되고,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빛을 받으면 반사지에 의해 반사되어 용이하게 식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전 재킷은 반사지가 빛을 받아야만 그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는 식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경우, 전조등 빛이 미치는 범위에 도달해서야 착용자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므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시간적 여유의 부족 및 심적 준비의 미비로 교통사고가 돌발되고는 했다.
특히 직선주로와 달리 곡선주로는 좌로 굽은 도로의 경우에 우측으로, 우로 굽은 도로의 경우에 좌측으로 전조등빛이 치우쳐 그 반대편에 빛의 사각지역이 생기기 마련이므로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만 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함으로써, 야간에 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도 착용자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간적으로 고전류를 흘려 발광 다이오드를 반복 점멸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시간 및 발광 다이오드의 수명을 최대한 길게 유지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허리 벨트와, 어깨 걸이부로 이루어진 안전 재킷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걸이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낮춰 출력하는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LDO:Low Drop Out Regulator);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에 연결되어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전압을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에 의해 턴온되는 제1트랜지스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에 의해 턴온되는 제2트랜지스터;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동시에,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걸이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다수의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동시에,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걸이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다수의 제2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를 차례로 턴온하여,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가 차례로 턴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턴온 시간이 1초 동안 3~10밀리초(millisecond)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에 정격 전류보다 높은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걸이부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뒤천; 상기 뒤천에 접착제로 접착된 연성회로기판;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 접착제 및 발광 다이오드를 덮으며, 상기 뒤천에 접착된 투명 비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은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함으로써, 야간에 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도 착용자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은 순간적으로 고전류를 흘려 발광 다이오드를 반복 점멸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시간 및 발광 다이오드의 수명을 최대한 길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은 허리 벨트(11) 및 이 허리 벨트(11)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양 어깨에 걸치는 어깨 걸이부(12)와, 상기 허리 벨트(11) 및 어깨걸이부(12)의 전반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달린 다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14)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14)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9V의 배터리(15)와, 상기 배터리(15)와 발광 다이오드(14) 간의 전기적 연결을 잇거나 끊는 조작스위치(16)와, 상기 허리 벨트(11) 또는 어깨걸이부(12)에 박음질로써 부착된 배터리 수납부(17)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허리 벨트(11)는 허리에 둘러맨 상태를 유지시키고,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알맞게 조임 정도를 조절하도록 양끝에 벨크로테이프(11a)가 박음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깨걸이부(12)는 허리 벨트(11)의 앞, 뒤쪽에 양끝이 각각 연결되고, 아울러 양쪽 어깨에 걸칠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작스위치(16)는 어느 곳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나 조작의 편리성을 고려,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배터리 수납부(17)는 배터리(15)를 수납하고, 여기에서 배터리가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덮개가 달린 포켓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깨걸이부(12)를 양쪽 어깨에 걸치고 허리 벨트(11)를 벨크로테이프 (11a)로써 허리에 약간의 압박감을 느끼도록 단단히 둘러매면 착용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 야간에 작업하는 경우, 조작스위치(16)를 조작하여 온 작동시킨다.
그러면 배터리(15)의 동작전원은 발광 다이오드(14)에 공급되고, 발광 다이오드(14)는 빛을 발한다.
이때 주변에서는 빛이 없어 어두운 곳에서도 착용자의 명확한 존재 파악이 가능한 한편 착용자는 교통사고 등과 같은 위험으로부터의 안전이 확보된다.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비록 어깨걸이부의 구조만을 도시하였으나, 허리 벨트도 동일한 구조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천(17)과, 상기 뒤천(17)에 접착제(18)로 접착된 연성회로기판(19)과, 상기 연성회로기판(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연성회로기판(19), 접착제(18) 및 발광 다이오드(14)를 덮으며, 상기 뒤천(17)에 접착된 투명 비닐(20)을 포함한다.
상기 뒤천(17)은 부드러운 일반 천으로서 쉽게 접을 수 있다. 물론, 상기 뒤천(17)은 천 재질이 아닌 수지 재질일 수도 있다.
상기 연성회로기판(19)은 쉽게 구부릴 수 있는 회로기판(19)으로서 상기 뒤천(17)에 접착제(18)로 접착된다. 물론, 상기 연성회로기판(19)은 접착제(18) 대신 재봉질에 의해 상기 뒤천(17)에 부착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연성회로기판(19)에는 발광다이오드(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도전성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기판(19)을 길게 형성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코넥터를 이용하여 다수의 연성회로기판(19)을 서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4)는 상기 연성회로기판(19)에 표면 실장 또는 관통 실장되어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14)는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비닐(20)은 상기 연성회로기판(19), 접착제(18) 및 발광 다이오드(14)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14)의 빛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사되도록 한다. 상기 투명 비닐(20)은 접착제 또는 재봉질에 의해 상기 뒤천(17)에 접착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투명 비닐(20)은 반투명할 수도 있으며, 야간 또는 주간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야광체 또는 형광체가 도포된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의 구동을 위한 구동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재킷의 구동 회로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와,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LDO:Low Drop Out Regulator)(U2)와,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와, 제1트랜지스터(Q1)와, 제2트랜지스터(Q2)와, 다수의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와, 다수의 제2발광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의 도면 부호 14를 이용하지 않고, 회로 부호를 이용한다.
상기 배터리는 1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 가능한 재충전 배터리일 수 있으나,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실제로 9V의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U2)는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낮춰 출력한다. 물론,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U2)는 전압을 안정화시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U2) 사이에는 다이오드(D1)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를 역방향으로 결합하였을 경우 회로가 동작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밖에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U2) 주변에 연결된 커패시터(C1,C2,C4)는 발진 등을 방지하고, 입력 전압 또는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중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U2)에 연결된 출력 단자 VCC가 이후에 설명될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 또는 발광 다이오드(CR1,CR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가 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는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U2)에 연결되어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소정 전압(게이트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는 실질적으로 2개를 구비하였는데, 이는 동일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1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만 있어도, 본원 발명에 개시된 동작을 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를 구비한 이유는 어느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대한 조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이다. 즉, 본 발명에서 채택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제조 회사가 다르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어느 한 회사의 조달이 어렵다고 해도 다른 제조 회사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채택하여 신속하게 구동 회로를 구비하여 정부에 납품할 수 있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에 연결되어, 소정 전압을 입력받는다. 즉,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일례로 N채널 파워 트렌치 MOSFET으로서 게이트 단자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에 연결된다. 드레인 단자는 접지되어 있고, 소스 단자와 전원 단자(VCC) 사이에 다수의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원 단자(VCC)는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U2)의 출력 단자(VCC)이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가 안전 자켓의 어깨 걸이부(12) 또는 허리띠(11)에 설치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Q2) 역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에 연결되어, 소정 전압을 입력 받는다. 즉,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는 일례로 N채널 파워 트렌치 MOSFET으로서 게이트 단자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에 연결된다. 드레인 단자는 접지되어 있고, 소스 단자와 전원 단자 사이에 다수의 제2발광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원 단자(VCC)는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U2)의 출력 단자(VCC)이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가 안전 자켓의 어깨 걸이부(12) 또는 허리띠(11)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U2)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Q1) 사이에 다수의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가 직렬로 연결된 동시에, 상기 허리 벨트(11) 및 상기 어깨 걸이부(12)에 설치된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는 안전 재킷의 좌측에 일렬 또는 다열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U2)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2) 사이에 다수의 제2발광 다이오드가 직렬로 연결된 동시에, 상기 허리 벨트(11) 및 상기 어깨 걸이부(12)에 설치된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제2발광 다이오드는 안전 재킷의 우측에 일렬 또는 다열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를 차례로 턴온하여,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 및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가 차례로 턴온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일정 시점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는 안전 재킷의 좌측에 설치된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를 턴온하고, 안전 재킷의 우측에 설치된 제2발광 다이오드를 턴오프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는 안전 재킷의 좌측에 설치된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를 턴오프하고, 안전 재킷의 우측에 설치된 제2발광 다이오드를 턴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전 재킷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제2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킴으로써, 인식률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제2발광 다이오드는 잔광이 있기 때문에, 이를 관측하는 관측자는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제2발광 다이오드가 거의 동시에 켜진 것으로 보여진다.
실질적으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U1,U4)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Q1)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턴온 시간을 1초 동안 3~10밀리초(millisecond)가 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 및 제2발광 다이오드는 1초 동안 3~10밀리초동안 턴온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안전 재킷의 좌측에 결합된 다수의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가 1초중 대략 3~10밀리초 동안 턴온된다. 이어서, 안전 재킷의 우측에 결합된 다수의 제2발광 다이오드가 다음의 1초중 대략 3~10밀리초 동안 턴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제2발광 다이오드는 계속 반복해서 발광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제2발광 다이오드는 잔광 효과가 있기 때문에 거의 동시에 켜진 것으로 보여진다.
더불어, 상기 저강하 출력 레귤레이터(U2)는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 및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에 정격 전류보다 더 높은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실제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 및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의 정격 전류가 20mA 이하이지만,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 및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에 대략 150mA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 및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의 턴온 시간이 대략 3~10밀리초로 매우 짧기 때문에,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CR1,CR2) 및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는 파손되지 않았다. 물론, 매우 높은 전류를 흘렸기 때문에,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휘도는 높았고, 또한 잔광 효과로 인하여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제2발광 다이오드는 거의 동시에 켜진 것으로 인식되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에서 발광 다이오드의 턴온 시간과 배터리 전압의 관계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먼저 도 4a에서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의 턴온 시간을 1초중 대략 7밀리초로 설정하였을 경우 점멸 효율은 대략 90%에 이른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턴온시간이 7밀리초에 불과하므로 배터리의 전압 강하는 매우 작게 일어나고, 또한 원래의 비슷한 전압으로 회복하는데 시간이 충분하므로, 다음번의 점멸 시에도 배터리 전압의 강하 현상은 별로 없었다. 이와 같이 짧은 시간동안 발광 다이오드에 전압 및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가능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진다. 또한 짧은 시간 동안 발광 다이오드가 턴온됨으로써,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수명도 길어진다.
그러나 도 4b에서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의 턴온 시간을 1초중 대략 500밀리초로 설정하였을 경우 점멸 효율은 대략 50%로 떨어진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턴온 시간이 500밀리초나 되므로 배터리의 전압 강하는 상대적으로 크게 일어나고, 또한 원래의 비슷한 전압으로 회복하는데 시간이 불충분하므로, 다음번의 점멸 시에 배터리 전압의 강하 현상은 점점 커진다. 이와 같이 오랜 시간동안 발광 다이오드에 전압 및 전류를 인가하여야 함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가능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수명도 짧아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 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의 구동을 위한 구동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에서 발광 다이오드의 턴온 시간과 배터리 전압의 관계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Claims (5)

  1. 허리 벨트와, 어깨 걸이부로 이루어진 안전 재킷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걸이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된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낮춰 출력하는 레귤레이터(LDO:Low Drop Out Regulator);
    상기 레귤레이터에 연결되어 1초에 3~10밀리초(millisecond)동안 전압을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에 의해 턴온되는 제1트랜지스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상기 전압에 의해 턴온되는 제2트랜지스터;
    상기 레귤레이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동시에,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걸이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레귤레이터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동시에,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걸이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2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를 차례 로 턴온하여,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가 차례로 턴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1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발광 다이오드에 정격 전류보다 높은 전류가 흐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 및 상기 어깨 걸이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뒤천;
    상기 뒤천에 접착제로 접착된 연성회로기판;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연성회로기판, 접착제 및 발광 다이오드를 덮으며, 상기 뒤천에 접착된 투명 비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KR1020080090602A 2008-09-16 2008-09-16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KR10106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602A KR101062840B1 (ko) 2008-09-16 2008-09-16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602A KR101062840B1 (ko) 2008-09-16 2008-09-16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807A KR20100031807A (ko) 2010-03-25
KR101062840B1 true KR101062840B1 (ko) 2011-09-07

Family

ID=4218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602A KR101062840B1 (ko) 2008-09-16 2008-09-16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8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5425A (zh) * 2015-05-08 2015-09-16 苏州市吴中区大明针织漂染有限公司 一种环卫工服装
KR200489576Y1 (ko) * 2019-03-04 2019-07-05 (주)세진플러스 발광 기능을 갖는 안전의복
KR200494893Y1 (ko) 2021-06-08 2022-01-19 김남수 Led 안전 의류용 패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61Y1 (ko) 2001-05-07 2001-12-01 박석무 전계발광을 이용한 점멸 반사 안전조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61Y1 (ko) 2001-05-07 2001-12-01 박석무 전계발광을 이용한 점멸 반사 안전조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5425A (zh) * 2015-05-08 2015-09-16 苏州市吴中区大明针织漂染有限公司 一种环卫工服装
KR200489576Y1 (ko) * 2019-03-04 2019-07-05 (주)세진플러스 발광 기능을 갖는 안전의복
KR200494893Y1 (ko) 2021-06-08 2022-01-19 김남수 Led 안전 의류용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807A (ko)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402B2 (en) Illuminated helmet with programmable lamps and proximity sensor
US10076142B2 (en) Durable reflective safety apparel with active laser illumination
US9243797B2 (en) Wearing apparel with LED light module
US20130128555A1 (en) Led device having printable layer
US20110164406A1 (en) Wearable article capable of illumination
KR102171493B1 (ko)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
KR101062840B1 (ko)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US10071901B2 (en) Safety illumination device for a horse
US7448766B1 (en) Shining belt
KR20170110265A (ko) 발광 기능을 구비한 의복
US11268688B2 (en) Illumination apparatus
US20150223532A1 (en) Electroluminescent Costume Mask
US20100142192A1 (en) Illuminated Cap
JP4552127B2 (ja) 安全チョッキ
KR20090041123A (ko) 손목 착용형 램프
KR20160024595A (ko) 야간 안전 가방
AU2020102589A4 (en) The invention related to a quick/side release plastic buckle integrated with an LED (Light Emitting Diode[s]) light-emitting device that offers enhanced visibility, and safety of the pet during nighttime and low light environments.
KR200358780Y1 (ko) 의복용 발광장치
KR200268535Y1 (ko) 전계발광을 이용한 자동 점멸 애완동물 목걸이
KR200358784Y1 (ko) 안전조끼
JP3236210U (ja) ヘルメット装着用発光帯状体
KR200329049Y1 (ko) El wire를 구비한 밴드
JP3242438U (ja) 長尺体
KR200254561Y1 (ko) 전계발광을 이용한 점멸 반사 안전조끼
KR20180018228A (ko) 안전과 통풍을 고려한 학생용 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