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493B1 -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 - Google Patents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493B1
KR102171493B1 KR1020190006277A KR20190006277A KR102171493B1 KR 102171493 B1 KR102171493 B1 KR 102171493B1 KR 1020190006277 A KR1020190006277 A KR 1020190006277A KR 20190006277 A KR20190006277 A KR 20190006277A KR 102171493 B1 KR102171493 B1 KR 102171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ine
vest
led
typ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483A (ko
Inventor
문수진
Original Assignee
문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수진 filed Critical 문수진
Priority to KR1020190006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4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32Hook and loop-type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2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working 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 작업 시 기본적으로 확실한 발광성을 통해 뛰어난 안전 조끼로서 활용할 수 있고, 하수 관거나 밀폐 탱크 등 폐쇄된 작업 공간에서 환경 정보를 검출하여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고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 예방이 가능하며, 나아가 원격지의 관리처에서도 관리가 가능하여 안전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 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안전 작업 조끼로서, 조끼 형태의 조끼 본체; 상기 조끼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라인형 LED 모듈; 상기 조끼 본체에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을 탈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탈부착 수단;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을 제어하기 제어회로모듈을 구비한 컨트롤 박스;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어 상기 라인형 LED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LED구동 전원모듈; 및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며, 검출된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회로모듈로 전달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의 발광 인자를 다르게 제어하여 발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 조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WORK SAFE VEST INCLUDING STRIP TYPE SMART LED DEVICE BASED ON IOT}
본 발명은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 작업 시 기본적으로 확실한 발광성을 통해 뛰어난 안전 조끼로서 활용할 수 있고, 하수 관거나 밀폐 탱크 등 폐쇄된 작업 공간에서 환경 정보를 검출하여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고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 예방이 가능하며, 나아가 원격지의 관리처에서도 관리가 가능하여 안전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 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찰관들이 야간교통 정리를 하고, 근로자들이 작업장에서 야간작업을 하며 또한 환경미화원들이 새벽에 청소를 하는 경우와 같이 야간과 같은 어두운 환경에서 작업을 해야 할 때에 위험(특히, 교통사고)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안전조끼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안전조끼는 조끼 본체의 외부에 형광띠와 같은 야광띠를 부착해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야간작업용 안전조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끼(10)는 상체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목수납부(13) 및 팔수납부(15)가 형성된 망사형 조끼 본체(11)가 어깨걸이부와 허리 벨트로 구성되어 있다. 허리 벨트에는 양측면에는 탈 부착이 가능한 측면 허리조절부(23)와 전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전면 허리조절부(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어깨걸이부를 따라서 전면에는 일자로, 후면에는 "V"자 또는 "X"의 형태로, 야간에 빛을 반사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알리고 차량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어깨띠 형태로 반사판(17)이 부착되어 있으며, 허리 벨트부분에도 상기 측면 허리조절부(23)를 경계로 하여 전면 반사판(21)과 후면 반사판(19)이 띠 형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야간작업용 조끼는, 반사판이 합성수지를 사용하므로 일정한 경도를 가지므로 부서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겨울철에 낮과 밤의 기온차가 큰 경우에 합성수지가 손상되기가 쉬우며, 세탁시에도 부서지기 쉽다.
한편, 종래의 야간작업용 안전조끼는, 조끼본체의 외부에 형광띠나 발광띠와 같은 야광띠를 부착해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술한 종래의 야간작업용 안전조끼에 따르면, 형광띠와 발광띠 만을 사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표시하게 되어 있으므로, 형광띠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다른 빛이 존재해야 만 빛을 내게 되는 한계가 있는 한편 발광량이 적음과 아울러 빛의 차별성이 없어 표시기능이 약해서 다른 물체와 잘 식별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발광띠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발광량이 적음과 아울러 빛의 차별성이 없어 표시기능이 약해서 다른 물체와 잘 식별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다른 안전조끼로서, 조끼 표면에 통전에 의하여 점등되는 LED부재를 복수개 장착하는 안전조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조끼는, LED부재를 끼우는 쇠고리의 이탈이 용이하고 LED부재의 광량증가를 위한 방사효과가 적으며 또한 LED부재의 리드단자에 전기접속 되는 리드선이 가는 전선의 꼬임으로 되여 있어서 LED부재의 리드단자에 리드선을 납땜질로 접속할때 납땜이 모관현상으로 리드선의 꼬임선내로 약간 흘러들어가므로해서 이 부분에서 리드선의 유연성이 손상되고 그 결과 전기 접속 부분이 경화되게 되므로 이와 같이 납땜한 리드선이 재귀성 반사시트와 안전조끼사이에 위치하면 작업자가 이것을 끼워입고 작업할 때 이 경화된 부분에 유연성이 없으므로 인하여 단선되어져서 점등이 되지 아니하는 결점이 있고 안전조끼를 수납할때도 조심성없이 접을 때도 단선되어져서 내구성이 없어지게 되며, 또한 경화된 부분이 딱딱하고 굴곡 배선된 리드선이 존재하므로 인하여 조끼 전체에 유연성이 없어져 조끼를 입는 느낌이 좋치 못하였다.
또한, 전원스위치가 단순접촉 구조로서 스위치기판에 탄력성이 없어서 정확하게 연속 또는 단속점등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스위치를 누를때 누름단추스위치가 필요이상으로 압압력이 가해지면 프린트 기판 자체가 파손되고 우천의 경우에는 단추구멍으로부터 우수가 흘러들어와서 제어소자등의 전기부품의 통전을 불량케하며 한편 작업복위에 끼워입는 안전조끼가 몸체의 팽창으로 창력이 생길때 그 창력으로 인하여 자동으로 스위치가 접속되여져서 점등되는 등 결점을 면치 못하였다.
한편,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실내 또는 실외를 조명하거나 교통 신호등, 경고등 등의 알림수단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조명장치는 주로 전류를 공급받으면 고온으로 가열되면서 빛을 발산하는 필라멘트가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소비전력이 적고, 빛의 밝기가 우수하며, 수명이 긴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LED)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엘이디는 최근 다양한 파장 및 에너지를 가지며 전력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광원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엘이디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휘도 문제가 크게 개선되면서 긴 수명과 저전력 장점이 부각되어 점차 보급이 더욱 확산되고 있다. 현재, 엘이디를 광원으로 한 조명등기구로 라인바 타입, 면광원 타입 형태 등의 엘이디 조명 기구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엘이디를 단순히 조명 장치로만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를 다른 이종 분야, 예를 들면 IT 기술과 접목시켜 보다 새로운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8-0031221(1998.07.2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48546(2004.04.29.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8-054742(1998.10.0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7244(2014.06.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98933(2009.05.21.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야간 작업 시 기본적으로 확실한 발광성을 통해 뛰어난 안전 조끼로서 활용할 수 있고, 하수 관거나 밀폐 탱크 등 폐쇄된 작업 공간에서 환경 정보를 검출하여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고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 예방이 가능한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 LED 장*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모듈과 함께 구성되는 라인형 LED 모듈을 이용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원격지의 관리처에서도 관리가 가능하여 안전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 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안전 작업 조끼로서, 조끼 형태의 조끼 본체; 상기 조끼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라인형 LED 모듈; 상기 조끼 본체에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을 탈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탈부착 수단;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을 제어하기 제어회로모듈을 구비한 컨트롤 박스;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어 상기 라인형 LED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LED구동 전원모듈; 및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며, 검출된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회로모듈로 전달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의 발광 인자를 다르게 제어하여 발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 조끼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조끼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이 삽입되는 투명재질의 라인형 LED모듈 장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조끼 본체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의 소정 개소에 구비되는 암수 벨크로 중 하나, 및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의 배면에 형성되는 암수 벨크로 중 다른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은 복수의 LED 조명셀, 및 상기 복수의 LED 조명셀이 실장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길이방향으로 벤딩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로기판은 단위 회로기판 셀이 복수로 구성되고, 이웃하는 단위 회로기판 셀 간을 관절축을 통해 연결하여 상대적으로 회동성을 갖도록 하며, 각 단위 회로기판 셀은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해 각각 전력선과 제어 신호선이 접속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주변 환경의 가스나 온도 및 미세먼지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회로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를 전달받아 조명제어부를 통해 발광 인자로서 LED 발광셀의 발광색을 달리하여 조명하거나, LED 발광셀의 밝기를 달리하여 조명하거나 또는 LED 발광셀의 점멸 방식을 달리하여 조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에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고음발생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모듈은 상기 LED 조명셀이 단순 조명하도록 하는 단순 모드와,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제어회로모듈의 조명제어부를 연동시켜 검출 신호에 따라 LED 조명셀의 발광 인자를 제어하도록 하는 검출 모드, 및 상기 단순 모드와 검출 모드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도록 통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어 외부의 통신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과 통신하고, 상기 제어회로모듈의 조명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검출 정보가 전송되는 외부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라인형 스마트 LED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야간 작업 시 기본적으로 확실한 발광성을 통해 뛰어난 안전 조끼로서 활용할 수 있고, 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조끼 본체만을 세탁할 수 있으며,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 뛰어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환경 센서 모듈의 검출 정보를 통해 하수 관거나 밀폐 탱크 등 폐쇄된 작업 공간에서 유독 가스 등을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고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장치 및/또는 원격지 관리서버와 연동되도록 하여 현장 상황 파악이나 경고 등을 원격 모드로 제어할 수 있어 보다 스마트한 환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기능성을 확보하고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야간작업용 안전조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를 구성하는 라인형 스마트 LED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를 구성하는 라인형 스마트 LED 장치의 LED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에 대하여 첨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를 구성하는 라인형 스마트 LED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를 구성하는 라인형 스마트 LED 장치의 LED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전 작업 조끼로서, 조끼 형태의 조끼 본체(10); 상기 조끼 본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라인형 LED 모듈(100); 상기 조끼 본체(10)에 상기 라인형 LED 모듈(100)을 탈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탈부착 수단;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을 제어하기 제어회로모듈(310)을 구비한 컨트롤 박스(200); 상기 컨트롤 박스(200)에 구비되어 상기 라인형 LED 모듈(10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LED구동 전원모듈(210); 및 상기 컨트롤 박스(200)에 구비되며, 검출된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회로모듈(310)로 전달하는 센서 모듈(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모듈(310)은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라인형 LED 모듈(100)의 발광 인자가 다르게 제어되어 발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끼 본체(10)는 천연 직물 또는 인조 직물로 이루어지며, 조끼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조끼 본체(10)로서 조끼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고 도면에 예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작업복과 같은 의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라인형 LED 모듈(100)은 복수의 LED 조명셀(110), 및 상기 복수의 LED 조명셀(110)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te Board)(1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인형 LED 모듈(100)의 LED 조명셀(110)은, 장방형의 회로기판(120)에 일측으로부터 알,지,비(R,G,B), 즉 적색(RED) 엘이디, 녹색(GREEN) 엘이디 및 청색(BLUE) 엘이디가 각각 조합을 이루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라인형 LED 모듈(100)을 구성하는 각 LED 조명셀(110)은 그 LED 조명셀(110)과 인접 LED 조명셀(110) 사이의 회로기판 상에서 직병렬로 연결되는데 전원 연결을 위한 전원 접속 단자를 둔다.
이때 LED 조명셀(110)은 SMD(Surface Mounted Device) 다이오드 또는 발광용 다이오드 웨이퍼를 사용하여 구성하고, LED 조명셀의 배치는 라인형 스마트 LED 조명 장치는, 그 조명 장치의 크기 및 외관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LED 조명셀(110)은 직병렬로 연결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연결 선택 단자를 설치하여 입력 전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로기판(120)은 길이방향으로 벤딩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회로기판(120)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플렉시블한 재질의 회로기판에 LED 조명셀(110)이 실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120)은 단위 회로기판 셀(121)이 복수로 구성되고, 이웃하는 단위 회로기판 셀(121) 간을 관절축(122)을 통해 연결하여 상대적으로 회동성을 갖도록 하며, 각 단위 회로기판 셀(121)은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해 각각 전력선과 제어 신호선이 접속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탈부착 수단은 일 실시 예로 상기 라인형 LED 모듈(100)이 구비되는 형태를 고려하여 조끼 본체(10)에 일체로 구비되고, 내측으로 상기 라인형 LED 모듈(100)이 삽입되어 구비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라인형 LED모듈 장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 수단은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라인형 LED 모듈(100)이 구비되는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조끼 본체(10)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의 소정 개소에 구비되는 암수 벨크로(일명, 찍찍이) 중 하나, 및 상기 라인형 LED 모듈(100)의 배면에 형성되는 암수 벨크로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 수단은 또 다른 실시 예로 암수버튼 고정방식, 후크와 후크 고리의 후크 고정방식, 단부 간을 지퍼로 고정하는 지퍼 방식 등 다양한 탈부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사용성과 제작성을 고려하여 암수 벨크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 박스(200)는 내측에 고정식 또는 교체식의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LED 구동 전원모듈(210), 제어회로모듈(310)과 센서 모듈(320) 및 후술하는 송수신 모듈과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의 박스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박스(200)의 일측에는 장치의 온/오프(ON/OFF)를 위한 온/오프 스위치(201)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LED구동 전원모듈(210)의 전원을 차단하고 접속시키도록 구성되는 온/오프 스위치가 구비된다.
계속해서, 상기 LED구동 전원모듈(210)은 일 실시 형태로 LED 조명셀(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원 접속 포트 또는 LED 조명셀(110)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전원접속 케이블, 및 상기 전원접속 케이블에 연결되는 휴대용 배터리 또는 전원 어댑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접속 포트는 USB 연결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회로모듈(310)에는 LED 조명셀(110)을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엘이디 보호저항과, 마이컴과 같은 조명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PWM(Puls Width Modulation), 및 상기 PWM으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 모듈(320)은 주변 환경의 가스나 온도 및 미세먼지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 모듈(320)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황화수소가스 등 유독성 가스를 검출할 수 있는 가스 검출 센서와, 미세먼지 등을 검출하는 미세먼지 검출 센서, 및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 온도 검출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회로모듈(310)은 상기 센서 모듈(320)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검출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로직)에 따라 조명제어부를 통해 발광 인자로서 LED 발광셀(110)의 발광색을 달리하여 조명하거나, LED 발광셀(110)의 밝기를 달리하여 조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모듈(310)은 상기 센서 모듈(320)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검출 정보)를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로직)에 따라 조명제어부를 통해 발광 인자로서 LED 발광셀의 점멸 방식을 달리하여 조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발광 인자의 조명 방식은 모두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에서, 상기 센서 모듈(320)가 가스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조끼나 작업모자에 부착되어 활용될 때, 폐쇄된 작업 공간에서 일산화탄소, 황화수소 등의 유해 가스(유독성 가스)의 발생 유무나 농도에 따라 LED 조명셀(110)에서 적색(위험), 노란색(경고), 파란색(안전)이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하여 해당 밀폐된 작업 공간에서의 유해성을 직관적으로 판단하면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는 상기 컨트롤 박스(200)에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모듈(310)은 상기 센서 모듈(320)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고음발생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피커와 경고음발생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LED 조명셀(110)의 발광과 함께, 또는 LED 조명셀(110)의 고장 시 경고음을 통해 작업자 등에게 알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에서, 상기 제어회로모듈(310)은 LED 조명셀(110)이 단순 조명기능만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단순 모드와, 상기 센서 모듈(320)과 상기 제어회로모듈(310)의 조명제어부를 연동시켜 검출 신호에 따라 LED 조명셀(110)이 제어되도록 구현하는 검출 모드, 및 상기 단순 모드와 검출 모드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도록 통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회로 모듈(310)의 조명제어부는 상기 단순 모드의 선택에 따라 설정된 발광색으로 LED 조명셀(110)이 발광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검출 모트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로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단순 모드의 경우 LED 조명셀(110)이 적색 발광이나 형광색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안전 조명 장치로서 활용할 수 있고, 검출 모드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작업 환경에 적용되어 해당 작업 환경에 따른 검출 신호에 따라 LED 조명셀(110)이 발광되도록 제어되며, 통합 모드의 경우 일반 작업 시에는 안전 조명 장치로서 기능을 하면서도 작업 환경에서 특이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검출 모드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는, LED 조명셀(110)이 실장된 회로기판 위에 방수용 투명 페인트, 투명 실리콘 등의 유연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하여 몰딩 처리하여 생활 방수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는 안전 조끼에서, 상기 컨트롤 박스(200)에 구비되어 외부의 통신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모듈과 통신하고, 상기 제어회로모듈(310)의 조명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센서 모듈(320)로부터의 검출 신호(검출 정보)가 전송되는 외부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통신 장치는 예를 들면 송수신 모듈과 통신(예를 들면, 원거리 통신 및/또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통신 등)하고, 조명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연동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장치(400)를 포함하거나, 및/또는 원격지의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장치(400)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장치와 컨트롤 박스(200)의 송수신 모듈 간의 근거리 통신은 Zigbee, UWB(Ultra-WideBand), ANT, 등과 같이 PAN(Personal Area Network) 방식의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원격지의 관리 서버와 컨트롤 박스 간의 원거리 통신 기술 또는 모바일 단말장치와 원격지의 관리서버 간의 원거리 통신 또한 공지의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조끼나 작업헬멧에 적용되는 경우, 작업자가 작업 중에 유독 가스 발생 등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고 작업을 하는 경우, 센서 모듈(320)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원격지의 관리서버로 전달되고, 이를 원격지 관리자가 파악함으로써 해당 작업자에게 통지 또는 알림하여 안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 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에 의하면, 야간 작업 시 기본적으로 확실한 발광성을 통해 뛰어난 안전 조끼로서 활용할 수 있고, 하수 관거나 밀폐 탱크 등 폐쇄된 작업 공간에서 환경 정보를 검출하여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고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모듈과 함께 구성되는 라인형 LED 모듈을 이용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원격지의 관리처에서도 관리가 가능하여 안전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조끼 본체
100: 라인형 LED 모듈
110: LED 조명셀
120: 회로기판
121: 단위 회로기판 셀
122: 관절축
200: 컨트롤 박스
201: 온/오프 스위치
210: LED구동 전원모듈
310: 제어회로모듈
320: 센서 모듈

Claims (7)

  1. 안전 작업 조끼로서,
    조끼 형태의 조끼 본체;
    상기 조끼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라인형 LED 모듈;
    상기 조끼 본체에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을 탈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탈부착 수단;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을 제어하기 제어회로모듈을 구비한 컨트롤 박스;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어 상기 라인형 LED 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LED구동 전원모듈; 및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며, 검출된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회로모듈로 전달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의 발광 인자를 다르게 제어하여 발광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은 복수의 LED 조명셀, 및 상기 복수의 LED 조명셀이 실장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길이방향으로 벤딩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로기판은 단위 회로기판 셀이 복수로 구성되고, 이웃하는 단위 회로기판 셀 간을 관절축을 통해 연결하여 상대적으로 회동성을 갖도록 하며, 각 단위 회로기판 셀은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해 각각 전력선과 제어 신호선이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 모듈은 주변 환경의 가스나 온도 및 미세먼지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회로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를 전달받아 조명제어부를 통해 발광 인자로서 LED 발광셀의 발광색을 달리하여 조명하거나, LED 발광셀의 밝기를 달리하여 조명하거나 또는 LED 발광셀의 점멸 방식을 달리하여 조명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컨트롤 박스에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고음발생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모듈은 상기 LED 조명셀이 단순 조명하도록 하는 단순 모드와, 상기 센서 모듈과 상기 제어회로모듈의 조명제어부를 연동시켜 검출 신호에 따라 LED 조명셀의 발광 인자를 제어하도록 하는 검출 모드, 및 상기 단순 모드와 검출 모드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도록 통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 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조끼 본체에 일체로 구성되고, 내측으로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이 삽입 구비되는 투명 재질의 라인형 LED모듈 장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 조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수단은
    상기 조끼 본체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의 소정 개소에 구비되는 암수 벨크로 중 하나, 및 상기 라인형 LED 모듈의 배면에 형성되는 암수 벨크로 중 다른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 조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에 구비되어 외부의 통신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송수신 모듈과 통신하고, 상기 제어회로모듈의 조명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의 검출 정보가 전송되는 외부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 조끼.
KR1020190006277A 2019-01-17 2019-01-17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 KR102171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277A KR102171493B1 (ko) 2019-01-17 2019-01-17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277A KR102171493B1 (ko) 2019-01-17 2019-01-17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83A KR20200089483A (ko) 2020-07-27
KR102171493B1 true KR102171493B1 (ko) 2020-10-29

Family

ID=7189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277A KR102171493B1 (ko) 2019-01-17 2019-01-17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915A (ko) 2021-11-15 2023-05-23 김민아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467A (ko) 2020-10-05 2022-04-12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방향지시 조끼 시스템
KR102370698B1 (ko) * 2021-11-08 2022-03-04 강경원 고속도로 작업구간 침범 알림 시스템
KR102539331B1 (ko) * 2022-12-02 2023-06-02 고이남 착용이 가능한 안전수단에 탈부착되는 발광패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644Y1 (ko) * 2002-05-10 2002-08-05 이종원 착탈식 발광장치
KR101806909B1 (ko) * 2017-01-19 2017-12-12 문지윤 금속사 문양을 지닌 다기능성 직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221A (ko) 1996-10-31 1998-07-25 이기정 노상작업용 안전조끼
KR19980054742U (ko) 1996-12-31 1998-10-07 이규탁 야간작업용 안전조끼
KR200348546Y1 (ko) 2004-01-30 2004-04-29 박재식 야간작업용 안전조끼
KR100898933B1 (ko) 2008-12-31 2009-05-21 주식회사 누리플랜 라인형 엘이디 조명등
KR101302409B1 (ko) * 2011-04-25 2013-09-03 곽의성 교통안전 경광장비
KR101407244B1 (ko) 2012-05-23 2014-06-13 (주) 코콤 스마트 엘이디 조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644Y1 (ko) * 2002-05-10 2002-08-05 이종원 착탈식 발광장치
KR101806909B1 (ko) * 2017-01-19 2017-12-12 문지윤 금속사 문양을 지닌 다기능성 직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0915A (ko) 2021-11-15 2023-05-23 김민아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83A (ko)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493B1 (ko)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
US10076142B2 (en) Durable reflective safety apparel with active laser illumination
US8157402B2 (en) Illuminated helmet with programmable lamps and proximity sensor
JP3186860U (ja) 照明バンド、照明装置及びヘルメット
TWM438844U (en) Armband type light emitting device
KR100692197B1 (ko) 고휘도 엘이디 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형 안전조끼
EP3520644A1 (en) Intelligent wristband
US20130258644A1 (en) Safety glove
US8517556B2 (en) Helmet mounted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CN203788346U (zh) 一种包括接口的装置
WO2018187432A1 (en) Illuminated indicator assembly having particular application to clothing
CN205566715U (zh) 具有自动调节亮度功能的指示灯及包含其的电子装置
KR102224993B1 (ko) Iot 기반의 라인형 스마트 led 장치
KR101062840B1 (ko)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안전 재킷
CN205902919U (zh) 智能穿戴设备
CN101233959A (zh) 反光、夜光、自发光警服
KR20170110265A (ko) 발광 기능을 구비한 의복
CN104696723A (zh) 手环式led工作灯
KR20090041123A (ko) 손목 착용형 램프
KR200358780Y1 (ko) 의복용 발광장치
KR20090009927U (ko) 안전조끼
JP3236210U (ja) ヘルメット装着用発光帯状体
CN211316093U (zh) 一种可穿戴式隐藏导线头带
KR200353158Y1 (ko) 홍보용의 전자발광 어깨띠 구조
KR200277108Y1 (ko) 손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