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603Y1 - 산업용 소켓 - Google Patents

산업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603Y1
KR200447603Y1 KR2020070016248U KR20070016248U KR200447603Y1 KR 200447603 Y1 KR200447603 Y1 KR 200447603Y1 KR 2020070016248 U KR2020070016248 U KR 2020070016248U KR 20070016248 U KR20070016248 U KR 20070016248U KR 200447603 Y1 KR200447603 Y1 KR 200447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plate
holder
holder cap
bulb
edg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329U (ko
Inventor
김재학
Original Assignee
김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학 filed Critical 김재학
Priority to KR2020070016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60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3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3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6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22Two-pole devices for screw type base, e.g. for lamp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에 결합된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산업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전구의 단자부가 일측에 끼워져서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외부의 전력선과 통전되는 전원선(EW)의 전원을 전구에 인가하는 전구홀더(50); 상기 전구홀더(50)의 외주면 및 타측면을 차폐하여 절연하고, 전구홀더(50)에 체결되는 볼트(B)의 볼트공(62) 및 상기 전구홀더(50)의 전원선(EW)이 관통하는 전선공(64)이 타단부에 형성되며, 이 타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벽(66)을 갖는 홀더캡(60); 상기 홀더캡(60)의 테두리벽(66) 내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홀더캡(60)의 볼트공(62) 및 전선공(64)을 차폐하면서 절연하는 절연판(70) 및; 상기 절연판(70)에 의해 차폐된 상기 전선공(64)으로 상기 전원선(EW)의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제공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통로제공수단에 의해 전원선이 안내되므로 전원선을 용이하게 홀더캡의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전구, 소켓, 절연, 전선, 볼트

Description

산업용 소켓 { SOCKET FOR INDUSTRIAL }
본 고안은 일측에 결합된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산업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누전을 방지하는 누전방지기능이 향상된 산업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소켓은 주로 투광등과 같은 등기구에 설치되어 일반용 전구 보다 크게 형성된 전구가 끼워진다. 이러한 산업용 소켓은 교량이나 건물에 설치되는 등기구로 인하여 교량이나 건물에서 조명을 발산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산업용 소켓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판(10)이 마련된다. 이러한 절연판(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홀더(1)가 내장되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홀더캡(3)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홀더캡(3)에 형성된 전선공(3a) 및 볼트공(3b)을 차폐하여 절연한다. 이때, 절연판(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선(EW)에 끼워져서 홀더캡(3)의 타단부에 안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산업용 소켓은 절연판(10)이 종이로 형성되어 습한 날에는 절연판(10)이 공기중의 습기에 의해 젖으면서 전기를 누전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절연판(10)이 전원선(EW)에서 유동하므로 바람에 의해 절연판(10)이 이동하면서 홀더캡(3)의 전선공(3a) 및 볼트공(3b)을 노출시키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습기의 침투가 불가능한 재료로 절연판을 제조하여 절연판이 습기에 의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산업용 소켓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절연판을 홀더캡에 고정하여 절연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산업용 소켓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산업용 소켓은, 일측에 결합된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산업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전구의 단자부가 일측에 끼워져서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외부의 전력선과 통전되는 전원선의 전원을 전구에 인가하며, 통전이 가능하도록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전구홀더; 상기 전구홀더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전구홀더의 외주면 및 타측면을 차폐하여 절연하고, 전구홀더에 체결되는 볼트의 볼트공 및 상기 전구홀더의 전원선이 관통하는 전선공이 타단부에 형성되며, 이 타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벽을 갖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홀더캡; 상기 홀더캡의 테두리벽 내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테두리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홀더캡의 볼트공 및 전선공을 차폐하면서 절연하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절연판 및; 상기 절연판에 의해 차폐된 상기 전선공으로 상기 전원선의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제공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홀더캡 및 절연판은 세라믹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여기서, 상기 홀더캡의 테두리벽은, 상기 절연판의 일부분이 걸리는 걸림턱이 내주면에 내향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로제공수단은 예컨대, 상기 홀더캡의 테두리벽에 노치를 형성하여, 상기 전원선이 홀더캡의 측방을 통해 상기 전선공으로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통로제공수단은 예컨대, 상기 절연판에 상기 전선공과 대향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전원선이 절연판을 통해 전선공으로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절연판을 관통하여 상기 홀더캡에 체결되면서 절연판을 홀더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판을 상기 테두리벽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공 및 전선공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는 예컨대, 상기 홀더캡의 테두리벽 내측에 테두리벽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절연판이 테두리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볼트공 및 전선공과 이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산업용 소켓은, 홀더캡의 노치나 절연판의 관통공과 같은 통로제공수단에 의해 전원선이 안내되므로 전원선을 용이하게 홀더캡의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절연판이 홀더캡과 동일한 재질의 절연재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수분흡수를 억제하는 세라믹으로 제조되므로, 절연판의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절연판에 수분이 침투되면서 발생되는 누전에 의한 감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절연판이 고정부재에 의해 홀더캡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절연판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스페이서가 절연판을 볼트공 및 전선공과 이격시키므로 전원선을 용이하게 홀더캡의 외측으로 인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소켓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소켓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켓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소켓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홀더(50); 홀더캡(60); 절연판(70) 및; 통로제공수단(74, N);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전구홀더(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된 전구의 나선형 단자부가 끼워지도록 나선형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도통가능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구홀더(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홀더캡(60)의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되어 홀더캡(60)에 내장된다. 이때, 전구홀더(50)는 홀더캡(60)의 볼트공(62)을 관통하는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B)에 의해 홀더캡(60)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전구홀더(50)는 미도시된 전구의 단자부가 끼워짐에 따라 전구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전구홀더(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캡(60)의 전선공(64)에 삽입되는 전원선(EW)과 연결되어, 전원선(EW)으로부터 미도시된 외부 전력선의 전기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전구홀더(50)는 미도시된 전구에 전원선(EW)의 전기를 인가한다. 즉, 전구는 전원선(EW)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한다.
다음, 전술한 홀더캡(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홀더(50)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전구홀더(50)의 외주면 및 타측면을 차폐한다. 이러한 홀더캡(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선(EW)이 위치하는 타단부에 볼트공(62) 및 전선공(64)이 형성된다. 즉, 홀더캡(60)은 타단부에 볼트(B) 및 전원선(EW)이 관통되는 볼트공(62) 및 전선공(64)이 제각기 형성된다. 또한, 홀더캡(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의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벽(66)이 형성된다. 이때, 홀더캡(60)은 테두리벽(66)에 의해 테두리벽(66)의 내측으로 홈형태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홀더캡(60)은 차폐된 전구홀더(50)가 절연되도록 절연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홀더캡(60)은 플라스틱이나 유리 또는 세라믹과 같은 도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세라믹으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다음, 전술한 절연판(70)은 홀더캡(60)의 테두리벽(66) 내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테두리벽(66)에 삽입된다. 즉, 절연판(70)은 테두리벽(66)에 의해 홀더캡(6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홈형태의 수용공간에 대응형성되며, 이 수용공간에 삽입된다. 이때, 절연판(70)은 테두리벽(66)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홀더캡(60) 에 형성된 볼트공(62) 및 전선공(64)을 차폐한다. 즉, 절연판(70)은 볼트공(62) 및 전선공(64)을 차폐한다.
이와 같은 절연판(70)은 볼트공(62) 및 전선공(64)이 차폐되면서 절연되도록 절연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연판(70)은 플라스틱이나 유리 또는 세라믹과 같은 도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세라믹으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통로제공수단은 절연판(70)에 의해 차폐된 전선공(64)으로 전원선(EW)이 삽입되도록 통로를 제공한다. 즉, 전원선(EW)은 통로제공수단에 의해 전선공(64)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통로제공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캡(60)의 테두리벽(66)에 노치(N)를 형성하여, 전원선(EW)이 홀더캡(60)의 측방을 통해 전선공(64)으로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전원선(EW)은 노치(N)에 의해 테두리벽(66)을 관통하여 전선공(64)으로 삽입된다.
이와 달리, 전술한 통로제공수단은 예컨대, 도면상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판(70)에 전선공(64)과 대향하는 관통공(74)을 형성하여, 전원선(EW)이 절연판(70)을 통해 전선공(64)으로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전원선(EW)은 절연판(70)을 관통하여 전선공(64)에 삽입된다.
한편, 홀더캡(60)의 테두리벽(6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절연판(70)의 일부분이 걸리도록 내주면의 일부분에 걸림턱(66a)을 내향돌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테두리벽(66)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절연판(70)은 테두리의 일부분이 걸림 턱(66a)에 걸리면서 회전이 방지된다. 물론, 절연판(70)은 테두리벽(66)의 내주면에 걸림턱(66a)이 형성될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또 한편, 전술한 절연판(70)은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부재(80)에 의해 홀더캡(60)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80)는 절연판(70)을 관통하여 홀더캡(60)에 체결되면서 절연판(70)을 홀더캡(60)에 고정시키는 볼트나 리벳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절연판(70)은 본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홀더캡(60)에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소켓은, 절연판(70)을 테두리벽(66)의 내부에서 볼트공(62) 및 전선공(64)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절연판(70)은 스페이서에 의해 테두리벽(66)의 내부에서 볼트공(62) 및 전선공(64)과 이격된다.
이러한 스페이서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캡(60)의 테두리벽(66) 내측에 테두리벽(66)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단턱(90)을 형성하여, 절연판(70)이 테두리벽(66)에 삽입된 상태로 볼트공(62) 및 전선공(64)과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절연판(70)은 도면상의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90)상에 안착된다. 따라서, 절연판(7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벽(66)의 내측에서 볼트공(62) 및 전선공(64)과 이격된다.
이렇게, 단턱(90)과 같은 스페이서를 형성할 경우 절연판(70)이 전선공(64)과 이격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선(EW)이 전술한 노치(N)를 통해 용이하게 인출된다. 만약, 스페이서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전원선(EW)은 절연판(70)에 가압된 상태로 노치(N)를 통해 홀더캡(60)의 측방으로 인출된다. 이에 따라, 절연판(70)은 전원선(EW)에 의해 들뜨면서 홀더캡(60)에서 유동한다. 즉, 절연판(70)은 홀더캡(60)의 테두리벽(66) 내측에 수용되지 못하고 테두리벽(66) 상부로 들뜬다. 하지만, 스페이서를 마련할 경우 전원선(EW)은 절연판(70) 및 전선공(64) 사이의 공간을 통해 노치(N)로 인출된다. 따라서, 전원선(EW)을 노치(N)로 인출할 경우 절연판(70)이 유동되지 않도록 스페이서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페이서를 형성할 경우 전원선(EW)이 바람에 의해 유동하여도 전원선(EW)이 절연판(70)의 테두리측 모서리에 맞닿지 않으므로, 전원선(EW)이 절연판(70)에 맞닿으면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스페이서를 마련하지 않으면 절연판(70)이 전원선(EW)을 직접적으로 가압하므로, 바람에 흔들리는 전원선(EW)은 절연판(70)의 테두리측 모서리에 맞닿아서 마모된다. 따라서, 스페이서는 홀더캡(60)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판(70)은 홀더캡(60)의 테두리벽(66) 내측에 삽입되면서 홀더캡(60)에 형성된 전술한 볼트공(62) 및 전선공(64)을 차폐한다. 따라서, 절연재의 절연판(70)은 홀더캡(60)의 타단부를 절연한다.
여기서, 절연판(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80)에 의해 홀더캡(6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판(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선(EW)의 노치(N)로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전술한 스페이서에 의해 전술한 볼트공(62) 및 전선공(64)과 이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절연판(70)은 홀더캡(60)의 테두리벽(6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림턱(66a)이 형성될 경우, 걸림턱(66a)에 일부분이 걸리면서 견고하게 홀더캡(60)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전원선(EW)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캡(60)에 형성된 노치(N)를 통해 홀더캡(60)의 측방으로 용이하게 인출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산업용 소켓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소켓의 분해사시도; 및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켓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50 : 전구홀더
60 : 홀더캡
62 : 볼트공
64 : 전선공
66 : 테두리벽
66a : 걸림턱
70 : 절연판
74 : 관통공
80 : 고정부재
90: 단턱
EW : 전원선
N : 노치

Claims (8)

  1. 일측에 결합된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산업용 소켓으로서, 상기 전구의 단자부가 일측에 끼워져서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외부의 전력선과 통전되는 전원선(EW)의 전원을 전구에 인가하며, 통전이 가능하도록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전구홀더(50)와, 상기 전구홀더(50)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전구홀더(50)의 외주면 및 타측면을 차폐하여 절연하고, 전구홀더(50)에 체결되는 볼트(B)의 볼트공(62) 및 상기 전구홀더(50)의 전원선(EW)이 관통하는 전선공(64)이 일측단에 형성되,며 그 일측단의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벽(66)을 갖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홀더캡(60)과, 상기 홀더캡(60)의 테두리벽(66) 내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테두리벽(66)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홀더캡(60)의 볼트공(62) 및 전선공(64)을 차폐하면서 절연하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절연판(70)과, 상기 절연판(70)에 의해 차폐된 상기 전선공(64)으로 상기 전원선(EW)의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제공수단을 포함하는 산업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홀더캡(60) 및 절연판(70)은 세라믹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캡(60)의 테두리벽(66)의 내주면에는 상기 절연판(70)의 일부분이 걸리는 걸림턱(66a)이 내향돌출되며;
    상기 통로제공수단은, 상기 전원선(EW)이 홀더캡(60)의 측방을 통해 상기 전선공(64)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홀더캡(60)의 테두리벽(66)에 형성되는 노치(N)와 상기 절연판(70)에 상기 전선공(64)과 대향하도록 형성된 관통공(7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판(70)을 관통하여 상기 홀더캡(60)에 체결되면서 절연판(70)을 홀더캡(6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연판(70)을 상기 테두리벽(66)의 내부에서 상기 볼트공(62) 및 전선공(64)과 이격시키도록 상기 홀더캡(60)의 테두리벽(66) 내측에 테두리벽(66)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단턱(90)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90)은 상기 절연판(70)이 테두리벽(66)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볼트공(62) 및 전선공(64)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갖는 산업용 소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070016248U 2007-10-05 2007-10-05 산업용 소켓 KR200447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248U KR200447603Y1 (ko) 2007-10-05 2007-10-05 산업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248U KR200447603Y1 (ko) 2007-10-05 2007-10-05 산업용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329U KR20090003329U (ko) 2009-04-09
KR200447603Y1 true KR200447603Y1 (ko) 2010-02-10

Family

ID=4132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248U KR200447603Y1 (ko) 2007-10-05 2007-10-05 산업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60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643Y1 (ko) * 2003-06-19 2003-09-26 민광기 전구소켓
KR20040110532A (ko) * 2003-06-19 2004-12-31 김재학 전구소켓의 절연구조
KR200402638Y1 (ko) 2005-09-13 2005-12-02 삼익방폭전기 주식회사 방폭등의 소켓
KR200412313Y1 (ko) 2005-12-07 2006-03-27 주식회사 고려인 천정매입형 조명등기구 소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643Y1 (ko) * 2003-06-19 2003-09-26 민광기 전구소켓
KR20040110532A (ko) * 2003-06-19 2004-12-31 김재학 전구소켓의 절연구조
KR200402638Y1 (ko) 2005-09-13 2005-12-02 삼익방폭전기 주식회사 방폭등의 소켓
KR200412313Y1 (ko) 2005-12-07 2006-03-27 주식회사 고려인 천정매입형 조명등기구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329U (ko)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9827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 сенсорным переключателем
KR20140051924A (ko) 램프 튜브
JP2016225276A5 (ko)
JP2007227210A (ja) 発光ダイオードを利用した照明器具
JP2013125674A (ja) 照明装置
KR200454458Y1 (ko) 형광등 타입 엘이디 램프
JP5472793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12243393A (ja) 照明器具
KR200447603Y1 (ko) 산업용 소켓
JP5023933B2 (ja) 屋外用照明装置
ES2526722T3 (es) Unidad electrónica para motores eléctricos, preferiblemente para motores de inducido exterior con electrónica de control integrada, y motor eléctrico con tal unidad electrónica
KR200422901Y1 (ko) 캡타입의 방수용 안전소켓
JP2012234628A (ja) Ledモジュール及び照明装置
KR101185389B1 (ko) 조명장치 및 그 조립체
KR200416391Y1 (ko)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조명등
WO2011004572A1 (ja) 照明装置
JP2012119317A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KR200416175Y1 (ko) 수중 조명등
KR20170086326A (ko) 절연기능을 가지는 경량 다운 라이트 장치
CN206555758U (zh) 全封闭式led灯管
CN219318306U (zh) 一种装饰照明灯
KR200459377Y1 (ko) Led모듈 절연링을 가진 전구형 led램프
KR200238507Y1 (ko) 가로등의 감전방지장치
KR101637235B1 (ko) 방수 및 투습성을 갖는 엘이디등기구
KR101122036B1 (ko) 장착 편리성 및 다양한 형상 구현성이 향상된 엘이디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