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816Y1 -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 Google Patents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816Y1
KR200452816Y1 KR2020090012013U KR20090012013U KR200452816Y1 KR 200452816 Y1 KR200452816 Y1 KR 200452816Y1 KR 2020090012013 U KR2020090012013 U KR 2020090012013U KR 20090012013 U KR20090012013 U KR 20090012013U KR 200452816 Y1 KR200452816 Y1 KR 200452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lamp body
led
lamp
insulat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민
Original Assignee
(주) 코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콤 filed Critical (주) 코콤
Priority to KR2020090012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8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8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20Two-pole devices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33/205Two-pole devices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ecured to structure or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램프 본체와 베이스 연결구의 결합이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엘이디 램프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는, 복수의 방열핀(110)이 외면에 형성되고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중공형의 금속제 램프 본체(100) ; 램프 본체의 하단이 지지되는 플랜지(220)와, 플랜지로부터 상향(上向) 돌출되어 램프 본체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는 절연벽(230)과, 플랜지로부터 하향(下向) 돌출되는 나사부(210)를 구비하는 전기절연성의 베이 스 연결구(200) ; 베이스 연결구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금속제 베이스(300) ; 램프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엘이디 회로기판(400) ; 엘이디 회로기판보다 밑에 있도록 램프 본체의 내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엘이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안정기 회로기판(500) ; 및 엘이디 회로기판보다 위에 있도록 램프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600) ;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엘이디 램프, 방전, 절연, 합성수지, 절연벽, 안정기 회로기판, 엘이디 회로기판

Description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LED lamp with walls for protecting PCB}
본 고안은 램프 본체와 베이스 연결구의 결합이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서 방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엘이디 램프의 장수명화(長壽命化)를 도모할 수 있는,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에 관한 것이다.
백열전구나 할로겐 램프와 같은 종래의 조명기구 대신에 사용되고 있는 엘이디 램프는, 크기가 작고, 수명이 길며, 에너지 효율이 우수해 전력소모가 적고, 스위치 응답 특성이 고속이라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반면, 이러한 엘이디 램프는 점광(point-lighting) 형태로 광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엘이디가 램프 본체의 앞쪽으로만 광을 방출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눈부심이 심하고, 열이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44476호를 비롯한 다수의 특허/실용신안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 구성의 엘이디 램프는, 열전달특성이 우수한 알루미늄으로 램프 본체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 직후의 램프 본체는 표면온도가 매우 높아, 사용 도중에 엘이디 램프가 고장 난 경우, 장갑을 끼지 않은 맨손으로는 엘이디 램프를 만질 수 없어, 새것으로 즉시 교체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방열핀과 연결부 및 원형링부를 모두 갖춘 형태로 램프 본체를 성형하기가 어려워, 램프 본체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합성수지제 렌즈를 램프 본체의 전면측에 설치함에 있어 열에 의해 변성하거나 물성이 하락할 수 있는 접착제는 사용할 수 없어, 부득이 렌즈의 가장자리부에 나사구멍을 형성해 램프 본체에 나사로 고정하였는데, 이때 구멍 안으로 돌려 넣는 나사에 의한 긁힘이 발생하여, 렌즈의 내구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들 문제점이 일거에 해결될 수 있는 실용신안을 2009년 9월 3일자로 출원한바 있다 (출원번호 제20-2009-0011557호, 착탈식 절연링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첨부된 도 3은, 상기 출원번호 제20-2009-0011557호에서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백열 전구형 엘이디 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방열핀(11)이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알루미늄 재질의 램프 본체(10)와, 램프 본체(10)의 전면측을 향해 광이 방출될 수 있도록 램프 본체(10) 내에 설치되는 엘이디 회로기판(40)과, 엘이디 회로기판(40)보다 밑에 있도록 램프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엘이디 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안정기 회로기판(50)과, 엘이디 회로기판(40)보다 앞쪽에 있도록 램프 본체(10)의 전면측에 장착되는 렌즈(60)와, 안정기 회로기판(50)을 통해 엘이디 회로기판(4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램프 본체(10)의 하부에 조립되는 금속제 베이스(30)와, 램프 본체(10)보다 열전달특성이 나쁜 소재로 만들어져 방열핀(11)의 선단부에 나사로 고정되는 절연 링(12)과, 하향(下向) 돌출된 나사부(21)에 베이스(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램프 본체(10)의 하단에 플랜지(22)가 나사고정되는 합성수지제 베이스 연결구(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엘이디 램프는, 램프 본체(10)의 하단에 베이스 연결구(20)를 장착할 때, 램프 본체(10)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 구멍과 베이스 연결구(20)의 플랜지(22)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일치시킨 후 그 안으로 나사를 돌려 넣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 나사 구멍을 정렬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조립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될 경우, 알루미늄 소재의 램프 본체(10)와 안정기 회로기판(50) 사이에 미약한 방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안정기 회로기판(50)에 배치된 소자들이 미약한 방전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경우, 엘이디 램프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엘이디 중 일부가 발광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엘이디 램프의 조립과정에서 발생하는 조립속도의 저하와, 미약한 방전에 의한 엘이디 램프의 수명 단축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램프 본체와 베이스 연결구의 결합이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엘이디 램프의 장수명화(長壽命化)가 달성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는, 복수의 방열핀이 외면에 형성되고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중공형의 금속제 램프 본체 ; 램프 본체의 하단이 지지되는 플랜지와, 플랜지로부터 상향(上向) 돌출되어 램프 본체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는 절연벽과, 플랜지로부터 하향(下向) 돌출되는 나사부를 구비하는 전기절연성의 베이스 연결구 ; 베이스 연결구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금속제 베이스 ; 램프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엘이디 회로기판 ; 엘이디 회로기판보다 밑에 있도록 램프 본체의 내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엘이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안정기 회로기판 ; 및 엘이디 회로기판보다 위에 있도록 램프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 ;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연벽의 내면에는, 안정기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측 변부(邊部)를 지지할 수 있는 홈 형상의 가이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연결구와 램프 본체가 신속·정확하게 결합되도록, 램프 본체의 내면과 절연벽에는, 각각, 대응되는 형상의 위치결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안정기 회로기판에 대한 절연벽의 보호 작용이 충분히 행해질 수 있도록, 램프 본체 내에서의 절연벽의 상단은 안정기 회로기판의 상단보다 더 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 연결구의 플랜지에서 안정기 회로기판의 상단까지의 수직높이가 절연벽의 수직높이보다 짧게(낮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램프 본체 안으로 베이스 연결구의 절연벽을 밀어넣기만 하면, 램프 본체의 내면과 절연벽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결정부가 서로 대응하여, 램프 본체의 하단면에 마련된 나사 구멍과 베이스 연결구의 플랜지에 마련된 나사 구멍이 일직선상에 정렬되므로 램프 본체와 베이스 연결구의 조립이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램프 본체 내에 배치되는 안정기 회로기판이 베이스 연결구의 절연벽에 의해 램프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절연벽의 벽 두께만큼 떨어져 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절연벽이 안정기 회로기판에 대한 전기절연 작용을 수행하게 되므로, 램프 본체와 안정기 회로기판 사이에서는 방전이 일어나지 않아, 엘이디 램프의 장수명화(長壽命化)가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램프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9-0011557호에 개시된 사항들 중, 본 고안에 적 용 가능한 특징과 변형이 본 고안에 모두 편입될 수 있다.
먼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백열 전구형 엘이디 램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백열 전구형 엘이디 램프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백열 전구형 엘이디 램프는, 알루미늄 소재로 된 램프 본체(100)와, 합성수지제의 베이스 연결구(200)와, 금속제 베이스(300)와, 엘이디 회로기판(400)과, 안정기 회로기판(500)과, 합성수지제의 렌즈(600)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램프 본체(100)는, 본 출원인이 2009년 9월 3일자로 출원한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9-0011557호에 개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방열핀(110)이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합성수지로 된 하나의 절연링(120)이 나사를 사용하여 상기 방열핀(110)들의 선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여러 가지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도록 그 내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램프 본체(100)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부가 램프 본체(10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램프 본체(100)의 하단면에는 베이스 연결구(200)의 나사고정시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합성수지제의 베이스 연결구(200)는, 램프 본체(100)의 하단이 지지되는 플랜지(220)와, 플랜지(220)로부터 상향(上向) 돌출되어 램프 본체(100)의 하측 방향에서 램프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절연벽(230)과, 플랜지(220)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나사부(2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램프 본체(100)의 나사 구멍과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220)에 복수 개의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벽(230)의 한 곳 이상에는, 램프 본체(100)의 내면에 형성된 위치결정부와 대응되는 위치결정부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절연벽(230)의 일부를 제거해서 만든 슬릿(slit)이 위치결정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절연벽(230)의 내면에는, 안정기 회로기판(500)의 양측 변부(邊部)를 지지할 수 있도록, 홈 형상의 가이드(231)가 2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는, 안정기 회로기판(500)의 상단이 절연벽(230)의 상단을 넘어선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안정기 회로기판(500)에 대한 절연벽(230)의 보호작용이 충분히 행해질 수 있도록, 절연벽(230)의 상단 이 안정기 회로기판(500)의 상단보다 약간 더 위에 위치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연결구(200)에 체결되는 금속제 베이스(300)는 제공하려는 엘이디 램프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는 백열 전구 형태에 맞게 제작되었다. 그러므로 제공하고자 하는 엘이디 램프가 할로겐 램프와 비슷한 형태의 것이라면, 콘센트에 꽂아 쓸 수 있는 플러그 형태의 베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램프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엘이디 회로기판(400)과, 엘이디 회로기판(400)보다 밑에 있도록 램프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엘이디 회로기판(4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안정기 회로기판(500)은, 구성 및 작용·효과가 이 기술분야에서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끝으로, 엘이디 회로기판(400)보다 위에 있도록 램프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본 실시예의 렌즈(600)는, 엘이디 회로기판(400) 쪽으로 향해 있는 표면 측에, 속이 빈 반구형(半球形)이나 반타원형 형태의 광확산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백열 전구형 엘이디 램프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백열 전구형 엘이디 램프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종래 구성에 따른 백열 전구형 엘이디 램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램프 본체(lamp body)
110...방열핀(cooling fin)
120...절연링(insulation ring)
200...베이스 연결구(base connector)
210...나사부(thread portion)
220...플랜지(flange)
230...절연벽(insulating wall)
231...가이드(guide)
300...베이스(base)
400...엘이디 회로기판(LED circuit substrate)
500...안정기 회로기판(ballast circuit substrate)
600...렌즈(lens)

Claims (4)

  1. 복수의 방열핀(110)이 외면에 형성되고,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중공형의 금속제 램프 본체(100);
    상기 램프 본체(100)의 하단이 지지되는 플랜지(220)와, 상기 플랜지(220)로부터 상향(上向) 돌출되어 상기 램프 본체(100)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상기 램프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절연벽(230)과, 상기 플랜지(220)로부터 하향(下向) 돌출되는 나사부(210)를 구비하는 전기절연성의 베이스 연결구(200);
    상기 베이스 연결구(200)의 나사부(210)에 결합되는 금속제 베이스(300);
    상기 램프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엘이디 회로기판(400);
    상기 엘이디 회로기판(400)보다 밑에 있도록 상기 램프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 회로기판(4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안정기 회로기판(500); 및
    상기 엘이디 회로기판(400)보다 위에 있도록 상기 램프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6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벽(230)의 내면에, 상기 안정기 회로기판(500)의 적어도 일측 변 부(邊部)를 지지할 수 있는 가이드(231)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기 회로기판(500)에 대한 상기 절연벽(230)의 보호작용이 충분히 행해질 수 있도록, 상기 램프 본체(100) 내에서의 상기 절연벽(230)의 상단 위치가 상기 안정기 회로기판(500)의 상단 위치보다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본체(100)의 내면과 상기 절연벽(230)에는, 각각 위치결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2020090012013U 2009-09-14 2009-09-14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200452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013U KR200452816Y1 (ko) 2009-09-14 2009-09-14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013U KR200452816Y1 (ko) 2009-09-14 2009-09-14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816Y1 true KR200452816Y1 (ko) 2011-03-21

Family

ID=4424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013U KR200452816Y1 (ko) 2009-09-14 2009-09-14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8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09B1 (ko) 2011-04-04 2012-08-30 남경 주식회사 엘이디 전구
WO2015012443A1 (ko) * 2013-07-23 2015-01-29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조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686A (ko) * 2001-12-29 2004-11-08 항조우 후양 신잉 띠앤즈 리미티드 Led 및 led램프
KR20080002869U (ko) * 2007-01-23 2008-07-28 광성전기산업(주) 교류 전원용 발광 다이오드 램프
JP2009164074A (ja) * 2008-01-10 2009-07-23 Panasonic Corp 放電ランプ
KR20100102689A (ko) * 2008-01-29 2010-09-2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조명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686A (ko) * 2001-12-29 2004-11-08 항조우 후양 신잉 띠앤즈 리미티드 Led 및 led램프
KR20080002869U (ko) * 2007-01-23 2008-07-28 광성전기산업(주) 교류 전원용 발광 다이오드 램프
JP2009164074A (ja) * 2008-01-10 2009-07-23 Panasonic Corp 放電ランプ
KR20100102689A (ko) * 2008-01-29 2010-09-24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조명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09B1 (ko) 2011-04-04 2012-08-30 남경 주식회사 엘이디 전구
WO2015012443A1 (ko) * 2013-07-23 2015-01-29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조명장치
US9062858B2 (en) 2013-07-23 2015-06-23 Posco Led Company Ltd. Optical semiconductor ligh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2249B2 (en) Linear solid-state lighting with broad viewing angle
EP3303907B1 (en) Led-based light with canted outer walls
US20110018418A1 (en) Led lighting apparatus to dissipate heat by fanless ventilation
KR100931595B1 (ko) 엘이디 등기구의 장착장치
CA2889834C (en) Light emitting diode spotlight
JP2012243390A (ja) 発光装置、口金付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KR101072584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102455B1 (ko) Led 조명기구
KR101075555B1 (ko) 방열 기능이 구비된 등기구
KR101256865B1 (ko) 조명용 엘이디 램프
US20140153259A1 (en) Led lamp
JP2010170903A (ja) 光源用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JP2010171236A (ja) Ledランプ
CN107859890B (zh) 一种多极型全方位发光led光源及其支架
KR200452816Y1 (ko) 안정기 회로기판 보호용 절연벽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KR200449340Y1 (ko) Led램프
CN204313106U (zh) 通风玻璃led射灯
KR101933046B1 (ko) 볼트리스 타입의 조명장치
EP3141795A1 (en) Monolithic base of led lighting module and lamp having the same
KR20110004144U (ko)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백열전구형 엘이디 램프
KR101580256B1 (ko) 전구형 led 조명장치
CN108131575B (zh) 灯具及其装配座
KR101185389B1 (ko) 조명장치 및 그 조립체
KR200462533Y1 (ko) Led램프
JP2013201041A (ja) 発光モジュール、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