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469Y1 - 무자계 발열선 - Google Patents

무자계 발열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469Y1
KR200447469Y1 KR2020090009910U KR20090009910U KR200447469Y1 KR 200447469 Y1 KR200447469 Y1 KR 200447469Y1 KR 2020090009910 U KR2020090009910 U KR 2020090009910U KR 20090009910 U KR20090009910 U KR 20090009910U KR 200447469 Y1 KR200447469 Y1 KR 200447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heating wire
line
wire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희
Original Assignee
(주)한미미리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미미리락 filed Critical (주)한미미리락
Priority to KR2020090009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4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4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0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 G05D23/24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the sensing element having a resistance varying with temperature, e.g. a therm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자계 발열선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자계 발생을 억제시키는 동시에 발열선의 과부하를 감지하도록 최적화된 구조를 갖는 발열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심재(10)를 권회하여 설치되는 열선(20)과; 상기 열선(20)을 피복하는 내부절연재(30)와; 상기 내부절연재(30)를 권회하여 설치되고, 동일한 전원으로부터 상기 열선(20)에 흐르는 전류의 역상 전류를 공급받으며, 에나멜로 코팅된 자계상쇄선(40)과; 상기 자계상쇄선(40)과 함께 내부절연재(30)를 권회하여 설치되는 감지선(50)과; 상기 자계상쇄선(40) 및 감지선(50)을 피복하는 외부절연재(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자계를 발생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열선의 과부하 감지를 위한 비용 효율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무자계, 발열선, 코일, 절연체, 에나멜

Description

무자계 발열선{NON MAGNETIC FIELD HEATING ELEMENT WIRE}
본 고안은 무자계 발열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계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한편으로 발열선의 과부하를 감지하도록 최적화된 구조를 갖는 무자계 발열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판, 전기요와 같은 침구류에는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발열체로 발열선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발열선 중 인체에 유해한 자계를 상쇄시키기 위한 종래의 대표적인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은 도 1을 참조로 하면, 폴리에스터 실이나 글라스 울로 이루어진 심실(1)과, 심실(1)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열선(2)과, 심실(1) 외주면의 열선(2)상에 피복되는 절연체(3)와, 절연체(3)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회하여 발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선(4)과, 이 온도감지선(4) 상에 피복되어 내부를 보호하는 외피(5)로 구성되어, 그 열선(2)과 온도감지선(4)의 일단부가 서로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전원의 +, - 단자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호간에 자계를 상쇄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은 온도감지선이 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감지의 역할뿐만 아니라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온도감지라는 고유의 기능이 저하되는 단점, 다시 말해서 온도감지선이 열선에서 발산되는 온도를 직접 감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되는 저항열만 감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온도감지선을 통한 정확한 온도의 감지가 어려워 열선에 과부하가 걸릴 시에 발열선과 이 발열선에 접속되는 온도조절기가 순간 과부하에 대응하는 시간이 느려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발열선의 심각한 훼손이나 온도조절기의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계 상쇄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열선의 과부하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발열선 및 이에 연결되는 온도조절기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자계 발열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전선과 자계를 상쇄시키기 위한 전선의 교차 배치가 가능함에 따라 각 전선의 밀림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무자계 발열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심재를 권회하여 설치되는 열선과; 상기 열선을 피복하는 내부절연재와; 상기 내부절연재를 권회하여 설치되고, 동일한 전원으로부터 상기 열선에 흐르는 전류의 역상 전류를 공급받으며, 에나멜로 코팅된 자계상쇄선과; 상기 자계상쇄선과 함께 내부절연재를 권회하여 설치되는 감지선과; 상기 자계상쇄선 및 감지선을 피복하는 외부절연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계상쇄선 및 감지선은 상호간에 일회 이상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자계상쇄선의 에나멜 코팅이 열선에서 발생되는 과열에 의해 벗겨짐에 따라 감지선과 자계상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하여 열선 및 자계상쇄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차단부가 무자계 발열선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자계 발열선은 내부 열선과 자계상쇄선에 동일 전원으로부터 반대되는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생되는 자계를 상쇄시키는 한편으로, 열선에서 과열이 일어나게 되면 감지선과 자계상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여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원차단부를 통해 신속히 차단할 수 있어 발열선 및 이에 연결되는 전원차단부를 포함한 온도조절기의 훼손을 대폭적으로 감소 시킬 수 있으며, 또한 기타 화재와 같은 사고로부터 안전을 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계상쇄선과 감지선이 복수회 교차되는 형태로 설치가능함에 따라 그 각각이 내부절연재 및 외부절연재 사이에서 편중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무자계 발열선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자계 발열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자계상쇄선 및 감지선이 교차 권회된 본 고안에 따른 무자계 발열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자계 발열선은 심재(10)와, 심재(10)를 권회하여 설치되는 열선(20)과, 열선(20)을 피복하는 내부절연재(30)와, 내부절연재(30)를 권회하여 설치되는 자계상쇄선(40) 및 감지선(50)과, 자계상쇄선(40) 및 감지선(50)을 피복하는 외부절연재(60)로 구성된다.
상기 심재(10)는 고온 및 수분에 강하고 불에 타지 않으며 내식성이 우수한 유리섬유 또는 글라스울이나, 내식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사 등을 그 재질로 한다.
상기 열선(20)은 알루미늄, 동선, 니크롬선, 합금선 등으로 이루어져 심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회 권회되어 설치된다.
상기 내부절연재(30)로는 실리콘, PVC 수지, 카본 폴리머 수지, 폴리에스터 중합체, 테프론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되어 열선(20)을 절연시키도록 피복된다.
상기 자계상쇄선(40)은 알루미늄 또는 동선에 에나멜이 코팅된 것으로 내부절연재(3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회 권회되어 설치되는데, 교류전원의 + 또는 - 단자측에 접속되는 열선(20)과 반대 방향의 단자측에 접속되어 열선(20)에 흐르는 전류의 역상 전류를 동일한 교류전원으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이에 따라 열선(20)과 자계상쇄선(4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이 반대가 되고 열선(20)에 형성된 자기장 중심과 자계상쇄선(40)의 자기장 중심이 일치하게 되기 때문에 동일 중심을 갖고 방향이 반대인 자기장은 상호간에 상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선(50)은 자계상쇄선(40)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또는 동선으로 이루어지며 자계상쇄선(40)과 함께 내부절연재(30)를 권회하여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자계상쇄선(40) 및 감지선(50)이 상호간에 복수회 교차되도록 설치됨으로써 감지선(50)과 자계상쇄선(40)의 접속 부분이 명확히 한정됨과 동시에 망체 형상으로 배치되어 각 선이 밀림에 따라 한 쪽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으로 상기 자계상쇄선(40)의 에나멜 코팅은 열선(20)에서 발생되는 과부하, 즉 과열에 의해 벗겨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때에 감지선(50)과 자계상쇄선(40)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원리를 이용하여 열선(20) 및 자계상쇄선(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열선(20)의 과열이라 함은 에나멜 코팅이 제거되는 정도의 열량을 말하며 발열선 및 이에 공급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20℃ 이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자계상쇄선(40)과 감지선(50)과의 접속구조를 통해, 기존 발열선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단순히 온도상승에 따라 그 크기가 커지는 저항값을 통해 파악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것에 더하여 부분적인 자계상쇄선(40)과 감지선(50)간의 전기적 접속을 확인하여 신속히 전원을 차단할 수 있어 이중적으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호간에 접속되는 열선(20), 자계상쇄선(40) 및 감지선(50)은 에나멜 코팅이 열선(20)에서 발생된 과열에 의해 벗겨져 감지선(50)과 자계상쇄선(40)이 상호간에 접속되는 것을 확인하여 열선(20) 및 자계상쇄선(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온도조절기에 구비되는 전원차단부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외부절연재(60)는 내부절연재(30)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PVC 수지, 카본 폴리머 수지, 폴리에스터 중합체, 테프론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되어 자계상쇄선(40) 및 감지선(50)을 절연시키도록 피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자계 발열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자계 발열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자계상쇄선 및 감지선이 교차 권회된 본 고안에 따른 무자계 발열선을 도시한 도면.

Claims (3)

  1. 심재(10)를 권회하여 설치되는 열선(20)과; 상기 열선(20)을 피복하는 내부절연재(30)와; 상기 내부절연재(30)를 권회하여 설치되고, 동일한 전원으로부터 상기 열선(20)에 흐르는 전류의 역상 전류를 공급받으며, 에나멜로 코팅된 자계상쇄선(40)과; 상기 자계상쇄선(40)과 함께 내부절연재(30)를 권회하여 설치되는 감지선(50)과; 상기 자계상쇄선(40) 및 감지선(50)을 피복하는 외부절연재(60);로 구성되되,
    상기 자계상쇄선(40) 및 감지선(50)은 상호간에 일회 이상 교차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자계상쇄선(40)의 에나멜 코팅이 열선(20)에서 발생되는 과열에 의해 벗겨짐에 따라 감지선(50)과 자계상쇄선(4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하여 열선(20) 및 자계상쇄선(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차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자계 발열선.
  2. 삭제
  3. 삭제
KR2020090009910U 2009-07-28 2009-07-28 무자계 발열선 KR200447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910U KR200447469Y1 (ko) 2009-07-28 2009-07-28 무자계 발열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910U KR200447469Y1 (ko) 2009-07-28 2009-07-28 무자계 발열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469Y1 true KR200447469Y1 (ko) 2010-01-25

Family

ID=4421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910U KR200447469Y1 (ko) 2009-07-28 2009-07-28 무자계 발열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46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981A (ko) * 2004-08-23 2006-02-28 류찬호 온도 센서가 내장된 전자파 차폐용 발열선
KR20060055580A (ko) * 2004-11-17 2006-05-23 조춘영 온도 감지기가 내장된 전자파 차폐용 발열선
KR20080098258A (ko) * 2007-05-04 2008-11-07 주식회사 뉴지로 전기장 및 자기장 차단 발열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981A (ko) * 2004-08-23 2006-02-28 류찬호 온도 센서가 내장된 전자파 차폐용 발열선
KR20060055580A (ko) * 2004-11-17 2006-05-23 조춘영 온도 감지기가 내장된 전자파 차폐용 발열선
KR20080098258A (ko) * 2007-05-04 2008-11-07 주식회사 뉴지로 전기장 및 자기장 차단 발열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815B1 (ko) 온도조절기, 온도조절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발열선
JP4669779B2 (ja) 電気毛布/パッド
KR100750011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심플형 유해 전자파 차단 조절기
US8698045B2 (en) Heating blanket
JP4446993B2 (ja) 液中用電気ヒーター
KR200447469Y1 (ko) 무자계 발열선
KR101173990B1 (ko) 온도조절 장치의 화재 방지 장치
KR20130001212U (ko) 단위 길이당 저항 감소 전기장 차단 발열선
KR100871682B1 (ko) 전기장 및 자기장 차단 발열선
KR101208110B1 (ko) 전자파차단 발열선 연결장치
KR101502531B1 (ko)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KR20120034842A (ko) 전자파 전기장 및 자기장 차단 ptc 발열체선
KR100664529B1 (ko) 침구류용 전기장 및 자계장 차단 발열선
KR100895931B1 (ko) 침구류용 무자계 무전계 발열선
KR100926227B1 (ko) 온도조절 장치의 화재 방지 장치
KR200447573Y1 (ko) 굵기를 최소화시킨 발열선 구조
KR200288140Y1 (ko) 침구류용 무자계 감열선
KR101377396B1 (ko) 전자파 차단 ptc 발열체선
JP2009162454A (ja) 電気採暖具
KR20220125408A (ko) 전기담요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61397Y1 (ko) 전기매트용 발열선
RU93608U1 (ru) Пленочный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JPH0351271B2 (ko)
CN203351366U (zh) 一种过热保护效果良好的变压器
KR200339726Y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