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531B1 -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 Google Patents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531B1
KR101502531B1 KR1020130071980A KR20130071980A KR101502531B1 KR 101502531 B1 KR101502531 B1 KR 101502531B1 KR 1020130071980 A KR1020130071980 A KR 1020130071980A KR 20130071980 A KR20130071980 A KR 20130071980A KR 101502531 B1 KR101502531 B1 KR 101502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ower
power supply
sens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086A (ko
Inventor
조정구
민병덕
문용기
송두익
손호섭
Original Assignee
(주)그린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파워 filed Critical (주)그린파워
Priority to KR1020130071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5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 H01B7/324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comprising temperature sens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3Power cables including electrical control or communicatio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교류 전원장치와 급전선로를 잇는 연장선을 내측선과 외측선의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인덕턴스가 제로인 무유도 전력선을 구현하고, 연장선의 정중앙부에 과열 감지선을 삽입하여 유도 가열에 의한 연장선의 가열에 대해 신뢰성이 있는 감지를 달성하는 기술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내측선을 외측선의 정중앙에 삽입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내측선과 외측선 각각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 상쇄되어 외측선과 내측선으로부터 인덕턴스가 제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내측선의 중앙부에 과열 감지선을 일체형으로 삽입하여 내측선과 외측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으로부터 과열 감지선은 유도 가열이 일어나지 않아 내측선에 대한 신뢰성 있는 열감지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선과 과열 감지선이 상호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발열감지의 신뢰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non-inductive power line having heat sensor lines}
본 발명은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교류 전원장치와 급전선로를 잇는 연장선을 내측선과 외측선의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인덕턴스가 제로인 무유도 전력선을 구현하고, 무유도 전력선의 과열을 감지하기 위해서 과열 감지선(감열선)을 구성하되 전력선의 정중앙과 전력선의 외부에 배치하여 전력선 외부의 발열체에 의한 전력선의 과열감지 및 전력선 자체의 과열 감지기능을 갖는 무유도 전력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 동축 케이블 형태의 전력선은 내측선과 외측선 각각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 상쇄되어 전력선의 외부나 전력선의 정중앙에는 자속이 제로가 된다. 따라서, 전력선의 인덕턴스가 제로 상태가 되어 무유도 전력선이 되며, 전력선의 외부 및 정중앙에 배치된 과열 감지선은 자속으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비자성체의 특수 과열 감지선이 아닌 일반 자성체 과열 감지선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정해진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이송장비나 지정된 장소에 고정된 전자기기에 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한다.
이처럼 전기적, 기구적 접촉을 하지 않고 정해진 궤도를 따라 움직이거나 지정된 장소에 고정된 전자기기에 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이 많이 사용이 되고 있다.
그런데, 급전선로가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교류 전원장치와의 거리가 먼 경우 교류 전원장치와 급전선로를 잇는 연장선이 필요한데, 연장선에서 발생하는 인덕턴스 증가로 인해 교류 전원장치에 무효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고주파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고주파 자기장의 영향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대전력 고주파 유도가열 장치용 고주파 케이블(특허출원 10-2008-0085399호)
2. 동축 고주파 케이블 및 이의 유전물질(특허출원 10-1998-071091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교류 전원장치와 급전선로를 잇는 연장선에서 발생하는 인덕턴스를 제로 상태로 하여 무효 전력손실을 감소시키고, 연장선 주위에 유해한 자기장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과열감지를 위해서 전력선의 외부와 전력선의 정중앙에 과열 감지선을 구비하는 무유도 전력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은, 외부의 집전장치에 무선 전력전송을 하는 급전선로와 이 급전선로에 전원을 인가하는 교류 전원장치를 연결하고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으로서, 교류 전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내측선과, 내측선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교류 전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가 내측선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외측선과, 내측선과 외측선 사이에 끼워져 내측선과 외측선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내피과, 외측선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외측선을 마감하여 외측선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외피를 구비하는 무유도 전력선 2 가닥을 상호 꼬아서 형성한 감열도선과, 감열도선 각각에 피복된 융해피복으로 이루어지며, 무유도 전력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무유도 전력선의 정중앙과 무유도 전력선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무유도 전력선의 발열로 융해피복이 녹으면 감열도선의 2가닥이 상호 단락되어 무유도 전력선이 과열 상태임을 감지하는 과열 감지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과열 감지선과 내측선 사이에 끼워져 과열 감지선과 내측선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보조 절연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은, 외부의 집전장치에 무선 전력전송을 하는 급전선로와 이 급전선로에 전원을 인가하는 교류 전원장치를 연결하고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으로서, 교류 전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복수 개의 내측선과, 내측선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교류 전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가 내측선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복수 개의 외측선과, 내측선과 외측선 사이에 끼워져 내측선과 외측선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내피과, 외측선의 바깥쪽을 감싸는 형태로 외측선을 마감하여 외측선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외피를 구비하는 무유도 전력선 2 가닥을 상호 꼬아서 형성한 감열도선과, 감열도선 각각에 피복된 융해피복으로 이루어지며, 무유도 전력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무유도 전력선의 내부에 상호 대칭으로 설치되어 무유도 전력선의 발열로 융해피복이 녹으면 감열도선의 2가닥이 상호 단락되어 무유도 전력선이 과열 상태임을 감지하는 과열 감지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은,
(1) 내측선을 외측선의 정중앙에 삽입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내측선과 외측선 각각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 상쇄되어 외측선과 내측선으로부터 인덕턴스가 제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무효 전력손실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2) 전력선에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 상쇄되어 전력선 주위에 유해한 자기장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3) 내측선의 중앙부에 과열 감지선을 일체형으로 삽입하여 내측선과 외측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으로부터 과열 감지선은 유도 가열이 일어나지 않아 내측선에 대한 신뢰성 있는 열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내측선과 과열 감지선이 상호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발열감지의 신뢰성이 보다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급전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 - a 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열 감지선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유도 전력선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유도 전력선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유도 전력선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유도 전력선과 이의 연결장치가 도시된 개략적인 회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급전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무선 전력전송 장치는 교류 전원장치(100), 연장선(200), 급전선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교류 전원장치(100)는 외부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고, 하나의 교류 전원장치(100)는 복수 개의 외부 급전선로(400)에 전류를 흘려줄 수도 있다.
연장선(200)은 급전선로(400)가 교류 전원장치(100)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되는 경우 급전선로(400)와 교류 전원장치(100)를 잇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 연장선(200)에서는 교류 전원장치(100)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로 인해 주변에 유해한 자기장을 형성하고, 고주파 전류로 인해 발생한 자기장으로 인해 인덕턴스를 발생시켜 무효 전력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도 있다.
급전선로(400)는 이 급전선로(400)와 비접촉식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의 집전코일에 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을 전달하고, 집전코일을 탑재한 집전장치(500)는 집전코일에 유기된 유도전력을 인가받아 전력을 충전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a - a 선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장선(200)은 교류 전원장치(100)에서 급전선로(400)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연장선과, 급전선로(400)에서 교류 전원장치(100)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연장선이 별개의 2개 라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각각의 연장선(200)은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도체로 연장도선(210)이 구비되고, 이 연장도선(210)의 외표면에 둘러싸여 연장도선(210)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연장선 외피(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연장도선(210)에 연장선 외피(220)가 둘러싸인 상태에서 연장선(200)을 외부와 차단하는 연장선 보호관(230)이 최외각에 씌워진다.
이렇게 구성된 각각의 연장선(200)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게 되면 각각의 연장선(200) 주변에는 강한 자기장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연장선(200)의 인덕턴스가 발생한다. 이때, 연장선(200)에 발생한 인덕턴스는 무효 전력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3]은 [도 1]의 무선 전력전송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급전선로(400)와 연장선(200)은 각각의 연장선 인덕턴스(300)를 갖게 되며 여기서의 연장선의 인덕턴스(300)는 전력 전달에 기여하지 못하면서 유해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교류 전원장치(100)의 전력 손실과 급전선로(400)에 고전압을 유발한다. 따라서 연장선(200)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다.
한편, 급전선로(400)에 근접한 위치에는 이 급전선로(400)와 비접촉식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의 집전코일에 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을 전달하고, 집전코일을 탑재한 집전장치(500)는 집전코일에 유기된 유도전력을 인가받아 전력을 충전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열 감지선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과열 감지선(50)은 감열도선(51), 융해피복(52), 과열 감지선 외피(53)로 이루어지고, 감열도선(51)은 2가닥이 상호 꼬인 상태로 형성되며, 융해피복(52)은 감열도선(51)을 이루는 2가닥 각각의 외표면에 둘러싸여 감열도선(51)을 외부와 절연시키고, 내측선(10,10')의 발열로 녹으면서 감열도선(51)의 2가닥이 상호 맞붙어 단락되도록 하며, 주변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하면 녹게 된다.
그리고, 과열 감지선 외피(53)는 융해피복(52)이 씌워진 상태로 2가닥이 상호 꼬인 상태를 이루는 감열도선(51)의 외표면에 둘러싸여 감열도선(51)의 둘레를 소정 텐션으로 압박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무유도 전력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감지선을 구비하는 무유도 전력선은, 외부의 집전장치(500)에 무선 전력전송을 하는 급전선로(400)와 이 급전선로에 전원을 인가하는 교류 전원장치(100)를 연결하고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으로서, 무유도 전력선(1), 과열 감지선(50), 보조 절연체(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유도 전력선(1)은 내측선(10), 외측선(20), 절연내피(30), 절연외피(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내측선(10)은 교류 전원장치(100)로부터 인가되는 강한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데, 이 전류는 교류 전원장치(100)로부터 급전선로(400) 방향으로 흐르거나 급전선로(400)로부터 교류 전원장치(100) 방향으로 흐른다.
외측선(20)은 내측선(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교류 전원장치(100)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가 내측선(10)과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즉, 내측선(10)이 외측선(20)의 정중앙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내측선(10)과 외측선(20)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 상쇄되어 외측선(20)과 내측선(10)으로부터 인덕턴스가 제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무효 전력손실을 해소할 수 있다.
절연내피(30)는 내측선(10)과 외측선(20) 사이에 끼워져 내측선(10)과 외측선(2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그리고, 절연외피(40)는 외측선(2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외측선(20)을 마감하여 외측선(20)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과열 감지선(50)은 감열도선(51), 융해피복(52), 과열 감지선 외피(53)로 구성되며, 내측선(10)의 발열을 감지할 수 있도록 내측선(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선(10)의 정중앙에 내측선(10)과 일체로 삽입된다. 이로 인해 과열 감지선(50)은 내측선(10)과 외측선(20)의 정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내측선(10)과 외측선(20)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아 유도 가열이 되지 않는다. 즉, 내측선(10)의 발열을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감지할 수 있다.
즉, 내측선(10)의 중앙부에 과열 감지선(50)을 일체형으로 삽입하여 내측선(10)과 외측선(20)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으로부터 과열 감지선(50)은 유도 가열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내측선(10)에 대한 신뢰성 있는 열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감열도선(51)은 내측선(10)의 발열을 감지할 수 있도록 내측선(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가닥이 상호 꼬인 상태로 내측선(10) 단면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내측선(10)의 중앙에 삽입된다. 그리고, 감열도선(51)은 비자성체에 비해 저가인 자성체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감열도선(51)은 내측선(10)과 외측선(20)으로부터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아 유도 가열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구성이다.
융해피복(52)는 감열도선(51)이 이루는 2가닥 각각의 외표면에 둘러싸여 감열도선(51)을 외부와 절연시키고 내측선(10)의 발열로 녹으면서 감열도선(51)의 2가닥이 상호 맞붙어 단락되도록 한다.
과열 감지선 외피(53)는 융해피복(52)이 씌워진 상태로 2가닥이 상호 꼬인 상태를 이루는 감열도선(51)의 외표면에 둘러싸여 감열도선(51)의 둘레를 소정 텐션으로 압박하여 융해피복(52)이 녹는 경우 감열도선(51)이 효과적으로 단락되도록 한다.
한편, 보조 절연체(60)는 과열 감지선(50)과 내측선(10) 사이에 끼워져 과열 감지선(50)과 내측선(1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유도 전력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은, 외부의 집전장치(500)에 무선 전력전송을 하는 급전선로(400)와 이 급전선로에 전원을 인가하는 교류 전원장치(100)를 연결하고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으로서, 무유도 전력선(1), 과열 감지선(50), 보조 절연체(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유도 전력선(1)은 내측선(10'), 외측선(20'), 절연내피(30), 절연외피(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내측선(10')은 교류 전원장치(100)로부터 인가되는 강한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데, 이 전류는 교류 전원장치(100)로부터 급전선로(400) 방향으로 흐르거나 급전선로(400)로부터 교류 전원장치(100) 방향으로 흐른다.
외측선(20')은 내측선(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교류 전원장치(100)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가 내측선(10')과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즉, 내측선(10')이 외측선(20')의 정중앙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내측선(10')과 외측선(20')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이 서로 상쇄되어 외측선(20')과 내측선(10')으로부터 인덕턴스가 제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무효 전력손실을 해소할 수 있다.
절연내피(30)는 내측선(10')과 외측선(20') 사이에 끼워져 내측선(10')과 외측선(2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그리고, 절연외피(40)는 외측선(20') 바깥쪽을 감싸는 형태로 외측선(20')을 마감하여 외측선(20')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과열 감지선(50)은 전력선(1)의 발열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전력선(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력선(1)의 정중앙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과열 감지선(50)은 내측선(10')과 외측선(20')의 정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내측선(10')과 외측선(20')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아 유도 가열이 되지 않는다. 즉, 내측선(10')의 발열을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전력선(1)의 중앙부에 과열 감지선(50)을 일체형으로 삽입하여 내측선(10')과 외측선(20')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으로부터 과열 감지선(50)은 유도 가열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전력선(1)에 대한 신뢰성 있는 열감지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감열도선(51)은 비자성체인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자성체에 비해 저가인 자성체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감열도선(51)은 내측선(10')과 외측선(20')으로부터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아 유도 가열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구성이다.
융해피복(52)는 감열도선(51)이 이루는 2가닥 각각의 외표면에 둘러싸여 감열도선(51)을 외부와 절연시키고 전력선(1)의 발열로 녹으면서 감열도선(51)의 2가닥이 상호 맞붙어 단락되도록 한다.
과열 감지선 외피(53)는 융해피복(52)이 씌워진 상태로 2가닥이 상호 꼬인 상태를 이루는 감열도선(51)의 외표면에 둘러싸여 감열도선(51)의 둘레를 소정 텐션으로 압박하여 융해피복(52)이 녹는 경우 감열도선(51)이 효과적으로 단락되도록 한다.
한편, 보조 절연체(60)는 과열 감지선(50)과 내측선(10') 사이에 끼워져 과열 감지선(50)과 내측선(1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무유도 전력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은, 상기의 제 2 실시예에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을 이룬다. 다만, 과열 감지선(50)이 전력선(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력선(1)의 내부에 상호 대칭으로 설치되어 내측선(10')과 외측선(20')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유도 가열을 받지 않게 된다. 즉, 내측선(10')의 발열을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감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유도 전력선과 이의 연결장치가 도시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유도 전력선 연결장치는 제 1 단자대(70)와 제 2 단자대(80)로 이루어진다.
제 1 단자대(7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유도 전력선(1)과 교류 전원장치(100)를 상호 연결하며, 제 2 단자대(8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유도 전력선(1)과 급전선로(400)를 상호 연결한다.
상세하게, 교류 전원장치(100)이 출력양단과 무유도 전력선(1)의 일단에 내측선(10)과 외측선(2)을 각각 연결하기 위해서 1 단자대(70)에 연결하고, 전력선(1)의 일단에 내측선(10)과 외측선(20)을 급전선로(400)의 양단에 연결하기 위해 제 2 단자대(80)에 연결한다.
교류 전원장치(100)는 과열 감지선(50)의 단락을 감지하여 전력선의 과열이 감지될 경우에 교류 전원장치(100)을 차단함으로서 전력선의 과열을 방지한다.
1 : 본 발명에 따른 무유도 전력선
10, 10' : 내측선 11' : 제 1 절연체
20, 20': 외측선 21' : 제 2 절연체
30 : 절연내피 40 : 절연외피
50 : 과열 감지선 51 : 감열도선
52 : 융해피복 53 : 과열 감지선 외피
60 : 보조 절연체 70 : 제 1 단자대
80 : 제 2 단자대 100 : 교류 전원장치
200 : 연장선 210 : 연장도선
220 : 연장선 외피 230 : 연장선 보호관
300 : 연장선 인덕턴스 400 : 급전선로
500 : 집전장치 g : 공극
r : 선간 거리

Claims (5)

  1. 외부의 집전장치에 무선 전력전송을 하는 급전선로와 이 급전선로에 전원을 인가하는 교류 전원장치를 연결하고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으로서,
    상기 교류 전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내측선(10)과, 상기 내측선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교류 전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가 상기 내측선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외측선(20)과, 상기 내측선과 상기 외측선 사이에 끼워져 상기 내측선과 상기 외측선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내피(30)과, 상기 외측선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외측선을 마감하여 상기 외측선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외피(40)를 구비하는 무유도 전력선(1);
    2 가닥을 상호 꼬아서 형성한 감열도선(51)과, 상기 감열도선 각각에 피복된 융해피복(52)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선과 상기 외측선에 의해 유도되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무유도 전력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무유도 전력선의 내측 정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무유도 전력선의 발열로 상기 융해피복이 녹으면 상기 감열도선의 2가닥이 상호 단락되어 상기 무유도 전력선이 과열 상태임을 감지하는 과열 감지선(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열도선(51)은 자성체인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열 감지선과 상기 내측선 사이에 끼워져 상기 과열 감지선과 상기 내측선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보조 절연체(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4. 외부의 집전장치에 무선 전력전송을 하는 급전선로와 이 급전선로에 전원을 인가하는 교류 전원장치를 연결하고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으로서,
    상기 교류 전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복수 개의 내측선(10')과, 상기 내측선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교류 전원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가 상기 내측선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복수 개의 외측선(20')과, 상기 내측선과 상기 외측선 사이에 끼워져 상기 내측선과 상기 외측선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내피(30)과, 상기 외측선의 바깥쪽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외측선을 마감하여 상기 외측선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외피(40)를 구비하는 무유도 전력선(1);
    2 가닥을 상호 꼬아서 형성한 감열도선(51)과, 상기 감열도선 각각에 피복된 융해피복(52)으로 구성되며, 상기 무유도 전력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무유도 전력선의 내부에 상호 대칭으로 설치되어 상기 무유도 전력선(1)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쇄하도록 하고, 상기 무유도 전력선의 발열로 상기 융해피복이 녹으면 상기 감열도선의 2가닥이 상호 단락되어 상기 무유도 전력선이 과열 상태임을 감지하는 과열 감지선(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열도선(51)은 비자성체인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KR1020130071980A 2013-06-21 2013-06-21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KR101502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980A KR101502531B1 (ko) 2013-06-21 2013-06-21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980A KR101502531B1 (ko) 2013-06-21 2013-06-21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086A KR20150000086A (ko) 2015-01-02
KR101502531B1 true KR101502531B1 (ko) 2015-03-16

Family

ID=5247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980A KR101502531B1 (ko) 2013-06-21 2013-06-21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455B1 (ko) * 2019-01-22 2019-11-08 (주)그린파워 감열선을 내장한 복합 전력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과열 보호 장치
KR102309665B1 (ko) * 2019-11-26 2021-10-07 (주)그린파워 과열 감지수단을 구비한 캐패시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335A (ja) 2000-06-27 2002-01-09 Shinko Electric Co Ltd 非接触給電装置
KR100463333B1 (ko) 1997-01-09 2004-12-2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비접촉 급전설비의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333B1 (ko) 1997-01-09 2004-12-2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비접촉 급전설비의 보호장치
JP2002002335A (ja) 2000-06-27 2002-01-09 Shinko Electric Co Ltd 非接触給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086A (ko) 201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5618B2 (en) System for monitoring temperature of electrical conductor
JP2017534873A (ja) 電気導体の容量性温度検出
DK3044556T3 (en) ELECTRIC WIRE TEMPERATURE MONITORING METHODS AND PROCEDURES
KR102042455B1 (ko) 감열선을 내장한 복합 전력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과열 보호 장치
JP4448796B2 (ja) 電磁波遮断調節器
EP3227652A1 (en) Magnetic based temperature sensing for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KR101502531B1 (ko) 과열 감지선을 구비한 무유도 전력선
JP6617296B2 (ja) 電池内蔵機器
EP3752807B1 (en) Bushings, system for temperature measur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measuring assembly in bushing in switchgear
KR101325545B1 (ko) 센터링된 감열선 기반의 과열보호 기능을 갖는 고주파 파워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과열보호 장치
KR101208110B1 (ko) 전자파차단 발열선 연결장치
KR100634754B1 (ko) 온도 감지기가 내장된 전자파 차폐용 발열선
CA3093005C (en) Induction heating extension cables including control conductors
KR100895931B1 (ko) 침구류용 무자계 무전계 발열선
US11399415B2 (en) Induction heating extension cables including control conductors
KR200330957Y1 (ko) 전기 자기장 차폐 및 상쇄 기능을 갖는 발열선
US10050497B2 (en) Method of assembling rotary electric machine
KR200447469Y1 (ko) 무자계 발열선
JP4924683B2 (ja) 誘導加熱装置用加熱コイル
KR101155421B1 (ko) 전자파 차단 전열장치
CN115790894A (zh) 高压三相电缆接头检测系统及方法
KR20180036094A (ko)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130042527A (ko) 감열식 발열선
KR20030069924A (ko) 전기 자기장 차폐 및 상쇄 기능을 갖는 발열선
ES2408905A2 (es) Elemento de calentamiento por inducción con una línea de calentamiento y aparato doméstico con dicho elemento de calentamien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