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265Y1 -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 - Google Patents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265Y1
KR200447265Y1 KR2020070019373U KR20070019373U KR200447265Y1 KR 200447265 Y1 KR200447265 Y1 KR 200447265Y1 KR 2020070019373 U KR2020070019373 U KR 2020070019373U KR 20070019373 U KR20070019373 U KR 20070019373U KR 200447265 Y1 KR200447265 Y1 KR 200447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teering
cylinder tube
end cap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3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494U (ko
Inventor
최진하
유장영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93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26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4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4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2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7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6Hydraul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운전자 핸들 조향 시 핸들의 회전운동을 유압에 의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핸들 조향감을 가볍게 해주는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를 제공한다. 상기 조향 실린더는 양 끝이 개구된 중공체 형상의 실린더 튜브와, 중앙 외연에 피스톤이 끼워져 있고 상기 실린더 튜브 내부에 좌, 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좌, 우 한 쌍의 밀폐된 실린더 공간 및, 밀폐된 실린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튜브 좌, 우 양 끝 개구단에 설치되는 엔드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엔드 캡은, 차축과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를 일체로 가지면서 압유 출입을 위한 포트 및 확경부를 가지며, 실린더 튜브 양 끝 개구단에 용접을 통해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유압, 조향장치, 조향 실린더

Description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Steering cylinder of hydraulic type steering device}
본 고안은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운전자 핸들 조향 시 핸들의 회전운동을 유압에 의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핸들 조향감을 가볍게 해주는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조향장치는 핸들 조향에 따른 조향축의 회전운동을 차축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운전자의 핸들 조향력을 그대로 차축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조향륜의 방향을 변경하는 일반 기계식 조향장치와 운전자 핸들 조향 시 핸들의 회전운동을 유압에 의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핸들 조향감을 가볍게 해주는 유압식 조향장치 등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기계식 조향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지지만 운전자의 핸들 조작력만으로 조향륜을 가변시켜야 하기 때문에, 핸들을 조작이 용이 하지 못하며, 특히 논, 밭과 같이 불규칙한 패턴의 작업 대상면을 주로 주행하는 농업용 작업 차량의 경우에는 이러한 기계식 조향장치를 이용하여서는 안정되면서도 보다 빠른 조향성을 기대할 수 없어, 최근에는 핸들 조향 시 유압을 이용하여 핸들의 조향감을 가볍게 함으로써, 핸들 조향의 안정성 및 조향성이 보다 향상된 상기 유압식 조향장치를 농업용 작업 차량에 보편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도 1은 농업용 작업 차량에 보편적으로 설치되는 종래의 유압식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유압식 조향장치는 유압제어밸브(미도시)로부터 제공된 유압을 이용하여 조향에 필요한 배력을 발생하는 복동 실린더 형태의 조향 실린더(10)를 포함한다. 조향 실린더(10)는 중공의 실린더 튜브(100) 및 실린더 튜브(100)내에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실린더 튜브 양 끝 개방단 측으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110)로 구성되며, 복수의 실린더 브래킷(120)을 매개로 차축(20) 전방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도 2는 상기한 종래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에 있어 실린더 튜브로부터 피스톤 로드가 외부로 인출되는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로서, 오일 출입을 위한 포트(102)가 실린더 튜브(100)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포트(102)에는 유압관로와의 연결을 위한 엘보우와 같은 커넥터(104)가 장착되며, 실린더 튜브(100) 개구단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110)의 좌, 우 슬라이딩을 지지하면서 작동유체 즉, 압유에 의한 조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실린더 튜브(100)의 선단을 밀폐하는 튜브 엔드(130)가 조립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튜브(100) 안쪽에 위치한 튜브 엔드(130) 일측에는 오일 씰(132)이 마련되며, 상기 튜브 엔드(130)는 피스톤 로드(110)의 슬라이딩 운동을 지지하는 부시(134)를 내면에 가진다. 이러한 튜브 엔드(130)는 상기 실린더 튜브(100) 개구단 측에 압입되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거나 도면에서와 같이 실린더 튜브 개구단 내면과 튜브 엔드 외면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호 나사체결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 조향 시 유압을 이용해 핸들의 조향감을 가볍게 해줌에 따라, 핸들 조향의 안정성 및 보다 향상된 조향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지만, 상기한 종래 조향 실린더의 경우에는, 상기 조향 실린더를 차축에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성품, 구체적으로 실린더 브래킷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린더 튜브 개구단에 튜브 엔드가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됨에 따라, 조향에 필요한 압유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을 정도의 실린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으로 상기 실린더 튜브의 좌, 우방 길이가 길 수 밖에 없었으며, 이처럼 실린더 튜브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는, 차체 설치 시 주변 부품 등의 배치상태를 고려했을 때 레이아웃상 불리한 단점이 있다.
또, 종래에는 실린더 튜브 내에 공급된 압유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일 씰을 설치하고 있지만, 이러한 오일 씰은 피스톤 로드와 튜브 엔드 사이의 틈새를 통한 오일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뿐, 구조적으로 상기 실린더 튜브와 튜브 엔드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도 오일이 누출될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으 므로, 상기 오일 씰과는 별도로 상기 실린더 튜브 개구단 측 내경과 상기 튜브 엔드 외경 사이에도 씰링을 위한 오링(O-ring, 136)이 설치될 수 밖에 없었다. 즉, 종래에는 오일 씰링을 위해 요구되는 구성부품이 많아 제작 단가가 상승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실린더 브래킷 없이도 실린더 튜브 및 피스톤을 포함하는 조향 실린더를 차축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실린더 튜브의 좌, 우방 길이를 연장하지 않고도 조향에 필요한 압유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실린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주 오일 씰 이외에 별도의 오링과 같은 씰링부재 없이도 오일이 누출되지 않는 밀폐된 실린더를 형성할 수 있는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운전자 핸들 조향 시 핸들의 회전운동을 유압에 의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핸들 조향감을 가볍게 해주는 유압식 조향장치에 있어서, 양 끝이 개구된 중공체 형상의 실린더 튜브; 중 앙 외연에 피스톤이 끼워져 있고, 피스톤을 매개로 상기 실린더 튜브 내부에 좌, 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튜브에 설치 시 그 양 끝이 실린더 하우징 바깥측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로 좌, 우방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진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좌, 우 한 쌍의 밀폐된 실린더 공간; 밀폐된 실린더 공간 형성을 위해 상기 실린더 튜브 좌, 우 양 끝 개구단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시 및 상기 실린더 내부에 유입된 압유 누설 방지를 위한 오일 씰을 내면에 가진 엔드 캡;을 포함하되, 상기 엔드 캡은, 차축과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를 일체로 가지면서 압유 출입을 위한 포트 및 확경부를 가지며, 실린더 튜브 양 끝 개구단에 용접을 통해 일체형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엔드 캡은, 상기 실린더 튜브 외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면서 상기 실린더 튜브 개구단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외경을 가진 결합단을 그 일측 개구부 선단에 일체로 가지도록 함으로써, 조립 시 상기 실린더 튜브 개구단 측에 상기 결합단이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되도록 하고, 조립 후 상호 경계부위를 용접을 통해 고정시켰을 때, 전체적으로 실린더 튜브 외경과 엔드 캡 외경이 상호 일치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드 캡의 결합단 외면 및 실린더 튜브 양 끝 개구단 내면에는 각각 암, 수 한 쌍의 돌기 및 홈을 형성하여, 조립 시 상기 실린더 튜브에 대한 엔드 캡의 정확한 조립 위치가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좋을 것이다. 이처 럼 한 쌍의 돌기 및 홈에 의해 실린더 튜브에 대한 엔드 캡의 정확한 조립위치가 안내되도록 구성하면, 조립 시 실린더 튜브에 대한 엔드 캡의 원주방향 조립오차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튜브에 엔드 캡을 가조립 한 후 용접을 통해 고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실린더 튜브 개구단과 엔드 캡 일측 개구단이 상호 접촉된 경계선을 따라 일정 깊이로 요홈이 함몰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용접 시 상기 요홈을 따라서 정확한 용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요홈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상기 실린더 튜브 개구단에 엔드 캡을 가조립했을 때, 상기 실린더 튜브 및 엔드 캡 각각의 개구단 바깥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단차 또는 경사면이 상호 마주하여 요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밀폐된 실린더 공간 형성을 위해 실린더 튜브 양측 개구단에 설치되는 엔드 캡에 차축과의 연결을 위한 위한 플랜지가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별도의 실린더 브래킷 없이도 실린더 튜브 및 피스톤을 포함하는 조향 실린더를 차축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실차 장착을 위해 종래와 같은 별도의 브래킷이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제작원가 절감차원의 비용면에 있어서 매우 유리한 구조이며, 실차 장착 시 장착 역시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실린더 튜브 내부에 밀폐된 실린더 공간 형성을 위한 상기 엔드 캡이 종래와 같이 실린더 튜브 개구단에 완전히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지 않으면서 압유 출입을 위한 포트 및 확경부를 구비함에 따라, 실린더 튜브의 좌, 우방 길이를 연장하지 않고도 실린더 튜브 내부에 조향에 필요한 압유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실린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조향에 필요한 압유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실린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실린더 튜브의 좌, 우방 길이를 연장함에 따른 실차 장착 시 종래와 같은 레이아웃 상의 문제 또한 해소가 가능하다.
또, 엔드 캡이 용접을 통해 실린더 튜브 개구단과 견고히 결합되는 구조로서, 실린더 튜브와 엔드 캡 사이의 틈새를 통한 오일 누출의 우려가 전혀 없으며, 따라서 피스톤 로드와 엔드 캡 사이의 틈새를 씰링하는 주 오일 씰 이외에 종래와 같은 별도의 오링과 같은 씰링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제품의 제작 단가 또한 크게 낮출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향 실린더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조향 실린더의 내부 구성을 보이기 위한 횡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조향 실린더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향 실린더는 양 끝이 개구된 중공체 형상의 실린더 튜브(3) 및 실린더 튜브(3)내에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 로드(4)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로드(4)는 실린더 튜브(3)에 설치 시 그 양 끝이 실린더 튜브(3) 바깥측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로 좌, 우방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지며, 공급된 압유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피스톤 로드(4)를 좌 또는 우측으로 작동시켜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4)의 중앙 외연에는 피스톤(5)이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5)을 기준으로 실린더 튜브(3) 내부에는 공급된 압유에 의해 조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좌, 우 한 쌍의 밀폐된 실린더 공간(6a,6b)이 형성되는데, 상기 실린더 공간(6a,6b)은 상기 실린더 튜브(3)의 양측 개구단에 장착되는 엔드 캡(7)에 의해 형성된다. 엔드 캡(7)에 의해 형성된 좌, 우 한 쌍의 밀폐된 실린더 공간(6a,6b) 중 어느 한 쪽에 위치한 밀폐된 실린더 공간으로는 유압제어밸브(미도시)에 의해 방향이 제어된 압유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압유의 공급으로 양 실린더 공간(6a,6b)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면, 압력이 높은쪽 실린더에서 낮은쪽 실린더 방향으로 상기 피스톤 로드가 이동하면서 조향륜에 대한 조향이 이루어진다.
상기 엔드 캡(7)은 상기 피스톤 로드(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부시(70) 및 상기 실린더 공간(6a,6b) 내부에 유입된 압유 누설 방지를 위한 오일 씰(72)을 내면에 가지며, 그 외면에는 차축과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74)를 일체로 가짐으로써, 별도의 실린더 브래킷 없이도 실린더 튜브 및 피스톤을 포함하는 조향 실린더를 차축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엔드 캡(7)은 조향을 위해 유압제어밸브로부터 공급된 압유(오일)가 상기 실린더 공간으로 출입하는 포트(76)를 구비하며, 포트(76)에는 유압제어밸브와 실린더 튜브(3)를 연결하는 유압관로와의 연결을 위한 엘보우와 같은 커넥터(C)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포트(76)와 연통하는 엔드 캡(7) 내경 일측에는 다른 부분에 비해 확장된 직경을 가지는 확경부(77)가 형성되며, 이러한 확경부(77)로 인하여 엔드 캡(7) 조립 후 피스톤 로드(4)와 상기 확경부(77) 사이에는 압유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상기와 같은 엔드 캡(7)이 실린더 튜브 양측 개구단에 장착됨에 있어서는, 상기 실린더 튜브(3) 개구단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외경을 가지면서 엔드 캡(7) 일측 개구부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단(78)을 상기 실린더 튜브(3) 개구단으로 삽입시켜 엔드 캡(7)을 가조립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튜브(3) 개구단과 엔드 캡(7)을 지그(jig)에 고정시킨 후, 실린더 튜브(3)와 엔드 캡(7)이 맞닿는 경계선을 따라 수행되는 용접에 의해 상기 실린더 튜브(3) 선단에 엔드 캡(7)이 견고히 고정된다.
엔드 캡(7) 가조립 시 실린더 튜브(3)에 대한 엔드 캡(7)의 조립위치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린더 튜브를 중심으로 좌, 우측 엔드 캡 간에는 원주 방향으로 상호 위상차가 발생할 수 있고, 좌, 우측 엔드 캡에 형성된 각각의 플랜지 역시 원주방향 위상차를 가지게 되므로, 장착 시 그 사이에 위치한 실린더 튜브(3)의 비틀림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드 캡(7)의 결합단(78) 외면 및 실린더 튜브 양 끝 개구단 내면에는 각각 암, 수 한 쌍의 돌기(90) 및 홈(92)을 형성하여, 조립 시 상기 암, 수 한 쌍의 돌기(90) 및 홈(92)에 의해서 상기 실린더 튜브에 대한 엔드 캡의 정확한 조립 위치가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한 쌍의 돌기(90) 및 홈(92)에 의해 실린더 튜브(3)에 대한 엔드 캡(7)의 정확한 조립위치가 안내되도록 구성하면, 조립 시 실린더 튜브에 대한 좌, 우 측 엔드 캡(7)의 원주방향 조립 오차, 즉, 실린더 튜브(3)를 중심으로 좌, 우측 엔드 캡 사이의 원주방향 위상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플랜지(74) 간 위상차이로 인해 유발되는 장착 시 문제점을 또한 해소 가능하다.
상기 실린더 튜브(3)에 엔드 캡(7)을 가조립시킨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호 접합 고정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실린더 튜브(3) 개구단과 엔드 캡(7) 일측 개구단이 상호 접촉된 경계선을 따라 일정 깊이로 요홈(92)이 함몰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용접 시 상기 요홈(92)을 따라서 정확한 용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홈(92)은 상기 실린더 튜브(3) 및 엔드 캡(7) 각각의 개구단 바깥측 모서리를 따라 단차 또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실린더 튜브(3) 개구단에 엔드 캡(7)을 가조립시킨 경우 실린더 튜브(3) 및 엔드 캡(7)에 형성된 상기 단차 또는 경사면이 상호 마주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엔드 캡(7)의 경우 실린더 튜브(3)의 외경에 비해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면, 엔드 캡(7) 조립 후 조향 실린더의 외관이 전체적으로 복잡해 보일 수 있으므로, 상기 엔드 캡(7)이 상기 실린더 튜브(3) 외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하여, 실린더 튜브 및 엔드 캡을 포함한 조향 실린더가 전반적으로 일체화된 외형을 가지도록 구성함이 좋을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9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엔드 캡 바깥쪽 내면에 끼워지는 더스트 씰을 가르킨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된 실린더 공간 형성을 위해 실린더 튜브 양측 개구단에 설치되는 엔드 캡에 차축과의 연결을 위한 위한 플랜지가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별도의 실린더 브래킷 없이도 실린더 튜브 및 피스톤을 포함하는 조향 실린더를 차축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실차 장착을 위해 종래와 같은 별도의 브래킷이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제작원가 절감차원의 비용면에 있어서 매우 유리한 구조이며, 실차 장착 시 장착 역시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실린더 튜브 내부에 밀폐된 실린더 공간 형성을 위한 상기 엔드 캡이 종래와 같이 실린더 튜브 개구단에 완전히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지 않으면서 압유 출입을 위한 포트 및 확경부를 구비함에 따라, 종래와는 달리 실린더 튜브의 좌, 우방 길이를 연장하지 않고도 실린더 튜브 내부에 조향에 필요한 압유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실린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조향에 필요한 압유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실린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실린더 튜브의 좌, 우방 길이를 연장해야 함에 따른 실차 장착 시 종래와 같은 레이아웃 상의 문제 또한 해소가 가능하다.
또, 엔드 캡이 용접을 통해 실린더 튜브 개구단과 견고히 결합되는 구조로서, 실린더 튜브와 엔드 캡 사이의 틈새를 통한 오일 누출의 우려가 전혀 없으며, 따라서 피스톤 로드와 엔드 캡 사이의 틈새를 씰링하는 주 오일 씰 이외에 종래와 같은 별도의 오링과 같은 씰링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제품의 제작 단가 또한 크게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유압식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향 실린더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조향 실린더의 내부 구성을 보이기 위한 횡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따른 조향 실린더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실린더 튜브 4...피스톤 로드
5...피스톤 6a, 6b...실린더 공간
7...엔드 캡 70...부시
72...오일 씰 74...플랜지
76...포트 77...확경부
78...결합단 80...요홈
90...돌기 92...홈

Claims (5)

  1. 운전자 핸들 조향 시 핸들의 회전운동을 유압에 의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핸들 조향감을 가볍게 해주는 유압식 조향장치에 있어서,
    양 끝이 개구된 중공체 형상의 실린더 튜브;
    중앙 외연에 피스톤이 끼워져 있고, 피스톤을 매개로 상기 실린더 튜브 내부에 좌, 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 튜브에 설치 시 그 양 끝이 실린더 튜브 바깥측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로 좌, 우방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진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좌, 우 한 쌍의 밀폐된 실린더 공간;
    밀폐된 실린더 공간을 형성을 위해 상기 실린더 튜브 좌, 우 양 끝 개구단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시 및 상기 실린더 공간 내부에 유입된 압유 누설 방지를 위한 오일 씰을 내면에 가진 엔드 캡;을 포함하되,
    상기 엔드 캡은,
    차축과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를 일체로 가지면서 압유 출입을 위한 포트 및 확경부를 가지며, 실린더 튜브 양 끝 개구단에 용접을 통해 일체형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캡은,
    상기 실린더 튜브 외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실린더 튜브 개구단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외경을 가진 결합단을 그 일측 개구부 선단에 일체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실린더 튜브에 대한 상기 엔드 캡의 정확한 조립 위치를 안내하는 암, 수 한 쌍의 돌기 및 홈이 엔드 캡의 상기 결합단 외면 및 실린더 튜브 양 끝 개구단 내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튜브와 엔드 캡이 상호 접촉된 경계선을 따라 일정 깊이로 요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요홈을 따라 용접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은,
    상기 실린더 튜브 개구단에 엔드 캡을 가조립했을 때, 상기 실린더 튜브 및 엔드 캡 각각의 개구단 바깥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단차 또는 경사면이 상호 마주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
KR2020070019373U 2007-12-03 2007-12-03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 KR200447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373U KR200447265Y1 (ko) 2007-12-03 2007-12-03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373U KR200447265Y1 (ko) 2007-12-03 2007-12-03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494U KR20090005494U (ko) 2009-06-08
KR200447265Y1 true KR200447265Y1 (ko) 2010-01-12

Family

ID=4129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373U KR200447265Y1 (ko) 2007-12-03 2007-12-03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2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578A (ko) 2021-09-13 2023-03-21 강원도 조향 가능한 농업용 원격주행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6785B (zh) * 2019-07-17 2024-04-09 嘉兴新维液压缸有限公司 一种军用转向油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38A (ja) 1997-06-19 1999-01-19 Nissan Motor Co Ltd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0135985A (ja) 1998-10-30 2000-05-16 Koyo Seiko Co Ltd 動力舵取装置のパワーシリンダ
JP2001295807A (ja) 2000-04-12 2001-10-26 Howa Mach Ltd 流体圧シリンダのエンドキャップ
JP2006160021A (ja) 2004-12-06 2006-06-22 Hitachi Ltd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38A (ja) 1997-06-19 1999-01-19 Nissan Motor Co Ltd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0135985A (ja) 1998-10-30 2000-05-16 Koyo Seiko Co Ltd 動力舵取装置のパワーシリンダ
JP2001295807A (ja) 2000-04-12 2001-10-26 Howa Mach Ltd 流体圧シリンダのエンドキャップ
JP2006160021A (ja) 2004-12-06 2006-06-22 Hitachi Ltd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578A (ko) 2021-09-13 2023-03-21 강원도 조향 가능한 농업용 원격주행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494U (ko) 2009-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50595B (zh) 一种液压衬套
US7334660B2 (en) Seal assembly for a rack and pinion steering assembly
US20060011406A1 (en) Power steering apparatus
KR200447265Y1 (ko) 유압식 조향장치의 조향 실린더
US7032500B1 (en) Single point steering gear hydraulic connection
CN212556479U (zh) 转向机及其蜗杆组件
CN213735167U (zh) 转向传动组件及转向机
KR20130073513A (ko) 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20080092683A1 (en) Venturi passageway for a steering assembly
EP3862609A1 (en) Fluid coupling system
KR200287123Y1 (ko) 자동차의변속기조작용배력장치
KR100991990B1 (ko) 스티어링 기어박스 피스톤 구조
KR100417962B1 (ko) 차량용 조향장치
KR101260551B1 (ko) 자동차의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080078985A (ko) 스플라인이 형성된 랙바와 랙부시를 구비한 조향장치
KR20020027977A (ko) 차량용 조향장치
KR20020012843A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KR101241519B1 (ko) 자동차의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0211151Y1 (ko) 셀프실 커플링
KR20010096171A (ko) 동력 조향기어의 어뉼러스 베어링 장착구조
KR20050065997A (ko) 스티어링장치의 랙부시
KR20020053247A (ko) 스티어링장치의 랙가이드
KR200287121Y1 (ko) 자동차의변속기조작용배력장치의중립취부구조
JP2000135985A (ja) 動力舵取装置のパワーシリンダ
FR2637862A1 (fr) Mecanique de direction assistee a pignon et cremaill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