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239Y1 -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239Y1
KR200447239Y1 KR2020080001776U KR20080001776U KR200447239Y1 KR 200447239 Y1 KR200447239 Y1 KR 200447239Y1 KR 2020080001776 U KR2020080001776 U KR 2020080001776U KR 20080001776 U KR20080001776 U KR 20080001776U KR 200447239 Y1 KR200447239 Y1 KR 200447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verhead cabinet
bracket
parti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156U (ko
Inventor
김면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Priority to KR2020080001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23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2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사무용품 등을 수납하는 오버헤드 캐비닛을 파티션 프레임에 상단에 고정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파티션 프레임 상단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작동만으로 오버헤드 캐비닛을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하고, 별도의 체결부속품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인 절감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은, 파티션 프레임 상단에 오버헤드 캐비닛을 고정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캐비닛(C)에 고정되도록 양단에 체결공(5)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몸체(2)와, 상기 프레임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 하단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요홈(3) 및 상기 프레임이 걸리도록 상기 결합요홈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리브(4)로 이루어지되, 상기 양측 걸림리브(4)의 양단이 사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상단에 설치 시 상기 몸체(2)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삽입 후 원위치로 복귀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파티션

Description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Bracket for fixing the overhead cabinet}
본 고안은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사무용품 등을 수납하는 오버헤드 캐비닛을 파티션 상단 프레임에 고정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파티션 상단 프레임을 손상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작동만으로 오버헤드 캐비닛을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별도의 체결부속품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인 절감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내에는 각종 사무용품이나 서류, 도서류 등을 정리 및 보관하기 위하여 캐비닛이나 책장, 파일박스, 이동식 서랍장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수납장이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수납장은 대부분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큰 편이어서 사무실 벽면을 따라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상기 수납장이 놓여진 장소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책상을 두고 근무하는 사용자들이 사무 용품이나 서류를 필요로 할 때에는 번번이 제자리에서 일어나 가지러 가야만 하였고, 또한 책상 하단 부근에 비치하여 사용하는 사이드 서랍장의 경우에는 근거리에 있어 사용하기에는 편리하나 수납공간이 부족한 편이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서는 책상 전방이나 좌우측에 근접 설치되는 파티션의 상단에 별도로 스틸 선반이나 오버헤드 캐비닛(overhead cabinet) 등을 설치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특히 상기 오버헤드 캐비닛은 사용자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파티션의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 개개인의 수납공간을 확대할 수 있으며, 또한 공간을 분할하고 외부(타인)와의 간접적인 차단을 위해 설치되는 파티션의 기능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점차 그 사용도가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상기 오버헤드 캐비닛을 파티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파티션 상단에 부착되는 상부 프레임에 드릴로 다수의 체결구멍을 뚫고 볼트와 나사 등의 체결부품으로 고정 브래킷을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 브래킷에 다시 오버헤드 캐비닛을 상기와 같은 체결부품으로 고정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파티션이나 오버헤드 캐비닛을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사무실 레이아웃의 변경에 따라 상기 오버헤드 캐비닛을 파티션으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도 설치 시와는 반대로 상기 체결부품을 일일이 해체 후 분리하여야 하는 등 설치 및 해체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우며 체결부품도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파티션 프레임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구멍으로 인하여 파티션이 파손될 우려가 있고 구멍을 뚫은 흔적들로 인해 외관이 나빠져 상기 오버헤드 캐비닛을 분리한 후에는 파티션만을 재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파티션 프레임 상단에 오버헤드 캐비닛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별도의 체결부속품을 소비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며 파티션 프레임의 외관을 손상하지 않아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은, 파티션 프레임 상단에 오버헤드 캐비닛을 고정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캐비닛에 고정되도록 양단에 체결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몸체와, 상기 프레임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 하단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요홈 및 상기 프레임이 걸리도록 상기 결합요홈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리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양측 걸림리브의 양단이 사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상단에 설치 시 상기 몸체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삽입 후 원위치로 복귀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에 따르면, 책상 전방이나 양측에 배치되는 파티션 상단에 각종 사무용품이나 서류 등을 수납하는 오버헤드 캐비닛을 고정 설치하는 고정 브래킷에 있어서, 고정 브래킷의 양측 걸림리브를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사선으로 평행하게 형성함에 따라 단순히 소정 각도 비틀어 끼워 넣거나 빼내는 동작만으로도 파티션 프레임 상단에 오버헤드 캐비닛을 쉽게 고정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과정이 단순하며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 프레임 상단에 별도의 체결부속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오버헤드 캐비닛을 고정 설치함에 따라 경제적인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다가 파티션 프레임에 흠집이 일어나지 않음에 따라 수명이 길어진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의 정면도이고, 도2는 도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3a 내지 도3b는 도1의 고정 브래킷을 파티션 프레임에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4a 내지 도4c는 도1의 고정 브래킷이 파티션 프레임 상단에 체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5a 내지 도5는 도4a 내지 도4c의 측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브래킷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파티션 프레임 상단에 오버헤드 캐비닛(C)을 고정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몸체(2)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 하단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요홈(3) 및 상기 프레임이 걸리도록 상기 결합요홈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리브(4)로 구성되어 있다(도1 참조).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파티션(P)은 공지의 것으로서, 전, 후면패널(미도시)을 소정 간격을 두고 결합하고 상기 전, 후면패널의 상하 양단에 수평 프레임을 설치함과 동시에 좌우 양단에는 수직 프레임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브래킷(1)은 상기 파티션 프레임(100) 상단에 오버헤드 캐비닛(C)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고정 브래킷(1)은 상기 파티션 프레임(100) 상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이상 설치하되 상기 프레임(100)에 대해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다(도2 참조).
이때, 상기 몸체(2)는 장방형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00) 상단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몸체(2)는 길이방향으로 양단에 체결공(5)이 형성되어 상기 오버헤드 캐비닛(C)에 체결볼트(미도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몸체(2)의 하단 중앙 부분에는 결합요홈(3)이 형성되어 본 고안의 고정 브래킷을 상기 프레임에 설치 시 상기 결합요홈(3) 부분이 상기 프레임(100)의 단 부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고정 브래킷에 있어 가장 특징적인 구성요소로서, 상기 결합요홈(3)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위치에는 걸림리브(4)가 중심부를 향해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양측 걸림리브(4)는 "//"와 같은 사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양측 걸림리브(4)의 경사진 방향은 좌우측 어느 쪽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결합요홈(3)으로부터 상기 걸림리브(4)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 상단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측벽이 형성되어 있는데, 즉, 상기 결합요홈(3)의 좌우 양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위치에 제1, 2측벽(6a, 6b)을 형성하되, 상기 제1측벽(6a)은 상기 걸림리브(4)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2측벽(6b)은 상기 몸체(1)와 직각 방향(프레임과 일직선 방향)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2측벽(6a, 6b)은 상기 결합요홈(4)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브래킷(1)을 상기 프레임(100) 상단에 설치 시 상기 걸림리브(4)에 상기 프레임(100) 단부가 걸리지 않도록 상기 몸체(2)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소정 각도, 즉 상기 사선으로 형성된 걸림리브(4)의 기울어진 각도만큼 비튼 상태에서(도3a 참조) 상기 프레임(100) 상단 부분이 결합요홈(3) 및 제1측벽(6a)에 접하도록 삽입 후 다시 원래 위치로 소정 각도 돌려주면(도3b 참조) 상기 프레임 상단 양측면이 상기 제2측벽(6b)에 접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리 브(4)의 사선으로 돌출된 부분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1)의 양측 걸림리브(4)는 15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평행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우선, 상기 고정 브래킷의 몸체(2)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걸림리브(4)가 상기 프레임 상단부에 걸리지 않도록 시계방향으로 15도 각도 회전시킨 후 본 고안의 고정 브래킷(1)을 설치할 프레임(100) 상단의 소정 부위에 상기 걸림리브(4)의 선단부가 접하도록 근접시킨다(도4a 및 도5a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2)를 아래로 내려 상기 프레임(100)에 끼워 넣으면 상기 프레임 상단 부분이 제1측벽(6a)에 접하게 되고(도4b 및 도5b 참조), 이어서 상기 몸체(2)를 반시계방향으로 15도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프레임 상단 부분이 제2측벽(6b)에 접하면서 상기 몸체(2)가 상기 프레임과 직각 방향을 이루게 되고(도4c 및 도5c 참조), 이와 동시에 상기 양측 걸림리브(4) 끝단이 사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의해 상기 프레임 단부가 걸려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 브래킷(1)을 상기 프레임(100) 상단에 고정시킨 후 그 위에 오버헤드 캐비닛(C)을 배치한 다음, 상기 몸체(2) 양단에 형성된 체결 공을 통해 나사못이나 체결볼트로 견고하게 체결한다(도6 참조).
이러한 방법대로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브래킷은 상기 프레임 상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 프레임(100) 상단에 본 고안에 따른 오버헤드 캐비닛(C)을 설치 후 이러한 파티션을 책상 전방에 배치하고 그 내부에 업무 관련 서적이나 서류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문구류 등을 수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책상 앞에 앉아 일을 하다가 필요한 서류나 문구용품이 있을 때마다 전방 상단에 위치한 오버헤드 캐비닛을 열어 꺼내어 쓸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무실 레이아웃이 변경되거나 또는 파티션이 낡아 교체하기 위해 상기 오버헤드 캐비닛(C)을 파티션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체결공에 체결된 체결볼트나 나사못을 해체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의 몸체(2)를 다시 시계방향으로 15도 각도로 비틀어 돌린 후 그대로 위로 들어 올리면 상기 파티션 프레임(100)으로부터 오버헤드 캐비닛(C)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브래킷을 이용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오버헤드 캐비닛을 파티션 프레임 상단에 쉽게 고정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부속품이 소요되지도 아니함에 따라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저면 사시도
도3a 내지 도3b는 도1의 고정 브래킷을 파티션 프레임에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4a 내지 도4c는 도1의 고정 브래킷이 파티션 프레임 상단에 체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5a 내지 도5c는 도4a 내지 도4c의 측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브래킷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2 : 몸체
3 : 결합요홈 4 : 걸림리브
5 : 체결공 6a : 제1측벽
6b : 제2측벽 C: 오버헤드 캐비닛
P : 파티션 100 : 프레임

Claims (2)

  1. 파티션 프레임 상단에 오버헤드 캐비닛을 고정하는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캐비닛에 고정되도록 양단에 체결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몸체와, 상기 프레임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 하단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요홈 및 상기 프레임이 걸리도록 상기 결합요홈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리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양측 걸림리브의 양단이 사선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상단에 설치 시 상기 몸체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삽입 후 원위치로 복귀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요홈과 상기 걸림리브 사이에 상기 프레임 상단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측벽을 형성하되, 상기 측벽은 좌우 양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는 위치에 상기 걸림리브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측벽 및 상기 몸체와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제2측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KR2020080001776U 2008-02-11 2008-02-11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KR200447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776U KR200447239Y1 (ko) 2008-02-11 2008-02-11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776U KR200447239Y1 (ko) 2008-02-11 2008-02-11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156U KR20090008156U (ko) 2009-08-14
KR200447239Y1 true KR200447239Y1 (ko) 2010-01-08

Family

ID=4130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776U KR200447239Y1 (ko) 2008-02-11 2008-02-11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23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33Y1 (ko) 2001-05-17 2001-10-29 다산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칸막이
KR200436723Y1 (ko) 2006-12-27 2007-09-27 주식회사 퍼시스 스파인 가구의 보조스크린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33Y1 (ko) 2001-05-17 2001-10-29 다산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칸막이
KR200436723Y1 (ko) 2006-12-27 2007-09-27 주식회사 퍼시스 스파인 가구의 보조스크린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156U (ko) 200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7908B2 (en) Frame type table assemblies
US7374259B2 (en) Detachable case assembly for computer server
US11058222B2 (en) Cabinet hanging system
US6824231B2 (en) Storage cabinet
US20070017888A1 (en) Shelving system
KR200447239Y1 (ko) 오버헤드 캐비닛 고정 브래킷
US11253069B2 (en) Hanging rack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CN213849524U (zh) 一种橱柜
KR101375749B1 (ko) 모듈형 조립식 파티션용 탈부착식 걸이구
KR100762009B1 (ko)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JP6261026B2 (ja) スライド収納装置
JP2002233425A (ja) 化粧板の取付構造
CN217791983U (zh) 一种便于拆卸的装配型收纳柜
JP4388507B2 (ja) 収納棚
JPH0243225Y2 (ko)
KR100804684B1 (ko) 탈부착선반 고정구조
KR200374451Y1 (ko) 가구의 수납용 서랍의 선반행거구조
KR102207328B1 (ko)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JPH06225819A (ja) 引出しを有するキャビネット
KR102302530B1 (ko) 창틀용 식기선반
US20240164516A1 (en) Storage system
JP4882484B2 (ja) 学習家具における仕切板の取付装置
KR102235203B1 (ko) 피씨방 책상용 선반
JP2018000588A (ja) 組み合わせデスク
JP3117277U (ja) 商品陳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