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328B1 -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 Google Patents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328B1
KR102207328B1 KR1020200138881A KR20200138881A KR102207328B1 KR 102207328 B1 KR102207328 B1 KR 102207328B1 KR 1020200138881 A KR1020200138881 A KR 1020200138881A KR 20200138881 A KR20200138881 A KR 20200138881A KR 102207328 B1 KR102207328 B1 KR 102207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frame
fixture
support
fasten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종
Original Assignee
(주)아모스아인스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스아인스가구 filed Critical (주)아모스아인스가구
Priority to KR102020013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 A47B57/5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by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테이블에 장착되는 스크린이나 가림판 등의 각종 부속을 간편하게 부가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측에 각기 한 쌍의 나란한 장착홈을 갖는 압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홈을 이용하여 압출프레임에 장착되게 한 가압고정체를 구비하되, 상기 가압고정체를 이용하여 별도 구비의 스크린 또는 가림판 등의 칸막이패널이 압출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압출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양한 테이블용 부가유닛이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기존의 다양한 테이블의 상판에 압출프레임을 고정시켜 상기 압출프레임을 이용한 스크린 및 가림판 등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매우 유용한 것이고, 상기 압출프레임에 장착되는 가압고정체에 의해 상기 스크린 또는 가림판의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인 고정 설치가 가능한 것이며, 각종 테이블에서 사용되는 책꽂이 또는 메모꽂이나 문구 및 서류용 트레이 등의 각종 부가유닛을 규격화하여 상기 압출프레임에 간편하게 결합 사용할 수 있어 배열 설치된 테이블에 대한 정돈된 균일함이 연출되므로 작업이나 업무 또는 학습환경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빠르고 효율적으로 상기 스크린 또는 가림판 및 부가유닛에 대한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Description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Table attached mounting means by extrusion frame and pressure fixture}
본 발명은 다양한 테이블에 장착되는 스크린이나 가림판 등의 각종 부속을 간편하게 부가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상판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압출프레임과 상기 압출프레임에 장착되는 가압고정체를 통해 테이블용 스크린이나 가림판 등을 빠르고 간편하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압출프레임을 이용하여 책꽂이나 메모꽂이 또는 문구 및 서류용 트레이 등을 다양한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테이블용 부속 설치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이라 통칭되는 사무용 책상 혹은 학습용 책상 또는 업무용 데스크 및 작업용 데스크 등은 평판 형태의 상판 하부에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된 프레임 또는 지지체가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종 테이블의 상판에는 테이블의 사용 목적이나 위치 혹은 배열 상태에 따라 별도 구비의 스크린이 고정 설치되거나 치마 사용자를 위한 가림판 등이 장착될 수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상기의 상판 상부 끝단에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고정 설치하거나 상판의 저면을 이용하여 가림판 등을 고정 설치하게 된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25243호와 같이 테이블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칸막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테이블이 다양하게 배치되는 구조들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채용될 수 있고,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테이블을 상호 구속되게 하여 하나의 테이블의 흔들림으로 다른 작업자의 업무활동이 방해받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연출하는 칸막이 지지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302487호의 경우 상판에 구비되어 상판을 분할하는 분할칸막이, 및 이 분할칸막이를 상판의 상측면에 불필요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설치부를 포함하여, 책상이나 테이블을 소통학습이나 개입학습 등 수업 형태에 따라 스크린을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고, 스크린으로 책상이나 테이블의 상판을 다양하게 분할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스크린 테이블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이어, 등록특허 제10-1725394호의 경우 상판의 저면에 설치된 다수의 다리를 포함하는 데스크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장착되되, 상판의 상부로 일부분이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상판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스탠드 유닛; 및 상기 상판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상기 스탠드 유닛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칸막이의 좌우 양측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다수의 결속공 중 일부 결속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칸막이를 거치하는 후크부재와, 모니터와 결합되어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거치대에 마련된 결속브라켓이나 사무용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도구에 마련된 결속브라켓과 결합되면서 모니터 거치대와 수납도구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결속홈이 구비된 레일바;를 포함하는 높이조절형 칸막이와 모니터 및 수납도구의 거치 기능을 갖는 레일바가 장착된 스마트오피스 데스크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테이블용 칸막이 등은 테이블의 상판 및 칸막이를 직접 가공 후 이들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는 것이어서 테이블의 제작 단계에서 설계와 가공이 모두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고, 상기의 테이블로부터 칸막이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칸막이 고정부 및 고정 흔적이 상판에 그대로 지저분하게 노출되는 등 지극히 비효율적인 것이다.
또한, 초기 제작 단계에서부터 칸막이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단순 평판형의 테이블을 연속하여 배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 구비의 칸막이에 대한 추가 장착이 불가능하므로, 이때에는 기존 파티션 형태의 별개 칸막이를 테이블 사이에 세워 설치하여야 하는 것으로 차단벽과 같은 구조로 된 상기 파티션으로 인해 서로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것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전선과 통신선이 파티션으로 인해 간섭 혹은 방해를 받게 되므로, 배선 작업에도 지장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파티션을 부분적으로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것도 불가능하여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을 갖게 된다.
특히, 테이블의 상판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책꽂이나 메모꽂이 혹은 다양한 문구용 트레이 등은 단순히 테이블의 상판 위에 그대로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다양한 종류의 테이블용 부가 사용품은 상판으로부터 쉽게 유동하거나 흔들려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큰 것이고,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부가 사용품을 구매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정형화되고 일률적인 테이블의 배열 구성을 연출하지 못할 것이므로 결국 상기와 같이 배열 형태의 테이블은 전체적으로 매우 지저분한 상태의 업무 환경 혹은 학습 환경이나 작업 환경을 연출하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25243 (2006.08.24.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02487 (2013.08.27.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725394 (2017.04.05.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측에 각기 한 쌍의 나란한 장착홈을 갖는 압출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홈을 이용하여 압출프레임에 장착되게 한 가압고정체를 구비하되, 상기 가압고정체를 이용하여 별도 구비의 스크린 또는 가림판 등의 칸막이패널이 압출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압출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양한 테이블용 부가유닛이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판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압출프레임과 상기 압출프레임에 장착되는 가압고정체를 이용하여 테이블용 스크린이나 가림판에 대한 간편한 설치 혹은 설치 상태에서의 제거가 가능한 것이고, 상기 압출프레임을 이용하여 테이블의 상판에 책꽂이나 메모꽂이 또는 문구 트레이 등이 간편하게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측에 각기 한 쌍의 나란한 장착홈을 갖는 압출프레임과; 상기 압출프레임의 장착홈을 이용하여 압출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압고정체와; 상기 가압고정체에 결합되는 칸막이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압출프레임의 장착홈은 압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에 비해 넓은 폭의 확장홈에 의한 "ㅗ"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고정체는 일측의 지지고정구와 상기 지지고정구와 대응 형상을 갖고 상,하로 분할 형성된 타측의 상,하부고정구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고정구와 하부고정구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홈으로 삽입되는 "ㄴ"자 형상으로 된 끼움편이 서로 대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정구에는 상부고정구와 하부고정구를 향하는 나사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구와 하부고정구에는 상기 나사체결부를 향하는 볼트삽입공을 형성하여 별도 구비의 밀착볼트와 고정볼트가 각기 삽입되게 하고,
상기 칸막이패널에는 상기 지지고정구의 나사체결부가 관통 삽입되게 한 장착공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고정구와 상부고정구의 사이에 삽입된 칸막이패널이 밀착볼트의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하고, 상기 압출프레임의 장착홈에 각기 삽입된 지지고정구의 끼움편과 하부고정구의 끼움편은 볼트삽입공을 통해 지지고정구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서로 근접되면서 상기 압출프레임과 서로 가압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다양한 테이블의 상판에 압출프레임을 고정시켜 상기 압출프레임을 이용한 스크린 및 가림판 등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매우 유용한 것이고, 상기 압출프레임에 장착되는 가압고정체에 의해 상기 스크린 또는 가림판의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인 고정 설치가 가능한 것이며, 각종 테이블에서 사용되는 책꽂이 또는 메모꽂이나 문구 및 서류용 트레이 등의 각종 부가유닛을 규격화하여 상기 압출프레임에 간편하게 결합 사용할 수 있어 배열 설치된 테이블에 대한 정돈된 균일함이 연출되므로 작업이나 업무 또는 학습환경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빠르고 효율적으로 상기 스크린 또는 가림판 및 부가유닛에 대한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에 대한 테이블과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테이블 장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또 다른 테이블 장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에 대한 상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가압고정체에 대한 평면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가압고정체에 대한 저면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가압고정체에 대한 분리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가압고정체에 대한 체결 작동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가압고정체에 대한 압출프레임과의 장착 과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가압고정체에 대한 압출프레임과의 고정 과정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가압고정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의한 가압고정체의 사용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압출프레임에 대한 부가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압출프레임에 대한 부가유닛의 결합 상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에 대한 테이블과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테이블 장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또 다른 테이블 장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에 대한 상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가압고정체에 대한 평면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가압고정체에 대한 저면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의 가압고정체에 대한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종 테이블용 부속 설치구는 압출프레임(100)과 가압고정체(200)를 이용하여 테이블의 상측 스크린이나 하측 가림판 또는 책꽂이나 메모꽂이 및 문구트레이나 서류트레이 등의 부가유닛을 간편하게 설치 또는 분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테이블 부속 설치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측에 각기 한 쌍의 나란한 장착홈(101)(101')을 갖는 압출프레임(100)과; 상기 압출프레임(100)의 장착홈(101)(101')을 이용하여 압출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가압고정체(200)와; 상기 가압고정체(200)에 결합되는 칸막이패널(3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의 압출프레임(100)은 단독 테이블의 상판 끝단에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거나 다수의 테이블이 배열 설치 혹은 다수의 분할 상판이 연속된 경우에는 각 상판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압출프레임(100)에 대한 칸막이패널(300)의 장착 위치에 따라 칸막이패널(300)이 스크린 또는 가림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 상기 압출프레임(100)의 장착홈(101)(101')은 압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구(101a)와 상기 삽입구(101a)에 비해 넓은 폭의 확장홈(101b)에 의한 "ㅗ"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고정체(200)는 일측의 지지고정구(210)와 상기 지지고정구(210)와 대응 형상을 갖고 상,하로 분할 형성된 타측의 상,하부고정구(220)(23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의 가압고정체(200)는 전기한 칸막이패널(300)과 결합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칸막이패널(300)과 결합된 상태의 가압고정체(200)를 상기 압출프레임(100)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장착함에 따라 상기의 칸막이패널(300)에 대한 용이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가압고정체(200)는 상기 지지고정구(210)와 하부고정구(230)의 저면에 상기 압출프레임(100)의 장착홈(101)(101')으로 삽입되는 "ㄴ"자 형상으로 된 끼움편(211)(231)이 서로 대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정구(210)에는 상부고정구(220)와 하부고정구(230)를 향하는 나사체결부(212)(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고정구(220)와 하부고정구(230)에는 상기 나사체결부(212)(212')를 향하는 볼트삽입공(221)(232)을 형성하여 별도 구비의 밀착볼트(240)와 고정볼트(241)가 각기 삽입되게 한 것이다.
이어, 상기 칸막이패널(300)에는 상기 지지고정구(210)의 나사체결부(212)(212')가 관통 삽입되게 한 장착공(301)(301')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고정구(210)와 상부고정구(220)의 사이에 삽입된 칸막이패널(300)이 밀착볼트(240)의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하고, 상기 압출프레임(100)의 장착홈(101)(101')에 각기 삽입된 지지고정구(210)의 끼움편(211)과 하부고정구(230)의 끼움편(231)은 볼트삽입공(232)을 통해 지지고정구(210)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볼트(241)에 의해 서로 근접되면서 상기 압출프레임(100)과 서로 가압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가압고정체(200)의 상부고정구(220) 저면에는 하향 돌출의 가이드편(222)을 형성하고, 가압고정체(200)의 하부고정구(230)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편(222)이 삽입 유동되게 한 가이드홈(233)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고정구(220)와 하부고정구(2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상기의 상부고정구(220) 또는 하부고정구(230)는 상호 슬라이딩 결합된 하부고정구(230) 또는 상부고정구(22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이고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지지고정구(210)와 상부고정구(220)를 이용한 칸막이패널(300)의 밀착 고정 및 상기 지지고정구(210)와 하부고정구(230)를 이용한 압출프레임(100)에 대한 장착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0의 도시와 같이 가압고정체(200)의 지지고정구(210)와 상부고정구(220) 사이에 칸막이패널(300)을 위치시켜 칸막이패널(300)에 형성된 장착공(301)(301')으로 지지고정구(210)의 나사체결부(212)(212')가 삽입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고정구(220)에 삽입된 밀착볼트(240)가 지지고정구(210)의 나사체결부(212)(212')에 나사 결합되도록 회전시키면 상기의 칸막이패널(300)은 지지고정구(210)와 상부고정구(220)의 가압 밀착력에 의해 서로 견고한 결합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지지고정구(210)의 하측에 하부고정구(230)를 고정볼트(241)의 나사 결합에 의해 대향 체결되게 한 상태에서,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기 가압고정체(200)의 지지고정구(210) 저면에 형성된 끼움편(211)과 하부고정구(230)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편(231)을 압출프레임(100)에 형성된 장착홈(101)(101')으로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출프레임(100)의 상측에 상기 칸막이패널(300)을 갖는 가압고정체(200)를 장착하게 되면 상기 칸막이패널(300)은 테이블의 스크린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고, 압출프레임(100)의 하측에 상기 칸막이패널(300)을 갖는 가압고정체(200)를 상향 장착하게 되면 상기 칸막이패널(300)은 테이블의 하부 가림판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압출프레임(100)에 가압고정체(200)를 삽입한 후, 상기의 고정볼트(241)를 더욱 회전시키면 도 11의 도시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있던 하부고정구(230)가 지지고정구(210) 방향으로 밀착 이동하면서 상기 끼움편(211)(231)이 서로 근접되는 것이고, 상기의 끼움편(211)(231)이 근접됨에 따라 압출프레임(100)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101)(101')과 서로 "ㄱ"자와 "ㄴ"자가 맞물림된 형태를 연출할 것이므로 상기의 압출프레임(100)에 대하여 가압고정체(200)의 견고하고 강력한 고정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테이블의 상판 끝단에 위치하는 압출프레임(100)에 대하여 상기 가압고정체(200)를 단순하게 안치 삽입시킨 후, 고정볼트(24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압출프레임(100)과 가압고정체(200)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칸막이패널(300)의 빠르고 간편한 장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압출프레임(100)을 이용한 칸막이패널(300)의 설치 구조는 기존 다양한 테이블에 적용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의 압출프레임(100)에 대한 가압고정체(200) 및 칸막이패널(300)의 장착 방향에 따라 상기의 칸막이패널(300)은 스크린 또는 가림판의 역할로 구분되는 것으로, 압출프레임(100)의 상측에 형성된 장착홈(101)(101')에 칸막이패널(300)이 결합된 가압고정체(200)를 결합 고정함에 따라 상기 칸막이패널(300)에 테이블의 스크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압출프레임(100)의 하측에 형성된 장착홈(101)(101')에 칸막이패널(300)이 결합된 가압고정체(200)를 결합 고정함에 따라 상기 칸막이패널(300)에 테이블의 가림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압출프레임(100)의 상측 및 하측의 장착홈(101)(101')에 칸막이패널(300)이 결합된 가압고정체(200)를 모두 장착하는 경우에는 스크린과 가림판이 모두 구비된 상태의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가압고정체(200)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지지고정구(210)와 상부고정구(220)의 사이에 별도 구비의 지지관(250)을 삽입하되, 상기 지지관(250)에는 지지고정구(210)에 형성된 나사체결부(212)(212')가 관통 삽입되게 한 끼움공(25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250)과 대응하는 지지고정구(210)의 일면 및 상부고정구(220)의 일면에는 상기 지지관(250)의 외경과 대응하는 곡면홈(213)(223)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밀착볼트(240)에 의해 상기 지지고정구(210)와 상부고정구(220) 및 지지관(250)이 상호 밀착 체결되도록 하면 상기의 곡면홈(213)(223)과 지지관(250)의 외면이 서로 대응 밀착되면서 상호 견고한 조립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밀착볼트(240)를 조여 이들 지지고정구(210)와 상부고정구(220)의 사이에 위치한 지지관(250)이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13의 도시와 같이 별도 구비된 서류트레이(26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봉(261)을 상기 지지관(250)에 삽입 형성함에 따라 상기 서류트레이(260)에 대한 빠르고 간편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의 서류트레이(260)가 가압고정체(200)의 지지관(250)으로부터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므로 서류트레이(260)의 개방측 방향을 사용자 편의 방향으로 손쉽게 회전시켜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압출프레임(100)에 형성된 장착홈(101)(101')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서류 혹은 문구 등의 테이블용 부가유닛(400)을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4 및 도 15의 도시와 같이 상기 테이블용 부가유닛(400)은 상기 장착홈(101)(101')의 삽입구(101a)를 통해 확장홈(101b)의 내측으로 끼워 삽입되는 "ㄴ"자 형태로 된 한 쌍의 계지돌부(401)(401')가 일측에 이격 형성된 메모꽂이(400a)와 책꽂이(400b)와 문구트레이(400c)로 구성될 수 있어 이들의 선택 사용 혹은 조합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이들 다양한 형태의 부가유닛(400)은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일측 하단에는 상기와 같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계지돌부(401)(40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의 계지돌부(401)(401')를 압출프레임(100)에 형성된 장착홈(101)(101')으로 삽입 및 계지시킴에 따라 상기의 부가유닛(400)은 압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한 형태의 부가유닛(400)을 선택하거나 조합하여 다양한 위치에 장착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메모꽂이(400a) 형태의 부가유닛(400)을 이용하여 간단한 메모 혹은 명함 등을 꽂아 정리할 수 있는 것이고, 책꽂이(400b) 형태로 된 부가유닛(400)을 이용하여 책이나 각종 서류철 등을 세워 보관 및 정리할 수 있는 것이며, 작은 선반 형태로 된 문구트레이(400c)를 이용해서는 필기구 등의 다양한 문구류를 올려놓아 깔끔하게 정리 혹은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들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들 다양한 형태의 부가유닛(400)는 상기 압출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장착되거나 장착된 위치로부터 간단하게 이동 장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압출프레임(100)의 전체 길이 범위 내에서 장착 개수에 제한을 받지 아니하므로 필요한 개체수만큼 빠르고 손쉽게 가감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테이블에 대한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부속 설치구는 기존 테이블은 물론 신규 제작의 테이블을 포함하여 분할 상판이 연속하여 배열되는 나열식 테이블 모두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테이블 간 스크린이나 하부 가림판 등을 빠르게 설치 혹은 제거하는 동시에 다양한 형태의 부가유닛을 조합 사용할 수도 있어, 테이블 본래의 사용 목적을 더욱 충실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압출프레임 101,101' : 장착홈
200 : 가압고정체
210 : 지지고정구 211 : 끼움편
212,212' : 나사체결부 213 : 곡면홈
220 : 상부고정구 221 : 볼트삽입공
222 : 가이드편 223 : 곡면홈
230 : 하부고정구 231 : 끼움편
232 : 볼트삽입공 233 : 가이드홈
240 : 밀착볼트 241 : 고정볼트
250 : 지지관 251 : 끼움공
260 : 서류트레이 261 : 끼움봉
300 : 칸막이패널 301,301' : 장착공
400 : 부가유닛 401,401' : 계지돌부

Claims (6)

  1.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측에 각기 한 쌍의 나란한 장착홈(101)(101')을 갖는 압출프레임(100)과; 상기 압출프레임(100)의 장착홈(101)(101')을 이용하여 압출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가압고정체(200)와; 상기 가압고정체(200)에 결합되는 칸막이패널(300);로 구성되고, 상기 압출프레임(100)의 장착홈(101)(101')은 압출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구(101a)와 상기 삽입구(101a)에 비해 넓은 폭의 확장홈(101b)에 의한 "ㅗ"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압고정체(200)는 일측의 지지고정구(210)와 상기 지지고정구(210)와 대응 형상을 갖고 상,하로 분할 형성된 타측의 상,하부고정구(220)(230)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고정구(210)와 하부고정구(230)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홈(101)(101')으로 삽입되는 "ㄴ"자 형상으로 된 끼움편(211)(231)이 서로 대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정구(210)에는 상부고정구(220)와 하부고정구(230)를 향하는 나사체결부(212)(21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구(220)와 하부고정구(230)에는 상기 나사체결부(212)(212')를 향하는 볼트삽입공(221)(232)을 형성하여 별도 구비의 밀착볼트(240)와 고정볼트(241)가 각기 삽입되게 하고,
    상기 칸막이패널(300)에는 상기 지지고정구(210)의 나사체결부(212)(212')가 관통 삽입되게 한 장착공(301)(301')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고정구(210)와 상부고정구(220)의 사이에 삽입된 칸막이패널(300)이 밀착볼트(240)의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하고, 상기 압출프레임(100)의 장착홈(101)(101')에 각기 삽입된 지지고정구(210)의 끼움편(211)과 하부고정구(230)의 끼움편(231)은 볼트삽입공(232)을 통해 지지고정구(210)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볼트(241)에 의해 서로 근접되면서 상기 압출프레임(100)과 서로 가압 체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2. 제 1항에 있어서,
    칸막이패널(300)이 결합된 가압고정체(200)는 압출프레임(100)의 상측에 형성된 장착홈(101)(101')에 결합 고정함에 따라 상기 칸막이패널(300)이 테이블의 스크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3. 제 1항에 있어서,
    칸막이패널(300)이 결합된 가압고정체(200)는 압출프레임(100)의 하측에 형성된 장착홈(101)(101')에 결합 고정함에 따라 상기 칸막이패널(300)이 테이블의 가림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4. 제 1항에 있어서,
    가압고정체(200)의 상부고정구(220) 저면에는 하향 돌출의 가이드편(222)을 형성하고, 가압고정체(200)의 하부고정구(230)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편(222)이 삽입 유동되게 한 가이드홈(233)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고정구(220)와 하부고정구(230)가 상호 결합 상태에서 슬라이딩 유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5. 제 1항에 있어서,
    가압고정체(200)의 지지고정구(210)와 상부고정구(220)의 사이에는 별도 구비의 지지관(250)을 삽입하되, 상기 지지관(250)에는 지지고정구(210)에 형성된 나사체결부(212)(212')가 관통 삽입되게 한 끼움공(25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250)과 대응하는 지지고정구(210)의 일면 및 상부고정구(220)의 일면에는 상기 지지관(250)의 외경과 대응하는 곡면홈(213)(223)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밀착볼트(240)에 의해 상기 지지고정구(210)와 상부고정구(220) 및 지지관(250)이 상호 밀착 체결되게 하여 별도 구비된 서류트레이(26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봉(261)을 상기 지지관(250)에 삽입 형성하여 상기 서류트레이(260)가 가압고정체(200)로부터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압출프레임(100)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6. 제 1항에 있어서,
    압출프레임(100)의 장착홈(101)(101')을 이용하여 별도 구비의 테이블용 부가유닛(400)이 장착되게 하되,
    상기 테이블용 부가유닛(400)은 상기 장착홈(101)(101')의 삽입구(101a)를 통해 확장홈(101b)의 내측으로 끼워 삽입되는 "ㄴ"자 형태로 된 한 쌍의 계지돌부(401)(401')가 일측에 형성된 메모꽂이(400a)와 책꽂이(400b)와 문구트레이(400c)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KR1020200138881A 2020-10-26 2020-10-26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KR102207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881A KR102207328B1 (ko) 2020-10-26 2020-10-26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881A KR102207328B1 (ko) 2020-10-26 2020-10-26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7328B1 true KR102207328B1 (ko) 2021-01-26

Family

ID=7431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881A KR102207328B1 (ko) 2020-10-26 2020-10-26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32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243Y1 (ko) 2006-06-20 2006-09-11 주식회사 리바트 칸막이 지지장치
KR20090001283U (ko) * 2007-08-01 2009-02-05 주식회사 세연 파티션
KR101302487B1 (ko) 2011-07-11 2013-09-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교 시드 입자를 사용한 단분산 폴리아닐린 복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KR20140004785U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대면형 책상 구조체
KR20150042507A (ko) * 2013-10-11 2015-04-21 주식회사 퍼시스 다인용 공용 책상
KR20150001521U (ko) * 2013-10-11 2015-04-21 주식회사 퍼시스 책상에 설치되는 스크린 보드용 액세사리 바
KR101539328B1 (ko) * 2013-10-11 2015-07-29 주식회사 퍼시스 다인용 공용 책상의 구획 설비
KR101725394B1 (ko) 2016-12-09 2017-04-11 이규영 높이조절형 칸막이와 모니터 및 수납도구의 거치 기능을 갖는 레일바가 장착된 스마트오피스 데스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243Y1 (ko) 2006-06-20 2006-09-11 주식회사 리바트 칸막이 지지장치
KR20090001283U (ko) * 2007-08-01 2009-02-05 주식회사 세연 파티션
KR101302487B1 (ko) 2011-07-11 2013-09-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교 시드 입자를 사용한 단분산 폴리아닐린 복합체 입자의 제조방법
KR20140004785U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대면형 책상 구조체
KR20150042507A (ko) * 2013-10-11 2015-04-21 주식회사 퍼시스 다인용 공용 책상
KR20150001521U (ko) * 2013-10-11 2015-04-21 주식회사 퍼시스 책상에 설치되는 스크린 보드용 액세사리 바
KR101539328B1 (ko) * 2013-10-11 2015-07-29 주식회사 퍼시스 다인용 공용 책상의 구획 설비
KR101725394B1 (ko) 2016-12-09 2017-04-11 이규영 높이조절형 칸막이와 모니터 및 수납도구의 거치 기능을 갖는 레일바가 장착된 스마트오피스 데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5521A (en) Office organizer
US11944194B2 (en) Frame type workstation configurations
US8667908B2 (en) Frame type table assemblies
US6792876B2 (en) Tabletop suspension system
US8132371B2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0407371Y1 (ko) 슬라이더를 갖는 책꽂이
KR102207328B1 (ko) 압출프레임과 가압고정체에 의한 테이블 부속 설치구
US5988576A (en) Binder bin mounting bracket
US5938158A (en) Desktop support structure
JP2005034553A (ja) 棚装置を備えた机
US11072198B1 (en) Modular paper organizer
US20050126447A1 (en) Furniture system
CA2820345C (en) Shelf-type display fixture
JP2014004145A (ja) 仕切板取付装置
JP4987320B2 (ja) 机上用書棚装置
JP2005287572A (ja) テーブルにおける配線ダクト取付構造
JP4023580B2 (ja) 学習机用の棚装置
CN220675514U (zh) 一种便于安装的书柜
JPH0437464Y2 (ko)
JP7150471B2 (ja) 天板付き什器
KR20100000010A (ko) 슬라이딩 책꽂이
JP2007236431A (ja) 机上用書棚装置
JP3732222B1 (ja) 書棚付き机
CN101321634A (zh) 桌面整理架
JP4251076B2 (ja) 天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