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815Y1 - 음료 용기용 종이 팩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용 종이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815Y1
KR200446815Y1 KR20090001912U KR20090001912U KR200446815Y1 KR 200446815 Y1 KR200446815 Y1 KR 200446815Y1 KR 20090001912 U KR20090001912 U KR 20090001912U KR 20090001912 U KR20090001912 U KR 20090001912U KR 200446815 Y1 KR200446815 Y1 KR 200446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everage container
inlet
pack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1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모
Original Assignee
정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모 filed Critical 정준모
Priority to KR20090001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8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8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65D5/741Spouts for containers having a tubular body
    • B65D5/745Spouts formed by deforming or tearing parts of the upper wall, combined with a deformation of a part of the body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음용시 불필요한 음료의 흘림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마주하는 각 대응면의 상단부위가 내사면 및 외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사면 및 외사면의 끝단에는 각각의 봉합단을 포함하며, 개봉시 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외사면의 봉합단 내측에 마련된 접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을 제공한다.
우유, 팩, 곽, 통, 용기, 흘림 방지, 음료, 종이

Description

음료 용기용 종이 팩{Paper Pack for a Drinks Container}
본 고안은 음료 용기용 종이 팩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우유나 각종 쥬스와 같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음용시 음료의 흘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 용기용 종이 팩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기용 종이 팩의 경우, 종이와 합성수지 비닐 등을 여러 겹으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동시에 액체의 내용물이 팩에 스며들지 않도록 소정의 코팅처리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유통 과정에서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소재의 두께를 두텁게 형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 개구부는 액체 음료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성이 요구되므로 본드나 고주파 접착과 같은 방법이 적용된다. 이에 따라, 음용을 위해 종이 팩의 개구부를 개봉하고자 할 때에는 소정의 패턴에 따른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노약자 및 어린이와 같은 경우, 종이 팩의 개봉을 위한 패턴을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힘을 발휘하는 것 또한 어려우므로 개구부 속으로 손가락을 집어넣는다든지 하는 등의 행위에 따른 위생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개구부에 대한 개봉 과정에서는 내용물을 쏟는 등의 불편이 종종 유 발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종래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청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20390호(2001.02.02. 등록,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62018호(1998.11.16. 공개, 이하 '종래기술2'라 함)와 같은 기술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우유나 쥬스 팩과 같은 형태의 용기(用器)에 형성된 개봉부에 관한 것으로, 입구의 개봉이 쉬우면서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따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종래기술1은 팩의 입구를 형성하는 개봉부의 내피를 이중 접이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개봉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은 사용자가 단순히 이중 접이 구조로 형성된 개봉부의 내피를 잡아당기는 방식으로부터 이전의 개봉패턴을 단순화하고 힘의 부가를 용이하게 한다 할지라도 음용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1은 개봉의 편의를 위해 채택한 이중 접이 구조의 내피 형상이 개봉 후 뾰족하게 들쑥날쑥한 입구를 형성하므로 컵과 같은 다른 용기로 내용물을 따르는 데는 별다른 지장이 없겠지만, 사용자가 직접 입을 대고 마시고자 할 때에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내용물의 유출 경로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어려워 옷을 버리는 등의 불편을 초래한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2는 개봉한 후 우유팩의 토출구 형상을 개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음용시 흘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2는 우유팩의 토출구 양옆 삼각 형태의 접지선 사이에 절단부를 갖는 별도의 보조접지선을 형성하여 개봉 후 토출구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개봉 후 뾰족하게 돌출되는 토출구의 첨단을 반반하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용시 토출구와 사용자의 입술이 닿는 면적을 소폭 넓힘으로써, 흘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2로부터 우유팩의 음용시 흘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 사실이긴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효과는 지엽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상기 종래기술2는 토출구의 형태를 바꿔 사용자가 입으로 직접 마시는 음용상의 편의를 일부 도모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토출구의 사이즈 자체에 변화가 생기는 것은 아니고, 음용시 사용자가 입으로 토출구의 사이즈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우유와 같은 내용물은 여전히 토출구를 통해 흘러 넘칠 수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예를 들어, 기차나 흔들리는 버스 안에서의 음용시 상기 종래기술2의 기술적 구성만으로는 얼마든지 사용자의 입 밖으로 우유와 같은 내용물이 쏟아져 옷을 버리는 등의 상황이 되풀이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우유나 각종 쥬스와 같은 음료를 사용자가 직접 입으로 마시고자 하는 등의 상황에서도 음료의 흘림을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한 음료의 낭비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흘림 방지를 위한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되, 그 기술적 구성을 간소화하여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마주하는 각 대응면의 상단부위가 내사면 및 외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사면 및 외사면의 끝단에는 각각의 봉합단을 포함하며, 개봉시 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외사면의 봉합단 내측에 마련된 접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지커버는 상기 입구의 개폐에 따라 전개되면서 차폐면적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부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부의 양 끝단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외사면의 봉합단 내측에 각각 접착되는 접착플랜지부로 구성된다.
또, 상기 접지커버는 밑변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고, 면적을 등분하는 접지선 따라 접힌 이등변 삼각형을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종이 팩에 의하면, 우유나 각종 쥬스와 같은 음료를 사용자가 직접 입을 대고 마실 때, 음료의 흘림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불필요하게 흐르는 음료로 인한 옷의 버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종이 팩에 의하면, 흘림 방지를 위한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기술적 구성이 간소하게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종이 팩에 의하면, 기존의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서 접지커버 형성을 위한 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기술혁신에 따른 부대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기존 설비의 효용 가능성을 높인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의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은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써, 마주하는 각 대응면의 상단부위가 내사면(10) 및 외사면(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사면(10) 및 외사면(20)의 끝단에는 각각의 봉합단(11)(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외사면(20)의 봉합단(21) 내측에는 소정의 접지커버(30)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지커버(30)는 개봉시 종이 팩의 입구(1)를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서 도시한 것처럼 음료의 저장을 위한 내측면에 마련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접지커버(30)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커버플레이트부(31)와 접착플랜지부(32)로 나눠 볼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부(31)는 상기 입구(1)의 개폐 정도에 따라 전개되면서 차폐면적이 조절되도록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최대 상기 입구(1)의 절반 이상은 차폐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커버플레이트부(31)는 재단(裁斷)공정에서부터 개봉시 마름모 형태로 벌어지는 입구(1)의 크기를 고려하여 완제품 상에서 상기 입구(1)를 차단하는 면적이 절반 이상을 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접착플랜지부(32)는 상기 커버플레이트부(31)의 양 끝단 부위에 마련되고, 결합시에는 상기 외사면(20)의 봉합단(21) 내측에 각각 접착됨으로써, 상기 접지커버(3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플레이트부(31)와 상기 접착플랜지부(32) 간에는 소정의 접지단(32a)을 형성하여 상기 입구(1)의 개폐상태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접지커버(30)는 도 2에서처럼 상기 커버플레이트부(31)가 소정의 접지선(31a) 따라 접힌 이등변 삼각형 형태를 채택, 적용한 형태가 좋다. 즉, 상기 접지커버(30)는 상기 입구(1)의 개폐에 따라 펼침과 접힘이 자유롭게 상기 봉합단(21) 내측에 접착된 소정의 삼각판형으로 실시되는 것이다. 이때, 이등변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최대 상기 외사면(20)의 봉합단(21) 길이의 절반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접지선(31a)은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상기 커버플레이트부(31)의 밑변 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부(31)의 면적을 등분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접지선(31a)은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상기 커버플레이트부(31)의 꼭지점으로부터 밑볕에 수직으로 형성된 이등변 삼각형의 높이에 해당하는 선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접지선(31a)을 따라 접힌 상기 접지커버(30)의 커버플레이트부(31)는 도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직각 삼각형 형태를 보이게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의 기술구성 상호 간의 작동관계를 살펴본다.
먼저,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은 도 3의 전개도를 접어 붙인 후 우유나 각종 쥬스와 같은 소정의 음료를 담은 상태에서 마주하는 대응면의 상단부위 중 양쪽 내사면(10)을 상기 외사면(20) 안쪽으로 접어 넣고, 각각의 봉합단(11)(21)을 붙여 밀봉시킨다.
이때, 상기 접지커버(30)는 소정의 직각 삼각형 형태로 종이 팩의 내부 즉, 상기 외사면(20)의 봉합단(21) 내측에 각각 상기 접착플랜지부(32) 결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음료의 음용을 위해 먼저, 종래 종이 우유팩을 개봉하는 패턴을 그대로 적용하여 입구(1)를 개봉한다. 즉, 외사면(20)의 봉합단(21)을 양쪽으로 벌린 후,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양쪽으로 벌어진 상기 외사면(20)의 봉합단(21) 끝을 잡고 오무리는 동작과 함께 앞쪽으로 뺀다.
이때, 상기 외사면(20)의 봉합단(21)으로부터 상기 내사면(10)의 봉합단(11) 이 떨어지면서 소정의 마름모 형상의 입구(1)가 개방된다.
동시에, 상기 외사면(20)의 봉합단(21) 내측에 각각 상기 접착플랜지부(32) 결합 고정된 상기 접지커버(30)의 커버플레이트부(31)가 펼쳐지면서 개방된 상기 입구(1)의 일부를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커버(30)의 커버플레이트부(31)는 최초 두 겹으로 접혀진 소정의 직각 삼각형 형태에서 상기 입구(1)의 개방 정도에 따라 전개되면서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전환되어 상기 입구(1)의 일부분을 차폐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접지커버(30)의 커버플레이트부(31)로부터 차폐되고 남은 입구(1) 부위에 입을 대고 종이 팩을 기울임으로써, 상기 종이 팩 속에 담긴 음료에 대한 음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은 사용자가 음료가 나오는 입구(1)에 입을 대고 바로 마시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입구(1) 중 사용자의 입으로 연결되는 부분 이외 나머지 부분을 상기 접지커버(30)가 차단하게 되므로 기차나 버스와 같이 요동이 심한 차내에서도 별다른 수단을 동원하지 않고도 각종 음료를 편안하게 마실 수 있는 등 다양한 기술적 효과를 얻는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당업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의 접지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용기용 종이 팩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3)

  1.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마주하는 대응면의 상단부위가 각각 내사면 및 외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사면 및 외사면의 끝단에는 각각의 봉합단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용 종이 팩에 있어서,
    개봉시 입구의 절반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외사면의 봉합단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입구의 개폐에 따라 펼침과 접힘이 자유롭게 접착된 삼각판형의 접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용 종이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커버는,
    상기 입구의 개폐에 따라 전개되면서 차폐면적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커버플레이트부와;
    상기 커버플레이트부의 양 끝단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외사면의 봉합단 내측에 각각 접착되는 접착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종이 팩.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커버는 밑변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고, 면적을 등분하는 접지선 따라 접힌 형태의 이등변 삼각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종이 팩.
KR20090001912U 2009-02-20 2009-02-20 음료 용기용 종이 팩 KR200446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1912U KR200446815Y1 (ko) 2009-02-20 2009-02-20 음료 용기용 종이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1912U KR200446815Y1 (ko) 2009-02-20 2009-02-20 음료 용기용 종이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815Y1 true KR200446815Y1 (ko) 2009-12-03

Family

ID=4605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1912U KR200446815Y1 (ko) 2009-02-20 2009-02-20 음료 용기용 종이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8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688B1 (ko) 2021-06-01 2022-03-28 이상규 음료 보관용 팩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125U (ko) * 1990-01-18 1991-10-01
JPH0534121U (ja) * 1991-10-04 1993-05-07 知親 守屋 飲料用紙パツクの開封用取手
KR200220390Y1 (ko) 2000-09-20 2001-04-16 권현옥 이중 개봉부를 갖는 우유 팩 또는 주스 팩 등
JP2002264937A (ja) 2001-03-12 2002-09-18 Ad Step:Kk 紙パック型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125U (ko) * 1990-01-18 1991-10-01
JPH0534121U (ja) * 1991-10-04 1993-05-07 知親 守屋 飲料用紙パツクの開封用取手
KR200220390Y1 (ko) 2000-09-20 2001-04-16 권현옥 이중 개봉부를 갖는 우유 팩 또는 주스 팩 등
JP2002264937A (ja) 2001-03-12 2002-09-18 Ad Step:Kk 紙パック型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688B1 (ko) 2021-06-01 2022-03-28 이상규 음료 보관용 팩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KR20220163246A (ko) 2021-06-01 2022-12-09 주식회사 에스에이치네트웍스 음료 보관용 팩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5173B2 (en) Vess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376509A (en) Liquid container with carrying handle
US4579245A (en) Disposable leakproof container lids
US3144976A (en) Liquid filled pouch with straw
US6354456B2 (en) Sealable multicompartment container
WO2005082729A1 (en)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lid
US4886206A (en) Disposable container with foldable spout
MX2011000916A (es) Tapon resellable para contenedor de bebida plegable.
CA2606523A1 (en) Squeezable container for dairy products
KR20220084354A (ko) 컵, 컵용 블랭크, 및 컵 성형 방법(a cup, a blank for a cup and a method of forming a cup)
CA1109421A (en) Packaging container with a pouring spout
KR200446815Y1 (ko) 음료 용기용 종이 팩
US20180009566A1 (en) Beverage carton divider
KR20220123462A (ko) 뚜껑
KR200470505Y1 (ko)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KR200319892Y1 (ko) 휴대용 음료봉지의 포장 구조
KR200216866Y1 (ko) 종이팩
JPS6231386Y2 (ko)
KR200373541Y1 (ko) 음료용 종이팩 넘침 방지 장치
KR20210002148U (ko) 개봉이 용이한 카톤팩
KR20160001208U (ko) 음료 배출구의 개봉이 용이한 음료 팩
EP0659648A1 (en) Improved opening system for gable top shaped containers having a prefolded pouring spout
KR200231345Y1 (ko) 커피믹스
KR200165420Y1 (ko) 일회용 접는컵
ITMI20101506A1 (it) Confezione flessibile, particolarmente per prodotti liquid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