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354A - 컵, 컵용 블랭크, 및 컵 성형 방법(a cup, a blank for a cup and a method of forming a cup) - Google Patents

컵, 컵용 블랭크, 및 컵 성형 방법(a cup, a blank for a cup and a method of forming a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354A
KR20220084354A KR1020227016461A KR20227016461A KR20220084354A KR 20220084354 A KR20220084354 A KR 20220084354A KR 1020227016461 A KR1020227016461 A KR 1020227016461A KR 20227016461 A KR20227016461 A KR 20227016461A KR 20220084354 A KR20220084354 A KR 20220084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ure flap
flap
cup
folded
fe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릴 미셸 드루에
Original Assignee
추스 플래닛 에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스 플래닛 에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추스 플래닛 에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8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5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means of a tongue integral with one of th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having a cross-section of varying shape, e.g. circular merging into square or rectangul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3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mechanically interlocking integral parts, e.g. by tongues and slots
    • B31B50/73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mechanically interlocking integral parts, e.g. by tongues and slots by folding or tucking-in locking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65D3/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with end portion of body adapted to be closed, by flattening or folding operations, e.g. formed with crease lines or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09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the tubular body having a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1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inwardly beneath the closure flaps
    • B65D5/062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inwardly beneath the closure flaps with supplemental means facilitating the opening, e.g. tear lines, tear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separately from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1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provided with covers, e.g.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베이스; 벽;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으로서, 벽에 부착되고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을 포함하고, 베이스 및 벽은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를 형성하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벽에 대해서 접힐 수 있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접힐 수 있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리드를 형성하고, 그리고 리드는 폐쇄 위치로 적어도 2번 접힌 제1 폐쇄 플랩 및 폐쇄 위치로 적어도 1번 접힌 제2 폐쇄 플랩에 의해서 형성된다.

Description

컵, 컵용 블랭크, 및 컵 성형 방법(A CUP, A BLANK FOR A CUP AND A METHOD OF FORMING A CUP)
본 발명은,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폐쇄 가능 리드를 가지는 컵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물품은 오늘날 사회에서 일반적이다. 종이 컵 또는 플라스틱 컵과 같은 일회용 컵이 오늘날 식품 및 음료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물품은 종종 1회 또는 제한된 사용 후에 폐기되거나 재활용된다.
식품 및 음료수 컵에는 컵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리드가 종종 제공된다. 이러한 리드는 종종, 컵이 액체 또는 고체, 예를 들어 음료수 또는 식품으로 충진된 후에 컵 위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별도의 부품이다. 이어서, 리드는 음료수 또는 식품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고, 그 후에 리드는 컵과 함께 폐기되거나 재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가능한 리드는 종종, 다른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컵의 나머지 부분과 별도로 처리, 예를 들어 재활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리드는 종종 재활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나, 컵에 비해서 더 많은 비용이 든다.
또한, 이러한 제거 가능 리드는, 종종 컵 위에 부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다시 컵의 내용물의 누출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최종 사용자의 사용에 일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사용 시에, 최종 사용자는, 리드가 컵의 에지부에 확실히 피팅되도록 균일한 힘을 가하면서 리드를 컵의 상부 에지부와 정확하게 정렬시키는 것과 같이, 리드를 컵에 정확하게 부착하기 위해서 상당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리드가 정확하게 배치되지 않거나 오정렬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컵을 사용하는 경우에 내용물의 유출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폐쇄 가능 리드를 가지는 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컵용 블랭크 및 컵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컵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컵은,
베이스(base);
벽;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으로서, 벽에 부착되고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벽은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를 형성하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벽에 대해서 접힐 수 있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접힐 수 있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리드를 형성하고, 그리고
리드는 폐쇄 위치로 적어도 2번 접힌 제1 폐쇄 플랩 및 폐쇄 위치로 적어도 1번 접힌 제2 폐쇄 플랩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 구성에서, 컵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first transverse fold feature)를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되며, 제1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에 형성된 한 쌍의 대향되는 경사 접힘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제1 폐쇄 플랩이 2번 접히고 제2 폐쇄 플랩이 1번 접혀 플랩을 폐쇄하고, 제1 폐쇄 플랩은 한 쌍의 경사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접히고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접히며 그에 따라 제1 폐쇄 플랩을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며,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폐쇄 위치로 접힌다.
일 구성에서, 제1 폐쇄 플랩은 한 쌍의 대향되는 측면 플랩 및 측면 플랩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플랩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은 길이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중간 플랩에 부착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은 측면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되고, 중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된다.
일 구성에서, 중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벽에 부착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은 측면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벽에 부착된다.
일 구성에서, 각각의 측면 플랩은 아치형 에지부(arcuate edge)를 포함하고, 중간 플랩은 곡선형 에지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측면 플랩의 아치형 에지부는, 아치형 에지부를 형성하는, 제1 곡선형 부분 및 제2 곡선형 부분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각각의 측면 플랩은 원위 패널 및 근위 패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의 근위 패널은 중간 플랩에 근접하고 원위 패널은 중간 패널에 대해서 원위에 위치되고; 각각의 측면 플랩 상의 경사 접힘 특징부는 근위 패널 및 원위 패널을 분리한다.
일 구성에서, 각각의 측면 플랩은 측면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히고, 근위 패널은 경사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히고, 그에 따라 원위 패널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제1 폐쇄 플랩의 2개의 접힘부를 형성한다.
일 구성에서,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곡선형 에지부다.
일 구성에서, 제1 폐쇄 플랩은 록킹 개구부(locking opening)를 포함하고, 제2 폐쇄 플랩은 록킹 탭을 포함하고, 제2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폐쇄 플랩의 상단부 위에 놓이고, 제2 폐쇄 플랩의 록킹 탭은 제1 폐쇄 플랩의 록킹 개구부 내로 결합되어 제1 및 제2 폐쇄 플랩을 폐쇄 위치에서 록킹한다.
일 구성에서,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제2 폐쇄 플랩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접힐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제2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의 상단부 위에 놓인다.
일 구성에서,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0도 내지 180도로 접힐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제2 폐쇄 플랩이 0도에 위치되는 경우, 제2 폐쇄 플랩은 완전 개방 위치에 있고, 제2 폐쇄 플랩이 180도에 위치되는 경우, 제2 폐쇄 플랩은 폐쇄 위치에 있으며, 0도에서 제2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에 수직이고, 제2 폐쇄 플랩이 0도에 있을 경우 사용자는 컨테이너 내부를 볼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컵은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포함하고,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제2 폐쇄 플랩 위에 배치되고,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제2 폐쇄 플랩은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제2 폐쇄 플랩은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0도와 90도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아치형 접힘 특징부이다.
일 구성에서,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대향되는 곡률들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제1 폐쇄 플랩은 제2 폐쇄 플랩보다 더 길다.
일 구성에서, 경사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히는 제1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이 폐쇄 위치 위치로 접힐 경우, 제1 폐쇄 플랩의 각각의 측면 플랩의 아치형 에지부로 인한 한 쌍의 대향 아치형 립(pair of opposing arcuate lips) 및 제1 폐쇄 플랩의 중간 플랩의 아치형 에지부에 의해서 형성된 횡방향 립을 생성한다.
일 구성에서, 한 쌍의 대향 아치형 립 및 횡방향 립은, 컵이 음용 배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틸팅될 경우 또는 컵이 중간 플랩을 향해서 기울어질 경우, 컵의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구조물을 생성한다.
일 구성에서, 벽은 제1 길이방향 에지부 및 제2 길이방향 에지부를 포함하고, 길이방향 에지부들이 중첩되어 실린더 또는 프리즘 형성을 형성하고 컨테이너를 형성하며, 제1 길이방향 에지부 또는 제2 길이방향 에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컷-아웃(cut-out)을 내부에서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제2 길이방향 에지부는 C 형상의 컷-아웃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C 형상의 컷-아웃은, 제1 길이방향 에지부 및 제2 길이방향 에지부가 중첩되어 실린더 또는 프리즘을 형성할 경우 측면 접힘 특징부에 배치되고, C 형상의 컷 아웃은 각각의 측면 플랩의 접힘성을 개선한다.
일 구성에서, 제1 폐쇄 플랩은 곡선형 상부 표면을 포함하고, 제2 폐쇄 플랩은 곡선형 상부 표면을 포함하며, 제1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 및 제2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곡선화된다.
일 구성에서,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오목 곡률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의 중간 플랩은 오목 곡률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각각의 측면 접힘 특징부는 벽의 직선형 에지부를 따라서 형성되고, 제1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 및 제2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이 오목 곡률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에 위치되는 직선형 에지부는 플랩이 보다 용이하게 접힐 수 있게 하는데, 이는 플랩 상의 장력이 일 방향이기 때문이다.
일 구성에서, 록킹 탭이 록킹 개구부 내에 결합되는결합되는 경우 가청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이 제공되고/되거나 록킹 탭이 록킹 개구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가청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이 제공된다.
구성에서, 가청적 피드백은, 제1 폐쇄 플랩의 곡선형 상부 표면 및 제2 폐쇄 플랩의 곡선형 상부 표면으로 인해서 생성되는 가청 클릭(click)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록킹 탭은, 제1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 또는 중간 플랩의 상부 표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록킹 개구부로부터 분리된다.
일 구성에서, 제1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에 형성된 배출 개구부를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컵은 접힘 가능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경우 배출 개구부가 노출되고, 그에 따라, 컵의 내용물이 배출 개구부를 빠져 나올 수 있으며,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배출 개구부는 커버에 의해서 덮이고, 그에 따라, 컵의 내용물은 컵 내에서 유지된다.
일 구성에서, 제2 폐쇄 플랩이 접혀, 공간 내에서 유지되는 액체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립을 형성할 수 있다.
일 구성에서, 커버는, 제1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의 오목 곡률로 인해서, 폐쇄 위치로 편향된다.
제2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컵용 블랭크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블랭크는,
벽;
벽에 부착되고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폐쇄 플랩;
벽에 부착되고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폐쇄 플랩(second closure flap)
을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벽과 일체로 형성되고, 블랭크는 하나의 피스 구성(piece construction)이고,
제1 폐쇄 플랩은 한 쌍의 대향 아치형 에지부 및 아치형 에지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에지부를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은 2개의 경사 접힘 특징부를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되고,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되고,
사용 시에, 제1 폐쇄 플랩은 먼저 적어도 경사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으며,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2번 접힌 제1 폐쇄 플랩 및 1번 접힌 제2 폐쇄 플랩에 의해서 리드가 형성된다.
일 구성에서, 블랭크는 제2 폐쇄 플랩 위에 배치된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포함하고, 제2 폐쇄 플랩은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또는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곡선화된다.
일 구성에서,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대향되는 곡률들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볼록 곡률을 포함하고,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오목 곡률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제1 폐쇄 플랩은 제1 측면 플랩, 제2 측면 플랩, 제1 측면 플랩과 제2 측면 플랩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 플랩을 포함하고, 중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벽에 부착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은 측면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은 아치형 에지부를 포함하고, 중간 플랩은 곡선형 에지부를 포함하며, 곡선형 에지부가 각각의 아치형 에지부를 연결한다.
일 구성에서, 각각의 아치형 에지부는 제1 곡선형 부분 및 제2 곡선형 부분을 포함하고, 제1 곡선형 부분 및 제2 곡선형 부분은 상이한 곡률들 또는 상이한 원호 길이들 또는 상이한 반경들을 포함한다.
일 구성에서, 벽은 제1 길이방향 에지부 및 제2 길이방향 에지부를 포함하고, 길이방향 에지부들은 서로 대향되고 벽에 구속되고(bound), 제1 길이방향 에지부 또는 제2 길이방향 에지부가 컷 아웃을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은 블랭크를 이용하여 컵을 성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블랭크는 벽을 포함하고, 벽은 제1 길이방향 에지부 및 제2 길이방향 에지부를 포함하고, 블랭크는 벽에 부착되고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폐쇄 플랩, 벽에 부착되고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폐쇄 플랩을 더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벽과 일체로 형성되고, 블랭크는 하나의 피스의 구성이고, 제1 폐쇄 플랩은 한 쌍의 대향되는 아치형 에지부 및 아치형 에지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에지부를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은 2개의 경사 접힘 특징부를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되고,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되며, 방법은,
제2 길이방향 에지부에 인접한 벽의 일부를 제1 길이방향 에지부에 인접한 벽의 부분에 부착하여 실린더 또는 프리즘 형상의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실린더 또는 프리즘 형상의 본체가 중공형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여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단계;
베이스를 형성하거나 베이스를 부착하는 단계;
제1 폐쇄 플랩의 2개의 부분을 내측으로 접기 위해서 제1 폐쇄 플랩을 적어도 2개의 경사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접는 것에 의해서 리드를 형성하는 단계;
제1 폐쇄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도록, 제1 폐쇄 플랩을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는 단계;
폐쇄 위치에서 제2 폐쇄 플랩이 제1 폐쇄 플랩의 상단부 위에 놓이도록 제2 폐쇄 플랩을 제2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는 단계로서,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이 접혀서 리드를 형성하는, 단계;
제2 폐쇄 플랩은 록킹 탭을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은 록킹 개구부를 포함하며, 록킹 탭을 록킹 개구부 내로 삽입하여 제2 폐쇄 플랩을 제1 폐쇄 플랩에 록킹하고 컵의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폐쇄된 리드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전기 음료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일회용 음료 컵이 제공되고, 이러한 컵은,
베이스;
벽;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으로서, 벽에 부착되고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벽은 음료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를 형성하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벽에 대해서 접힐 수 있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접힐 수 있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리드를 형성하고,
리드는 폐쇄 위치로 적어도 2번 접힌 제1 폐쇄 플랩 및 폐쇄 위치로 적어도 1번 접힌 제2 폐쇄 플랩에 의해서 형성되고,
음료 컵이 약 15 cm의 높이가 되도록 또는 음료 분배기의 분배 위치의 높이 부근에 위치되도록, 그에 따라 개방 위치의 제1 또는 제2 폐쇄 플랩 중 하나가 벽과 음료 분배기의 노즐 사이의 슬롯 내에 피팅(fit)되게 배열되도록, 베이스 및 벽이 적절한 치수를 가지며,
컵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되며, 제1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에 형성된 한 쌍의 대향되는 경사 접힘 특징부를 포함하며,
제1 폐쇄 플랩이 2번 접히고 제2 폐쇄 플랩이 1번 접혀 플랩을 폐쇄하고, 제1 폐쇄 플랩은 한 쌍의 경사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접히고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접히며 그에 따라 제1 폐쇄 플랩을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며,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폐쇄 위치로 접히고,
제1 폐쇄 플랩은 한 쌍의 대향되는 측면 플랩 및 측면 플랩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플랩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은 길이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중간 플랩에 부착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은 측면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되고, 중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되고,
중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벽에 부착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은 측면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벽에 부착되며,
각각의 측면 플랩은 아치형 에지부를 포함하고, 중간 플랩은 곡선형 에지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측면 플랩의 아치형 에지부는, 아치형 에지부를 형성하는, 제1 곡선형 부분 및 제2 곡선형 부분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은 원위 패널 및 근위 패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의 근위 패널은 중간 플랩에 근접하고 원위 패널은 중간 패널에 대해서 원위에 위치되고; 각각의 측면 플랩 상의 경사 접힘 특징부는 근위 패널 및 원위 패널을 분리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은 측면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히고, 근위 패널은 경사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히고, 그에 따라 원위 패널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제1 폐쇄 플랩의 2개의 접힘부를 형성하며,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가 곡선형 에지부고,
제1 폐쇄 플랩은 록킹 개구부(locking opening)를 포함하고, 제2 폐쇄 플랩은 록킹 탭을 포함하고, 제2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제1 폐쇄 플랩의 상단부 위에 놓이고, 제2 폐쇄 플랩의 록킹 탭은 제1 폐쇄 플랩의 록킹 개구부 내로 결합되어 제1 및 제2 폐쇄 플랩을 폐쇄 위치에서 록킹하며,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제2 폐쇄 플랩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접힐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제2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의 상단부 위에 놓이며;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0 내지 180도로 접힐 수 있고,
제2 폐쇄 플랩이 0도에 위치되는 경우, 제2 폐쇄 플랩은 완전 개방 위치에 있고, 제2 폐쇄 플랩이 180도에 위치되는 경우, 제2 폐쇄 플랩은 폐쇄 위치에 있으며, 0도에서 제2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에 수직이고, 제2 폐쇄 플랩이 0도에 있을 경우 사용자는 컨테이너 내부를 볼 수 있고 그에 따라 컵 내의 음료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고,
컵은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포함하고,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제2 폐쇄 플랩 위에 배치되고,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제2 폐쇄 플랩은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으며,
제2 폐쇄 플랩은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0도와 90도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아치형 접힘 특징부이고,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대향되는 곡률들을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이 제2 폐쇄 플랩보다 더 길고,
경사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히는 제1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이 폐쇄 위치 위치로 접힐 경우, 제1 폐쇄 플랩의 각각의 측면 플랩의 아치형 에지부로 인한 한 쌍의 대향 아치형 립 및 제1 폐쇄 플랩의 중간 플랩의 아치형 에지부에 의해서 형성된 횡방향 립을 생성하고,
한 쌍의 대향 아치형 립 및 횡방향 립은, 컵이 음용 배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틸팅될 경우 또는 컵이 중간 플랩을 향해서 기울어질 경우, 컵의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 구조물을 생성하고,
제1 폐쇄 플랩은 곡선형 상부 표면을 포함하고, 제2 폐쇄 플랩은 곡선형 상부 표면을 포함하며, 제1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 및 제2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곡선화되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오목 곡률을 포함하며,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의 중간 플랩은 오목 곡률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접힘 특징부는 벽의 직선형 에지부를 따라서 형성되고, 제1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 및 제2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이 오목 곡률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에 위치되는 직선형 에지부는 플랩이 보다 용이하게 접힐 수 있게 하는데, 이는 플랩 상의 장력이 일 방향이기 때문이고,
록킹 탭이 록킹 개구부 내에 결합되는결합되는 경우 가청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이 제공되고/되거나 록킹 탭이 록킹 개구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가청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이 제공되며,
가청적 피드백은, 제1 폐쇄 플랩의 곡선형 상부 표면 및 제2 폐쇄 플랩의 곡선형 상부 표면으로 인해서 생성되는 가청 클릭을 포함하고,
록킹 탭은, 제1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 또는 중간 플랩의 상부 표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록킹 개구부로부터 분리되고,
제1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에 형성된 배출 개구부를 포함하고,
컵은 접힘 가능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을 경우 배출 개구부가 노출되고, 그에 따라, 컵의 음료가 배출 개구부를 빠져 나올 수 있으며,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배출 개구부는 커버에 의해서 덮이고, 그에 따라, 컵의 음료는 컵 내에서 유지되며,
제2 폐쇄 플랩이 접혀, 공간 내에서 유지되는 액체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립을 형성할 수 있다.
음료 컵 또는 컨테이너가 커피숍 또는 패스트 푸드 부엌에서와 같은 상업적인 또는 대규모의 접대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가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커피 머신 또는 청량 음료 머신과 같은 음료 분배기가 그에 따른 크기를 가지고, 컵이 충진되는 동안 컵이 일반적으로 놓이는 충진 플랫폼의 베이스를 향해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노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플랩이 개방 위치에 있을 경우, 플랩은 분배기의 벽과 노즐 사이의 슬롯과 결합되는 수 있고, 그에 따라 노즐이 음료를 컵 내로 지향시킬 수 있는 동안, 컵이 분배기의 충진 플랫폼 내에 피팅되게 할 수 있다. 개구부는, 플랩이 슬롯 내에 피팅되어 있는 동안, 조작자가 컵의 충진 진행을 볼 수 있게 하고, 적절한 높이를 가지면, 컵이 우발적으로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컵이 음료 분배 머신 내에서 유지되도록 보조할 것이다. 다시, 사고 및 유출 위험을 줄인다.
본원에서 개시된 숫자의 범위에 대한 언급(예를 들어, 1 내지 10)은 또한 그러한 범위 내의 모든 유리수(예를 들어, 1, 1.1, 2, 3, 3.9, 4, 5, 6, 6.5, 7, 8, 9 및 10) 그리고 또한 그러한 범위 내의 임의의 범위의 유리수(예를 들어, 2 내지 8, 1.5 내지 5.5, 및 3.1 내지 4.7)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본원에서 명백하게 개시된 모든 범위의 모든 하위-범위가 그에 의해서 명백하게 개시된다. 이는 구체적으로 의도된 것의 단순한 예이고, 유사한 방식으로, 열거된 하한 값과 상한 값 사이의 수치 값의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원에서 명백하게 기술된 것으로 간주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 또는 구성이, 본 명세서에서 도시, 설명 또는 언급된 부분, 요소 또는 특징부 중 둘 이상의 임의의 또는 모든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은 "그리고" 또는 "또는", 또는 문맥이 허용하는 경우에 그 둘 모두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명사 이후의 "들"은 명사의 복수 및/또는 단수 형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컵"은, 대체로 원형 또는 다각형인 베이스 및 베이스로부터 연장되고 원통형 형상 또는 다각형 프리즘 형상을 가지며 액체 및/또는 고체, 예를 들어 식품 및 음료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벽을 가지는, 컵 또는 다른 수용체 또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액체"는 임의의 점도의 임의의 유체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비제한적으로 설탕 결정, 소금 결정, 캔디 또는 향신료 조각 또는 기타와 같은 미세한 또는 큰 입자의 집합체와 같은 고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액체"는, 접근될 수 있거나 달리 컵으로부터 부을 수 있는, 유체 또는 고체 형태의, 임의의 내용물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 실시형태가, 플로우차트, 흐름도, 구조도, 또는 블록도로 도시된 방법(즉, 프로세스)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비록 플로우차트가 순차적인 방법으로서 동작을 설명할 수 있지만, 많은 동작이 병렬로 또는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동작들의 순서가 재배열될 수 있다. 방법(즉, 프로세스)은 그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에 종료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어 "포함하는" 및 "포함한다"와 같은 그 변형은 국제 특허 실무에 따른 일반적인 의미를 가진다. 즉, 이러한 단어는, 구체적으로 언급된 것에 외에, 부가적인 또는 언급되지 않은 요소, 물질 또는 방법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설명된 장치, 물질 또는 방법은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다른 요소, 물질 또는 단계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포함하는"(및 그의 문법적 변형)은, "~만으로 구성된"의 의미가 아니라, "가지는" 또는 "함유하는"의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달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한, 또한 사용된 문맥 내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한, 특히, "할 수 있는" ("can," "could," "might," 또는 "may)과 같은 조건부 언어는 일반적으로, 특정의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를, 다른 실시형태는 포함하지 않지만, 특정 실시형태는 포함한다는 것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그에 따라, 그러한 조건부 언어는 일반적으로,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가 어떠한 방식으로든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요구된다는 것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가, 사용자 입력 또는 프롬프팅이 있거나 없이, 이러한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가 임의의 특별한 실시형태에 포함되거나 그러한 임의의 특별한 실시형태에서 실시되는지의 여부를 결정을 위한 로직을 반드시 포함한다는 것을 암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대략적으로", "약", "전반적으로", 및 "실질적으로"와 같은, 본원에서 사용된 정도에 관한 언어는, 희망 기능을 여전히 수행하거나 희망 결과를 달성하는 기술된 값, 양, 또는 특성에 근접한 값, 양, 또는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대략적으로", "약", "전반적으로", 및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기술된 양의 10% 미만 이내의(within less than 10% of), 5% 미만으로 이내의, 1% 미만 이내의, 0.1% 미만 이내의, 및 0.01% 미만 이내의 양을 지칭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또는 발명들)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본 출원의 명세서 내에서 언급되거나 표시된 부분, 요소 및 특징부, 그리고 그러한 부분, 요소 또는 특징부의 임의의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임의의 또는 모든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넓게 설명될 수 있고,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균등물을 가지는 특정 정수(integer)가 본원에서 언급된 경우에, 그러한 공지된 균등물은 본원에서 개별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에도 불구하고, 이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리드를 가지는 컵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컵의 블랭크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제2 폐쇄 플랩이 뒤로 접힌 위치에서 도 1의 컵을 도시한다.
도 4는 제1 폐쇄 플랩 내에 형성된 제1 접힘부를 도시한다.
도 5는 제2 폐쇄 플랩 내에 형성된 제2 접힘부를 도시한다.
도 6은 폐쇄 위치의 제1 폐쇄 플랩을 도시한다.
도 7은 폐쇄 위치로 접힌 제2 폐쇄 플랩을 도시한다.
도 8은 제2 폐쇄 플랩의 록킹 탭을 록킹 개구부 내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제2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에 인가되는 힘을 도시한다.
도 9는 리드를 폐쇄 위치에서 록킹하기 위해서 록킹 개구부 내에 결합된 록킹 탭을 도시한다.
도 10은 록킹 탭 언록킹(unlock)하기 위해서 제2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에 인가되는 힘을 도시한다.
도 11은 록킹 개구부로부터 분리된 록킹 탭을 도시한다.
도 12는 배출 개구부 및 배출 개구부를 덮는 폐쇄 위치의 커버를 도시한다.
도 13은 배출 개구부가 접근 가능하도록 그리고 개방되도록 개방 위치에 있는 커버를 도시한다.
도 14는 하나의 길이방향 에지부 내에 컷 아웃을 가지는, 서로 중첩되고 부착된 길이방향 에지부들을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은 뒤로 접힌 배향으로 이동하는 제2 폐쇄 플랩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8은 뒤로 접힌 배향으로 이동하는 제2 폐쇄 플랩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컵, 예를 들어 종이 및 플라스틱 컵은 현대 사회에서 일반적이고, 식품 및/또는 음료수를 유지하기 위해서, 즉 고체 및/또는 액체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컵은 종종, 매립지에 폐기되거나 재활용되는 일회용 컵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컵은 종종, 컵의 밀봉을 위해서 컵에 부착되는 별도의 리드를 가진다. 리드는 종종 컵의 내용물을 분배하기 위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는 또한 매립지에 폐기되거나 재활용되어야 한다. 리드는 종종 컵과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리드가 컵의 에지부 상으로 눌려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리드의 사용이 어려울 수 있다. 이는 어려울 수 있고, 리드가 종종 컵 상에 부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리드를 컵에 정확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리드를 리드의 모든 주위에서 균일한 힘으로 컵 상으로 밀어야 한다. 이는 사람들에게 어려울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잘못 배치된 리드 또는 리드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선된 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쇄 가능하고 개방 가능한 리드를 가지는 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컵의 일부로서 형성된 통합형 리드를 가지는 컵에 관한 것이다. 리드는, 폐쇄 위치의 리드를 형성하기 위해서 컵의 적어도 2개의 플랩을 접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통합형 리드는, 컵 상으로 밀어야 하는 별도의 리드에 비해서, 더 단순하게 컵을 폐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통합형 리드는 컵과 함께 재사용될 수 있거나, 컵과 함께 재활용되거나 폐기될 수 있다. 통합형 리드는 구성요소의 수를 줄이고 전체 생성 폐기물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는데, 이는 컵과 별도인 리드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폐쇄 가능 리드를 가지는 컵에 관한 것이다. 컵은 통합형 리드, 즉 별도의 피스가 아닌 리드를 포함한다. 리드는 컵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일 구성에서, 액체 또는 고체를 유지하기 위한 컵은: 베이스, 벽으로서, 베이스 및 벽은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벽,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으로서, 벽에 부착되고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을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벽에 대해서 접힐 수 있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접힐 수 있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리드를 형성하고; 그리고 리드는 폐쇄 위치로 적어도 2번 접힌 제1 폐쇄 플랩 및 폐쇄 위치로 적어도 1번 접힌 제2 폐쇄 플랩에 의해서 형성된다.
일 구성에서, 액체 또는 고체를 유지하기 위한 컵은: 베이스,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벽으로서, 액체 또는 고체를 유지하기 위한 중공형 공간을 내부에 가지는 실린더 또는 프리즘을 형성하는, 벽, 적어도 2개의 폐쇄 플랩을 포함하는 리드로서, 적어도 3개의 접힘 배열(fold arrangement)에 의해서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리드를 포함하고, 3개의 접힘 배열은 적어도 하나의 폐쇄 플랩을 1번 접는 것 및 다른 플랩을 적어도 2번 접는 것을 포함한다. 2번 접히는 플랩은 적어도 2개의 경사 접힘 특징부 및 하나의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은 먼저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그리고 이어서 경사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접힌다.
일 구성에서, 액체 또는 고체를 유지하기 위한 컵은: 베이스, 벽으로서, 베이스 및 벽은 액체 또는 고체를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벽, 벽에 부착되어 그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으로서,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서로 분리되고(즉, 서로 연결되지 않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접힐 수 있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이 폐쇄 위치로 접히는 것에 의해서 폐쇄되는 리드를 형성하고, 제1 폐쇄 플랩은 3개의 에지부를 포함하고, 3개의 에지부는 2개의 대향되는 아치형 에지부 및 2개의 아치형 에지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에지부를 포함한다. 중간 에지부는 곡선형 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치형 에지부의 각각은 2개의 아치형 섹션을 포함하고, 각각의 아치형 섹션은 상이한 원호 길이를 포함한다. 또한, 2개의 아치형 섹션은 상이한 반경들을 포함한다. 2개의 아치형 섹션은, 제1 폐쇄 플랩이 접힐 경우, 부가적인 밀봉 립을 제공한다. 제1 폐쇄 플랩이 적어도 2번 접힐 수 있고 제2 폐쇄 플랩이 적어도 1번 접혀 폐쇄 위치로 이동하고 폐쇄된 리드를 형성한다.
컵은 블랭크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블랭크는 벽,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을 형성한다. 블랭크는 또한 복수의 접힘 특징부를 포함한다. 폐쇄 플랩이 접힘 특징부를 따라 접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접힐 수 있다. 제1 폐쇄 플랩은 적어도 2개의 경사 접힘 특징부를 포함한다. 블랭크는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포함한다. 제1 폐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와 연관되어 제1 폐쇄 플랩이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접힐 수 있게 한다. 제2 폐쇄 플랩은 제2 접힘 특징부와 연관되어 제2 폐쇄 플랩이 제2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접힐 수 있게 한다.
추가적인 형태에서, 컵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컵용 블랭크는: 벽, 벽에 부착되고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폐쇄 플랩, 벽에 부착되고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폐쇄 플랩을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벽과 일체로 형성되고, 블랭크는 하나의 피스의 구성이고, 제1 폐쇄 플랩은 한 쌍의 대향 아치형 에지부 및 아치형 에지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에지부를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은 2개의 경사 접힘 특징부를 포함하고, 제1 폐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되고,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벽에 부착되고, 사용 시에, 제1 폐쇄 플랩은 적어도 경사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먼저 접힐 수 있고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으며,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2번 접힌 제1 폐쇄 플랩 및 1번 접힌 제2 폐쇄 플랩에 의해서 리드가 형성된다. 블랭크는 제2 폐쇄 플랩 위에 배치된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포함하고, 제2 폐쇄 플랩은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또는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곡선화된다.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대향되는 곡률들을 포함한다.
도 1은 액체 또는 고체를 내부에서 유지하기 위한 컵(100)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컵(100)은 베이스(110) 및 벽(200)을 포함한다. 벽(200)은 베이스에 부착되고 베이스(110)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벽(200)은 상단부(120)에서 종료된다. 상단부(120)는 개방부이다. 벽(200)은 직립형 벽이다. 벽(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벽이고 실린더 또는 프리즘의 형상이다. 벽(200)은 내부에 공간(202)을 가지는 컨테이너를 형성한다. 액체 또는 고체 또는 다른 것이 컨테이너(202) 내로 배치될 수 있고 그 내부에서 유지될 수 있다. 벽(200)은 공간(202)을 경계 짓는다. 베이스(110)는 벽(200)과 통합된다. 베이스(110)는, 베이스를 형성하도록 벽의 하부 부분을 굽히거나 접는 것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접히거나 굽혀진 하부 부분들이 함께 부착되거나, 용접되거나,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에 의해서 부착되어 베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베이스(110)는, 벽(200)의 하부 영역에 커플링되는 별도의 피스일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구성에서, 베이스(110)는, 벽의 하부 부분, 예를 들어 하부 에지부에 부착되어 베이스(110)를 형성하는 별도의 디스크 형상의 피스일 수 있다.
컵(100)은 리드(300)를 포함한다. 리드(300)는 벽(200)과 통합되고 상단부(120) 주위에 배치된다. 리드(300)는 벽(200)에 연결된다. 리드(300) 및 벽(200)은 단일체 구조물(monolithic structure)을 형성할 수 있다. 리드(30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리드(300)는 폐쇄 위치로 접히고, 개방 위치로 펼쳐진다. 사용자가 리드를 용이하게 접고 펼칠 수 있음에 따라 리드가 용이하게 폐쇄 및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통합형 리드(300)가 유리하다. 사용자는 리드를 고정하기 위해서 리드를 컵의 상부 에지부와 정확하게 정렬시키고 이어서 균일한 힘을 인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통합형 리드는 리드를 망실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리드(300), 벽(200) 및 베이스(110) 모두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형태에서, 컵(100)은 종이 또는 판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컵(100)(즉, 베이스(110), 벽(200) 및 리드(300))이 카드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형태에서, 컵(100)(즉, 베이스(110), 벽(200) 및 리드(300))는 천연 섬유 재료, 예를 들어 황마(jute)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형태에서, 컵(100)은 천연 섬유 및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형태에서, 컵(100)은 플라스틱 재료 또는 중합체, 예를 들어 열가소성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형태에서, 컵(100)은 재활용된 플라스틱 재료 또는 재활용 가능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컵(100)의 재료는 적어도 2개의 중첩된 섬유 층을 가지는 다중-플라이(multiply) 판지일 수 있다. 다층 판지는 3개 이상의 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 예를 들어 중간 플라이가 화학 펄프 또는 표백된 화학 펄프 또는 표백된 화학-열 기계 펄프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플라이가 표백된 펄프로 형성될 수 있다. 다중-플라이 판지를 적합한 코팅 재료로 코팅하여 내열성 또는 강도를 판지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장벽 또는 내충격성 재료가 코팅으로서 부가될 수 있다. 코팅의 일부 예는 중합체 필름 또는 생물 중합체 코팅, PE 코팅, PP 코팅, 또는 완전한 생분해성이기 때문에 더 유리할 수 있는 식물 기반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컵(100)의 재료가 또한 색소를 포함하여 컬러를 제공할 수 있다.
컵은 컵에 배치된 그래픽, 로고, 또는 다른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고 또는 다른 표시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벽(200)의 외부 표면이 로고 또는 다른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00)의 외부 표면 또는 외부 면은, 사용자가 컵으로부터 음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로고, 그래픽, 또는 다른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컵(100)은 임의의 적합한 크기일 수 있다. 컵(100)은 4 oz 내지 20 oz의 부피를 가지는 크기일 수 있다. 컨테이너 즉, 공간(202)은 4 oz 내지 20 oz의 부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100)은, 컵의 부피(즉, 공간(202))가 4 oz, 5 oz, 6 oz, 7 oz, 8 oz, 9 oz, 10 oz, 12 oz, 16 oz, 20 oz 중 임의의 하나를 가질 수 있게 하는, 크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컵(100)은 임의의 적합한 부피를 형성하는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컵(100)은 표준 부피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컵(100)이 도 2에 도시된 블랭크로부터 형성되는 경우, 컵(100)은 절두 원추형일 수 있다. 컵(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두원추형 형상을 포함한다. 컵 벽(200)은 테이퍼링된 실린더 또는 다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테이퍼링 프리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가 상단부(120)보다 더 좁도록, 벽(200)은 베이스를 향해서 내측으로 테이퍼링된다. 바람직하게, 벽(200)은 테이퍼링된 실린더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는 원형이고 상단부는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바람직하게, 컵의 형상은 베이스(110)가 상단부(120) 내에 포개지는 상태로 적층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복수의 컵이 저장 또는 운반을 위해서 함께 적층될 수 있게 한다. 컵(100)의 일부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할 것이다.
일 구성에서, 컵(100)은 62 mm의 직경을 가지는 상단부, 62 mm의 높이, 및 46 mm의 직경을 가지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컵(100)은 70 mm의 직경을 가지는 상단부, 80 mm의 높이, 및 46 mm의 직경을 가지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구성에서, 컵(100)은 46 mm의 직경을 가지는 베이스, 92 mm의 높이, 및 70 mm의 직경을 가지는 상단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성에서, 컵(100)은 48 mm의 직경을 가지는 베이스, 102 mm의 높이, 및 73 mm의 상단부 직경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에서, 컵(100)은 57 mm의 직경을 가지는 베이스, 90 mm의 높이, 및 80 mm의 직경을 가지는 상단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성에서, 컵(100)은 60 mm의 베이스 직경, 95 mm의 높이, 및 90 mm의 상단부 직경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성에서, 컵(100)은 90 mm의 상단부 직경, 109 mm의 높이, 및 60 mm의 베이스 직경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구성에서, 컵(100)은 60 mm의 베이스, 90 mm의 상단부 직경, 및 111 mm의 높이를 포함한다. 다른 구성에서, 컵(100)은 60 mm의 베이스 직경, 136 mm의 높이, 및 90 mm의 상단부 직경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구성에서, 컵(100)은 60 mm의 베이스 직경, 150 m의 높이, 및 90 mm의 상단부 직경을 포함한다. 컵은 설명된 구성들 중 임의의 하나에 따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컵(100)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컵(100)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컵(100)의 블랭크(500)를 도시한다. 블랭크(500)는 컵의 2차원적인 형태를 형성한다. 블랭크(500)는 컵의 2차원적인 형태이다. 블랭크(500)는, 컵의 재료로부터 패턴을 컷팅 또는 스탬핑 또는 펀칭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시트이다. 블랭크(500)가 롤링되고 접혀서 도 1 및 다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컵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컵(100)은 제1 폐쇄 플랩(310) 및 제2 폐쇄 플랩(320)을 포함한다. 제1 폐쇄 플랩(310) 및 제2 폐쇄 플랩(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2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제1 폐쇄 플랩(310) 및 제2 폐쇄 플랩(3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200)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1 폐쇄 플랩(310), 제2 폐쇄 플랩(320) 및 벽(200)은 하나의 연속적인 구조물, 즉 하나의 피스의 구조물을 형성한다. 달리 설명하면, 컵(즉, 폐쇄 플랩 및 벽)은 단일체 구조물을 형성한다. 제1 폐쇄 플랩(310)이 제2 폐쇄 플랩(320)보다 더 길고, 즉 더 높은 높이를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폐쇄 플랩(310) 및 제2 폐쇄 플랩(320)은 벽(200)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제1 폐쇄 플랩(310)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400)를 통해서 벽(200)에 부착된다. 제2 폐쇄 플랩(320)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를 통해서 벽(200)에 부착된다. 제1 폐쇄 플랩(310)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400)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제2 폐쇄 플랩(320)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제1 폐쇄 플랩(310)은 복수의 부분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폐쇄 플랩은 한 쌍의 측면 플랩(311, 312) 및 중간 플랩(313)을 포함한다. 제1 폐쇄 플랩(310)은 제1 측면 플랩(311) 및 제2 측면 플랩(312)을 포함한다. 중간 플랩(313)은 측면 플랩들(311, 312) 사이에서 연장된다. 중간 플랩(313)은 2개의 측면 플랩들(311, 312)을 연결한다. 각각의 측면 플랩(311, 312)은 길이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중간 플랩(313)의 대향 에지부들에 부착된다. 제1 측면 플랩(311)은 제1 길이방향 접힘 특징부(420)에서 중간 플랩(313)에 부착된다. 제2 측면 플랩(312)은 제2 길이방향 접힘 특징부(421)에서 중간 플랩에 부착된다. 길이방향 접힘 특징부(420, 421)는 제1 폐쇄 플랩(310) 상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1 측면 플랩(311)은 제1 측면 접힘 특징부(430)에서 벽(200)에 부착된다. 제2 측면 플랩(312)은 제2 측면 접힘 특징부(431)에서 벽(200)에 부착된다. 중간 플랩(313)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400)에서 벽에 부착된다. 제1 측면 플랩(311), 제2 측면 플랩(312) 및 중간 플랩(313)은 하나의-피스의 구조물로서 형성된다.
각각의 측면 플랩(311, 312)은 아치형 에지부를 포함한다. 제1 측면 플랩(311)은 제1 아치형 에지부(330)를 포함한다. 제2 측면 플랩(312)은 제2 아치형 에지부(331)를 포함한다. 아치형 에지부(330, 331)는 크기 및 형상이 서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측면 플랩(311, 312)은 크기 및 형상이 서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 플랩의 아치형 에지부(330, 331)가 제1 곡선형 부분(332) 및 제2 곡선형 부분(333)을 포함하고, 2개의 곡선형 부분이 아치형 에지부를 형성한다. 제1 곡선형 부분(332) 및 제2 곡선형 부분(333)의 각각이 상이한 원호 길이들, 즉 둘레 길이들을 가진다. 도시된 예에서, 제2 곡선형 부분(333)이 제1 곡선형 부분보다 더 길다. 중간 플랩(313)이 또한 곡선형 에지부(334)를 포함한다. 아치형 에지부(330, 331) 및 곡선형 에지부(334)가 제1 폐쇄 플랩(310)의 자유 에지부를 형성한다. 아치형 에지부(330, 331) 및 곡선형 에지부는 자유 에지부다.
각각의 측면 플랩(311, 312)은 원위 패널(340) 및 근위 패널(342)을 포함한다. 각각의 측면 플랩의 근위 패널(342)은 중간 플랩(313)에 근접한다. 원위 패널(340)은 중간 플랩(313)에 대해서 원위적이다. 제1 폐쇄 플랩(310)은 2개의 경사 접힘 특징부(440, 441)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면 플랩은 경사 접힘 특징부를 포함한다. 경사 접힘 특징부(440, 441)는 근위 패널(342)과 원위 패널(340)을 분리한다. 각각의 측면 플랩(311, 312)은 경사 접힘 특징부(440, 441)를 따라서 접힐 수 있다. 사용 시에, 각각의 측면 플랩(311, 312)은 측면 접힘 특징부(430, 431)를 중심으로 접힌다.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400)는 곡선형 형상을 포함한다.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원호를 포함한다.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400)는 오목 곡선을 포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목은 베이스(110), 즉 벽의 하부 에지부(210)를 향해서 곡선화된 것을 의미한다. 벽의 하부 에지부(210)는 아치형 형상이다. 하부 에지부(210)는 볼록 곡선, 즉 상단부(120)를 향해서 곡선화된 곡선을 포함한다. 하부 에지부(210)를 이용하여 베이스(110)를 형성하거나, 대안적으로 별도의 부분, 예를 들어 재료의 디스크가 컵 성형 부분으로서 하부 에지부(210)에 부착된다.
컵(100)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를 포함한다.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는 제2 폐쇄 플랩(320) 상에 배치된다.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는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 및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가 곡선화된다. 2개의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 404)는 대향되는 곡선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성에서,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는 오목 곡선을 포함한다.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는 볼록 곡선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폐쇄 플랩(310)은 록킹 개구부(600)를 포함한다. 록킹 개구부(600)는 반-원형 형상일 수 있다. 록킹 개구부(600)는 예를 들어 초승달 형상과 같은 다른 적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록킹 개구부(600)는 제1 폐쇄 플랩(310) 내의 컷 아웃이다. 제2 폐쇄 플랩(320)은 록킹 탭(602)을 포함한다. 록킹 탭(602)은 제2 폐쇄 플랩(320)의 자유 에지부(33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자유 에지부(334)는 바람직하게 직선형 에지부나, 벽(200)을 롤링하는 것에 의해서 컵(100)이 형성되는 경우, 곡률을 그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벽(200)은 제1 길이방향 에지부(212) 및 제2 길이방향 에지부(214)를 포함한다. 제2 길이방향 에지부(214)는 C 형상의 컷 아웃(216)을 포함할 수 있다. C 형상의 컷 아웃(216)은, 제1 길이방향 에지부(212) 및 제2 길이방향 에지부(214)가 중첩되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또는 프리즘을 형성할 경우, 측면 접힘 특징부에 배치된다. C 형상의 컷 아웃(216)은 접힘을 위해서 견고성(stiffness)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그에 의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인가되는 유사한 힘으로 양 측면 플랩(311, 312)이 접힐 수 있게 한다. 이는 더 직관적으로 그리고 더 용이하게 측면 플랩이 접힐 수 있게 하고 제1 폐쇄 플랩(310)이 접힐 수 있게 한다. C 형상의 컷 아웃은 선택적인 특징부일 수 있다.
벽은 벽에 및/또는 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직 접힘 특징부(450)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200)은 4개의 수직 접힘 특징부(450)를 포함한다. 수직 접힘 특징부는 벽을 따라서 부분적인 거리로 연장된다. 수직 접힘 특징부(450)는 벽(200)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즉 벽(200)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2개의 수직 접힘 특징부는 길이방향 접힘 특징부(420, 421)와 정렬된다. 다른 2개의 수직 접힘 특징부는 제2 폐쇄 플랩(320)으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제2 폐쇄 플랩(320)의 수직 에지부(321 및 322)와 정렬된다. 4개의 수직 접힘 특징부(450)는 벽(200)을 더 쉽게 롤링하는데 도움을 준다. 벽을 접거나 롤링하여 2개의 길이방향 에지부(214, 212)를 함께 부착할 수 있다. 수직 접힘 특징부(450)는 벽(200)을 더 쉽게 롤링 하는데 도움을 준다. 수직 접힘 특징부(450)는 라인 또는 취약 지역일 수 있다.
컵(10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개구부(700) 및 접힘 가능 커버(702)를 더 포함한다. 접힘 가능 커버(702)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배출 개구부(700)는 커버(702)가 개방 위치에 있을 경우 노출된다. 커버(702)가 개방 위치에 있을 경우, 사용자가 배출 개구부(700)에 접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컵의 내용물이 개구부(700)의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배출 개구부(700)는 커버(702)에 의해서 덮인다.
컵(100)은 자동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컵(100)은 컵 성형 기계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블랭크(500)를 패턴으로 이용하여 블랭크 형상을 스탬핑하거나 컷 아웃할 수 있다. 컵(100)은 벽을 롤링하는 것 그리고 길이방향 에지부(212, 214)를 서로에 대해서 부착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다. 길이방향 에지부(212, 214)가 함께 접착되거나 함께 용접될 수 있다. 수직 접힘 특징부(450)는 벽을 롤링하여 컵(100)의 절두원추형 형상을 생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블랭크(500)를 이용하여 다수의 패턴을 컷 아웃하여 다수의 컵(1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제, 컵(100)의 용도를 설명할 것이다. 제1 폐쇄 플랩(310) 및 제2 폐쇄 플랩(320)을 접는 것에 의해서, 리드(300)가 형성된다. 제1 폐쇄 플랩(310)을 2번 접어서 제1 폐쇄 플랩(310)을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2 폐쇄 플랩(320)을 1번 접어서 제2 폐쇄 플랩(320)을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4 및 도 6은 제1 폐쇄 플랩(310)을 폐쇄 위치로 접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리드(300)는 3개의 접힘 배열로 형성된다. 제1 폐쇄 플랩(310)을 2번 접고 제2 폐쇄 플랩(320)을 1번 접어서 리드를 폐쇄한다. 도 4는 제1 폐쇄 플랩(310)의 제1 접힘부를 도시한다. 제1 폐쇄 플랩은 경사 접힘 특징부(440, 441)를 따라서 접힌다. 도 5는 제1 폐쇄 플랩(310)의 제2 접힘부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제1 폐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400)를 중심으로 접힌다. 도 6는 제1 폐쇄 플랩(310)의 접힌 위치를 도시한다. 도 7은, 제2 폐쇄 플랩(320)이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를 중심으로 접힌 것을 도시한다. 도 9는 리드를 폐쇄 위치에서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폐쇄 플랩은 측면 접힘 특징부(430, 431) 및 횡방향 접힘 특징부(400)를 따라서 접힌다. 특히, 측면 플랩(311, 312)은 측면 접힘 특징부(430, 431)를 따라서 내측으로 즉, 서로를 향해서 접힌다. 중간 플랩(313)은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내측으로 접힌다.
제1 폐쇄 플랩(3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접힘 특징부(440, 441)를 중심으로 접힌다. 각각의 측면 플랩(311, 312)이 경사 접힘 특징부(440, 441)를 중심으로 접혀, 제1 폐쇄 플랩(310)의 제2 접힘부를 생성한다. 경사 접힘 특징부(440, 441)를 중심으로 접는 것은 한 쌍의 대향되는 아치형 립을 생성한다. 대향되는 내측 지향 아치형 립들은 각각의 측면 플랩(311, 312)의 아치형 에지부(330, 331)에 의해서 형성된다. 중간 플랩(313)은 경사 접힘 특징부(440, 441) 및 횡방향 접힘 특징부(400)를 따라서 접힌다. 각각의 측면 플랩의 아치형 에지부(330, 331) 및 중간 플랩의 곡선형 에지부(334)는 접힌 플랩을 형성한다. 측면 플랩 및 중간 플랩의 에지부들은 3개의 면을 생성하고 3개의 립은 밀봉 구조물을 생성하고, 그에 따라, 컵이 음용 배향으로 기울어지거나 틸팅될 경우 또는 중간 플랩을 향해서 기울어질 경우, 컵의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각의 측면 플랩(311, 312) 및 중간 플랩(313)의 근위 패널 및 원위 패널은, 폐쇄 위치로 접힐 경우 플랩들이 서로 중첩되도록 하는, 거리를 가진다.
도 6은 제1 폐쇄 플랩(310)의 완전 폐쇄 배향(즉, 측면 플랩(311, 312) 및 중간 플랩(313)의 폐쇄 위치)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플랩(311, 312)이 내측으로 접히고 아치형 에지부들(330, 331)이 서로를 향해서 접힌다. 중간 플랩(313)은 접힌 측면 플랩들(311, 312)의 상단부 상에 놓인다. 각각의 측면 플랩(311, 312)의 제1 곡선형 부분(332)은 제2 곡선형 부분(333)보다 더 길다. 각각의 측면 플랩(311, 312)의 제1 곡선형 부분(332)은, 접힌 위치에 있을 경우, 각각의 측면 플랩(311, 312)의 제2 곡선형 부분(333)에 비해서, 서로 더 가까이 연장된다. 2개의 곡선형 부분(332, 333)은 컵의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곡선형 밀봉 표면을 생성한다.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플랩(313)의 곡선형 에지부(334)의 곡률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의 곡률에 상응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플랩(313)은, 중간 플랩(313)의 곡선형 에지부(334)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와 접촉되어 놓이도록 하는, 상단부에 걸쳐 연장되는 길이를 가진다. 도 6은, 상단부(120)를 연장시키고 컵의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으로 연장되어 컵을 차단하는 중간 플랩(313)을 도시한다.
도 6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 및 중간 플랩(313)의 곡선형 에지부(334)의 매칭되는 곡률(matching curvature)을 도시한다. 매칭되는 곡률이 유리한데, 이는 이러한 것이 컵의 밀봉을 개선하고 컵의 내용물의 누출 기회를 방지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제2 폐쇄 플랩(3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를 중심으로 접힌다. 제2 폐쇄 플랩(3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플랩(313)의 상단부 상에 놓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탭(602)을 록킹 개구부(600) 내로 민다. 또한, 사용자가 하향력을 인가하여 록킹 탭(602)을 록킹 개구부(600) 내로 삽입한다. 록킹 개구부 내에 수용된 록킹 탭은 제2 폐쇄 플랩(320)을 제1 폐쇄 플랩(310)에 록킹하고, 그에 의해서 리드를 폐쇄 위치로 록킹한다.
오목 형상의 제2 접힘 특징부(402)는 제2 폐쇄 플랩(320)을 폐쇄 위치로 쉽게 접을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록킹 탭(602)을 록킹 개구부(600) 내로 쉽게 결합시킬 수 있게 한다. 오목 형상의 제2 접힘 특징부(402)는, 접힌 제1 폐쇄 플랩(310)을 망치지 않고, 사용자가 제2 폐쇄 플랩(320)을 접을 수 있게 하고, 제2 폐쇄 플랩(320)을 접고 플랩(320)을 록킹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킨다.
록킹 탭(60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을 리드(300)의 상부 표면에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록킹 개구부(600)로부터 언록킹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리드(300)를 개방하기 위해서,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접힌 배열에 있을 경우, 사용자는 제2 폐쇄 플랩(320)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즉, 아래로 밀 수 있다). 록킹 탭(602)이 록킹 개구부(600)로부터 제거되고, 제2 폐쇄 플랩(3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이동된다. 제2 폐쇄 플랩(320)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의 오목 형상으로 인해서 위쪽으로 편향된다. 접힘 특징부(402)의 이러한 오목 형상은 보다 양호한 밀봉을 형성하기 위한 부가적인 장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록킹 탭(602)이 록킹 개구부(600) 내에 결합되는결합되는 경우, 가청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이 제공된다. 또한, 록킹 탭(602)이 록킹 개구부(6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가청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이 제공된다. 가청적 피드백은, 제1 폐쇄 플랩(310)의 곡선형 상부 표면 및 제2 폐쇄 플랩(320)의 곡선형 상부 표면으로 인해서 생성되는 가청 클릭을 포함한다. 가청적 클릭은 또한 위쪽으로 편향되는 제2 폐쇄 플랩(320)으로 인해서 생성되고, 즉 제2 폐쇄 플랩이 팽창 및 수축하여 클릭 소리를 생성한다. 폐쇄 플랩(320)은, 위쪽으로 편향되는 것으로 인해서, 팽창되고 즉 위쪽으로 이동된다.
록킹 개구부(600)는 이러한 예에서 컷 아웃 개구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구부(600)는, 록킹 탭(602)을 수용하기 위해 플랩 내로 컷팅 또는 프레스될 수 있는 슬릿, 컷팅부, 슬롯 또는 임의의 다른 수용 구조물을 포함하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2 폐쇄 플랩(320)이 뒤로 접힐 수 있다. 제2 폐쇄 플랩(320)은 0도 내지 180도 사이에서 접히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폐쇄 플랩(320)이 0도에 있을 경우, 제2 폐쇄 플랩(320)은 완전 개방 위치에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폐쇄 플랩이 180도에 있을 경우, 제2 폐쇄 플랩(320)은 폐쇄 위치에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폐쇄 플랩(320)은 0도일 때 제1 폐쇄 플랩(310)에 수직이다. 제2 폐쇄 플랩(320)은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는 제2 폐쇄 플랩(320) 상에 배치된다.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는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제2 폐쇄 플랩(320)이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폐쇄 플랩이 0도와 180도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0도와 180도 사이의 임의의 위치는 수평에 대한 것이다. 도 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폐쇄 플랩(320)이 완전히 뒤로 접힐 경우, 즉 0도일 때, 사용자는 컵의 내부를 볼 수 있고 컵의 충진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뒤로 접힌 제2 폐쇄 플랩(320)은, 컵이 예를 들어 음료수 분배기에 의해서 충진될 때, 충진 레벨을 볼 수 있게 한다. 부가적으로, 제2 폐쇄 플랩(320)이 또한 사용에 의해서 뒤로 접힐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컵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내용물을 음용하거나 그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립을 형성하면서 컵을 개방한다.
도 17 및 도 18은 컵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수평에 대한 90도의 위치에서 제2 폐쇄 플랩(320)을 도시한다. 도 17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 및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를 도시한다.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 및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가 곡선화된다. 2개의 접힘 특징부들이 반대 방향으로 곡선화된다. 도 17은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의 볼록 곡선 및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의 오목 곡선을 더 명확하게 도시한다. 도 16의 정면도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폐쇄 플랩(320)이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0도 위치까지 접히고, 즉 폐쇄부가 뒤로 접혀 중공형 공간(202)을 노출시킨다.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 및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는 대향되는 곡률들을 포함한다.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는 볼록 형상의 곡률을 가지고,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402)는 오목 접힘 특징부(402)이다. 볼록한 형상의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404)는, 구조물의 나머지, 예를 들어 제1 폐쇄 플랩(310)을 망치거나 방해하지 않고, 제2 폐쇄 플랩(320)이 뒤로 접힐 수 있게 한다. 도 16은 제2 폐쇄 플랩(320)의 뒤로 접힌 위치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제1 폐쇄 플랩(310)이 어떠한 간섭도 없이 접혀 있는 동안, 뒤로 접힌 제2 폐쇄 플랩(320)을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은 배출 개구부(700) 및 접힘 가능 커버(702)를 도시한다. 도 12는 폐쇄 위치의 커버(702) 및 덮인 배출 개구부(700)를 도시한다. 도 13은 개방 위치의 커버(702) 및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배출 개구부(700)를 도시한다. 배출 개구부(700) 및 커버(702)는, 제1 폐쇄 플랩(310) 및 제2 폐쇄 플랩(320)의 곡률로 인해서 폐쇄되어 유지된다. 커버(702)는 수작업으로 개방되어야 하고, 그에 의해서 배출 개구부(700)를 통한 우발적인 유출 기회를 줄일 수 있다. 커버(702)는, 접힌 측면 플랩에 의해서 형성된 아치형 립과 함께, 컵의 밀봉을 개선한다. 배출 개구부(700)는 빨대 또는 교반기가 컵 내에 배치될 수 있게 하는 크기를 가진다. 개구부(700)는 사용자가 개구부를 통해서 음용할 수 있게 하는 충분한 크기를 가진다.
도 14는 실린더 또는 프리즘 형상을 형성하여 컨테이너를 형성하도록 중첩된 길이방향 에지부들을 도시한다. 제2 길이방향 에지부(214)는 컷 아웃(216)을 포함한다. 컷 아웃(216)은 C 형상의 컷 아웃이다. C 형상의 컷-아웃(216)은, 제1 길이방향 에지부 및 제2 길이방향 에지부가 중첩되어 실린더 또는 프리즘을 형성할 경우 측면 접힘 특징부에 배치되고, C 형상의 컷 아웃은 각각의 측면 플랩의 접힘성을 개선한다. C 형상의 컷 아웃은 측면 플랩의 견고성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측면 플랩이 더 쉽게 접히게 한다. 측면 플랩(311, 312)은 최종 사용자가 인가하는 유사한 힘으로 접힐 수 있고, 그에 따라 리드를 더 쉽게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도 12 및 도 13은 리드(300)의 폐쇄 구성을 도시한다. 리드(300)는 곡선형 상부 표면을 포함한다. 리드(300)의 상부 표면은 내측으로 곡선화되고, 즉 오목 곡률을 가진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폐쇄 플랩(310) 및 제2 폐쇄 플랩(320)의 각각은 곡선형 상부 표면을 포함한다. 제1 폐쇄 플랩(310)의 상부 표면(314) 및 제2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324)은 동일 방향으로 곡선화된다. 제1 폐쇄 플랩(310) 및 제2 폐쇄 플랩(320)은 오목 곡률을 가지고, 즉, 플랩들이 내측으로 곡선화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320)의 중간 플랩(313)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 곡률을 가진다.
컵(100)은 직선형 측면 에지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면 접힘 특징부(430, 431)가 벽(200)의 직선형 에지부를 따라서 형성된다. 제1 폐쇄 플랩(310)의 상부 표면(314) 및 제2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은 오목 곡률을 가진다. 컵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되는 직선형 에지부는 더 쉽게 접힐 수 있게 하는데, 이는 측면 플랩 상의 장력이 일 방향이기 때문이다. 제1 폐쇄 플랩(310) 및 제2 폐쇄 플랩(320)의 오목 곡률은, 직선형 에지부와 함께, 장력, 즉 내측 편향력을 생성하고, 그에 따라 폐쇄 플랩이 더 쉽게 접힐 수 있게 한다. 또한, 상부 표면의 오목 곡률은 곡선형 표면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 내에 사용자의 코가 수용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컵(100)으로부터 더 쉽게 음용할 수 있게 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컵(100)은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몇몇 장점을 제공한다. 컵(100)의 형상 및 구조는 리드를 더 쉽게 폐쇄할 수 있게 한다. 컵은, 리드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폐쇄 플랩을 포함한다. 폐쇄 플랩은 컵의 벽과 일체이고, 그에 따라 일체형 리드를 만든다. 제1 폐쇄 플랩을 2번 접고 제2 폐쇄 플랩을 1번 접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된 리드를 생성한다. 3개의 접힘 배열은 용이한 폐쇄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제1 폐쇄 플랩은, 아치형 에지부 즉, 아치형 자유 에지부를 가지는 2개의 측면 플랩을 포함한다. 측면 플랩은 내측으로 접히고, 아치형 에지부는 다수의 중첩되는 밀봉 에지부를 생성한다. 서로 상하로 배치된 측면 플랩 및 중간 플랩이 다수의 밀봉 면을 생성하고, 그에 의해서 컵으로부터의 누출 가능성을 줄인다. 제2 폐쇄 플랩이 뒤로 직각으로 접힐 수 있고, 그에 따라 컵의 내용물을 더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컵은, 2개의 대향 곡선을 가지는 2개의 접힘 특징부를 포함한다. 이는 제2 폐쇄 플랩이 180도로 접힐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제2 폐쇄 플랩이 폐쇄될 수 있게 하고 완전히 개방될 수 있게 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접힘 특징부 또는 접히는 특징부라는 용어는, 플랩이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게 하는 접힘 구조물을 정의한다. 접힘 특징부는 접힘 라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힘 특징부는 컵의 다른 플랩 또는 벽의 취약 지역 또는 다른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힘 특징부는 절반-컷팅 곡선 및/또는 라인, 천공된 곡선 및/또는 라인일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 및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특징부 중 임의의 것이 서로 조합되어 또는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형태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만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여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많은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5)

  1.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컵으로서,
    베이스;
    벽; 및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 -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상기 벽에 부착되고 상기 벽으로부터 연장됨 - ;
    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벽은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컨테이너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상기 벽에 대해서 접힐 수 있고,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접힐 수 있고,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리드를 형성하고,
    상기 리드는 폐쇄 위치로 적어도 2번 접힌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폐쇄 위치로 적어도 1번 접힌 상기 제2 폐쇄 플랩에 의해서 형성되는,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상기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상기 벽에 부착되고,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상기 제1 폐쇄 플랩에 형성된 한 쌍의 대향되는 경사 접힘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쇄 플랩이 2번 접히고 상기 제2 폐쇄 플랩이 1번 접혀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제 2 폐쇄 플랩을 폐쇄하고,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상기 제1 폐쇄 플랩을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한 쌍의 경사 접힘 특징부들을 따라서 접히며 상기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접히고,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따라서 폐쇄 위치로 접히는,
    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한 쌍의 대향되는 측면 플랩들 및 상기 측면 플랩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플랩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은 길이방향 접힘 특징부(longitudinal fold feature)를 따라서 상기 중간 플랩에 부착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은 측면 접힘 특징부에서 상기 벽에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중간 플랩은 상기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상기 벽에 부착되는,
    컵.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 플랩은 원위 패널 및 근위 패널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플랩의 상기 근위 패널은 상기 중간 플랩에 대해서 원위에 위치되고 상기 원위 패널은 중간 패널에 대해서 원위에 위치되고,
    각각의 측면 플랩 상의 상기 경사 접힘 특징부는 상기 근위 패널 및 상기 원위 패널을 분리하는,
    컵.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 플랩은 상기 측면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히고,
    상기 근위 패널은, 상기 제1 폐쇄 플랩의 2개의 접힘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원위 패널의 상단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경사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히는,
    컵.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상기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곡선형 에지부인,
    컵.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록킹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록킹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상기 제2 폐쇄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폐쇄 플랩의 상단부 상에 놓이고,
    상기 제2 폐쇄 플랩의 록킹 탭은 상기 제1 폐쇄 플랩의 록킹 개구부 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상기 제2 폐쇄 플랩을 폐쇄 위치에서 록킹하는,
    컵.
  9.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상기 제2 폐쇄 플랩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상기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상기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선택적으로, 상기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0도와 90도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 및 상기 제3 횡방향 접힘 특징부는 아치형 접힘 특징부들인,
    컵.
  11.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 접힘 특징부는 상기 벽의 직선형 에지부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1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 및 상기 제2 폐쇄 플랩의 상부 표면은 오목 곡률을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에 위치되는 상기 직선형 에지부는,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제 2 폐쇄 플랩 상의 장력이 한 방향임에 따라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제 2 폐쇄 플랩을 보다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허용하는,
    컵.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상기 제1 폐쇄 플랩에 형성된 배출 개구부를 포함하는,
    컵.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상기 공간 내에서 유지되는 액체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립을 형성하기 위해 접힐 수 있는,
    컵.
  14. 컵용 블랭크로서,
    벽;
    상기 벽에 부착되고 상기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폐쇄 플랩; 및
    상기 벽에 부착되고 상기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폐쇄 플랩;
    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상기 벽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블랭크는 하나의 피스 구성(piece construction)이고,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한 쌍의 대향 아치형 에지부들 및 상기 아치형 에지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2개의 경사 접힘 특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상기 벽에 부착되고,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상기 벽에 부착되고,
    사용할 경우에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적어도 상기 경사 접힘 특징부들을 중심으로 먼저 접히고 상기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상기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고, 그리고
    리드는, 2번 접힌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1번 접힌 상기 제2 폐쇄 플랩에 의해 형성되는,
    컵용 블랭크.
  15. 블랭크를 이용하여 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블랭크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제1 길이방향 에지부 및 제2 길이방향 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랭크는, 상기 벽에 부착되고 상기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폐쇄 플랩; 및 상기 벽에 부착되고 상기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폐쇄 플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제2 폐쇄 플랩은 상기 벽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블랭크는 하나의 피스 구성이고,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한 쌍의 대향되는 아치형 에지부들; 및 상기 아치형 에지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2개의 경사 접힘 특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상기 벽에 부착되고,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제2 횡방향 접힘 특징부에서 상기 벽에 부착되며, 상기 방법은:
    실린더 또는 프리즘 형상의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길이방향 에지부에 인접한 상기 벽의 일부를 상기 제1 길이방향 에지부에 인접한 상기 벽의 부분에 부착하여 단계 - 상기 실린더 또는 프리즘 형상의 본체는, 컨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해 그 내부에 중공형 공간(hollow space)을 형성함 - ;
    베이스를 형성하거나 베이스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폐쇄 플랩의 2개의 부분들을 내측으로(inward) 접기 위해 상기 제1 폐쇄 플랩을 적어도 2개의 경사 접힘 특징부들을 따라서 접어 리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폐쇄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도록, 상기 제1 폐쇄 플랩을 상기 제1 횡방향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는 단계;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2 폐쇄 플랩이 상기 제1 폐쇄 플랩의 상단부 상에 놓이도록 상기 제2 폐쇄 플랩을 제2 접힘 특징부를 중심으로 접는 단계 - 리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폐쇄 플랩 및 상기 제2 폐쇄 플랩이 접혀짐 - ; 및
    상기 제2 폐쇄 플랩은 록킹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폐쇄 플랩은 록킹 개구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폐쇄 플랩을 상기 제1 폐쇄 플랩에 록킹하며 상기 컵의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폐쇄된 리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록킹 탭을 상기 록킹 개구부 내로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16461A 2019-10-17 2020-10-16 컵, 컵용 블랭크, 및 컵 성형 방법(a cup, a blank for a cup and a method of forming a cup) KR202200843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K19131129 2019-10-17
HK19131129.9 2019-10-17
PCT/CN2020/121419 WO2021073599A1 (en) 2019-10-17 2020-10-16 A cup, a blank for a cup and a method of forming a c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354A true KR20220084354A (ko) 2022-06-21

Family

ID=7553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6461A KR20220084354A (ko) 2019-10-17 2020-10-16 컵, 컵용 블랭크, 및 컵 성형 방법(a cup, a blank for a cup and a method of forming a cup)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240002099A1 (ko)
EP (1) EP4045418A4 (ko)
JP (1) JP2022552688A (ko)
KR (1) KR20220084354A (ko)
CN (1) CN114728714A (ko)
AU (1) AU2020366478A1 (ko)
CA (1) CA3155057A1 (ko)
WO (1) WO2021073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750456T3 (da) 2019-06-14 2021-06-07 Sky Light As Fleksibelt element til formning af engangsbestik
FR3104142B1 (fr) * 2019-12-04 2021-12-17 Gervais Danone Sa Recipient du type sans couvercle et methode d’assemblage du recipient
GB202217290D0 (en) * 2022-11-18 2023-01-04 Choose Planet A Ltd A cup, a blank for a cup and a method of forming a cup
WO2024105241A1 (en) * 2022-11-18 2024-05-23 Choose Planet A Limited A cup and a blank for a cup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484A (en) * 1996-09-11 1998-10-06 Wy Industries, Inc. Food container
JP4135336B2 (ja) * 2001-05-23 2008-08-20 凸版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紙容器
BR0104815B1 (pt) * 2001-08-21 2012-02-07 aperfeiçoamento em embalagem descartável para alimentos diversos.
GB0123758D0 (en) * 2001-10-03 2001-11-21 Mcdonald S Restaurants Ltd Containers
KR20050043450A (ko) * 2003-11-06 2005-05-11 철 양 덮개가 구비된 종이용기
WO2009145795A1 (en) * 2008-04-18 2009-12-03 Shamrock Cups, Llc Folding closure containers
US7726551B2 (en) * 2008-04-18 2010-06-01 Shamrock Cups, Llc Container with folding lid
US9751655B2 (en) * 2009-06-12 2017-09-05 Compleat Llc Vessel with folded dam
KR101380304B1 (ko) * 2011-03-11 2014-04-01 배수원 다목적 컵
CN202124155U (zh) * 2011-06-24 2012-01-25 谢爱惠 折叠成型的一次性纸杯
US20140110466A1 (en) * 2012-10-18 2014-04-24 Gamidea, Llc Container with integrated lid
DE202014102132U1 (de) * 2014-05-07 2015-08-10 A&R Carton Gmbh Faltschachtel für Süßwaren, Snacks, Getränke oder ähnliches
CN204223351U (zh) * 2014-10-16 2015-03-25 胜腾实业股份有限公司 杯盒结构
CN204223350U (zh) * 2014-10-16 2015-03-25 胜腾实业股份有限公司 杯盒
CN204250529U (zh) * 2014-10-16 2015-04-08 胜腾实业股份有限公司 盒杯
JP7022996B2 (ja) * 2016-05-31 2022-02-21 ハンパック リミテッド 漏出を防ぐ閉鎖手段を有する容器
EP3293126B1 (en) * 2016-09-09 2021-09-01 Metsä Board Corporation Paper cup, a blank for a paper cup, and use of a paper cup
CN106240985A (zh) * 2016-09-13 2016-12-21 上海芬林纸板咨询有限公司 具有集成盖的纸杯及其折叠方法
US20190077536A1 (en) * 2017-09-12 2019-03-14 Kin Shing Chan Spill resistant disposable cup
CN208769374U (zh) * 2017-09-25 2019-04-23 莫汉 一种一体杯子
US20200102111A1 (en) * 2018-09-28 2020-04-02 Robin Thurgood Recyclable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55057A1 (en) 2021-04-22
JP2022552688A (ja) 2022-12-19
US20240076093A1 (en) 2024-03-07
EP4045418A1 (en) 2022-08-24
EP4045418A4 (en) 2023-11-22
CN114728714A (zh) 2022-07-08
AU2020366478A1 (en) 2022-05-26
US20240002099A1 (en) 2024-01-04
WO2021073599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2705C (en) Paper cup, a blank for a paper cup, and use of a paper cup
KR20220084354A (ko) 컵, 컵용 블랭크, 및 컵 성형 방법(a cup, a blank for a cup and a method of forming a cup)
EP2361847B1 (en)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an inner bag
US10189623B2 (en) Container assemblies for storing, shipping, and/or dispensing fluids, and related methods
US9415997B2 (en) Bottle in box container
CA2658284C (en) Gable top container with perforated opening arrangement
US11230403B2 (en) Carrier and blank therefor
US20210214141A1 (en) Bag-in-Box Packaging
AU2012211504A1 (en)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an inner bag
US20210094723A1 (en) A pack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