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462A - 뚜껑 - Google Patents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462A
KR20220123462A KR1020227027255A KR20227027255A KR20220123462A KR 20220123462 A KR20220123462 A KR 20220123462A KR 1020227027255 A KR1020227027255 A KR 1020227027255A KR 20227027255 A KR20227027255 A KR 20227027255A KR 20220123462 A KR20220123462 A KR 20220123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ids
shield
flap
beverage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 루
Original Assignee
한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한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2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baffles, e.g. for controlling th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083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68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296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일회용 드링킹 컵을 위한 일회용 뚜껑, 또는 재사용가능한 드링킹 컵을 위한, 뜨거운 및/또는 차가운 음료들, 예컨대, 커피, 차, 소다, 맥주 등을 위한 재사용가능한 뚜껑과 같은(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은), 음료 용기를 위한 튐 방지 시프-쓰로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예들에서, 뚜껑은 외부 측면, 내부 측면, 및 림; 뚜껑에 형성되는 드링킹 애퍼처(7); 및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한 유동 편향기 배열체(9)를 포함하며, 뚜껑 또는 뚜껑의 부품들이 시트 재료로 형성된다. 다른 예들에서, 뚜껑은 외부 측면, 내부 측면, 및 림을 포함하고; 뚜껑에 형성되는 드링킹 애퍼처; 및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한 유동 편향기 배열체를 포함하며, 뚜껑은, 뚜껑에 형성되고 그리고 초기에 드링킹 애퍼처를 차단하는 제1 플랩(2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뚜껑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일회용 드링킹 컵을 위한 일회용 뚜껑, 또는 재사용가능한 드링킹 컵을 위한, 뜨거운 및/또는 차가운 음료들, 예컨대, 커피, 차, 소다, 맥주 등을 위한 재사용가능한 뚜껑과 같은,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은) 음료 용기를 위한 튐 방지 시프-쓰로우 뚜껑(anti-splash sip-through lid)에 관한 것이다.
단일-사용 일회용 그리고 재사용가능한 음료 컵들을 위한 시프-쓰로우 일회용 뚜껑들은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뚜껑들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몰딩된다. 플라스틱 일회용 뚜껑들은 환경 친화적이지 않다. 종이 또는 카드보드 뚜껑들은, 생분해가능한 그리고 재활용가능한 그리고, 이에 따라 플라스틱 뚜껑들보다 더 환경 친화적인 재생가능한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시트 페이퍼보드로부터 제조되는 종이 뚜껑들은 전형적으로, 단일-사용 수프 용기들 상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하지만, 드링킹 컵들 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최근에, 기본적인 기능성 및 특징들을 갖는 종이 뚜껑들은, 드링킹 컵들 상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현재의 종이 뚜껑들 상의 드링킹 애퍼처들은 보통, 박리되어야 하는 하나의 필름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미리 제조된 애퍼처들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뚜껑 표면은, 애퍼처가 세레이션(serration)을 당기거나 미는 것으로써 형성될 수 있도록 의도되는 애퍼처의 형상에 톱니형 섹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톱니형 섹션은, 사용하지 않을 때 컵을 재밀봉하기 위해 폐쇄 포지션으로 다시 폴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영구적으로 개방된 애퍼처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일단 개방된다면, 이러한 배열체들은, 액체가 운송 동안 그러나 약간 방해를 받는 경우, 액체가 애퍼처를 향하여 위로 돌진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 없기 때문에, 쏟음들(spills) 및 튐들(splashes)에 취약하다. 예컨대, US 2010/0163568 A1(Mucci 등)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일부 플라스틱 일회용 뚜껑들에는, 쏟음들 또는 튐들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밸브(valve) 또는 스파우트(spout)가 설비된다. 이러한 밸브들은 플라스틱 뚜껑과 일체로 용이하게 몰딩될 수 있다. 그러나, 종이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이러한 밸브들은 종이 뚜껑들 내에 포함될 수 없다.
WO2017/051162는 몰딩된 플라스틱 또는 유사한 몰딩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는 복잡한 뚜껑을 개시하며, 뚜껑은 용기에 뚜껑을 연결시키기 위한 플랜지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드링킹 애퍼처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링킹 애퍼처의 주변부에 부착되는 배플(baffle)을 갖는다.
US2014/299614는, 드링킹 베슬에 맞물림하기 위한 주변 림, 주변 림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스파우트 전방 벽 및 전방 벽에 연결되는 스파우트 최상부 벽을 가지는 드링킹 스파우트, 및 스파우트 최상부 벽 내에 형성되는 분배 웰(dispensing well)을 가지는 복잡한 그리고 복합의 몰딩된 뚜껑을 개시하며, 분배 웰은 전방 벽은 저부 벽을 갖는다. 스파우트 및 분배 웰은 베슬 내에 보유되는 음료의 소비를 허용하기 위해 구성된다. 분배 웰 저부 벽은 드링킹 베슬에서의 음료를 위한 직접적인 가시선(line of sight) 경로들을 차단하도록 폐쇄된다. 분배 웰의 전방 벽에서의 개구는, 음료가 상기 분배 웰을 통해 베슬의 내부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분배 웰의 전방 벽의 개구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배플은 튐 편향기로서의 역할을 하고 그리고 드링킹 베슬의 내부와 개구 사이에 채널 경로를 제공한다.
US 2016/0198876은 유사한 복잡하고 그리고 복합의 몰딩된 뚜껑을 개시하지만, 여기서 상승된 드링킹 스파우트는 주변 림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US2016/0198875는 또한, 유사한 복잡하고 그리고 복합의 몰딩된 뚜껑을 개시하지만, 여기서 드링킹 스파우트는 뚜껑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며, 그리고 분배 웰은 드링킹 스파우트 내에 형성되며, 튐 배리어는 분배 웰의 저부에 제공된다. 음료가 용기의 내부로부터 분배 웰 내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는 상기 분배 웰의 측면에 형성된다. 복수의 배플들은 드링킹 스파우트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배플은 튐 배리어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된다. 뚜껑은, 음료가 분배 웰 내로 드링킹 베슬의 내부로부터 수평으로 유동할 수 있는 상기 뚜껑 인서트 아래에 채널을 제공하는 드링킹 스파우트의 내부 내로 고정되는 뚜껑 인서트를 더 포함한다.
유사한 복잡한 그리고 복합의 몰딩된 뚜껑들의 관련된 변경예들은 US2010/071790에 개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뚜껑들과 비교하여, 튐들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그리고 쏟음들의 규모, 강도 또는 정도를 감소시키고, 사용이 용이하고 그리고 제조하기에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그리고 값싼 음료 용기를 위한 개선된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뚜껑들은 또한, 컵 및 뚜껑이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의해 혼합된 재료들을 회피하고, 그리고 컵 및 뚜껑 조합의 사용 후에 단일의 재활용 또는 다른 친환경적인 폐기물 폐기 및/또는 회수 채널 내로의 용이한 폐기를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이 제공되며, 이 뚜껑은,
외부 측면, 내부 측면, 및 림;
뚜껑에 형성되는 드링킹 애퍼처; 및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한 유동 편향기 배열체를 포함하며, 뚜껑, 또는 뚜껑의 개별 부품들은 시트 재료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시트 재료는 접힘가능한 시트 재료이다.
선택적으로, 시트 재료는 페이퍼보드이다.
선택적으로, 뚜껑은 제지 펄프, 페이퍼보드(paperboard), 카드보드, 식물성 전분 또는 다른 적합한 식물-기반 재료와 같은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재활용가능한, 생분해가능한 또는 퇴비화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음료 용기가 일반적으로 직립 배향에 있을 때, 음료 용기에 보유된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직접적으로 위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액체가 측방향으로 드링킹 애퍼처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뚜껑은, 뚜껑에 형성되고 그리고 초기에 드링킹 애퍼처를 차단하는 제1 플랩을 포함한다. 즉, 제1 플랩은 드링킹 애퍼처를 형성하도록 절단되는 뚜껑의 재료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예들에서, 애퍼처는, 플랩을 달리 형성할 것인 뚜껑 재료의 일부분의 완전한 제거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적용은, 플라스틱 및 다른 재료들로 제조되는 뚜껑들을 포함하는 종이 뚜껑들을 넘어서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대안적으로, 예컨대, 뚜껑은 재활용가능한 PET 플라스틱 컵들 또는 종이 컵들과의 사용을 위해 PET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이 제공되며, 이 뚜껑은:
외부 측면, 내부 측면, 및 림;
뚜껑에 형성되는 드링킹 애퍼처; 및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한 유동 편향기 배열체를 포함하며,
뚜껑은, 뚜껑에 형성되고 그리고 초기에 드링킹 애퍼처를 차단하는 제1 플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플랩은 드링킹 애퍼처를 형성하도록 절단되는 뚜껑의 재료에 의해 규정된다.
선택적으로, 제2 양태의 뚜껑은 제지 펄프, 페이퍼보드, 카드보드, 식물성 전분 또는 다른 적합한 식물-기반 재료와 같은 재활용가능한, 생분해가능한 또는 퇴비화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제2 양태의 뚜껑은 재활용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재활용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이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이 제공되며, 이 뚜껑은,
외부 측면, 내부 측면, 및 림;
뚜껑에 형성되는 드링킹 애퍼처; 및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한 뚜껑의 내부 측면에서의 유동 편향기 배열체를 포함하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음료 용기의 벽에 대해 꼭맞게 끼워맞춤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그리고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배열체는 뚜껑/음료 용기 조립체 상에 추가의 강성을 부여하고, 그리고 음료 용기를 취급하기에 보다 안전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적합한 쉴드 패널은, 뚜껑이 음료 용기 상에 배치될 때, 유동 편향기 배열체가 음료 용기 내부에 위치되는 레벨에서 음료 용기의 벽의 평면에서의 형상에 밀접하게 일치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또한, 용기의 림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용기 림이 원형인 타원형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뚜껑이 음료 용기를 폐쇄할 때,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음료 용기의 재료가 유동 편향기 배열체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경우에) 음료 용기의 벽이 변형하는 것 그리고 유동 편향기 배열체의 형상을 취하여, 이에 의해 뚜껑/음료 용기 조립체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유발시킨다. 뚜껑/음료 용기 조립체 상에 강성을 부여하는 것과 동시에, 유동 편향기 배열체의 꼭맞는 끼워맞춤은, 또한 누출들을 방지하면서, 뚜껑이 음료 용기 상에 단단하게 유지되도록 뚜껑을 음료 용기에 밀봉식으로 고정시킨다.
기존의 뚜껑/컵 조합들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의 이점들은, 조합된 유닛이 보다 유선형이고; 유지하기에 보다 견고하고 그리고 단단하고; 뚜껑을 컵에 끼워맞춤하기에 보다 용이하고 그리고 보다 단단하고; 그리고 뚜껑은 컵에서 튀어나오거나 우발적으로 컵에서 떨어지는 것에 덜 취약한 것을 포함한다.
하기의 선택적인 특징들 및 가능한 배열체들이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 양태들 각각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에 따라, 용어 '하나의 배열체에서'는 본 발명의 임의의 일 양태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지만, 임의의 또는 모든 양태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드링킹 애퍼처는 둘러싸는 뚜껑 표면과 평면으로 놓인다.
선택적으로,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드링킹 애퍼처로부터 분리되며, 즉, 유동 편향기는 드링킹 애퍼처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림은 환형, 타원 형상일 수 있거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뚜껑은 용기에 밀봉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수정예들에서, 뚜껑은 용기의 외부 벽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수정예들에서, 뚜껑은 용기의 내부 벽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의 수정예들에서, 뚜껑은 용기의 최상부 개구에서 림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배열체에서,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바람직하게는, 음료 용기가 일반적으로 직립 배향에 있을 때, 음료 용기에 보유된 액체, 특히 튀기 쉬운 물 같은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직접적으로 위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에 도달할 때까지, 액체가 많은 그의 에너지/모멘텀을 잃어, 이에 의해 용기로부터 마시거나 부을 때 예상되지 않은 쏟음들 또는 튐들의 가능성 및 강도를 감소시키도록,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에 측방향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배열체에서,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튀는 액체를 편향시키기 위해 또는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 내로 직접적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링킹 애퍼처의 전방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바람직하게는, 뚜껑이 사용중일 때, 뚜껑의 내부 측면에 대해, 즉, 음료 용기의 벽을 향해 측방향으로 대면하는 유동 개구를 뚜껑의 내부 측면과 함께 규정하도록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배열된다. 유동 개구의 평면은 뚜껑의 내부 측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각도를 갖게 배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 음료 용기가 일반적으로 직립 배향에 있을 때,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튀는 것들이 드링킹 애퍼처 내로 직접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액체를 조금씩 마시기 위해 음료 용기를 기울일 때, 액체는 우선적으로 유동 편향기와 마주하고, 그리고 그 후 유동 배향기 배열체 및 뚜껑의 내부 측면에 의해 뚜껑 아래에 규정되는 유동 개구를 통해 드링킹 애퍼처에 접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체는, 유동 편향기 배열체와 우선적으로 마주하여, 이에 의해 조금씩 마시는 동안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매끄러운 유동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그의 에너지/모멘텀을 잃는다. 용기가 넘어진다면, 쏟음의 속도 및 강도 그리고 튀는 정도가 또한 제한될 수 있다.
일 배열체에서, 뚜껑은, 뚜껑에 형성되고 그리고 초기에 드링킹 애퍼처를 차단하는 제1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배열체에서, 제1 플랩은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플랩은 바람직하게는 힌지(hinge)에 대해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폐쇄 포지션에서, 제1 플랩은 드링킹 애퍼처를 가로질러 위치결정되며, 그리고 개방 포지션에서, 플랩은 드링킹 애퍼처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소정 각도로 위치결정된다. 제1 플랩의 하나의 개방 포지션은, 제1 플랩을 뚜껑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뚜껑의 내부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아래로 누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1 플랩의 다른 개방 포지션은, 제1 플랩을 뚜껑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뚜껑의 외부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로 당김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적합한 파지 배열체, 예컨대, 적합한 재료, 예컨대, 종이 또는 전분으로 제조되는 당김 탭은 제1 플랩을 위로 당기기 위해 제1 플랩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플랩은, 예를 들어, 절단되지 않은 재료가 플랩이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힌지를 형성하도록, 뚜껑에 부착된 플랩 형상의 일부분은 남겨 두면서, 뚜껑에서 제1 플랩의 형상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제1 플랩은 (1) 제1 플랩이 상승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그리고 (2) 제1 플랩이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될 필요 없이 마시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1 플랩에 규정되는 컷아웃 또는 애퍼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열체에서, 제1 플랩은 여전히 향상된 유동을 위한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대안적인 배열체에서, 뚜껑은, 예를 들어, 뚜껑 재료의 천공들 또는 시닝(thinning)에 의해 제공되는 취약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취약 영역은, 개방될 때까지, 뚜껑이 플랩과 함께 완전히 밀봉된 폐쇄부를 제공하면서, 플랩을 규정하고 그리고 드링킹 애퍼처를 개방하기 위해 그리고 용기로부터 마시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플랩이 찢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일 배열체에서,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제1 플랩 아래에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또는 제1 플랩 위에 있는 뚜껑의 외부 측면 상에 제공되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패널은 패널에 형성되는 제2 플랩을 가지며, 그리고 제2 플랩은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폐쇄 포지션에서, 제2 플랩은 드링킹 애퍼처를 가로질러 배향되며, 그리고 개방 포지션에서, 제2 플랩은 드링킹 애퍼처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소정 각도로 위치결정된다. 제1 및 제2 플랩들은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플랩들 중 상부 플랩이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눌려질 때, 제1 및 제2 플랩들 중 하부 플랩이 또한 상부 플랩에 의해 개방 포지션으로 눌려지도록 중첩된다. 제1 및 제2 플랩들 양자 모두가 개방 포지션으로 아래로 눌려질 때, 제1 및 제2 플랩들은 맞물리며 그리고 이에 의해, 한편으로,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한 쉴드를 형성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뚜껑의 내부 측면과 함께, 유동 개구를 규정한다. 각각의 제1 및 제2 플랩들은, 제1 및 제2 플랩들이 개방 포지션으로 눌려질 때 맞물림하도록 그리고 제1 및 제2 플랩들이 폐쇄 포지션으로 다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예를 들어, 치형부들 또는 적합하게 형성되는 협동 돌출부들과 같은 협동 맞물림 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마시는 동안에, 음료 용기가 기울여질 때, 액체는 음료 용기의 벽과 제1 및 제2 플랩들에 의해 형성되는 쉴드 사이에서 유동 개구 내로 그리고 드링킹 애퍼처를 향해 유동하고, 그리고 음료 용기의 벽에 의해 애퍼처 내로 안내된다. 음료 용기가 직립 포지션에 있을 때, 쉴드는 튀는 것들이 드링킹 애퍼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배열체에서,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형성되는 적합한 형상 및 크기의 영구 쉴드를 포함한다. 단지 예를 들어, 영구 쉴드는 뚜껑의 내부 측면에 부착되는 세장형 트로프로서 제공될 수 있다. 트로프는,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하고 그리고 사용시에 뚜껑의 내부 측면과 함께 유동 개구를 규정하도록 용기의 벽을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트로프는 균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트로프는 개방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뚜껑의 내부 측면을 향해 수렴하는 벽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랩은 이러한 배열체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플랩은 바깥쪽으로 또는 아래로 개방될 수 있다.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아래로 눌려질 때, 제1 플랩은 쉴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마시는 동안, 음료 용기가 기울여질 때, 액체는 음료 용기의 벽과 영구 쉴드 사이에서 유동 개구 내로 그리고 드링킹 애퍼처를 향해 유동한다. 음료 용기가 직립 포지션에 있을 때, 영구 쉴드는, 튀는 것들이 드링킹 애퍼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배열체에서,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드링킹 애퍼처를 가로질러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형성되는 적합한 형상 및 크기의 팝업 쉴드(pop up shield)를 포함한다. 팝업 쉴드는 사용 전에 폴드될 수 있다. 제1 플랩은 이러한 배열체에 제공될 수 있다. 팝업 쉴드는, 제1 플랩을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아래로 누르고 그리고 이에 의해 팝업 쉴드를 팽창시킴으로써 펼쳐질 수 있다.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아래로 눌려질 때, 제1 플랩은 쉴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팽창된 상태에서, 팝업 쉴드는 전술된 영구 쉴드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시는 동안, 음료 용기가 기울여질 때, 액체는 음료 용기의 벽과 팝업 쉴드 사이에서 유동 개구 내로 그리고 드링킹 애퍼처를 향해 유동한다. 음료 용기가 직립 포지션에 있을 때, 팝업 쉴드는, 튀는 것들이 드링킹 애퍼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의 배열체에서,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액체 투과성 재료로 제조되고 그리고 드링킹 애퍼처를 가로질러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배열되는 필터 쉴드를 포함하며, 액체 투과성 재료는, 튀는 것들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기에 충분히 미세하지만, 마시는 동안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공극들(pores)을 포함한다. 액체 투과성 재료는,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지만, 액체에 분산될 수 있는 고체 입자들이 액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지 그리고 어떠한 제한 없이, 액체 투과성 재료는, 하나의 메쉬(mesh) 또는 직물과 같은 개방 텍스처(open texture)의 직조(woven), 니트(knit) 또는 매듭형(knotted) 재료, 예컨대, 셀룰로오스 또는 화학 섬유들로 제조되는, 여과지(filter paper) 또는 부직포와 같은 부직 재료 또는, 예를 들어, 관통된 필름, 부직, 예컨대, 압출된 메쉬와 같은 다공성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쉴드는 바람직하게는, 드링킹 애퍼처로부터 아래로, 즉, 뚜껑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격되는 부분 및 필터 쉴드가 바람직하게는, 드링킹 애퍼처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는 뚜껑의 내부 측면에 부착되는 주변 부분들을 갖는다. 이러한 배열체는, 필터 쉴드를 통해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터 쉴드와 액체 사이에 큰 접촉 영역을 제공한다. 일 배열체에서, 필터 쉴드는 그의 전체 주변부를 따라 뚜껑의 내부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배열체에서, 필터 쉴드는, 뚜껑의 내부 측면에 부착되지 않고 그리고 뚜껑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아래로 이격될 수 있는 에지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에지 부분들은, 뚜껑이 음료 용기의 개방 최상부 상에 배치될 때 음료 용기의 내벽들에 접할 수 있거나 충돌할 수 있다.
필터 쉴드는, 필터 쉴드가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수용될 수 있고 그리고 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규모가 줄어들더라도, 뚜껑의 형상을 반복하는 (평면에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필터 쉴드는 트로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적합한 형상들이 고려되고 그리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필터 쉴드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뚜껑의 사용 동안, 특히 필터 쉴드가 음료 용기 내부에서 이동하는 액체의 힘들을 겪을 때, 그의 형상을 유지하기에 충분히 강성일 수 있다. 용기 내로 아래로 눌려지는 경우, 용기가 마시거나 붓기 위해 기울여진 포지션에 있을 때, 용기가 용기에 대해 이동하는 액체의 힘을 겪는 경우, 제1 플랩은 필터 쉴드의 강성, 형상, 및 포지션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필터 쉴드의 필터 재료의 하나의 기능은, 튐들을 최소화하도록 음료 용기 내부에서 액체의 에너지/모멘텀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는 유리하게는,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에 도달할 때까지, 많은 그의 에너지/모멘텀을 잃어, 이에 의해 쏟음들 또는 튐들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드킹킹 애퍼처로부터 아래로 이격되는 필터 쉴드의 부분의 제공으로 인해 달성된다. 필터 쉴드의 재료의 다른 기능은 잎차(leaf tea) 또는 분쇄 커피와 같은 입자들을 보유하는 액체들과의 사용을 위한 것이다. 필터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입자들이 필터 쉴드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미세하다.
뚜껑에는 제1 플랩을 개방 및/또는 폐쇄 포지션으로 유지하는 것을 돕는 리테이닝 배열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리테이닝 배열체는, 제1 플랩 상에 및/또는 뚜껑 또는 유동 편향기 배열체 상에 하나 이상의 리테이닝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랩 상의 하나 이상의 리테이닝 부재들은, 뚜껑 또는 유동 편향기 배열체에 또는 뚜껑 또는 유동 편향기 배열체 상의 대응하는 리테이닝 부재들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플랩에서의 하나 이상의 리테이닝 부재들은, 제1 플랩이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유동 편향 배열체 또는 유동 편향 배열체 상의 대응하는 리테이닝 부재들에 마찰식으로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 바람직하게는 탄성 변형가능한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은, 제1 플랩이 폐쇄 포지션으로 이동될 때 유동 편향 배열체 또는 대응하는 리테이닝 부재들로부터 맞물림해제된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은 제1 플랩과 통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은, 바람직하게는 제1 플랩의 반대편에 있는 힌지의 측면 상에서, 뚜껑 재료에 돌출부의 형상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어서, 돌출부는 제1 플랩의 일부를 형성한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은 제1 플랩의 폐쇄 포지션에서 뚜껑에 맞물림으로써 제1 플랩을 폐쇄 포지션으로 유지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별도의 유지 부분들은, 예를 들어, 제1 플랩을 폐쇄 포지션으로 유지하는 것을 돕도록 대응 부분에 맞물림하기 위해, 유지 부분이 제1 플랩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뚜껑에서 유지 부분의 형상을 절취함으로써 제1 플랩에 제공될 수 있다. 뚜껑 및 제1 플랩에는, 제1 플랩을 폐쇄 포지션으로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협동하는 탭 및 슬롯 쌍이 제공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윈도우를 규정한다. 윈도우는 예를 들어, 당 또는 다른 감미료와 같은 성분들을 음료에 부가하기 위해; 음료 용기의 내용물들을 교반하기 위해 또는 빨대를 삽입하기 위해 특히 유용하다. 윈도우는 바람직하게는, 음료 용기가 마시기 위해 기울여질 때, 액체가 유동 개구를 통해 드링킹 애퍼처에 도달하고 그리고 윈도우를 통해 유동하지 않도록 유동 개구로부터 충분히 이격되게 (예컨대, 뚜껑에 대해 중심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플랩은, 일반적으로, 제1 플랩이 튀는 것들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윈도우을 커버한다. 윈도우는 제1 플랩을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근될 수 있다. 윈도우는 전술된 바와 같은 영구 쉴드 또는 필터 쉴드를 포함하는 배열체들에 대해 특히 적합하다. 윈도우는 또한, 제1 플랩이 전술된 바와 같이 컷아웃(cut out) 또는 애퍼처를 가지는 배열체에서 유용하다.
선택적으로, 뚜껑은, 제1 플랩이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제1 플랩을 유동 편향기 배열체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유지하도록 그리고 제1 플랩이 드링크 애퍼처 아래로 눌리는 것을 유지하기 위해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 요소는, 전술된 바와 같은 영구 쉴드 또는 필터 쉴드를 포함하는 배열체들에 대해 특히 적합하다. 스페이서 요소는 당업자에게 명백한 임의의 적합한 형태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요소는 유동 편향기 배열체의 기립 부분 또는 제1 플랩의 하부 측면 상의 일부분일 수 있다. 윈도우를 포함하는 변형예에서, 스페이서 요소는, 윈도우를 형성하기 전에 제자리에 있었던, 유동 편향기 배열체 재료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변형예에서, 전술된 영구 쉴드는 뚜껑의 내부 측면에 제공되는 적합한 형상 및 크기의 쉴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뚜껑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쉴드 패널은 뚜껑의 내부 측면과 함께 유동 개구를 규정하도록 드링킹 애퍼처의 근처에 하나 이상의 컷아웃들을 가질 수 있다. 마시는 동안, 음료 용기가 기울여질 때, 액체는 음료 용기의 벽과 쉴드 패널 사이에서 유동 개구 내로 그리고 드링킹 애퍼처를 향해 유동한다. 음료 용기가 직립 포지션에 있을 때, 쉴드 패널은, 튀는 것들이 드링킹 애퍼처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쉴드 패널은 음료 용기의 벽에 꼭맞게 끼워맞춤하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고 그리고 성형될 수 있다. 이는, 뚜껑/음료 용기 조립체 상에 추가의 강성을 부여하고, 그리고 음료 용기를 보다 안전하게 취급하게 한다. 예를 들어, 쉴드 패널은, 뚜껑이 음료 용기 상에 배치될 때, 쉴드 패널은 음료 용기 내부에 위치되는 레벨에서 음료 용기의 벽의 평면에서의 형상에 밀접하게 일치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쉴드 패널은 또한, 용기의 림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쉴드 패널은 용기 림이 원형인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뚜껑이 음료 용기를 폐쇄할 때, 쉴드 패널은, (음료 용기의 재료가 쉴드 패널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경우에) 음료 용기의 벽이 변형하는 것 그리고 쉴드 패널의 형상을 취하여, 이에 의해 뚜껑/음료 용기 조립체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유발시킨다. 뚜껑/음료 용기 조립체 상에 강성을 부여하는 것과 동시에, 쉴드 패널의 꼭맞는 끼워맞춤은, 또한 누출들을 방지하면서, 뚜껑이 음료 용기 상에 단단하게 유지되도록 뚜껑을 음료 용기에 밀봉식으로 고정시킨다.
쉴드 패널은 커넥터 요소들을 통해 뚜껑의 내부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들은 또한, 쉴드 패널을 뚜껑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들로서 작용한다. 커넥터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수정예에서, 커넥터 요소들은, 각각의 뚜껑 및 쉴드 패널에 부착되거나 구축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들 및 각각의 뚜껑 및 쉴드 패널의 형성하는 일부를 포함한다. 조립시에, 뚜껑의 리브들 및 쉴드 패널은 뚜껑 및 쉴드 패널을 커플링하도록 서로 맞물림한다. 일 변형예에서, 뚜껑 및 쉴드 패널은 하나의 평면 시트 재료, 예컨대, 카드 종이로 각각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리브들을 형성하기 위해 미리 규정된 선들을 따라 폴드될 수 있다. 대안적인 변형예에서, 커넥터 요소들은 뚜껑 및 쉴드 패널들로부터 별도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용접, 접착결합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에 의해 뚜껑 및 쉴드 패널들에 고정될 수 있다. 적합한 협동 슬롯들은, 부착된 리브들 또는 뚜껑의 일부 및 부착된 리브들 또는 쉴드 패널의 일부가 조립시에 슬롯들을 통해 서로 교차함으로써 맞물릴 수 있도록, 리브들에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수정예에서, 커넥터 요소들은 팽창된 상태와 접혀진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팽창된 상태에서, 커넥터들은 뚜껑 및 쉴드 패널들의 평면들로부터 (예컨대, 수직으로 또는 거의 수직으로) 돌출할 수 있고, 그리고 뚜껑 및 쉴드 패널을 서로 이격되는 고정 포지션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액체 편향 및 뚜껑을 밀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쉴드 및 커넥터 요소들은 음료 용기를 단단히 폐쇄하기 위해 조합하여 또는 개별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접혀진 상태에서, 커넥터 요소들은, (예컨대, 뚜껑 및 쉴드 패널들에 평행하게 또는 거의 평행하게) 뚜껑 및 쉴드 패널들을 향해 폴드되거나 접혀, 뚜껑과 쉴드 패널 사이에 공간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도록 뚜껑 및 쉴드 패널들이 함께 근접하게 이동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배열은, 뚜껑들을 저장하는데 필요한 저장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복수의 뚜껑들이 적층되고 그리고 저장되는 것을 허용한다. 커넥터 요소들은 각각의 뚜껑 및 쉴드 패널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제1 리브 및 제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뚜껑 및 쉴드 패널 중 하나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그리고 뚜껑 및 쉴드 패널 중 다른 하나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제2 리브는 적합한 체결 배열체에 의해 뚜껑 및 쉴드 패널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체결 배열체는, 제1 및 제2 리브들이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 배열체는, 예를 들어, 제2 리브 상에 제공되는 탭 및 뚜껑 또는 쉴드 패널에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리브는 뚜껑 또는 쉴드 패널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제1 및 제2 리브들의 팽창된 상태에서, 탭은 슬롯에 맞물리며, 그리고 제2 리브는, 제2 리브가 부착되는 뚜껑 또는 쉴드 패널에 대해 관절결합하는 것이 방지된다. 적합한 협동 컷아웃들은, 제1 및 제2 리브들이 조립시에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그리고 제1 및 제2 리브들의 서로에 대한 움직임 및 팽창된 상태와 접힌 상태 사이의 움직임 동안의 뚜껑 및 쉴드 패널에 대한 관절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 및 제2 리브들에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배열체에서, 제1 리브는 한 쌍의 제1 접힘 선들을 가지며, 하나의 접힘 선은 뚜껑에 근접하고, 다른 접힘 선은 쉴드 패널에 근접하며, 그리고 제2 리브는, 제2 리브가 부착되는 뚜껑 또는 쉴드 패널에 근접한 제2 접힘 선을 갖는다. 제1 및 제2 리브들이, 예를 들어, 뚜껑 및 쉴드 패널을 서로를 향해 누르도록 사용자가 뚜껑 및 쉴드 패널에 외부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팽창된 상태로부터 접혀진 상태로 이동될 때, 체결 배열체는 커플링해제되며 (또는, 특정 배열체에서, 제2 리브의 탭이 슬롯으로부터 맞물림해제되며) 그리고 제2 리브는, 제2 리브가 체결 배열체를 통해 체결되는 뚜껑 또는 쉴드 패널로부터 맞물림해제된다. 동시에, 제1 리브는 뚜껑 및 쉴드 패널에 대하여 제1 접힘 선들에 대해 관절결합하도록 허용되며, 그리고 제2 리브는, 제2 리브가 부착되는 뚜껑 또는 쉴드 패널에 대하여 제2 접힘 선에 대해 관절결합하도록 허용된다. 제1 리브 및 제2 리브 둘 모두가 이들의 개개의 제1 및 제2 접힘 선들에 대해 관절결합함에 따라, 뚜껑 및 쉴드 패널은 함께 근접하게 이동하고, 그리고 뚜껑과 쉴드 패널 사이의 공간이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제1 및 제2 리브들을 팽창된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뚜껑 및 쉴드 패널을 서로 펼치는 것에 관해 뚜껑 및 쉴드 패널에 힘을 적용하며 그리고 전술된 단계들은 역순으로 반복된다. 팽창된 상태로의 제2 리브의 복귀의 종료에서, 체결 배열체는 맞물리며 (또는, 특정한 배열체에서, 제2 리브의 탭은 슬롯에 맞물림), 그리고 제2 리브는, 제2 리브 및 전체 조립체를 팽창된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제2 리브가 체결 배열체를 통해 체결되는 뚜껑 또는 쉴드 패널에 맞물린다. 대안적인 변형예에서, 체결 배열체는, 하나의 리브와 뚜껑 또는 쉴드 패널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보다는 제1 리브와 제2 리브 사이에 인터로킹 기구(inter-locking mechanism)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들(또는 리브들)은 또한, 뚜껑/음료 용기 조립체 상에 강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뚜껑/쉴드 패널 조립체에 구조적 지지 및 강성을 제공한다. 커넥터 요소들은 (음료 용기의 재료가 커넥터 요소들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경우에) 음료 용기의 벽에 대해 꼭맞게 끼워맞춤하고 그리고/또는 변형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뚜껑/음료 용기 조립체의 강성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뚜껑을 음료 용기에 체결하는 쉴드 패널 및/또는 커넥터 요소들의 능력으로 인해, 뚜껑 표면 및 드링킹 애퍼처는, 뚜껑이 다른 배열체들에서와 같이 음료 용기의 림 아래로 오목하게 되거나 위로 상승되는 것보다, 뚜껑이 음료 용기를 폐쇄할 때, 음료 용기의 림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일 수 있다. 이러한 배열체에서, 마시는 동안, 음료 용기의 약간의 기울임이 요구된다. 더욱이, 이러한 뚜껑은, 음료 용기의 최상부 개구 위에 또는 내로 끼워맞춤하기 위해 직립형 또는 의존형 스커트들을 가지는 림으로 제조되는 뚜껑보다 제조하기에 상당히 더 용이하다. 더욱이, 이러한 뚜껑은 전시, 운반 또는 다른 목적들을 위해 서로 위로의 용기들의 보다 용이한 적층을 용이하게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 형상에 제한되지 않지만, 뚜껑 또는 커넥터 요소들 또는 쉴드 패널은, 용기의 림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찰/압력을 생성하고 그리고 이에 의해 용기와 뚜껑 사이에 접촉 및 그의 지지 구조물을 보다 강하게 만들기 위해, 용기가 원형인 경우에, 뚜껑은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컵이다.
본 발명의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예컨대, 사용자의 손에서 또는 적합한 홀더(holder)에서 대체로 직립인 포지션에서 용기의 수송 동안 쏟음들을 최소화하거나 튐들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용기가 음료를 소비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기울여질 때의 예들에서,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더 이상 방지하지 않는다. 그러나,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에 도달하기 위해 여전히 유동의 방향을 변경시켜야 하기 때문에, 액체는 종래 기술의 뚜껑들에서와 같이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직접적으로 유동할 때보다 더 많은 에너지/모멘텀을 잃는다. 결과적인 보다 매끄러운 유동은, 음료의 소비 과정을 보다 즐겁게 만든다. 용기가 직립 상태일 때, 유동 편향기 배열체 및 뚜껑의 내부 측면에 의해 규정되는 유동 개구의 평면이 내용물들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기 때문에, 액체가 용기를 빠져나가는 직선 통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뚜껑의 구조는, 마시는 동안 여전히 매끄러운 유동을 제공하면서, 갑작스러운 액체 튐들이 중화되는 것을 허용한다.
전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이, 적절한 경우, 이들 자체의 권리에서 신규한 그리고 발명적인 양태들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 및/또는 양태들과 조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다른 변형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추가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또 다른 변형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다른 변형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7의 뚜껑의 절취도들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다른 변형예의 개략적인 절취 사시도들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추가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추가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뚜껑의 투명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뚜껑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3의 유동 편향기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유동 편향기의 투명도이다.
도 28은 도 23 내지 도 27의 뚜껑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뚜껑의 투명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팽창된 상태의 도 28 및 도 29의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32, 도 33 및 도 34는 접힌 상태의 도 30 및 도 31의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35는 접힌 상태의 도 28의 뚜껑의 투명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뚜껑의 불투명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뚜껑 부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들에서, (도 15 및 도 19에 도시되는) 음료 용기(80)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은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들 10, 20, 30, 40, 50, 60, 70, 90, 95, 97, 및 99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초기에, 뚜껑(10, 20, 30, 40, 50, 60, 70, 90, 95, 97, 99)의 일반적인 특징들이 설명될 것이다. 간결화를 위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공통 특징들이 표시되었다. 뚜껑(10, 20, 30, 40, 50, 60, 70, 90, 95, 97, 99)은 외부 측면(1), 내부 측면(3), 및 림(5)을 포함한다. 뚜껑(10, 20, 30, 40, 50, 60, 70, 90, 95, 97, 99)은 그의 개방 최상부에 대해, 음료 용기(80)에 밀봉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뚜껑(10, 20, 30, 40, 50, 60, 70, 90, 95, 97, 99)은 음료 용기(80)의 림(81)(도 15 및 도 19 참조)에 밀봉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뚜껑(97, 99)은, 하기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음료 용기(80)의 내부 벽에 밀봉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뚜껑(10, 20, 30, 40, 50, 60, 70, 90, 95, 97, 99) 중 임의의 뚜껑은 음료 용기(80)의 외부 또는 내부 벽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뚜껑(10, 20, 30, 40, 50, 60, 70, 90, 95, 97, 99)은 드링킹 애퍼처(7)를 더 포함한다. 예들에서, 드링킹 애퍼처는 둘러싸는 뚜껑 표면과 공통인 평면에 놓이며, 즉 드링킹 애퍼처는 뚜껑 위로 상승되는 것보다는 뚜껑에 대해 평탄하다.
뚜껑(10, 20, 30, 40, 50, 60, 70, 90, 95, 97, 99)은 바람직하게는 시트 재료로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시트 재료는 접힘가능한 시트 재료이다. 선택적으로, 재료는 제지 펄프, 페이퍼보드(paperboard), 카드보드, 식물성 전분 또는 다른 적합한 식물-기반 재료와 같은 재활용가능한, 생분해가능한 또는 퇴비화가능한 재료이다. 예들에서, 뚜껑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제조될 수 있다.
개개의 유동 편향기 배열체(9, 11, 15, 17, 19, 190, 200, 205, 207, 500 및 600)는 드링킹 애퍼처(7)에 인접한, 뚜껑(10, 20, 30, 40, 50, 60, 70, 90, 95, 97, 99)의 내부 측면(3)에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드링킹 애퍼처로부터 분리되며, 즉, 유동 편향기는 드링킹 애퍼처(7)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개개의 유동 편향기(도 1 내지 도 14의 9, 11, 15, 17, 도 17 내지 도 19의 200, 도 20 및 도 21의 205, 도 22의 207, 도 23 내지 도 27의 500, 및 도 28 내지 도 37의 600)는, 음료 용기(80)가 일반적으로 직립 배향에 있을 때, 음료 용기(80)에 포함되는 액체, 특히 튀는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7)를 통해 직접적으로 위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유동 편향기(9, 11, 15, 17, 200, 205, 207, 500, 600)는,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7)에 도달할 때까지 많은 그의 에너지/모멘텀을 잃어버려, 이에 의해 액체를 쏟음들(spills) 또는 튐들(splashes)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7)에 측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동 편향기(9, 11, 15, 17, 200, 205, 207, 500, 600)는 튀는 액체를 편향시키기 위해 또는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7) 내로 직접적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링킹 애퍼처(7)의 전방에 배열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유동 편향기(9, 11, 15, 17, 200, 205, 207, 500, 600)는, 뚜껑(10, 20, 30, 40, 70, 90, 95, 97, 99)이 사용중일 때, 뚜껑(10, 20, 30, 40, 70, 90, 95, 97, 99)의 내부 측면(3)과 함께, 뚜껑(10, 20, 30, 40, 70, 90, 95, 97, 99)의 내부 측면(3)에 대해, 즉, 음료 용기(80)의 내부 벽을 향해 측방향으로 대면하는 유동 개구(21)를 규정하도록, 뚜껑(10, 20, 30, 40, 70, 90, 95, 97, 99)의 내부 측면(3) 상에 배열된다. 유동 개구(21)의 평면은 뚜껑(10, 20, 30, 40, 70, 90, 95, 97, 99)의 내부 측면(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거나, 소정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 음료 용기(80)가 일반적으로 직립 배향에 있을 때, 유동 편향기(9, 11, 15, 17, 200, 205, 207, 500, 600)는, 튀는 것들이 드링킹 애퍼처(7) 내로 직접적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액체를 조금씩 마시기 위해 음료 용기(80)를 기울일 때, 액체는 우선적으로 유동 편향기(9, 11, 15, 17, 200, 205, 207, 500, 600)와 마주하고, 그리고 그 후 유동 개구(21)를 통해 드링킹 애퍼처(7)에 접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체는 유동 편향기(9, 11, 15, 17, 200, 205, 207, 500, 600)와 우선적으로 마주함으로써 많은 그의 에너지/모멘텀을 잃으며, 이에 의해 조금씩 마시는 동안에 드링킹 애퍼처(7)를 통한 보다 매끄러운 유동을 제공한다.
뚜껑(10, 20, 30, 40, 50)은, 뚜껑(10, 20, 30, 40, 50)에 형성되고 그리고 초기에 드링킹 애퍼처(7)를 차단하는 제1 플랩(23, 25)을 포함한다. 제1 플랩(23, 25)은 힌지(150)를 중심으로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도 4, 도 14 및 도 17 내지 도 22 참조). 제1 플랩(23, 25)은, 뚜껑(10, 20, 30, 40, 50)에 부착된 플랩 형상의 일부분을 남기는 동안, 뚜껑(10, 20, 30, 40, 50)에서 제1 플랩(23, 25)의 형상을 절단함으로써 형성되어서, 절단되지 않은 재료는, 제1 플랩(23, 25)이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힌지를 형성한다.
폐쇄 포지션에서, 제1 플랩(23, 25)은 드링킹 애퍼처(7)를 가로질러 위치결정되며, 그리고 개방 포지션에서, 플랩(23, 25)은 드링킹 애퍼처(7)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소정 각도로 위치결정된다. 제1 플랩(23, 25)의 하나의 개방 포지션은 제1 플랩(23, 25)을 뚜껑(10, 20, 30, 40, 50)의 외부 측면(1)으로부터 뚜껑(10, 20, 30, 40, 50)의 내부 측면(3)을 향하는 방향으로 아래로 누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1 플랩(23, 25)의 다른 개방 포지션은, 뚜껑(10, 20, 30, 40, 50)의 내부 측면(3)으로부터 뚜껑(10, 20, 30, 40, 50)의 외부 측면(1)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로 제1 플랩(23, 25)을 당김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적합한 파지 배열체(미도시됨), 예컨대, 적합한 재료, 예컨대, 종이 또는 전분으로 제조되는 당김 탭은 제1 플랩(23, 25)을 위로 당기기 위해 제1 플랩(23, 25)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뚜껑(60)은 또한 도 1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플랩(25)을 포함한다. 뚜껑(70, 90, 95)은 플랩(23, 25)과 유사하지만, 부가의 특징들을 가지는 플랩(29, 39, 49)을 포함하며, 이는 도 17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뚜껑(97, 99)은 플랩(57)을 포함하며, 이 플랩에는 초기에 뚜껑(97, 99)이 형성되고 그리고 드링킹 애퍼처(7)를 차단한다. 뚜껑(97, 99)은, 예를 들어 뚜껑 재료의 천공들 또는 시닝(thinning)에 의해 제공되는 취약 영역(507)을 포함한다. 취약 영역(507)은 플랩(57)을 규정하고, 그리고 드링크 애퍼처(7)를 차단해제하기 위해 그리고 용기(80)로부터의 마시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플랩(57)이 찢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개방될 때까지, 뚜껑(97, 99)은 플랩(57)과 함께, 완전히 밀봉된 폐쇄부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유동 편향기(9)는 제1 플랩(23) 아래에 있는 뚜껑(10)의 내부 측면(3) 상에 (또는, 대안적으로, 비록 도면들에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제1 플랩(23) 위에 있는, 뚜껑(10)의 외부 측면(3) 상에) 제공되는 패널(101)을 포함한다. 패널(101)은 패널(101)에 형성되는 제2 플랩(27)을 가지며, 그리고 제2 플랩(27)은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폐쇄 포지션에서, 제2 플랩(27)은 드링킹 애퍼처(7)를 가로질러 배향되며, 그리고 개방 포지션에서 제2 플랩(27)은 드링킹 애퍼처(7)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소정 각도로 위치결정된다. 제1 및 제2 플랩들(23, 27)은, 제1 및 제2 플랩들(23, 27) 중 상부 플랩이 드링크 애퍼처(7)를 통해 눌려질 때, 제1 및 제2 플랩들(23, 27) 중 하부 플랩이 또한 상부 플랩에 의해 개방 포지션으로 눌려지도록 중첩된다. 제1 및 제2 플랩들(23, 27) 둘 모두가 개방 포지션으로 아래로 눌려질 때, 제1 및 제2 플랩들(23, 27)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고, 그리고 이에 의해, 한편으로, 드링킹 애퍼처(7)에 인접한 쉴드(31)를 형성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뚜껑(10)의 내부 측면(3)과 함께, 유동 개구(21)를 규정한다. 각각의 제1 및 제2 플랩들(23, 27)은, 제1 및 제2 플랩들(23, 27)이 개방 포지션으로 눌려질 때 맞물리도록 그리고 제1 및 제2 플랩들(23, 27)이 폐쇄 포지션으로 다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치형부들(teeth) 또는 적합하게 형성된 협동 돌출부들과 같은 협동 맞물림 요소들(103, 105)을 가질 수 있다. 마시는 동안, 음료 용기(80)가 기울여질 때, 액체는, 음료 용기(80)의 벽과 제1 및 제2 플랩들(23, 27)에 의해 형성되는 쉴드(31) 사이에서 유동 개구(21) 내로 그리고 드링킹 애퍼처(7)를 향해 유동한다. 음료 용기(80)가 직립 포지션에 있을 때, 쉴드(31)는, 튀는 것들이 드링킹 애퍼처(7)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내지 도 11 그리고 도 17 내지 도 37에서, 각각의 유동 편향기(11, 15, 200, 205, 207, 500)는 뚜껑(20, 30, 70, 90, 95, 97)의 내부 측면(3) 상에 형성되는 적합한 형상 및 크기의 개개의 영구 쉴드(201, 301, 210, 217, 219, 221, 223)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11 그리고 도 17 내지 도 22의 영구 쉴드(201, 301, 210, 217, 219)가 뚜껑(20, 30, 70, 90, 95)의 내부 측면(3)에 부착되는 세장형 트로프(211, 311, 215, 222, 233)로서 제공된다. 트로프(211, 311, 215, 222, 233)는, 드링킹 애퍼처(7)에 인접하고 그리고 사용시에 유동 개구를 뚜껑(11, 15, 70, 90, 95)의 내부 측면(3)과 함께 유동 개구(21)를 규정하도록 음료 용기(80)의 벽을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단부(215, 315, 250, 255, 256)를 가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 그리고 도 17 내지 도 22에서, 트로프(211, 215, 222, 233)는 균일한 폭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로프(311)는 개방 단부(315)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뚜껑(15)의 내부 측면(3)을 향하는 방향으로 수렴하는 벽들을 갖는다. 제1 플랩(25)은 바깥쪽으로 또는 아래로 개방될 수 있다. 드링킹 애퍼처(7)를 통해 아래로 눌려질 때, 제1 플랩(25)은 쉴드(201, 30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마시는 동안, 음료 용기(80)가 기울여질 때, 액체는, 음료 용기(80)의 벽과 영구 쉴드(201, 301, 210, 217, 219) 사이에서 유동 개구(21) 내로 그리고 드링킹 애퍼처(7)를 향하여 유동한다. 음료 용기(80)가 직립 포지션에 있을 때, 영구 쉴드(201, 301, 210, 217, 219)는, 튀는 것들이 드링킹 애퍼처(7)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이러한 발생을 완화시킨다. 도 23 내지 도 37에서, 영구 쉴드(221, 223)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뚜껑(97, 99)의 내부 측면(3)으로부터 이격되는, 뚜껑(97, 99)의 내부 측면(3)에 제공되는 적합한 형상 및 크기의 쉴드 패널(550, 650)을 포함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서, 유동 편향기(17)는 드링킹 애퍼처(7)를 가로질러 뚜껑(40)의 내부 측면(3) 상에 형성되는 적합한 형상 및 크기의 팝업 쉴드(pop up shield)(401)를 포함한다. 팝업 쉴드(401)는 사용 전에 폴드될 수 있다. 팝업 쉴드(401)는, 제1 플랩(25)을 드링킹 애퍼처(7)를 통해 아래로 누르고 그리고 이에 의해 팝업 쉴드(401)를 팽창시킴으로써 펼쳐질 수 있다. 드링킹 애퍼처(7)를 통해 아래로 눌려질 때, 제1 플랩(25)은 쉴드(40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마시는 동안, 음료 용기(80)가 기울여질 때, 액체는, 음료 용기(80)의 벽과 영구 쉴드(401) 사이에서 유동 개구(21) 내로 그리고 드링킹 애퍼처(7)를 향하여 유동한다. 음료 용기(80)가 직립 포지션에 있을 때, 팝업 쉴드(401)는, 튀는 것들이 드링킹 애퍼처(7)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5 및 도 16에서, 유동 편향기(19, 190)는 액체 투과성 재료로 제조되고 그리고 드링크 애퍼처(7)를 가로질러 뚜껑(50, 60)의 내부 측면(3) 상에 배열되는 필터 쉴드(51, 61)를 포함한다. 액체 투과성 재료는, 튀는 것들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기에 충분히 미세한 기공들을 갖지만, 마시는 동안 액체가 드링킹 애퍼처(7)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유발시킬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재료는,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지만, 액체에 분산될 수 있는 고체 입자들이 액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지 그리고 어떠한 제한 없이, 액체 투과성 재료는, 하나의 메쉬(mesh) 또는 직물과 같은 개방 텍스처(open texture)의 직조(woven), 니트(knit) 또는 매듭형(knotted) 재료, 예컨대, 셀룰로오스 또는 화학 섬유들로 제조되는, 여과지(filter paper) 또는 부직포와 같은 부직 재료 또는, 예를 들어, 관통된 필름, 부직, 예컨대, 압출된 메쉬와 같은 다공성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쉴드(51, 61)는 드링킹 애퍼처(7)로부터 아래로 (즉, 뚜껑(51, 61)의 내부 측면(3)으로부터 멀어지게) 이격되는 부분(53, 63), 및 필터 쉴드(51, 61)가 드링킹 애퍼처(7)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뚜껑(50, 60)의 내부 측면(3)에 부착되는 주변 부분들(55, 65)을 갖는다.
도 15 및 도 16의 실시예들에서, 주변 부분들(55, 65)은 뚜껑(50, 60)의 림(5)에 인접한, 뚜껑(50, 60)의 내부 측면(3)에 부착된다. 도 15의 배열체에서, 필터 쉴드(51)는 그의 전체 주변부를 따라 뚜껑(50)의 내부 측면(3)에 부착된다. 도 16의 배열체에서, 필터 쉴드(61)는, 뚜껑(60)의 내부 측면(3)에 부착되지 않고 그리고 뚜껑(60)의 내부 측면(3)으로부터 아래로 이격되는 에지 부분들(67)을 갖는다. 이들 에지 부분들(67)은, 뚜껑(60)이 음료 용기(80)의 개방 최상부 상에 배치될 때 음료 용기(80)의 내벽들에 접하거나 충돌한다.
도 15에서, 필터 쉴드(51)는, 필터 쉴드(51)가 뚜껑(50)의 내부 측면(3) 상에 수용될 수 있고 그리고 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규모가 줄어들더라도, 뚜껑(50)의 형상을 반복하는 (평면에서의) 형상을 갖는다. 도 16에서, 필터 쉴드(61)는 트로프의 형상을 갖는다. 다른 적합한 형상들이 고려되고 그리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필터 쉴드(51, 61)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뚜껑(50, 60)의 사용 동안, 특히 필터 쉴드(51, 61)가 음료 용기(80) 내부에서 이동하는 액체의 힘들을 겪을 때, 그의 형상을 유지하기에 충분히 강성이다.
도 17 내지 도 19의 실시예에서, 뚜껑(70)의 제1 플랩(29)은, 제1 플랩이 상승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제1 플랩(29)이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될 필요 없이 마시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1 플랩(29)에 규정되는 컷아웃(260)을 갖는다. 이러한 배열체에서, 제1 플랩(29)은, 원하는 경우, 향상된 유동을 위해 여전히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뚜껑(70)에는 제1 플랩(29)을 개방 포지션으로 유지하는 것을 돕는 리테이닝 배열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의 실시예에서, 리테이닝 배열체는 제1 플랩(29)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리테이닝 부재들을 포함한다. 제1 플랩(29)의 리테이닝 부재들은 한 쌍의 탄성 변형가능한 돌출부들(265)을 포함하며, 이 돌출부들은 제1 플랩(29)이 개방 포지션에 있을 때 쉴드(210)에 마찰식으로 맞물린다. 돌출부들(265)은, 제1 플랩(29)이 폐쇄 포지션으로 이동될 때, 쉴드(210)로부터 맞물림해제된다. 돌출부들(265)은, 제1 플랩(29)의 반대편에 있는 힌지(150)의 측면 상에서 뚜껑 재료의 돌출부들(265)의 형상을 절단함으로써 제1 플랩(29)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돌출부들(265)은 제1 플랩(29)의 일부를 형성한다. 돌출부들(265)은 또한, 제1 플랩(29)의 폐쇄 포지션에서 뚜껑(70)에 맞물림으로써 제1 플랩(29)을 폐쇄 포지션으로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쉴드(210)는 윈도우(270)를 규정한다. 윈도우(270)는 예를 들어, 당 또는 다른 감미료와 같은 성분들을 음료에 부가하기 위해; 음료 용기(80)의 내용물들을 교반하기 위해 또는 빨대를 삽입하기 위해 특히 유용하다. 윈도우(270)는, 음료 용기(80)가 마시기 위해 기울여질 때, 액체가 유동 개구(21)를 통해 드링킹 애퍼처(7)에 도달하고 그리고 윈도우(270)를 통해 유동하지 않도록 유동 개구(21)로부터 충분히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1 플랩(29)은 일반적으로, 제1 플랩(29)이 튀는 것들을 방지하기 위한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윈도우(270)를 커버한다. 윈도우(270)는 제1 플랩(29)을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근될 수 있다. 윈도우(270)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필터 쉴드(51, 61)(도 15, 도 16)를 포함하는 배열체에 대해 적합하다.
도 20 내지 도 22의 실시예들에서, 뚜껑들(90 및 95)은 일반적으로 도 17 내지 도 19의 뚜껑(70)과 유사하며, 그리고 도 17 내지 도 22의 실시예들 중에서 공통적인 요소들은 공통 도면 부호들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도 20 및 도 21에서, 별도의 유지 부분들(401)은, 제1 플랩(39)을 폐쇄 포지션으로 유지하는 것을 돕도록 뚜껑(90)에서 대응 부분(403)에 맞물림하기 위해, 유지 부분(401)이 제1 플랩(39)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뚜껑(90)에서 유지 부분들(401)의 형상을 절취함으로써 제1 플랩(39)에 제공된다.
도 22에서, 제1 플랩은 탭(415)을 가지며, 그리고 쉴드(219)는 슬롯(417)을 갖는다. 제1 플랩(49)이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사용자는 제1 플랩(49)을 폐쇄 포지션에 유지하기 위해 슬롯(417) 내로 탭(415)을 삽입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의 뚜껑(90, 95)은, 제1 플랩(39, 49)이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제1 플랩(39, 49)을 쉴드(217, 219)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제1 플랩(39, 49)이 드링킹 애퍼처(7) 아래로 눌려지지 않게 하기 위해 스페이서 요소(218)를 갖는다. 스페이서 요소(218)는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영구 쉴드(201, 301, 210) 또는 필터 쉴드(51, 61)를 포함하는 배열체들에 대해 적합하다. 스페이서 요소(218)는 당업자에게 명백한 임의의 적합한 형태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의 실시예들에서, 스페이서 요소는, 윈도우(270)를 형성하기 전에 제자리에 있었던, 쉴드(217, 219)의 재료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쉴드(217, 219)의 기립 부분으로서 제공된다.
도 23 내지 도 37에서, 쉴드 패널(550, 650)은 뚜껑(97, 99)의 내부 측면(3)과 함께 유동 개구(21)를 규정하도록 드링크 애퍼처(7)의 근처에 컷아웃들(551)을 갖는다. 마시는 동안, 음료 용기(80)가 기울여질 때, 액체는, 음료 용기(80)의 벽과 쉴드 패널(550, 650) 사이에서 유동 개구(21) 내로 그리고 드링킹 애퍼처(7)를 향하여 유동한다. 음료 용기(80)가 직립 포지션에 있을 때, 쉴드 패널(550, 650)은, 튀는 것들이 드링킹 애퍼처(7)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쉴드 패널(550, 650)은 음료 용기(80)의 내부 벽에 대해 꼭맞게 끼워맞춤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그리고 성형된다. 이는, 뚜껑(97, 99)/음료 용기(80) 조립체 상에 추가의 강성을 부여하고, 그리고 음료 용기(80)를 보다 안전하게 취급하게 한다. 도 23 내지 도 37의 실시예에서, 쉴드 패널(550, 650) 및 뚜껑(97, 99)은 타원 형상이다. 뚜껑(97, 99)이 음료 용기(80)를 폐쇄하며 그리고 쉴드 패널(550, 650)이 음료 용기(80)의 최상부 개구 내로 삽입될 때, 쉴드 패널(550, 650)은 음료 용기(80)의 벽에 꼭맞게 맞물리고 그리고 (음료 용기(80)의 재료가 쉴드 패널(550, 650)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경우에) 이 벽이 변형하는 것 그리고 쉴드 패널(550, 650)의 타원 형상을 취하여, 이에 의해 뚜껑(97, 99)/음료 용기(80) 조립체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유발시킨다. 다른 변형예들에서, 쉴드 패널(550, 650)은, 뚜껑(97, 99)이 음료 용기(80) 상에 배치될 때, 쉴드 패널(550, 650)이 음료 용기(80) 내부에 위치되는 레벨에서 음료 용기(80)의 벽의 평면에서의 형상에 밀접하게 일치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여전히 뚜껑(97, 99)/음료 용기(80) 조립체 상에 강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하다. 뚜껑(97, 99)/음료 용기(80) 조립체 상에 강성을 부여하는 것과 동시에, 음료 용기(80)의 벽에 대한 쉴드 패널(550, 650)의 꼭맞는 끼워맞춤은, 뚜껑(97, 99)이 누출을 방지하면서 제자리에 단단히 유지되어서 음료 용기(80)에 뚜껑(97, 99)을 밀봉식으로 고정시킨다. 쉴드 패널(550, 650)은 커넥터 요소들을 통해 뚜껑(97, 99)의 내부 측면(3)에 부착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들은 또한, 쉴드 패널(550, 650)를 뚜껑(97, 99)의 내부 측면(3)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들로서 작용한다. 커넥터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7의 실시예에서, 커넥터 요소들은 뚜껑(97) 및 쉴드 패널(550) 각각 상에 리브(530, 540)를 포함한다. 조립시에, 뚜껑(97) 및 쉴드 패널(550)의 리브들(530, 540)은, 뚜껑(97) 및 쉴드 패널(550)을 커플링하도록 서로 맞물림한다. 도 23 내지 도 27의 실시예에서, 뚜껑(97) 및 쉴드 패널(550)은 각각, 하나의 평면 시트 재료, 예컨대, 카드 종이로 형성되고, 그리고 리브들(530, 540)을 형성하기 위해 미리 규정된 선들을 따라 폴드된다. 협동 슬롯들(535, 545)은, 리브들(530, 540)이 조립시에 슬롯들(535, 545)을 통해 서로 교차함으로써 맞물릴 수 있도록 리브들(530, 540)에 제공된다.
도 28 내지 도 37의 실시예에서, 커넥터 요소들은 팽창된 상태와 접혀진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그리고 제1 및 제2 리브들(630, 640)을 각각 포함한다. 팽창된 상태에서, 리브들(630, 640)은, 뚜껑(99) 및 쉴드 패널(650)을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켜서, 뚜껑(99)은 음료 용기(80)를 폐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리브들(630, 640)이 접힐 때,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뚜껑(99) 및 쉴드 패널(650)은, 뚜껑(99)과 쉴드 패널(650) 사이에서 공간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도록 함께 이동된다. 이러한 배열은, 뚜껑들(99)을 저장하는데 필요한 저장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복수의 뚜껑들(99)이 적층되고 그리고 저장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8 내지 도 37의 실시예에서, 제1 리브(630)는 뚜껑(99) 및 쉴드 패널(650) 각각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제2 리브(640)는 뚜껑(99)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그리고 체결 배열체를 통해 쉴드 패널(65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리브(640)는 쉴드 패널(650)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그리고 뚜껑(99)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체결 배열체는, 제1 및 제2 리브들(630, 640)이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도 28 내지 도 37의 실시예에서, 체결 배열체는 제2 리브(640) 상에 제공되는 탭(660) 및 쉴드 패널(650)에 형성된 슬롯(661)을 포함한다. 도 28 및 도 2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브들(630, 640)의 팽창된 상태에서, 탭(660)은 슬롯(661)에 맞물려지며 그리고 제2 리브(640)는 뚜껑(99)에 대해 관절결합하는 것이 방지된다. 협동 컷아웃들(670, 671)은, 제1 및 제2 리브들(630, 640)이 조립시에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그리고 제1 및 제2 리브들(630, 640)의 서로에 대한 움직임 및 팽창된 상태와 접힌 상태 사이의 움직임 동안의 뚜껑(99) 및 쉴드 패널(650)에 대한 관절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 및 제2 리브들(630, 640) 각각에 제조된다. 도 29 및 도 3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리브(630)는 한 쌍의 제1 접힘 선들(675) ─ 하나의 접힘 선은 뚜껑(99)에 근접하며, 다른 접힘 선은 쉴드 패널(650)에 근접함 ─ 을 갖는다. 도 28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브(640)는 뚜껑(99)에 근접한 제2 접힘 선(677)을 갖는다. 제1 및 제2 리브들(630, 640)은, 서로를 향하여 뚜껑(99) 및 쉴드 패널(650)을 누르도록 사용자가 뚜껑(99) 및 쉴드 패널(650) 상에 외부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팽창된 상태로부터 접혀진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리브들(630, 640)이 팽창된 상태로부터 접혀진 상태로 이동될 때, 제2 리브(640)의 탭(660)은 슬롯(661)으로부터 맞물림해제되며, 그리고 제2 리브(640)는 쉴드 패널(650)로부터 맞물림해제된다. 동시에, 제1 리브(630)는, 뚜껑(99) 및 쉴드 패널(650)에 대하여 제1 접힘 선들(675)에 대해 관절결합하도록 허용되며, 그리고 제2 리브(640)는 뚜껑(99)에 대하여 제2 접힘 선(677)에 대해 관절결합하도록 허용된다. 제1 리브(630) 및 제2 리브(640) 둘 모두가 이들의 개개의 제1 및 제2 접힘 선들(675, 677)에 대해 관절결합함에 따라, 뚜껑(99) 및 쉴드 패널(650)은 함께 근접하게 이동하고, 그리고 뚜껑(99)과 쉴드 패널(650) 사이의 공간이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브들(630, 640)을 팽창된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뚜껑(99) 및 쉴드 패널(650)을 서로 펼치는 것에 관해 뚜껑(99) 및 쉴드 패널(650)에 힘을 적용하며 그리고 전술된 단계들은 역순으로 반복된다. 제2 리브(640)의 팽창된 상태로의 복귀의 단부에서, 제2 리브(640)의 탭(660)이 슬롯(661)에 맞물리며, 그리고 제2 리브(640)는, 제2 리브(640) 및 전체 뚜껑(99)/쉴드 패널(650) 조립체를 팽창된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뚜껑(99)에 맞물린다.
리브들(530, 540, 630, 640)은 또한, 뚜껑(97, 99)/음료 용기(80) 조립체 상에 강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뚜껑(97, 99)/쉴드 패널(550, 650) 조립체에 구조적 지지 및 강성을 제공한다. 리브들(530, 540, 630, 640)은 바람직하게는, (음료 용기(80)의 재료가 리브들(530, 540, 630, 6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경우에) 음료 용기(80)의 벽에 대해 꼭맞게 끼워맞춤하고 그리고/또는 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이에 의해 뚜껑(97, 99)/음료 용기(80) 조립체의 강성을 추가로 증가시킨다.
뚜껑(97, 99)을 음료 용기(80)에 체결하는 쉴드 패널(550, 650)의 능력으로 인해, 뚜껑의 외부 측면(1) 및 드링킹 애퍼처(7)는, 뚜껑(97, 99)이 다른 배열체들에서와 같이 음료 용기(80)의 림(81) 아래로 오목하게 되거나 위로 상승되는 것보다, 뚜껑(97, 99)이 음료 용기(80)를 폐쇄할 때, 음료 용기(80)의 림(81)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일 수 있다. 이러한 배열체에서, 마시는 동안, 음료 용기(80)의 약간의 기울임이 요구된다.
뚜껑(10, 20, 30, 40, 50, 60, 70, 90, 95, 97, 99)은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어, 비록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 평면에서, 용기(80)와 뚜껑(10, 20, 30, 40, 50, 60, 70, 90, 95, 97, 99) 사이에 접촉을 만든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수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규정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68)

  1.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은,
    외부 측면, 내부 측면 및 림(rim);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드링킹 애퍼처(drinking aperture); 및
    상기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한 유동 편향기 배열체(flow deflector arrangement)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또는 상기 뚜껑의 부품들은 시트 재료로 형성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재료는 접힘가능한 시트 재료인,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재료는 페이퍼보드(paperboard)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음료 용기가 일반적으로 직립 배향에 있을 때, 상기 음료 용기에 보유된 액체가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직접적으로 위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액체가 측방향으로 상기 드링킹 애퍼처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에 형성되고 그리고 초기에 드링킹 애퍼처를 차단하는 제1 플랩(flap)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랩은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폐쇄 포지션에서, 상기 제1 플랩은 상기 드링킹 애퍼처에 걸쳐 위치결정되며, 그리고 상기 개방 포지션에서, 상기 플랩은 상기 드링킹 애퍼처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각도를 갖게 위치결정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튀는 액체를 편향시키기 위해 또는 상기 액체가 상기 드링킹 애퍼처 내로 직접적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드링킹 애퍼처의 전방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뚜껑이 사용중일 때,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에 대해, 즉, 상기 음료 용기의 벽을 향해 측방향으로 대면하는 유동 개구를 규정하도록,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배열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10. 제6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제1 플랩으로부터 독립적인,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11. 제6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제1 플랩 아래에 있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또는 상기 제1 플랩 위에 있는 상기 뚜껑의 외부 측면 상에 제공되는 패널(panel)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에 형성되는 제2 플랩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제2 플랩은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폐쇄 포지션에서, 상기 제2 플랩은 상기 드링킹 애퍼처에 걸쳐 배향되고, 그리고 상기 개방 포지션에서, 상기 제2 플랩은 상기 드링킹 애퍼처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각도를 갖게 위치결정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플랩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랩들 중 상부 플랩이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눌려질 때, 상기 제1 및 제2 플랩들 중 하부 플랩이 또한 상기 상부 플랩에 의해 상기 개방 포지션으로 눌려지도록 중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랩들 둘 모두가 상기 개방 포지션으로 아래로 눌려질 때, 상기 제1 및 제2 플랩들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며, 그리고 이에 의해 상기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한 쉴드(shield)를 형성하고, 그리고 동시에,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과 함께, 상기 유동 개구를 규정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형성되는 적합한 형상 및 크기의 영구 쉴드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쉴드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에 부착되는 세장형 트로프(elongated trough)로서 제공되며, 상기 트로프는, 상기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하고 그리고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과 함께 상기 유동 개구를 규정하도록, 사용시에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에 대해, 즉, 상기 용기의 벽을 향해 측방향으로 대면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제7 항과의 조합하여,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아래로 눌려질 때, 상기 제1 플랩은 상기 쉴드의 일부를 형성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가로질러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형성되는 적합한 형상 및 크기의 팝업 쉴드(pop up shield)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16. 제15 항에 있어서,
    제7 항과 조합하여, 상기 팝업 쉴드는 사용 전에 폴드되며(folded), 그리고 상기 팝업 쉴드는 상기 제1 플랩을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아래로 누르며, 이에 의해 상기 팝업 쉴드를 팽창시킴으로써 펼쳐지며,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아래로 눌려질 때, 상기 제1 플랩은 상기 쉴드의 일부를 형성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17.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액체 투과성 재료로 제조되고 그리고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가로질러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배열되는 필터 쉴드(filter shield)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투과성 재료는, 튀는 것들(splashes)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기에 충분히 미세하지만, 마시는 동안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공극들(pores)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액체 투과성 재료는,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지만, 상기 액체에서 분산될 수 있는 고체 입자들이 상기 액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필터 쉴드는 상기 드링킹 애퍼처로부터 아래로, 즉,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격되는 부분, 및 필터 쉴드가 상기 드링킹 애퍼처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에 부착되는 주변 부분들을 가지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1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제1 플랩을 상기 개방 포지션 및/또는 폐쇄 포지션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리테이닝 배열체(retaining arrangement)가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리테이닝 배열체는 상기 제1 플랩 상에 하나 이상의 리테이닝 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랩 상의 하나 이상의 리테이닝 부재들은, 상기 개방 포지션 및/또는 폐쇄 포지션에 상기 제1 플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뚜껑 상에 또는 상기 유동 편향기 상에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 또는 대응하는 리테이닝 부재들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1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용기에 접근하기 위한, 예컨대, 성분들을 음료에 부가하기 위한, 상기 음료 용기의 내용물들을 교반하기 위한 또는 빨대를 삽입하기 위한 윈도우(window)를 규정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플랩은, 상기 제1 플랩이 튀는 것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일반적으로 상기 윈도우를 덮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2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제1 플랩이 상기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 플랩을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유지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플랩이 상기 드링크 애퍼처 아래로 눌리는 것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페이서 요소(spacer element)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스페이서 요소는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의 기립 부분 또는 상기 제1 플랩의 하부측 상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21.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쉴드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에 제공되는 쉴드 패널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쉴드 패널은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과 함께 상기 유동 개구를 규정하도록 상기 드링킹 애퍼처의 근처에 하나 이상의 컷아웃들(cut-outs)을 가지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패널은 사용시에 상기 음료 용기의 벽에 대해 꼭맞게 끼워맞춤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그리고 성형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쉴드 패널은, 상기 용기의 림에 대해 상이한 형상을 가져, 상기 뚜껑이 상기 음료 용기를 폐쇄할 때, 상기 쉴드 패널은, 상기 음료 용기의 벽이 변형되고 그리고 상기 쉴드 패널의 형상을 취하는 것을 유발시키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23. 제21 항 또는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패널은 커넥터 요소들을 통해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넥터 요소들은 또한, 상기 쉴드 패널이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페이서들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커넥터 요소들은 사용시에 상기 음료 용기의 벽에 대해 꼭맞게 끼워맞춤하고 그리고/또는 변형하도록 배열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커넥터 요소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들로부터 별도로 형성되고 그리고 용접, 접착결합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에 의해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들에 고정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요소들은 상기 팽창된 상태와 상기 접혀진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들의 평면들로부터 돌출하고, 그리고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을 서로 이격되는 고정된 포지션으로 유지시키며, 그리고, 상기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요소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들을 향해 폴드되거나 접히며, 이에 의해, 상기 쉴드 패널들은 함께 보다 근접하게 이동되며, 이에 의해 상기 뚜껑과 상기 쉴드 패널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25. 제23 항 또는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요소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 각각 상에 하나 이상의 리브들을 포함하며, 조립시에,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의 리브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을 커플링하기 위해 서로 맞물림하도록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은 하나의 평면 시트 재료로 각각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리브들을 형성하기 위해 미리 규정된 선들을 따라 폴드되며;
    선택적으로, 적합한 협동 슬롯들은, 상기 뚜껑의 리브들 및 상기 쉴드 패널의 리브들이 조립시에 상기 슬롯들을 통해 서로 교차함으로써 맞물림하도록 상기 리브들에서 제조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 각각에 부착되는 제1 리브 및 제2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 중 하나에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 중 다른 하나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2 리브는 적합한 체결 배열체에 의해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체결 배열체는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이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28. 제27 항에 있어서,
    협동 컷아웃들은,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이 조립시에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의 서로에 대한 움직임 및 팽창된 상태와 접힌 상태 사이의 움직임 동안의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의 관절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에 제조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한 쌍의 제1 접힘 선들을 가지며, 상기 하나의 접힘 선은 상기 뚜껑에 근접하고, 상기 다른 접힘 선은 상기 쉴드 패널에 근접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2 리브는 부착되는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에 근접한 제2 접힘 선을 가지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이 상기 팽창된 상태로부터 상기 접혀진 상태로 이동될 때, 그리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2 리브가 상기 체결 배열체를 통해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로부터 맞물림해제되며, 이에 의해 동시에,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에 대해 상기 제1 접힘 선들에 대해 관절결합하도록 허용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2 리브가 부착되는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에 대하여 상기 제2 접힘 선에 대해 관절결합하도록 허용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둘 모두는 이들의 개개의 제1 및 제2 접힘 선들에 대해 관절결합하며,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은 함께 근접하게 이동하고, 그리고 상기 뚜껑과 상기 쉴드 패널 사이의 공간은 감소되거나 제거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은 상기 접혀진 상태로부터 상기 팽창된 상태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에 대하여 상기 제1 접힘 선들에 대해 관절결합하도록 허용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에 대하여 상기 제2 접힘 선에 대해 관절결합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에 부착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둘 모두가 상기 이들의 개개의 제1 및 제2 접힘 선들에 대해 관절결합함에 따라,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은 멀어지게 이동하며, 그리고 상기 뚜껑과 상기 쉴드 패널 사이의 공간이 증가되고, 상기 팽창된 상태로의 상기 제2 리브의 복귀의 종료시에, 상기 체결 배열체는 다시 맞물림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2 리브 및 상기 전체 조립체를 상기 팽창된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 리브가 상기 체결 배열체를 통해 체결되는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에 맞물림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31. 제1 항 내지 제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의 림의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상기 뚜껑은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인,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32. 제1 항 내지 제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재료는 재활용가능한, 생분해가능한, 또는 퇴비화 가능한,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33. 제1 항 내지 제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에 밀봉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34. 제1 항 내지 제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링킹 애퍼처는 상기 둘러싸는 뚜껑 표면과 평면인,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35.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은,
    외부 측면, 내부 측면 및 림;
    상기 뚜껑에 형성되는 드링킹 애퍼처; 및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한 유동 편향기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뚜껑에 형성되고 그리고 초기에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차단하는 제1 플랩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36.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제공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37. 제35 항 또는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음료 용기가 일반적으로 직립 배향에 있을 때, 상기 음료 용기에 보유된 액체가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직접적으로 위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38. 제35 항 내지 제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액체가 측방향으로 상기 드링킹 애퍼처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39. 제35 항 내지 제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랩은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폐쇄 포지션에서, 상기 제1 플랩은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가로질러 위치결정되며, 그리고 상기 개방 포지션에서, 상기 플랩은 상기 드링킹 애퍼처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각도를 갖게 위치결정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40. 제35 항 내지 제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튀는 액체를 편향시키기 위해 또는 상기 액체가 상기 드링킹 애퍼처 내로 직접적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드링킹 애퍼처의 전방에 실질적으로 배열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41. 제35 항 내지 제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뚜껑이 사용중일 때,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과 함께,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에 대해, 즉, 상기 음료 용기의 벽을 향해 측방향으로 대면하는 유동 개구를 규정하도록,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배열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42. 제35 항 내지 제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제1 플랩으로부터 독립적인,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43. 제35 항 내지 제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제1 플랩 아래에 있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또는 상기 제1 플랩 위에 있는 상기 뚜껑의 외부 측면 상에 제공되는 패널(panel)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상기 패널에 형성되는 제2 플랩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제2 플랩은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폐쇄 포지션에서, 상기 제2 플랩은 상기 드링킹 애퍼처에 걸쳐 배향되고, 그리고 상기 개방 포지션에서, 상기 제2 플랩은 상기 드링킹 애퍼처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는 각도를 갖게 위치결정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플랩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플랩들 중 상부 플랩이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눌려질 때, 상기 제1 및 제2 플랩들 중 하부 플랩이 또한 상기 상부 플랩에 의해 상기 개방 포지션으로 눌려지도록 중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랩들 둘 모두가 상기 개방 포지션으로 아래로 눌려질 때, 상기 제1 및 제2 플랩들은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며, 그리고 이에 의해 상기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한 쉴드를 형성하고, 그리고 동시에,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과 함께, 상기 유동 개구를 규정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44. 제35 항 내지 제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형성되는 적합한 형상 및 크기의 영구 쉴드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45. 제44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쉴드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에 부착되는 세장형 트로프로서 제공되며, 상기 트로프는, 상기 드링킹 애퍼처에 인접하고 그리고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과 함께 상기 유동 개구를 규정하도록, 사용시에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에 대해, 즉, 상기 용기의 벽을 향해 측방향으로 대면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46. 제44 항 또는 제45 항에 있어서,
    제39 항과의 조합하여,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아래로 눌려질 때, 상기 제1 플랩은 상기 쉴드의 일부를 형성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47. 제35 항 또는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가로질러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형성되는 적합한 형상 및 크기의 팝업 쉴드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48. 제47 항에 있어서,
    제39 항과 조합하여, 상기 팝업 쉴드는 사용 전에 폴드되며, 그리고 상기 팝업 쉴드는 상기 제1 플랩을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아래로 누르며, 이에 의해 상기 팝업 쉴드를 팽창시킴으로써 펼쳐지며,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아래로 눌려질 때, 상기 제1 플랩은 상기 쉴드의 일부를 형성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49. 제35 항 내지 제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액체 투과성 재료로 제조되고 그리고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가로질러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 상에 배열되는 필터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투과성 재료는, 튀는 것들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기에 충분히 미세하지만, 마시는 동안 액체가 상기 드링킹 애퍼처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공극들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액체 투과성 재료는,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지만, 상기 액체에서 분산될 수 있는 고체 입자들이 상기 액체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필터 쉴드는 상기 드링킹 애퍼처로부터 아래로, 즉,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이격되는 부분, 및 필터 쉴드가 상기 드링킹 애퍼처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에 부착되는 주변 부분들을 가지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50.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제1 플랩을 상기 개방 포지션 및/또는 폐쇄 포지션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리테이닝 배열체가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리테이닝 배열체는 상기 제1 플랩 상에 하나 이상의 리테이닝 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랩 상의 하나 이상의 리테이닝 부재들은, 상기 개방 포지션 및/또는 폐쇄 포지션에 상기 제1 플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뚜껑 상에 또는 상기 유동 편향기 상에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 또는 대응하는 리테이닝 부재들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51.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는, 상기 용기에 접근하기 위한, 예컨대, 성분들을 음료에 부가하기 위한, 상기 음료 용기의 내용물들을 교반하기 위한 또는 빨대를 삽입하기 위한 윈도우를 규정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플랩은, 상기 제1 플랩이 튀는 것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일반적으로 상기 윈도우를 덮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52.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제1 플랩이 상기 폐쇄 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 플랩을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유지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플랩이 상기 드링크 애퍼처 아래로 눌리는 것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스페이서 요소는 상기 유동 편향기 배열체의 기립 부분 또는 상기 제1 플랩의 하부측 상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53. 제44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쉴드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에 제공되는 쉴드 패널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쉴드 패널은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과 함께 상기 유동 개구를 규정하도록 상기 드링킹 애퍼처의 근처에 하나 이상의 컷아웃들을 가지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54.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패널은 사용시에 상기 음료 용기의 벽에 대해 꼭맞게 끼워맞춤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그리고 성형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쉴드 패널은, 상기 용기의 림에 대해 상이한 형상을 가져, 상기 뚜껑이 상기 음료 용기를 폐쇄할 때, 상기 쉴드 패널은, 상기 음료 용기의 벽이 변형되고 그리고 상기 쉴드 패널의 형상을 취하는 것을 유발시키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55. 제53 항 또는 제54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패널은 커넥터 요소들을 통해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커넥터 요소들은 또한, 상기 쉴드 패널가 상기 뚜껑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페이서들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커넥터 요소들은 사용시에 상기 음료 용기의 벽에 대해 꼭맞게 끼워맞춤하고 그리고/또는 변형하도록 배열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커넥터 요소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들로부터 별도로 형성되고 그리고 용접, 접착결합 또는 다른 적합한 방법에 의해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들에 고정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56. 제5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요소들은 상기 팽창된 상태와 상기 접혀진 상태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들의 평면들로부터 돌출하고, 그리고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을 서로 이격되는 고정된 포지션으로 유지시키며, 그리고, 상기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요소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들을 향해 폴드되거나 접히며, 이에 의해, 상기 쉴드 패널들은 함께 보다 근접하게 이동되며, 이에 의해 상기 뚜껑과 상기 쉴드 패널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57. 제55 항 또는 제5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요소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 각각 상에 하나 이상의 리브들을 포함하며, 조립시에,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의 리브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을 커플링하기 위해 서로 맞물림하도록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은 하나의 평면 시트 재료로 각각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리브들을 형성하기 위해 미리 규정된 선들을 따라 폴드되며;
    선택적으로, 적합한 협동 슬롯들은, 상기 뚜껑의 리브들 및 상기 쉴드 패널의 리브들이 조립시에 상기 슬롯들을 통해 서로 교차함으로써 맞물림하도록 상기 리브들에서 제조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58. 제5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은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 각각에 부착되는 제1 리브 및 제2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 중 하나에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 중 다른 하나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59. 제5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2 리브는 적합한 체결 배열체에 의해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체결 배열체는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이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60. 제59 항에 있어서,
    협동 컷아웃들은,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이 조립시에 서로 교차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의 서로에 대한 움직임 및 팽창된 상태와 접힌 상태 사이의 움직임 동안의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의 관절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에 제조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61. 제6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는 한 쌍의 제1 접힘 선들을 가지며, 상기 하나의 접힘 선은 상기 뚜껑에 근접하고, 상기 다른 접힘 선은 상기 쉴드 패널에 근접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2 리브가 부착되는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에 근접한 제2 접힘 선을 가지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이 상기 팽창된 상태로부터 상기 접혀진 상태로 이동될 때, 그리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체결 배열체를 통해 체결되는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로부터 맞물림해제되며, 이에 의해 동시에,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에 대해 상기 제1 접힘 선들에 대해 관절결합하도록 허용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에 대하여 상기 제2 접힘 선에 대해 관절결합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에 부착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둘 모두는 이들의 개개의 제1 및 제2 접힘 선들에 대해 관절결합하고,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은 함께 근접하게 이동하며, 그리고 상기 뚜껑과 상기 쉴드 패널 사이의 공간은 감소되거나 제거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62. 제6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브들은 상기 접혀진 상태로부터 상기 팽창된 상태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에 대하여 상기 제1 접힘 선들에 대해 관절결합하도록 허용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2 리브가 부착되는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에 대하여 상기 제2 접힘 선에 대해 관절결합하도록 허용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 둘 모두가 상기 이들의 개개의 제1 및 제2 접힘 선들에 대해 관절결합함에 따라, 상기 뚜껑 및 상기 쉴드 패널은 멀어지게 이동하며, 그리고 상기 뚜껑과 상기 쉴드 패널 사이의 공간이 증가되고, 상기 팽창된 상태로의 상기 제2 리브의 복귀의 종료시에, 상기 체결 배열체는 다시 맞물림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2 리브 및 상기 전체 조립체를 상기 팽창된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 리브가 체결 배열체를 통해 체결되는 상기 뚜껑 또는 상기 쉴드 패널에 맞물림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63. 제35 항 내지 제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에 밀봉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64. 제35 항 내지 제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링킹 애퍼처는 상기 둘러싸는 뚜껑 표면과 평면인,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65. 제35 항 내지 제6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재료는 제지 펄프와 같은 재활용가능한, 생분해가능한 또는 퇴비화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66. 제35 항 내지 제6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재활용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67. 제66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인,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68. 제35 항 내지 제6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의 림의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상기 뚜껑은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인,
    음료 용기를 위한 뚜껑.
KR1020227027255A 2020-01-06 2021-01-05 뚜껑 KR202201234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ES2020/0003 2020-01-06
IES20200003 2020-01-06
IES2020/0126 2020-06-15
IES20200126 2020-06-15
PCT/EP2021/050097 WO2021140104A1 (en) 2020-01-06 2021-01-05 A l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462A true KR20220123462A (ko) 2022-09-06

Family

ID=7418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255A KR20220123462A (ko) 2020-01-06 2021-01-05 뚜껑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30033807A1 (ko)
EP (1) EP4087791A1 (ko)
JP (1) JP2023509511A (ko)
KR (1) KR20220123462A (ko)
CN (1) CN115605406A (ko)
AU (1) AU2021205604A1 (ko)
BR (1) BR112022013429A2 (ko)
CA (1) CA3163976A1 (ko)
MX (1) MX2022008350A (ko)
TW (1) TW202130558A (ko)
WO (1) WO2021140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53727A1 (en) * 2019-08-20 2021-02-25 Huhtamaki, Inc. Lid for a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8584B1 (en) * 2000-07-06 2001-11-20 Michael Milan Beverage container lid having baffle arrangement
US10589907B2 (en) * 2006-04-12 2020-03-17 Volo Brands Llc Disposable lid having spout with filter for beverage container
WO2008073970A1 (en) 2006-12-12 2008-06-19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Diverter valve
US20080237247A1 (en) 2007-03-29 2008-10-02 C2 Cups Llc Single-use leak/spill prevention container lid and disposable container
WO2010071790A1 (en) * 2008-12-16 2010-06-24 Waddington North America, Inc. One-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CA2901642C (en) 2013-04-05 2021-03-02 Waddington North America, Inc.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WO2016115291A1 (en) 2015-01-14 2016-07-21 Waddington North America, Inc. Two-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WO2016115214A1 (en) 2015-01-14 2016-07-21 Waddington North America, Inc. Lid featuring improved splash and spill resistance and ease of flow
GB201516783D0 (en) 2015-09-22 2015-11-04 Sloan Craig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7791A1 (en) 2022-11-16
WO2021140104A1 (en) 2021-07-15
AU2021205604A1 (en) 2022-07-28
JP2023509511A (ja) 2023-03-08
CA3163976A1 (en) 2021-07-15
MX2022008350A (es) 2022-08-25
TW202130558A (zh) 2021-08-16
CN115605406A (zh) 2023-01-13
US20230033807A1 (en) 2023-02-02
BR112022013429A2 (pt)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5173B2 (en) Vess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955289B2 (en)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lid
US3144976A (en) Liquid filled pouch with straw
CA2658284C (en) Gable top container with perforated opening arrangement
AU3644899A (en) Self sealing drinking dispenser
WO2021073599A1 (en) A cup, a blank for a cup and a method of forming a cup
US20090308870A1 (en) Storage Container with Collapsible Lid and Utensil
KR20220123462A (ko) 뚜껑
US20230227215A1 (en) A lid
AU2013205527B2 (en) Vess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446815Y1 (ko) 음료 용기용 종이 팩
WO1999033715A1 (en) Liquid storage and dispensing bag
WO2004037674A1 (en) Spout and container made from flexible film
KR20070026717A (ko) 공기로가 형성된 액체밀폐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