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739Y1 - 골프공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739Y1
KR200446739Y1 KR20070017920U KR20070017920U KR200446739Y1 KR 200446739 Y1 KR200446739 Y1 KR 200446739Y1 KR 20070017920 U KR20070017920 U KR 20070017920U KR 20070017920 U KR20070017920 U KR 20070017920U KR 200446739 Y1 KR200446739 Y1 KR 200446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main frame
inlet
rotating member
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7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410U (ko
Inventor
김일환
오태석
전성구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070017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739Y1/ko
Priority to JP2008000276U priority patent/JP3140628U/ja
Publication of KR20090004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7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06Automatic tee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공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골프공 공급장치는, 골프공 티업장치의 안내 유도부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골프공 공급장치로서, 골프공이 티업장치의 안내 유도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그 회전축이 메인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하여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원; 및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골프공을 적재한 후 유입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면 골프공이 유입구로 공급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골프공, 구동원, 회전부재, 메인프레임

Description

골프공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 if golf ball}
본 고안은 골프공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 연습장에서 경사면 또는 홈을 따라 굴러온 골프공을 티업장치로 공급하는 골프공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 연습장에서는 경사면 또는 홈을 따라 굴러온 골프공이 티업장치로 공급되거나, 골프공 저장장치로부터 이동된 골프공이 호스 등을 통하여 티업장치로 공급된다. 티업장치로 이동된 골프공은 골프티에 하나씩 적재되어 상승된 후, 골퍼에 의하여 타격된다. 상기 티업장치에 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5068호, 제20-0296187호, 제20-0404892호, 제20-0418251호, 제20-0278077호, 제20-0431940호 등에 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골프공이 골프공 저장장치로부터 호스 등을 통하여 티업장치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호스 등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티업장치의 안내 유도부에 골프공을 직접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골프공이 경사면 또는 홈을 따라 이동된 후 티업장치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면 또는 홈의 높이와 티업장치의 안내 유도부의 높이가 다르면 골 프공을 안내 유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골프공이 굴러 내려온 경사면 또는 홈의 높이와 티업장치의 안내 유도부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 골프공을 안내 유도부로 공급할 수 있는 골프공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골프공 공급장치는 골프공 티업장치의 안내 유도부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골프공 공급장치로서, 골프공이 티업장치의 안내 유도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그 회전축이 메인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하여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원; 및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골프공을 적재한 후 유입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면 골프공이 유입구로 공급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 전방에 위치되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회전축에 설치되되,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회전축의 중심축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서포트 바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회전축에 의해 관통되며, 메인프레임과 복수의 서포트 바 사이에 개재되어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골프공이 회전부재에 하나씩 적재될 수 있도록 골프공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투입구가 형성된 보조프레임을 더 구비한다.
이때, 회전부재가 골프공을 적재하도록 위치되면 복수의 서포트 바는 골프공이 투입구로 투입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부재는, 구동원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그 끝단이 절곡된 날개부; 및 골프공을 적재할 수 있도록 골프공의 직경보다 넓은 간격으로 날개부의 끝단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보조날개부;를 구비하고, 보조날개부는 골프공이 투입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전부재에 적재되어 회동되는 골프공을 지지하기 위하여 회전부재의 회전반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입구 측에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는 골프공이 굴러 내려온 경사면 또는 홈의 높이와 티업장치의 안내 유도부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 골프공을 안내 유도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경사로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경사로로 인한 답답함을 줄일 수 있으며 골프공의 수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가 티업장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골프공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골프공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골프공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골프공 공급장치(100)는 골프공(10)이 티업장치(200)의 안내 유도부(210)로 유입되도록 유입구(111)가 형성된 메인프레임(110)과,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 구동원(120) 및, 구동원(12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재(130)를 구비한다.
골프공 공급장치(100)는 골프 연습장에서 경사면(미도시) 또는 홈(미도시)을 따라 이동된 골프공(10)을 티업장치(200)의 안내 유도부(210)로 공급한다. 여기서, 티업장치(200)는 안내 유도부(210)를 통하여 골프공(10)이 유도되고, 유도된 골프공(10)을 골프티(220)에 적재한 후 상승시키는 장치로서, 골프 연습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티업장치(200)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 다. 또한, '안내 유도부(210)'라 함은 골프공(10)을 골프티(220)에 적재하기 위하여 골프공(10)을 안내하는 부분을 뜻한다.
메인프레임(110)에는 티업장치(200)의 안내 유도부(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구(111)가 형성된다. 이때, 메인프레임(110)과 결합되어 그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보조프레임(115)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과 보조프레임(115)이 결합되어 형성된 수납공간에는 회전부재(130)가 위치되며, 보조프레임(115)에는 경사면 또는 홈을 따라 이동된 골프공(10)들이 상기 수납공간의 회전부재(130)에 하나씩 적재되도록 골프공(1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투입구(11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메인프레임(110)과 보조프레임(115)은 투입구(116)로 투입된 골프공(10)이 회전부재(130)에 적재되어 이동시 전방과 후방측, 즉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메인프레임(110)과 보조프레임(115)은 본 명세서에서 사각형 형태로 도시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원(120)이 설치되어 회전부재(130)에 의하여 골프공(10)이 티업장치(200)에 공급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채용 가능하다.
구동원(120)은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되되, 구동원(12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22)이 메인프레임(110)을 관통하도록 하여 설치되며, 또한, 그 일부가 노출되도록 보조프레임(115)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구동원(120)은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로서, 회전부재(130)의 설치방향에 따라 정,역 회전될 수 있다. 본 명세 서에서는 구동원(12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정회전'이라 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10)을 적재한 회전부재(130)가 구동원(120)에 의하여 180도 정도 정회전을 하면 골프공(10)을 적재한 회전부재(130)가 안내 유도부(210)와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어 골프공(10)이 안내 유도부(210)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 구동원(120)은 유입구(111) 측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된다. 센서는 회전부재(130)가 회전할 때, 즉, 유입구(111)로 골프공(10)을 공급할 때 센서에 의해 회전부재(130)가 감지되면 구동원(120)의 회전을 정해진 시간동안 정지시킨 뒤 다시 정회전을 개시한다.
한편, 구동원(120)은 티업장치(200)에 골프공(10)이 공급되어 꽉차게 되면 티업장치(200)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동원(120)은 공급장치(100)의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되어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느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업장치(200) 내부로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회전부재(130)는 골프공(10)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부재(130)는 구동원(120)의 회전축(122)에 설치된 날개부(132) 및, 날재부(132)의 끝단과 이격되어 설치된 보조날개부(134)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날개부(132)의 끝단은 절곡되고, 보조날개부(134)는 골프공(10)을 적재할 수 있도록 골프공(10)의 직경보다 넓은 간격으로 날개부(132)의 끝단과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30)는 골프공(10)을 적재하도록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회전부재(130)는 두 개의 날개부(132)가 평행하도록 회전축(122)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셋 이상의 날개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보조날개부(134)는 골프공(10)이 투입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부재(130)가 회전되어 유입구(111) 측으로 이동되면 경사진 보조날개부(134)에 의하여 골프공(10)이 유입구(111)로 이동된다. 이때, 경사진 보조날개부(134)에 의하여 골프공(10)이 투입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이 지지함으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130)에 의하여 이동되는 골프공(1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110)에 가이드 부재(140)를 설치한다.
가이드 부재(140)는 메인프레임(110)과 보조프레임(115) 사이에 위치되며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부재(140)는 회전부재(130)에 적재되어 이동되는 골프공(10)을 지지하기 위하여 회전부재(130)의 회전반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부재(140)는 골프공(10)을 지지하는 면이 회전부재(130)의 회전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골프공 공급장치(100)는 골프공(10)을 보조프레임(115)의 투입구(116)로 막힘없이 일정하게 투입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서포트 바(150)를 더 구비 한다.
상기 복수의 서포트 바(150)는 투입구(116)가 형성된 보조프레임(115)의 전방에 위치되며, 구동원(120)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회전축(122)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서포트 바(150)는 회전축(12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축(122)의 중심축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서포트 바(150)는 회전부재(130)가 골프공(10)을 적재하도록 위치되면 서포트 바(150)는 골프공(10)이 투입구(116)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골프공(10)이 서포트 바(150)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투입구(116)로 투입되면 회전부재(130)에 의해 유입구(111) 측으로 이동되고, 회전부재(130)가 유입구(111) 측으로 이동시 서포트 바(150)는 투입구(116) 전방에 위치됨으로 골프공(10)이 투입구(116)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서포트 바(150) 사이에 회전부재(130)의 날개부(132)가 위치되며, 회전부재(130)와 서포트 바(150)는 구동원(120)에 의하여 함께 회전된다.
한편, 복수의 서포트 바(150)는 회전축(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전축(122)의 외주면에 임의의 하나의 라인을 따라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은 서포트 바(150)는 보조프레임(115)이 설치되어 보조프레임(115)의 투입구(116)로 골프공(10)을 일정하게 투입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조프레임(115)이 설치되지 않더라도, 회전부재(130)에 적재되는 골프공(10)이 하나만 적재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골프 연습장의 경사면 또는 홈을 따라 흘러내린 골프공(10)들은 골프공 공급장치(100)의 투입구(116)로 투입된다. 골프공(10)이 투입구(116)로 투입되면 구동원(120)에 의하여 정회전하는 회전부재(130)에 골프공(10)이 적재된다(도 6 참조).
이어서, 회전부재(130)가 정회전을 하여 유입구(111)로 위치되면 유입구(111)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원(120)이 정지된다. 그러면, 회전부재(130)에 적재된 골프공(10)이 경사진 보조날개부(134)에 의하여 유입구(111)를 통해 티업장치(200)의 안내 유도부(210)로 이동된다. 이때, 회전부재(130)에 적재된 골프공(10)은 메인프레임(110) 및 보조프레임(115)과 메인프레임(110)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140)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센서가 회전부재(130)를 감지하여 구동원(120)을 제어할 수 있으나, 센서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구동원(120)에 의하여 회전부재(130)가 천천히 회전되면 골프공(10)이 유입구(112)로 유입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부가적으로, 일정 구간을 지정하여 지정된 구간마다 구동원(120)의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재(130)가 회전되는 것과 함께 서포트 바(150)가 회전한다. 상기 서포트 바(150)와 회전부재(130)의 날개부(1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서포트 바(150)를 지나 투입구(116)로 골프공(10)이 투입되면 회전부재(130)의 날개부(132) 및 보조날개부(134)에 의하여 골프공(10)이 적재되며, 골프공(10)이 적재된 회전부재(130)가 회전시, 예컨 대, 90도 정도 회전하면 서포트 바(150)가 투입구(116)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골프공(10)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서포트 바(150)는 투입구(116)로 일정하게 골프공(10)이 투입되도록 함은 물론, 투입구(116)에 골프공(10)이 끼어 막혔을 때, 골프공(10)을 제거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회전부재(130)를 통해 티업장치(200)의 안내 유도부(210)로 골프공(10)이 꽉차도록 공급되면 티업장치(200)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구동원(120)이 정지하고, 골프공(10)이 사용되면 다시 구동원(120)이 작동되어 골프공(10)을 공급한다.
상기 티업장치(200)는 골프 연습장에서 골프공(10)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티업장치(200)의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5068호, 제20-0296187호, 제20-0404892호, 제20-0418251호, 제20-0278077호, 제20-0431940호 등에 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인 골프공 공급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난 티업장치 뿐만 아니라 상기 공보에 개시된 티업 장치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가 티업장치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프공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골프공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골프공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3의 골프공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2의 골프공 공급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골프공 100 : 공급장치
110 : 메인프레임 115 : 보조프레임
120 : 구동원 130 : 회전부재
140 : 가이드 부재 150 : 서포트 바
200 : 티업장치 210 : 안내 유도부
220 : 골프티

Claims (7)

  1. 골프공 티업장치의 안내 유도부로 골프공을 공급하는 골프공 공급장치에 있어서,
    골프공이 티업장치의 안내 유도부로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그 회전축이 메인프레임을 관통하도록 하여 메인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원; 및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골프공을 적재한 후 유입구와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면 골프공이 유입구로 공급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회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프레임 전방에 위치되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회전축에 설치되되,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회전축의 중심축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둘 이상의 서포트 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에 의해 관통되며, 메인프레임과 둘 이상의 서포트 바 사이에 개재되어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골프공이 회전부재에 하나씩 적재될 수 있도록 골프공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투입구가 형성된 보조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회전부재가 골프공을 적재하도록 위치되면 둘 이상의 서포트 바는 골프공이 투입구로 투입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회전부재는,
    구동원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그 끝단이 절곡된 날개부; 및
    골프공을 적재할 수 있도록 골프공의 직경보다 넓은 간격으로 날개부의 끝단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보조날개부;를 구비하고,
    보조날개부는 골프공이 투입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회전부재에 적재되어 회동되는 골프공을 지지하기 위하여 회전부재의 회전반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입구 측에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공급장치.
KR20070017920U 2007-11-06 2007-11-06 골프공 공급장치 KR200446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7920U KR200446739Y1 (ko) 2007-11-06 2007-11-06 골프공 공급장치
JP2008000276U JP3140628U (ja) 2007-11-06 2008-01-22 ゴルフボール供給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7920U KR200446739Y1 (ko) 2007-11-06 2007-11-06 골프공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10U KR20090004410U (ko) 2009-05-11
KR200446739Y1 true KR200446739Y1 (ko) 2009-11-24

Family

ID=4129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7920U KR200446739Y1 (ko) 2007-11-06 2007-11-06 골프공 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40628U (ko)
KR (1) KR20044673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892Y1 (ko) 2005-10-06 2005-12-29 조길연 골프공 연속 공급장치
KR200432332Y1 (ko) * 2006-09-22 2006-12-04 조길연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892Y1 (ko) 2005-10-06 2005-12-29 조길연 골프공 연속 공급장치
KR200432332Y1 (ko) * 2006-09-22 2006-12-04 조길연 골프공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10U (ko) 2009-05-11
JP3140628U (ja)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0482B2 (en) Low ground clearance-type ball supply device
ES2700451T3 (es) Sistema del juego de ruleta
JP2007312956A5 (ko)
KR200446739Y1 (ko) 골프공 공급장치
KR101746549B1 (ko) 에어나이프의 위치조절장치
KR200452396Y1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US20170182394A1 (en) Ball pitching device
KR200452395Y1 (ko) 골프공 자동공급장치
KR101669272B1 (ko) 볼 리턴장치가 형성된 구슬 게임기
JP2008229136A5 (ko)
KR100506155B1 (ko) 골프공 공급 장치
CN208093252U (zh) 一种绞线机及其自动开关门
KR200329896Y1 (ko) 브렌딩스태커의 광석유도장치
KR100996907B1 (ko) 주사기용 실리콘 분사장치
CN206660619U (zh) 一种风车组件
KR101192933B1 (ko) 직투입 골프연습기
KR200431941Y1 (ko) 골프공 공급장치
JP2008194322A5 (ko)
KR20110051927A (ko) 필드하키볼 슈팅머신
CN209109857U (zh) 棒材立式活套起套装置
CN107226332A (zh) 一种进桶装置
JP2018143506A5 (ko)
KR200462564Y1 (ko) 골프공 공급장치
JP2020182559A5 (ko)
KR102387170B1 (ko) 볼 자동 발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