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517Y1 -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517Y1
KR200446517Y1 KR2020070018138U KR20070018138U KR200446517Y1 KR 200446517 Y1 KR200446517 Y1 KR 200446517Y1 KR 2020070018138 U KR2020070018138 U KR 2020070018138U KR 20070018138 U KR20070018138 U KR 20070018138U KR 200446517 Y1 KR200446517 Y1 KR 200446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coupling piece
cover
boundary
integrally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563U (ko
Inventor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Priority to KR2020070018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51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5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5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5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3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at least two opposed folded-up portions having a non-rectangular shape
    • B65D5/204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at least two opposed folded-up portions having a non-rectangular shape trapezoidal, e.g. to form a body with diverging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extensions of opposite sides mutually interlocking to lie against other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바닥면을 이루는 저면과; 상기 저면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접힘면과 그 상부접힘면의 상부에 정면상부결합편이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정면덮개와; 상기 저면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접힘면과 그 상부접힘면의 상부에 배면상부결합편이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배면덮개와; 상기 저면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날개면을 접힘 가능하게 형성하되 그 날개면에는 정면결합편과 배면결합편이 각기 형성되고, 상부에 절개홈을 갖는 좌측면상부결합편이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좌측면덮개와; 상기 저면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날개면을 접힘 가능하게 형성하되 그 날개면에는 정면결합편과 배면결합편이 각기 형성되고, 상부에 절개홈을 갖는 우측면상부결합편이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우측면덮개를 포함하는 포장상자가 개시된다.
제과, 제빵, 상자, 피라미드, 육면체.

Description

포장상자{A Packing Box}
본 고안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플한 외관미를 갖도록 하면서 차별화된 사용상의 기능성을 제공하여 제품에 대한 호감도를 높일 수 있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상자는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일정 단위로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한 상자로서, 종이,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수많은 디자인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종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포장상자는 저렴한 생산원가와 매장에서의 조립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과나 제빵의 제품을 포장하는 용도로도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포장상자는 대부분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이고, 각 면은 단순히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제품을 포장하는 용도 이외에 새로운 외관미나 심미감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최근의 포장상자는 단순히 제품을 포장하는 용도 이외에 제품에 대한 특징이나 매장 또는 브랜드에 대한 차별화된 이미지를 어필하는 수단으로 많이 사 용되고 있는 바, 단순히 직육면체나 정육면체 형상의 포장상자는 제품이나 매장 또는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려 제품의 판매량을 감소시키고 경쟁력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새롭고 심플한 외관미를 창출할 수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면의 개방을 통해 감춰진 내용물을 전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견고한 결합을 통해 포장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닥면을 이루는 저면과; 상기 저면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접힘면과 그 상부접힘면의 상부에 정면상부결합편이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정면덮개와; 상기 저면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접힘면과 그 상부접힘면의 상부에 배면상부결합편이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배면덮개와; 상기 저면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날개면을 접힘 가능하게 형성하되 그 날개면에는 정면결합편과 배면결합편이 각기 형성되고, 상부에 절개홈을 갖는 좌측면상부결합편이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좌측면덮개와; 상기 저면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날개면을 접힘 가능하게 형성하되 그 날개면에는 정면결합편과 배면결합편이 각기 형성되고, 상부에 절개홈을 갖는 우측면상부결합편이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우측면덮개를 포함하는 포장상자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피라미드 또는 사다리꼴 육면체 형상이므로 새롭고 심플한 외관미를 창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정면덮개 및 배면덮개와 좌측면덮개 및 우측면덮개의 개방을 통해 꽃봉오리가 개화되는 것과 같이 내용물을 전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새롭고 차별화된 사용상의 기능성으로 인하여 제품에 대한 호감도를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정면상부결합편 및 배면상부결합편과 정면결합편 및 배면결합편에 의해 이중 잠금구조를 가지므로 포장상자의 내구성을 높이는 매우 유용한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의 포장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상자 세부 형상을 나타낸 전개도이며, 도 3,4는 부분 개방과 전체 개방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포장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장상자(100)는 피라미드와 유사한 형상의 육면체 상자를 이루도록 크게 저면(200), 정면덮개(300), 배면덮개(400), 좌측면덮개(500), 우측면덮개(6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저면(200)은 포장상자(100)의 바닥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사각형으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정사각형 이외에 직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면덮개(300)는 상기한 저면(200)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200)과 일체로 형성하고 그 형상을 사다리꼴로 형성하며, 상부에는 상부접힘면(310)과 그 상부접힘면(310)의 상부에 접힘 가능한 정면상부결합편(320)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배면덮개(400)는 상기한 정면덮개(300)와 대응되도록 상기한 저면(200)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200)과 일체로 형성하고 그 형상을 사다리꼴로 형성하며, 상부에는 상부접힘면(410)과 그 상부접힘면(410)의 상부에 접힘 가능하게 배면상부결합편(420)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좌측면덮개(500)는 상기한 저면(200)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200)과 일체로 형성하고 그 형상을 사다리꼴로 형성한 것으로, 상부에는 절개홈(511)을 갖는 좌측면상부결합편(510)을 상기한 좌측면덮개(500) 및 우측면덮개(600)의 상부에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하고, 양측에는 개방홈(540)을 갖는 양측 날개면(520)(530)을 접힘 가능하게 형성하였으며, 양 날개면(520)(530)의 측변에는 정면결합편(521)과 배면결합편(531)을 일체로 각각 형성하였다.
삭제
우측면덮개(600)는 상기한 좌측면덮개(500)와 대응하도록 상기한 저면(200)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200)과 일체로 형성하고 그 형상을 사다리꼴로 형성한 것으로, 상부에는 절개홈(611)을 갖는 우측면상부결합편(610)을 상기한 우측면덮개(600)의 상부에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하고, 양측에는 개방홈(640)을 갖는 양측 날개면(620)(630)을 접힘 가능하게 형성하였으며, 양 날개면(620)(630)의 측변에 정면결합편(621)과 배면결합편(631)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삭제
한편, 본 고안의 포장상자(100)는 그 재질로 판지와 같은 종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합성수지 또는 얇은 금속판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포장상자(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면덮개(500) 및 우측면덮개(600)의 정면결합편(521)(621)과 배면결합편(531)(631)을 각각 서로 끼워 결합한 후, 정면덮개(300) 및 배면덮개(400)의 정면상부결합편(320) 및 배면상부결합편(420)을 절개홈(511)(611)에 각각 끼움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간단하게 포장상자(10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이 완료된 포장상자(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피라미드 형상 또는 사다리꼴의 육면체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외관적으로 심플하면서도 새로운 심미감을 연출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포장상자(100)는 정면덮개(300) 및 배면덮개(400)와 함께 좌측면덮개(500) 및 우측면덮개(600)를 개방함으로써 도 4에서와 같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포장상자(100)에 담아진 내용물이 전체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개봉자는 꽃봉오리가 개화되는 것과 같은 신비감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새롭고 차별화된 사용상의 기능성으로 인하여 제품에 대한 호감도를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고안의 포장상자(100)는 정면상부결합편(320) 및 배면상부결합편(420) 이외에 정면결합편(521)(621) 및 배면결합편(531)(631)을 통해 이중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보다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포장상자(100)의 내구성을 높이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포장상자(100)는 개방홈(540)(640)을 통해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포장상자(100)를 완전히 개방하지 않고도 내용물을 간편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바람직한 일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의 포장상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포장상자 전개도,
도 3은 부분 개방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포장상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완전 개방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포장상자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포장상자 200 : 저면
300 : 정면덮개 310 : 상부접힘면
320 : 정면상부결합편 400 : 배면덮개
410 : 상부접힘면 420 : 배면상부결합편
500 : 좌측면덮개 510 : 좌측면상부결합편
511 : 절개홈 520,530 : 날개면
521 : 정면결합편 531 : 배면결합편
540 : 개방홈 600 : 우측면덮개
610 : 우측면상부결합편 611 : 절개홈
620,630 : 날개면 621 : 정면결합편
631 : 배면결합편 640 : 개방홈

Claims (6)

  1. 바닥면을 이루는 저면(200)과;
    상기 저면(200)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2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접힘면(310)과 그 상부접힘면(310)의 상부에 정면상부결합편(320)이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정면덮개(300)와;
    상기 저면(200)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2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접힘면(410)과 그 상부접힘면(410)의 상부에 배면상부결합편(420)이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배면덮개(400)와;
    상기 저면(200)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2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날개면(520/530)을 접힘 가능하게 형성하되 그 날개면(520/530)에는 정면결합편(521)과 배면결합편(531)이 각기 형성되고, 상부에 절개홈(511)을 갖는 좌측면상부결합편(510)이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좌측면덮개(500)와;
    상기 저면(200)과의 경계에서 접혀지도록 저면(2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에 날개면(620/630)을 접힘 가능하게 형성하되 그 날개면(620/630)에는 정면결합편(621)과 배면결합편(631)이 각기 형성되고, 상부에 절개홈(511)을 갖는 우측면상부결합편(610)이 접힘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우측면덮개(6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덮개(300), 배면덮개(400), 좌측면덮개(500), 우측면덮개(600)는 포장상자의 전체 형상이 사다리꼴 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각각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덮개(500) 및 우측면덮개(600)의 양 날개면(520,530/620,630)은 서로 마주하도록 개방홈(540/6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상자.
KR2020070018138U 2007-11-09 2007-11-09 포장상자 KR200446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138U KR200446517Y1 (ko) 2007-11-09 2007-11-09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138U KR200446517Y1 (ko) 2007-11-09 2007-11-09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563U KR20090004563U (ko) 2009-05-13
KR200446517Y1 true KR200446517Y1 (ko) 2009-11-05

Family

ID=4129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138U KR200446517Y1 (ko) 2007-11-09 2007-11-09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51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5228U (ja) 1981-10-26 1983-05-02 三陽紙器株式会社 包装用容器
JPS63199922U (ko) 1987-06-11 1988-12-22
KR200420783Y1 (ko) 2006-03-30 2006-07-05 덕천판지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용 종이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5228U (ja) 1981-10-26 1983-05-02 三陽紙器株式会社 包装用容器
JPS63199922U (ko) 1987-06-11 1988-12-22
KR200420783Y1 (ko) 2006-03-30 2006-07-05 덕천판지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용 종이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563U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674B1 (ko) 접이식 접착 포장박스
KR100934457B1 (ko)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KR200446517Y1 (ko) 포장상자
KR20140109983A (ko) 작은 크기의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 크기의 패킷
WO2013114521A1 (ja) スライドボックス型パッケージ
JP3141543U (ja) 組立て式箱
JP5352293B2 (ja) 包装箱
KR200417986Y1 (ko) 포장용 상자
JP6362422B2 (ja) 収納箱
JP2013227038A (ja) 包装箱
KR20190003259U (ko) 포장재
KR20140019180A (ko) 포장용 상자
JP7221159B2 (ja) 包装箱
KR20090058071A (ko) 덮개가 구비된 포장상자
JP6857020B2 (ja) 物品収容体
JP2012035847A (ja) ピロー型カートン
KR20080114121A (ko) 상부개방 포장상자
JP2020517527A (ja) 包装材及び包装材用ブランク
KR200447341Y1 (ko) 포장상자
RU59546U1 (ru) Коробка (варианты)
KR200453969Y1 (ko) 포장상자
KR200398128Y1 (ko) 케이크 포장용 상자
JP2006290378A (ja) 包装箱の支持部材
JP6744699B2 (ja) 包装箱
USD699124S1 (en) Package for manufacturer coup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