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443Y1 -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 Google Patents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443Y1
KR200446443Y1 KR2020090010552U KR20090010552U KR200446443Y1 KR 200446443 Y1 KR200446443 Y1 KR 200446443Y1 KR 2020090010552 U KR2020090010552 U KR 2020090010552U KR 20090010552 U KR20090010552 U KR 20090010552U KR 200446443 Y1 KR200446443 Y1 KR 200446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dentification
tag
cutting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섭
Original Assignee
김승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섭 filed Critical 김승섭
Priority to KR2020090010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4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4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12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by destroying, in the act of opening the container, an integral por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401/00Tamper-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for initially filling and for preventing subsequent re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품 여부를 식별하게 되는 RFID태그의 RF안테나와 RF칩의 연결을 정확하고 일정한 패턴으로 커팅할 수 있고, 조립 및 가공이 용이한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은, 상부 수용부를 갖는 식별캡; 상부에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캡의 수용부에 수납 고정되는 절단체; 상기 식별캡의 수용부와 상기 절단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절단체를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는 탄성체; RF안테나 및 RF칩으로 이루어진 RFID태그가 하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식별캡과 래칫(ratchet)기어 형태로 맞물려 결합되되, 상기 RFID태그와 상기 절단체가 상호 맞닿게 결합되는 태그캡; 상기 식별캡과 래칫(ratchet)기어 형태로 맞물려 상기 식별캡을 감싸는 선회캡; 상기 선회캡 하부에 결합되는 하측 외부고정캡; 및 상기 식별캡, 태그캡 및 선회캡을 감싸되, 상기 태그캡과 상호 비(非)원형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하측 외부고정캡과 결합되는 상측 외부고정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선회하는 상기 상측 및 하측 외부고정캡과 이에 연동 선회하는 상기 태그캡에 부착된 RFID태그의 RF칩이 비(非)선회하는 상기 절단체의 블레이드에 의해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조방지 캡, RFID, RF, 태그, 절단, 커팅, 분리, 식별, 탄성, 가압

Description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SAFE CAP TYP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본 고안은 식별캡에 수납 고정된 절단체를 위한 탄성체를 마련하여 식별캡과 결합되는 태그캡의 하부면에 부착된 RFID태그와 상기 절단체를 상호 긴밀하게 맞닿게 함으로써, 선회캡의 선회시 RFID태그의 RF안테나와 RF칩 연결을 일정하고 정확한 패턴으로 커팅할 수 있도록 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에 관한 것이다.
용기의 입구를 막아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캡 중, 특히 고가(高價)의 주류 용기에 사용되는 위조 방지용 안전 캡에 관한 기술 중,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80900호(2002.06.24.등록, 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한다) 『양주병용 위조방지 캡』이 제시되어 있는 바,
상기 선행기술 1은 병구에 회전 체결되는 내전과, 이 내전을 감싸며 장착되는 외전과, 상기 내전과 외전 사이에 구비되는 식별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양주병용 캡에 있어서, 상기 내전의 하측에 구비되되 병의 걸림턱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밴드와, 상기 밴드의 상단부와 상기 내전의 하단부 사이에서 상기 내전과 밴드를 연결시켜주도록 구비된 하나 이상의 브릿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소비자가 양주를 음용할 때 불법 제조, 유통된 양주를 소비함에 따라 입을 수 있는 금전적 손실 및 육체적 위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양주병의 캡을 열기 전에 밴드의 유무와 브릿지의 파손 유무를 통해 그 밀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취급이나 운반 중에 밴드나 브릿지의 파손될 수 있고, 특히 현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위조 기술도 함께 발전하고 있어 상기 선행기술 1과 같은 구성을 쉽게 위조할 수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미흡하다.
상기 선행기술 1의 위조 용이성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9-0085389호(2009.08.07.공개, 이하 ‘선행기술 2’라고 한다) 『위조방지용 마개』가 제시되어 있는 바,
상기 선행기술 2는 유체를 병에 주입하거나 병에 수용된 유체를 배출하는 구멍을 막는 상부마개, 병에 고정되고 상부마개가 구멍을 막을 수 있도록 상부마개와 결합하는 하부마개, 상부마개의 내부에 RFID태그의 상부가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부마개가 회전되는 경우에 RFID태그의 하부가 걸러져서 RFID태그가 찢어질 수 있도록 하부마개의 내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으로서,
마개 개방시 내부에 설치된 RFID태그가 파손되어 RFID태그의 재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하여 근본적인 위,변조를 방지하고자 하고 있으나,
닫힘 방향과는 예각을 이루고 열림 방향과는 둔각을 이루는 돌출부를 통해 RFID태그가 찢어지는 구조이어서 일정하고 정확한 패턴으로 커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최초 개방과 최종 개방으로 나누어 안전 캡의 풀림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최초 개방시 식별홀로 제2문양부에 인쇄된 정품 표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최종 개방시 용기로부터 완전 분리되고, 특히 최초 개방시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정품 여부를 판별하게 되는 RFID태그의 RF안테나와 RF칩의 연결을 정확한 패턴으로 커팅하게 되는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탄성체를 복수의 탄성부로 이루어지게 하고, 절단체에 상기 탄성부가 수납되는 요입부를 형성하여 요입부에 수납된 탄성부에 대한 가압 용이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식별캡과 태그캡, 상기 식별캡과 선회캡의 각 래칫기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맞물림 구조를 갖도록 하여 안전 캡의 풀림 및 잠금이 가능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식별캡 하단부에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선회캡은 일정 각도 선회시 상기 고정돌기와 맞닿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최초 개방시 선회캡의 식별홀에 식별캡의 제2문양부가 노출될 수 있는 위치까지 선회캡이 선회하여 정지할 수 있도록 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은,
상부 수용부를 갖는 식별캡;
상부에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캡의 수용부에 수납 고정되는 절단체;
상기 식별캡의 수용부와 상기 절단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절단체를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는 탄성체;
RF안테나 및 RF칩으로 이루어진 RFID태그가 하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식별캡과 래칫(ratchet)기어 형태로 맞물려 결합되되, 상기 RFID태그와 상기 절단체가 상호 맞닿게 결합되는 태그캡;
상기 식별캡과 래칫(ratchet)기어 형태로 맞물려 상기 식별캡을 감싸는 선회 캡;
상기 선회캡 하부에 결합되는 하측 외부고정캡; 및
상기 식별캡, 태그캡 및 선회캡을 감싸되, 상기 태그캡과 상호 비(非)원형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하측 외부고정캡과 결합되는 상측 외부고정캡;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선회하는 상기 상측 및 하측 외부고정캡과 이에 연동 선회하는 상기 태그캡에 부착된 RFID태그의 RF칩이 비(非)선회하는 상기 절단체의 블레이드에 의해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는 방사상(放射狀)으로 등간격 배열되면서 외측에서 중심측으로 융기된 복수의 탄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단체는 하부에 상기 복수의 탄성부가 수납되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식별캡과 태그캡, 상기 식별캡과 선회캡의 각 래칫기어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맞물림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식별캡은 하단부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회캡은 일정 각도 선회시 상기 고정돌기를 맞닿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회캡은 외주면에 식별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별캡은 개봉 전 상태에서 상기 식별홀로 노출되는 제1문양부와, 상기 선회캡의 최초 개봉시 상기 식별홀로 노출되는 제2문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은,
절단체를 위한 탄성체를 도입하여 용기로부터 안전 캡 개방시 RFID태그의 RF안테나와 RF칩 연결을 일정하고 정확한 패턴으로 커팅할 수 있는 크나큰 효과가 있다.
또 안전 캡을 최초 개방 및 최종 개방으로 나누어 개방하게 되고, 최초 개방시 제2문양부에 인쇄된 정품 표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최종 개방 동작에 따라 용기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 식별캡과 태그캡, 식별캡과 선회캡의 각 래칫기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맞물린 구조를 가져 안전 캡 풀림시 정품 표시를 노출하게 되고 안전 캡 잠금시 정품 표시가 노출된 상태 그대로 용기에 잠기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의 분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별캡, 절단체, 탄성체, 태그캡, 선회캡 및 하측 외부고정캡에서 일부 결합 및 분해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식별캡, 절단체, 탄성체 및 태그캡을 결합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태그캡 선회에 따라 블레이드에 의해서 RF칩이 커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상측 외부고정캡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 정하고, 하측 외부고정캡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정한다.
또 도 1의 “A"는 태그캡의 저면 사시도이고, ”B"는 절단체의 저면 사시도이며, “C"는 식별캡의 저면 사시도이고, ”D"는 마개의 저면 사시도이다.
또 도 2의 “E"는 절단체의 블레이드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은,
크게 식별캡, 절단체, 탄성체, 태그캡, 선회캡, 하측 외부고정캡 및 상측 외부고정캡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식별캡(10)은
원통 형상의 식별몸체(11),
상기 식별몸체(11) 하부로 개구된 결합부(12), 그리고
상기 식별몸체(11) 상부에 형성된 수용부(1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식별몸체(11)는
외주면에 제1문양부(111), 그리고
상기 제1문양부(111)와 동일 원주 상에 배열되는 제2문양부(112)
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문양부(111)는 특정 상표, 즉 본 고안의 캡이 사용되는 용기에 적용된 특정 상표명(예를 들어, 임페리얼 등)이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문양부(112)는 하측 및 상측 외부고정캡(60, 70) 선회시 후술할 선회캡(50)의 식별홀(51)이 위치하여 이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정품’ 또는 ‘正品’ 등의 식별성 문자가 인쇄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문양부(111, 112)는 상기 식별몸체(11)에 각각 1개씩 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할 선회캡(50)의 식별홀(51) 개수에 따라 적합한 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다양한 예의 설명에 앞서, 이후에서는 ‘개봉’에 대해 크게 ‘최초 개봉’과 ‘최종 개봉’으로 나누어 설명하겠으며,
전자(前者)의 ‘최초 개봉’이라 함은 하측 및 상측 외부고정캡(60, 70)을 파지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상측 외부고정캡(70)과 결합된 선회 캡(50)의 일정 각도 선회 정지되기까지의 동작을 의미하고,
후자(後者)의 ‘최종 개봉’이라 함은 상기 최초 개봉 동작에서 더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용기에 결합된 마개(2)를 용기로부터 분리시키게 되기까지의 동작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봉 전 상태(즉, 어떠한 개방 동작을 취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선회캡(50)의 식별홀(51)로 상기 제1문양부(111)가 위치하여 노출되고, 최초 개봉에서는 선회캡(50)의 일정 각도 선회 정지된 상태에서 식별홀(51)로 상기 제2문양부(112)가 위치하여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 식별홀(51) 개수에 따른 각 문양부(111, 112)의 수 형성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식별홀(51) 수가 1인 경우,
개봉 전과 최초 개봉에서 각각 노출된 제1 및 제2 문양부(111, 112)는 각각 1개씩 형성될 것이고,
상기 식별홀(51) 수가 2인 경우,
개봉 전과 최초 개봉에서 각각 노출된 제1 및 제2 문양부(111, 112)는 각각 2개씩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식별홀(51) 수가 3 이상의 경우도 구현 가능하다 할 수 있으나, 제조상 및 사용 편의성을 고려하면 상기 식별홀(51) 수가 2이고, 각 문양부(111, 112)가 각각 2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12)는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수직돌기(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2)에는 용기에 결합된 마개(2)가 끼워져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마개(2)는 상기 수직돌기(121)에 대응되게 수직홈(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2)에 끼워진 마개(2)는 결합부(12)의 수직돌기(121)와 마개(2)의 수직홈(2a)이 상호 결합되므로, 최종 개봉 동작에서 식별캡(10)과 함께 선회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13)는
상기 식별몸체(11)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원형 띠 형상의 돌출부(131)에 의해서 내부에 공간부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수용부(13)에 위치하게 되는 절단체(20) 및 탄성체(30)는 상기 수용부(13)에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결합수단(접착제, 열접착 등)을 이용하는 경우, 제조 단가 및 시간이 증가하므로
상기 수용부(13)는 원형 띠 형상의 돌출부(131)에 방사상(放射狀)으로 등간격 배열된 요입결합부(132)를 형성하여 후술할 절단체(20)의 대응결합부(22)와 암수(雌雄)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식별캡(10)은
하단부 고정돌기(14)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돌기(14)는
상기 식별몸체(11) 하단 둘레에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체(20)는
상기 식별캡(10)의 수용부(13)에 수납 고정되는 것으로, 선회되는 태그캡(40) 하부면에 부착된 RFID태그의 RF안테나에서 RF칩을 절단 분리시키게 되는데,
상부에 방사상(放射狀)으로 등간격 배열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1), 그리고
외주면에 상기 수용부(13)의 요입결합부(132)에 끼워지는 대응결합부(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21)는 커팅의 용이성을 위하여 단면이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을 갖는 형태이거나 상단부에 첨단부(尖端部)(21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단체(20)는 하부에 후술할 탄성체(30)의 탄성부(32)가 수납되는 요입부(23)가 더 형성된다.
또 상기 요입부(23)는 후술할 탄성체(30)의 탄성부(32) 단부와 접하는 평탄부(231)를 갖는다.
또 상기 요입부(23)의 경사진 각도는 탄성체(30) 탄성부(32)의 경사진 각도 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절단체(20)의 요입부(23)에 위치한 탄성체(30)의 탄성부(32)는 태그캡(40)의 가압 결합에 의해서 가압되고,
이때 탄성부(32)의 단부가 요입부(23)의 평탄부(231)에서 미끄러지면서 탄성부(32)는 내측으로 가압되어 탄성부(32)의 외표면이 상기 요입부(23)와 접하여 탄지된다.
상기 탄성체(30)는
상기 식별캡(10)의 수용부(13)와 상기 절단체(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절단체(20)를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으로,
원형띠(31), 그리고
상기 원형띠(31) 중심에 방사상으로 등간격 배열되면서 외측에서 중심측으로 융기된 복수의 탄성부(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체(30)의 탄성부(32)는 상기 절단체(20)의 요입부(23)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식별캡(10) 상부측에 결합되는 태그캡(40)의 가압 결합에 의해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결국 상기 탄성체(30)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절단체(20)는 RFID태그와 가압 밀착된 상태가 되고, 태그캡(40)의 선회 동작시 상기 절단체(20)의 블레이드(21)에 의해서 RF칩은 정확하고 일정한 패턴으로 커팅이 된다.
상기 태그캡(40)은
상단 둘레에 형성된 비(非)원형의 플랜지(41), 그리고
하부면에 부착되고, RF(Radio Frequency)안테나(421) 및 RF칩(422)으로 이루어진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태그(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태그(42)의 RF칩(422)은 상기 절단체(20)의 인접한 두 블레이드(21)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태그캡(40)이 상기 식별캡(10) 상부측에 결합된다.
상기 선회캡(50)은
상기 식별캡(10)을 감싸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식별홀(51)은 상기 식별캡(10)의 제1 및 제2 문양부(111, 112)에 맞게 구비되는 것으로,
개봉 전 상태에서는 제1문양부(111)에 위치하다가 최초 개봉 동작에 의해서 선회캡(50)이 일정 각도 선회시 제2문양부(112)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회캡(50)은 선회캡(50)의 일정 각도 선회시 상기 식별캡(10)의 고정돌기(14)와 맞닿는 스토퍼(52)가 하단부 내주면에 형성된다.
결국 개봉 전 제1문양부(111)에 위치한 식별홀(51)이 최초 개봉에 의해서 제2문양부(112)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14)와 스토퍼(52)를 통해 선회캡(50)은 더 이상 선회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상기 하측 외부고정캡(60)은
상기 선회캡(50)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 둘레에 방사상으로 등간격 배열된 하측결합부(6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 외부고정캡(70)은
상기 식별캡(10), 태그캡(40) 및 선회캡(50)을 감싸되, 상기 태그캡(40)과 상호 비(非)원형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하측 외부고정캡(60)과 결합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벽을 따라 형성된 비원형 파지부(71),
내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식별캡(10), 태그캡(40) 및 선회캡(50)을 감싸는 비원형 수용부(72), 그리고
하단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하측 외부고정캡(60)의 하측결합부(61)와 결합되는 대응하측결합부(7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측 외부고정캡(60)의 하측결합부(61)와 상기 상측 외부고정캡(70)의 대응하측결합부(73)는 암수 결합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고, 특히 상하 톱니가 상호 맞물린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측 및 상측 외부고정캡(60, 70)은 각 하측결합부(61)와 대응하측결합부(73)의 접촉면에 별도의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고주파 등의 열융착을 통해 상호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원형 파지부(71) 및 비원형 수용부(72)에서 비원형이라 함은 원형이 아닌 형태를 의미하며, 본 고안에서는 팔각형을 도입하여 적용하였다.
상기 비원형 파지부(71)와 비원형 수용부(72)는 상호 다른 각을 갖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외형상 미관을 위하여 상호 동일한 각을 갖는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태그캡(40)의 플랜지(41)는 상기 비원형 수용부(72)와 상응한 형태의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구성을 토대로 하여 각 구성의 결합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식별캡(10)과 상기 태그캡(40), 그리고 상기 식별캡(10)과 상기 선회캡(50)은 각각 래칫(ratchet)기어(G1, G2) 형태로 맞물려 결합되는데,
상기 식별캡(10)과 상기 태그캡(40)의 래칫기어(G1)는
상기 식별캡(10)의 식별몸체(11) 상부면 둘레에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진 제1기어(G11), 그리고
상기 태그캡(40) 하부면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G11)와 맞물리는 제2기어(G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식별캡(10)과 상기 선회캡(50)의 래칫기어(G2)는
상기 식별캡(10)의 식별몸체(11) 상부 둘레를 따라 확장된 환형부(15) 하부면에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진 제3기어(G21), 그리고
상기 선회캡(50) 상단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제3기어(G21)와 맞물리는 제4기어(G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3기어(G21)는 상기 식별캡(10)을 뒤집어 놓고 바라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인 것이다.
결국 상기 각 래칫기어(G1, G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맞물림 구조를 갖는다.
상기 래칫기어(G1, G2) 형태의 결합 구조를 통해 상기 상측 외부고정캡(70)의 비원형 파지부(71)를 잡고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상기 태그캡(40)과 상기 선회캡(50)이 함께 선회되고,
용기에 결합된 마개(2)와 결합된 식별캡(10)은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RFID태그(42)의 RF안테나(421)와 RF칩(422)의 연결 부분이 블레이드(21)에 의해서 절단 분리된다.
결국 최초 개봉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안전 캡에 대해
RF리더기를 근접하게 위치시키더라도 RF칩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없게 되므로 한 번 개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용기 내용물의 진위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최초 개봉이 되고 나서 상기 상측 외부고정캡(70)을 반시계 방향으로 좀 더 힘을 주어 선회시키면,
용기에 결합된 마개(2)와 함께 상기 식별캡(10)이 선회되어, 결국 용기로부터 마개(2)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최종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최초 개방 및 최종 개방 동작이 가능하기 위하여서는
상기 식별캡(10)과 상기 선회캡(50)에서 제3 및 제4 기어(G21, G22)의 상호 맞물리는 결합력 보다 용기와 마개(2)의 결합력이 더 커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선회캡(50)의 선회시에도 용기에 결합된 마개(2)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최초 개봉이 완료되고 나서 더 큰 힘을 주어 선회캡(50)을 선회하면 마개(2)가 식별캡(10)과 함께 선회되어 결국 용기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마개(2)와 본 고안의 안전 캡을 용기에 결합하여 잠글 때에는
상기 상측 외부고정캡(70)을 시계 방향으로 역 선회시키게 되는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칫기어(G1, G2)의 경사진 형태에 따라 상기 상측 외부고정캡(70)과 결합된 태그캡(40)이 역 선회하게 되고,
상기 태그캡(40)과 래칫기어(G1)로 맞물린 식별캡(10)과, 그리고 상기 식별캡(10)과 래칫기어(G2)로 맞물린 선회캡(50)이 상기 태그캡(40)과 한 몸체가 되어 함께 역 선회하게 되어 용기에 본 고안의 안전 캡을 잠글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의 분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식별캡, 절단체, 탄성체, 태그캡, 선회캡 및 하측 외부고정캡에서 일부 결합 및 분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결합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식별캡, 절단체, 탄성체 및 태그캡을 결합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태그캡 선회에 따라 블레이드에 의해서 RF칩이 커팅된 것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마개
2a : 수직홈
10 : 식별캡
11 : 식별몸체
111 : 제1문양부 112 : 제2문양부
12 : 결합부
121 : 수직돌기
13 : 수용부
131 : 돌출부 132 : 요입결합부
14 : 고정돌기
15 : 환형부
20 : 절단체
21 : 블레이드
211 : 첨단부
22 : 대응결합부
23 : 요입부
231 : 평탄부
30 : 탄성체
31 : 원형띠 32 : 탄성부
40 : 태그캡
41 : 플랜지
42 : RFID태그
421 : RF안테나 422 : RF칩
50 : 선회캡
51 : 식별홀 52 : 스토퍼
60 : 하측 외부고정캡
61 : 하측결합부
70 : 상측 외부고정캡
71 : 비원형 파지부 72 : 비원형 수용부
73 : 대응하측결합부
G1, G2 : 래칫기어
G11, G12, G21, G22 : 제1,2,3,4기어

Claims (5)

  1. 상부 수용부(13)를 갖는 식별캡(10);
    상부에 블레이드(21)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캡(10)의 수용부(13)에 수납 고정되는 절단체(20);
    상기 식별캡(10)의 수용부(13)와 상기 절단체(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절단체(20)를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는 탄성체(30);
    RF안테나(421) 및 RF칩(422)으로 이루어진 RFID태그(42)가 하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식별캡(10)과 래칫(ratchet)기어(G1) 형태로 맞물려 결합되되, 상기 RFID태그(42)와 상기 절단체(20)가 상호 맞닿게 결합되는 태그캡(40);
    상기 식별캡(10)과 래칫(ratchet)기어(G2) 형태로 맞물려 상기 식별캡(10)을 감싸는 선회캡(50);
    상기 선회캡(50) 하부에 결합되는 하측 외부고정캡(60); 및
    상기 식별캡(10), 태그캡(40) 및 선회캡(50)을 감싸되, 상기 태그캡(40)과 상호 비(非)원형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하측 외부고정캡(60)과 결합되는 상측 외부고정캡(7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선회하는 상기 상측 및 하측 외부고정캡(60, 70)과 이에 연동 선회하는 상기 태그캡(40)에 부착된 RFID태그(42)의 RF칩(422)이 비(非)선회하는 상기 절단체(20)의 블레이드(21)에 의해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 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30)는 방사상(放射狀)으로 등간격 배열되면서 외측에서 중심측으로 융기된 복수의 탄성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체(20)는 하부에 상기 복수의 탄성부(32)가 수납되는 요입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캡(10)과 태그캡(40), 상기 식별캡(10)과 선회캡(50)의 각 래칫기어(G1, G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맞물림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캡(10)은 하단부 고정돌기(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회캡(50)은 일정 각도 선회시 상기 고정돌기(14)와 맞닿는 스토 퍼(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캡(50)은 외주면에 식별홀(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별캡(10)은 개봉 전 상태에서 상기 식별홀(51)로 노출되는 제1문양부(111)와, 상기 선회캡(50)의 최초 개봉시 상기 식별홀(51)로 노출되는 제2문양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KR2020090010552U 2009-08-13 2009-08-13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KR200446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552U KR200446443Y1 (ko) 2009-08-13 2009-08-13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552U KR200446443Y1 (ko) 2009-08-13 2009-08-13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443Y1 true KR200446443Y1 (ko) 2009-10-29

Family

ID=4156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552U KR200446443Y1 (ko) 2009-08-13 2009-08-13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44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494B1 (ko) * 2010-12-15 2011-11-17 다본 주식회사 조립형 위조방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rfid가 내장된 위스키 마개용 표준화 캡
KR101105002B1 (ko) 2010-01-23 2012-01-16 배신영 병마개
KR101121469B1 (ko) 2010-04-02 2012-03-16 김승섭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KR101138257B1 (ko) * 2009-11-26 2012-04-24 서동길 위조방지용 병마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832B1 (ko) 2001-09-21 2003-12-06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비접촉식 회로부를 구비한 내용물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마개
KR100844395B1 (ko) 2008-04-28 2008-07-14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설치된 병마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832B1 (ko) 2001-09-21 2003-12-06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비접촉식 회로부를 구비한 내용물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마개
KR100844395B1 (ko) 2008-04-28 2008-07-14 재단법인 광양만권 유아이티연구소 알에프아이디 태그가 설치된 병마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257B1 (ko) * 2009-11-26 2012-04-24 서동길 위조방지용 병마개
KR101105002B1 (ko) 2010-01-23 2012-01-16 배신영 병마개
KR101121469B1 (ko) 2010-04-02 2012-03-16 김승섭 선회동작에 의한 식별 스크린 은폐형 위조방지용 안전캡
KR101084494B1 (ko) * 2010-12-15 2011-11-17 다본 주식회사 조립형 위조방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rfid가 내장된 위스키 마개용 표준화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179B2 (en)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determining whether a tax for a product has been paid
JP4489082B2 (ja) 製品に対する税が支払われているか否かを電子的に判定するための装置
KR200446443Y1 (ko) 커팅 패턴의 정확성이 향상된 위조방지용 rfid 안전 캡
RU2622806C2 (ru) Укупороч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емкости
CN203006057U (zh) 防伪瓶盖
CN104773380A (zh) 用于将电子标签支撑在瓶盖上的顶盖
KR200446442Y1 (ko) 위조방지용 알에프아이디 안전 캡
US20170225821A1 (en) Bottle Assembly
KR101084494B1 (ko) 조립형 위조방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rfid가 내장된 위스키 마개용 표준화 캡
KR100967340B1 (ko) 알에프아이디 칩 파기형 병입상품 위조방지 장치
US20170323588A1 (en) Device For Recognizing The Authenticity Of A Packaged Product To Be Sold
KR200447712Y1 (ko) Rfid칩 커팅 분리타입의 위조방지용 rfid안전 캡
KR20210000603U (ko) 상품 위조 방지용 포장 장치
AU2017101917A4 (en) Smart capsules
KR101138257B1 (ko) 위조방지용 병마개
KR200466498Y1 (ko)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TWM540817U (zh) 具有撕毀式無線防偽標籤之瓶裝容器
KR20090085389A (ko) 위조방지용 마개
JP2006264711A (ja) 容器キャップ
EP3093256B1 (en) Antifilling pourer for bottle
KR20090085390A (ko) 위조방지용 외부마개
CN205396955U (zh) 一种反扣式酒瓶包装盒
TWI526371B (zh) Container closure structure
KR101196153B1 (ko) 위조주 방지를 위한 알에프아이디 태그 파기용 플레이트
CN214030030U (zh) 一种带侦测线的芯片防伪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